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3:16:27

비텝스크 공세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nopad> 1939년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nopad> 1940년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nopad> 1941년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 (독소전쟁)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nopad> 1942년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 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nopad> 1943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nopad> 1944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코브라 작전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임시정부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nopad> 1945년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비텝스크 공세
러시아어: Витебская наступательная операция[1]
독일어: Zweite Winterschlacht um Witebsk[2]
영어: Vitebsk Offensive
제2차 세계 대전 동부전선의 일부
파일:1944 비텝스크 공세.png
▲ 비텝스크 방향으로 공세를 펼치는 소련군[3]
시기
1944년 2월 3일 ~ 3월 13일[4]
장소
소련 벨로루시 SSR 비텝스크 일대의 독일 국방군 돌출부
원인
소련군의 제3기갑군 섬멸 시도
비텝스크 탈환 시도
교전국 [[틀:깃발|]][[틀:깃발|]][[소련|]]
지휘관 [[틀:깃발|]][[틀:깃발|]][[이반 바그라먄|]]
(제1 발트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바실리 소콜롭스키|
바실리 소콜롭스키
]]
(서부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바실리 고르도프|]]
(제33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에른스트 부슈|]]
(중부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틀:깃발|]][[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
(제6항공함대 사령관)
[[틀:깃발|]][[틀:깃발|]][[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
(제3기갑군 사령관)
결과
나치 독일의 승리
영향
바그라티온 작전까지 비텝스크 전선이 안정화됨
전력 병력 436,180명
전차 129대
전차 140대
피해 규모 전사/실종 27,639명
부상 107,373명
전차 363대
전사 3,530명
실종/포로 1,458명
부상 13,334명

1. 개요2. 전투 서열
2.1. 독일군2.2. 소련군
3. 1943-44년 겨울의 동부 전선4. 비텝스크를 포위하려는 소련군5. 서부 전선군의 추가 공세6. 결과

[clearfix]

1. 개요

비텝스크 공세[5] 혹은 제2차 비텝스크 동계 전투[6]은 네벨 공세로 시작된 43-44년 겨울의 비텝스크 전역의 마지막 전투이며 독일군의 완승으로 끝났다. 이에 따라 소련군은 바그라티온 작전의 시작으로 44년 6월에 비텝스크-오르샤 공세를 시작하기까지 4개월간 비텝스크 근방에서 대규모 공세를 중단하게 된다.

비텝스크 전역만 따로 보면 이 구역은 3기갑군의 담당 구역으로 원래는 북부 집단군의 16군과 중부 집단군의 3기갑군의 연결점인 네벨에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있었으나 42년 11월의 벨리키예루키 전투 이후 잠잠하다가 네벨 공세-비텝스크 공세[7]로 이어지는 소련군의 대규모 공세로 계속 밀려났다. 이후 고로독 공세[8]-비텝스크 공세[9]로 이어지는 소련군의 공세를 마침내 독일군이 막아내면서 4개월에 걸친 격전이 잠잠해지게 된다. 그러나 이 여파로 16군과 3기갑군 사이의 전선이 너무 길어지면서 비텝스크는 반원형 모양의 돌출부가 되었고 3기갑군이 담당할 전선이 길어지면서 바그라티온 작전에서 쉽게 포위당하고 전멸당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2. 전투 서열

2.1. 독일군[10]

  • 중부집단군 ( 사령관 : 에른스트 부슈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기갑군 ( 사령관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군단
    • 제252보병사단
    • 제5보병사단
    • 제87보병사단
    • 제12보병사단
  • 제53군단
    • 제6공군야전사단
    • 제4공군야전사단
    • 제20기갑사단
    • 제197보병사단
    • 제246보병사단
    • 제206보병사단
  • 제6군단
    • 제131보병사단
    • 제299보병사단
    • 제14기갑척탄병사단
    • 제211보병사단
    • 제256보병사단

    }}}
    }}}

2.2. 소련군[11]

  • 제1 발트 전선군 ( 사령관 : 이반 바그라먄 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근위기병군단
    • 제5근위기병사단
    • 제6근위기병사단
    • 제32기병사단
    • 제1814자주포연대
  • 제9근위소총사단
  • 제2공병여단
  • 제5특수공병여단
  • 제236전차여단
    }}}
  • 제4충격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1돌파포병사단
    • 제46대공포사단
    • 제27근위포병여단
    • 제17대전차포병여단
    • 제31박격포여단
    • 제20근위박격포여단
    • 제10근위전차여단
    • 제34근위전차여단
    • 제39근위전차여단
    • 제143전차여단
    • 제1근위돌격공병여단
  • 제5전차군단
    • 제24전차여단
    • 제41전차여단
    • 제70전차여단
    • 제5차량화소총여단
    • 제161자주포연대
    • 제1515자주포연대
    • 제1546자주포연대
  • 제2근위소총군단
    • 제90근위소총사단
    • 제166소총사단
    • 제381소총사단
  • 제22근위소총군단
    • 제51소총사단
    • 제154소총사단
    • 제156소총사단
  • 제60소총군단
    • 제16소총사단
    • 제119소총사단
    • 제357소총사단
    • 제101소총여단
  • 제83소총군단
    • 제47소총사단
    • 제234소총사단
    • 제360소총사단
  • 제91소총군단
    • 제117소총사단
    • 제332소총사단
    • 제358소총사단

    }}}
  • 제11근위군 ( 사령관 : 쿠즈마 갈리츠키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근위박격포사단
    • 제17대공포사단
    • 제39대공포사단
    • 제10돌격공병여단
    • 제55곡사포여단
    • 제94중곡사포여단
    • 제103고력곡사포여단
  • 제1전차군단
    • 제89전차여단
    • 제117전차여단
    • 제159전차여단
    • 제44차량화소총여단
    • 제2근위전차연대
    • 제1437자주포연대
  • 제8근위소총군단
    • 제5근위소총사단
    • 제83근위소총사단
  • 제16근위소총군단
    • 제1근위소총사단
    • 제18근위소총사단
    • 제31근위소총사단
  • 제36근위소총군단
    • 제16근위소총사단
    • 제26근위소총사단
    • 제84근위소총사단
  • 제103소총군단
    • 제11근위소총사단
    • 제29소총사단
    • 제235소총사단

    }}}
  • 제43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소총군단
    • 제145소총사단
    • 제204소총사단
    • 제306소총사단
  • 제92소총군단
    • 제179소총사단
    • 제270소총사단
    • 제334소총사단
  • 제46기계화소총여단
    }}}
  • 제3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11돌격항공사단
    • 제335돌격항공사단
    • 제240전투항공사단
    • 제259전투항공사단
    • 제314야간폭격항공사단
    • 제6근위돌격항공연대
  • 제1근위전투항공군단
    • 제3근위전투항공사단
    • 제4근위전투항공사단
  • 제2전투항공군단
    • 제7근위전투항공사단
    • 제322전투항공사단
  • 제3돌격항공군단
    • 제307돌격항공사단
    • 제308돌격항공사단

    }}}
    }}}
  • 서부 전선군 ( 사령관 : 바실리 소콜롭스키 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폴란드군단
    • 제1폴란드보병사단
    • 제2폴란드보병사단
    • 제3폴란드보병사단
    • 제1폴란드전차여단
    • 제1폴란드포병여단
  • 제2근위전차군단
    • 제4근위전차여단
    • 제25근위전차여단
    • 제26근위전차여단
    • 제4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1819자주포연대
    • 제1833자주포연대
  • 제5돌파포병군단
    • 제5돌파포병사단
    • 제4근위중포사단
    • 제7근위박격포사단
  • 제48대공포사단
  • 제24근위박격포여단
  • 제119고력곡사포여단
  • 제2근위전차여단
  • 제153전차여단
  • 제3돌격공병여단
  • 제11공병여단
  • 제33특수공병여단
  • 제735자주포연대
  • 제1494자주포연대
    }}}
  • 제5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6근위중포사단
    • 제33대공포사단
    • 제120전차여단
    • 제1537자주포연대
  • 제45소총군단
    • 제157소총사단
    • 제184소총사단
    • 제338소총사단
  • 제72소총군단
    • 제97소총사단
    • 제153소총사단
    • 제159소총사단
    • 제277소총사단

    }}}
  • 제33군 ( 사령관 : 바실리 고르도프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근위돌파포병사단
    • 제34대공포사단
    • 제49대공포사단
    • 제164소총사단
    • 제16근위대전차포병여단
    • 제13대전차포병여단
    • 제23근위전차여단
    • 제43근위전차여단
    • 제213전차여단
    • 제256전차여단
    • 제1돌격공병여단
    • 제722자주포연대
    • 제1445자주포연대
    • 제1830자주포연대
  • 제36소총군단
    • 제173소총사단
    • 제215소총사단
    • 제274소총사단
  • 제65소총군단
    • 제199소총사단
    • 제371소총사단
  • 제69소총군단
    • 제144소총사단
    • 제222소총사단
    • 제36소총여단

    }}}
  • 제39군 ( 사령관 : 니콜라이 베르자린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1소총군단
    • 제62소총사단
    • 제174소총사단
    • 제192소총사단
  • 제62소총군단
    • 제63소총사단
    • 제247소총사단
    • 제352소총사단
  • 제113소총군단
    • 제70소총사단
    • 제344소총사단
  • 제1근위대전차포병여단
    }}}
  • 제1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근위폭격항공사단
  • 제113폭격항공사단
  • 제233돌격항공사단
  • 제311돌격항공사단
  • 제303전투항공사단
  • 제309전투항공사단
  • 제213야간폭격항공사단
  • 제325야간폭격항공사단
    }}}
  • 제10군
  • 제31군
  • 제49군
    }}}

3. 1943-44년 겨울의 동부 전선

43년 7월의 쿠르스크 전투를 끝으로 독일군의 전략적 공세는 끝났고 이후 소련군의 공세가 이어지고 있었다. 쿠르스크 북쪽과 남쪽의 쿠투조프 작전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을 시작으로 42년 겨울과 비슷하게 공세는 전 전선으로 확대됐다.

북부 전선에서는 18군을 상대로 43년 7월부터 9월까지 레닌그라드와 볼호프 사이의 철도를 장악하기 위해서 므가 공세가 진행됐고 므가 탈환에는 실패했지만 마침내 시냐비노 고지를 탈환하면서 독일군은 사실상 레닌그라드 포위망 유지에 실패했다. 44년 1월부터는 레닌그라드-노브고로드 공세가 진행되면서 레닌그라드 공방전이 끝났다. 조금 더 밑의 16군 구역에서는 43년 10월의 이드리차 공세, 44년 1월의 노보소콜니키 공세, 44년 3월의 스타라야루사 공세와 4월의 프스코프 공세가 이어지며 착실하게 철도를 장악해나갔고 북부 집단군은 판터 방어선으로 철수했다.

중부 전선에서는 43년 7월의 쿠투조프 작전 이후 8월부터 9월까지 수보로프 작전과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를 진행하며 중부 집단군을 밀어냈으나 10월부터 시작된 공세는 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 서부 전선군은 11차례의 공세중 6번의 오르샤 공세를 포함해 4군을 8번이나 공격했으나 아무런 진전이 없었고 그나마 남부집단군이 밀려나고 2군이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9군의 담당 구역이 지나치게 길어진 덕분에 벨로루시 전선군이 43년 10월부터 11월까지 고멜-레치차 공세, 44년 1월의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2월의 로가체프-즐로빈 공세에서 약간 진격할 수 있었다.

남부 전선은 동시기 소련군이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전역으로 43년 8월부터 12월까지 이어진 드네프르 강 전투와 43년 12월부터 4월까지 이어진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로 남부 집단군은 폴란드와 루마니아까지 밀려났다.

4. 비텝스크를 포위하려는 소련군

고로독 공세 혹은 제1차 비텝스크 동계 전투기간 동안 제1 발트 전선군은 비텝스크 북쪽의 독일군 돌출부를 제거하는데 성공했고 비텝스크 북서쪽으로 진출했다. 같은 시기, 서부 전선군은 비텝스크 방면으로 2개의 공세를 진행했으며 성과는 미미했지만 어쨌든 비텝스크 남쪽에 도달했다. 압도적인 전력 차에도 불구하고 공세가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자 스타브카에서는 두 전선군이 합동으로 비텝스크를 포위하는 것으로 목표를 축소했고 이에 따라 2월 3일부터 공세가 시작됐다.

공세 초기, 소련 6개 제병협동군은 152,500명의 최전선 전투병력을 보유중이었으나 독일 3개 군단은 19,150명을 보유중이었다. 따라서 병력만 따져도 8대1의 격차가 있었으며 소련군이 돌파를 시도하기 위해 병력을 집중한 돌출부 북서쪽[12]과 남동쪽[13]은 훨씬 더 압도적이었다. 3기갑군은 좌익부터 9군단, 53군단, 6군단을 배치하여 각각 4충격군과 10근위군, 43군, 33군과 39군을 상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두 전선군은 작전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했으며 협조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심지어 서부 전선군의 경우에는 야전군끼리도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공세는 엉망진창이었다. 결국 2월 16일에 공세가 중단되었을 때, 서부 전선군은 겨우 4km진격한 상태였고 제1 발트 전선군은 그보다는 더 진격했으나 비텝스크 후방 차단은 커녕 폴로츠크-비텝스크 간 철도 차단에도 실패했다.

5. 서부 전선군의 추가 공세

제1 발트 전선군의 공세는 끝났지만 서부 전선군은 이후 3차례의 공세를 추가로 진행했다. 동시기에 북부 전선에서는 레닌그라드-노브고로드 작전, 남부 전선에서는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로 엄청난 성과를 거두고 있는데 비하여 중부 전선에서는 성과가 거의 없는 수준이었다. 바그라먄은 그래도 고로독 공세에서 성과를 거뒀지만 소콜롭스키는 압도적인 전력에도 불구하고 성과가 없어 스타브카로부터 압박을 받고 있었으므로 2월 22일부터 25일까지 그리고 3월 5일부터 3월 9일까지 오르샤 방면으로 공세를 펼쳤으나 역시 전혀 성과가 없었다. 그나마 2월 29일부터 3월 5일까지 제1 발트 전선군과 함께 비텝스크 방면으로 다시 공세를 펼쳤을 때만 미미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6. 결과

독일군은 8배가 넘는 적을 상대로 완벽한 승리를 거뒀으며 이 여파로 극심한 손실을 견디지 못한 소련군이 공세를 멈추면서 1943-44년 겨울동안 중부 전선에서 이어진 네벨-비텝스크 전역과 오르샤 전역이 끝났다. 이후 비텝스크의 3기갑군과 1발트 전선군, 오르샤의 4군과 서부 전선군은 6월에 바그라티온 작전이 시작될 때까지 약 4개월 동안 큰 전투 없이 전선을 고수했으며 3기갑군과 4군은 둘 다 바그라티온 작전에서 괴멸당하게 된다.

두 전선군의 전력은 병력 면에서는 8배 이상인데다가 제공권도 완벽히 장악한 상태였고 기갑 전력은 얼핏보면 비슷해 보이지만 독일군은 예비대를 모두 합친 전력이지만 소련군은 전선군, 야전군 직할 부대들은 모두 제외하고 최전선의 기갑전력만으로도 독일군 전체 기갑전력과 비슷한 수준이었다.[14] 그런데 성과는 전혀 없고 피해도 소련군이 8배나 많으니 스타브카에서 충격을 받을만한 결과였다. 결국 이러한 실패의 영향은 야전 사령관들에게도 미치게 되는데 서부 전선군 사령관 소콜롭스키는 4월에 해임됐으며 전선군 참모부와 야전군 사령관들도 상당수가 해임되거나 좌천됐다. 또한 서부 전선군은 규모가 너무 커서 지휘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2,3 벨로루시 전선군으로 분할됐다.

독일군에게는 반대로 엄청난 승리였는데 43년 10월에 네벨 공세에서 북부 집단군과 중부 집단군의 지경선이 돌파당하고 돌파구가 생겼을 때 엄청난 질책을 퍼붓던 히틀러가 직접 승리를 치하하고 3기갑군 사령관 라인하르트에게 곡엽검기사철십자 훈장을 수여할 정도였다. 이 시기는 동부 전선 전체에서 독일군이 밀리던 시기였는데 중부 집단군은 계속 남부 집단군으로 병력과 장비를 지원하고 있던 반면에 소련군은 남부 전선만큼이나 중부 전선에 엄청난 지원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훨씬 값진 결과였다.


[1] 비텝스크 공세 작전 [2] 제2차 비텝스크 동계전투 [3] 가운데 Witebsk가 비텝스크이고 북쪽부터 독일 제3기갑군 소속 9,53,6군단이 배치되어 있다. 독일측 숫자는 사단이고 소련측 숫자는 야전군이며 북서쪽의 공세는 제1 발트 전선군, 남동쪽의 공세는 서부 전선군이다. 양 쪽의 빗금 친 부분이 공세 기간동안 소련군이 탈환한 영토이다. [4] 실질적인 공세는 2월 16일에 끝났고 독일측에서는 17일까지만 전투 기간으로 본다. [5] 소련 측 명칭, 사실 비텝스크 공세라는 명칭이 붙은 공세가 너무 많아서 이것만으로는 구분하기 힘들다. 당장 43-44년 겨울에 펼친 비텝스크 공세만 3번이다. [6] 독일 측 명칭 [7] 1943년 10월의 공세들로 정식 명칭은 비텝스크 공세는 아니지만 편의를 위해 비텝스크 공세로 표기했다. 참고로 위에서 설명한 3번의 비텝스크 공세와는 별개의 공세이다. [8] 제1차 비텝스크 동계 전투 [9] 1944년 2월의 공세, 제2차 비텝스크 동계 전투 [10] 2월 3일 기준 [11] 2월 1일 기준 [12] 4충격군과 10근위군 [13] 33군과 39군 [14] 소련군은 대체로 제1파만 공세 투입 전력으로 기록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