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22:36:35

이화여자대학교

Ewha Womans University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643E,#00472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캠퍼스 학부 대학원 학교법인
역대 총장 상징 교환학생
||<-3><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00643E>
기타 정보
||
사회 진출 출신 인물 사건사고
의료원
부속병원
의료원 보구녀관 목동병원 서울병원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colbgcolor=#fff,#191919>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서울캠퍼스, 도곡캠퍼스) (대학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공립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사립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성의교정) ·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감리교신학대학교 ·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서울캠퍼스)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방배캠퍼스) (대학원)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 ·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 ·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 · 파일:서울기독대학교 UI.svg 서울기독대학교 ·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 파일:서울한영대학교 UI.svg 서울한영대학교 ·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장로회신학대학교 · 파일:한진그룹 심볼.svg 정석대학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 ·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한국성서대학교 심볼.svg 한국성서대학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서울캠퍼스) (대학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서울캠퍼스) (대학원) ·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OO대학교(AA캠퍼스) : 각 대학의 제2캠퍼스 · 이원화캠퍼스
}}}}}}}}} ||
이원화 캠퍼스 목록 / 분교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colcolor=white><colbgcolor=#00462a>
이화여자대학교
梨花女子大學校
EWHA WOMANS UNIVERSITY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교훈 및 교시 <colcolor=#191919,#fff>진(眞), 선(善), 미(美)
상징 슬로건 그대가 바라는 미래, 이화[]현 영문 슬로건
EWHA, THE FUTURE WE CREATE][]구 슬로건
세상은 이화에게 물었고
이화는 그대를 답했다]
교색
Ewha Green (#00664F)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분류 사립대학, 4년제 종합대학
개교 1886년 5월 31일 이화학당[3]
설립자 메리 F. 스크랜튼
총장 제17대 김은미
재단 및 법인 학교법인 이화학당
부속병원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주소 신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 대현동)
의과대학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로2길 25 ( 마곡동)
재학생 학부생 15,933명 (2024년)
대학원생 6,192명 (2024년)
교직원 2,853명 (2021년)[4]
웹사이트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공식 홈페이지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노동조합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총동창회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중앙도서관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포탈시스템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THE 포트폴리오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사이버캠퍼스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언어교육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국제교류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출판문화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박물관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자연사박물관
소셜 미디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튜브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페이스북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인스타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블로그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입시카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본교
}}}}}}}}} ||

1. 개요2. 역사3. 상징4. 역대 총장5. 전공(학부)6. 전공(대학원)7. 캠퍼스8. 학교생활 및 문화9. 특징10. 대학평가11.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12. 주변 교통편
12.1. 버스12.2. 지하철역
13. 기타
13.1. 재단13.2. 남학생
14. 출신 인물15. 사건사고16. 관련 문서17. 둘러 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192030120301237.jp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梨花女子大學校, EWHA WOMANS UNIVERSITY)[5] 서울특별시 서대문구,[6] 강서구[7] 위치한 학교법인 이화학당 산하의 사립 종합 여자대학교이다.

1886년 설립된 우리나라 최초의 여학교이자 해방 이후 문교부 제1호로 인가를 받은 최초의 사립 종합대학이다. 국문 약칭은 이대(梨大), 영문 약칭은 EWHA이다.

2. 역사

파일:이대ecc.jpg
이화여자대학교 ECC
파일:392020203017107.jpg
이화여자대학교 본관
파일:이대전경.jpg
이화여자대학교 전경
이화여자대학교 공식 영상
1886년 미국인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 여사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세운 한국 최초의 여학교인 이화학당이 모체이다.

1885년 52세의 나이로 한국 땅을 밟은 스크랜튼 여사는, 구한말 한국 여성들을 위한 학교를 세우게 되었다. 단 1명의 학생으로 시작해 어렵게 학생들을 모아 학교를 키워 나갔고, 고종황제 명성황후 내외는 이화(梨花, 배꽃)라는 교명(校名)을 지어주며 격려했다.[8] # 1887년, 스크랜튼 여사는 의료선교를 위해 병원도 설립했다. 남녀칠세부동석과 내외법이 엄격하던 당대 조선 사회의 분위기를 고려해, 여성전용병원을 짓고 미국에서 여성 의사들을 초청해 왔다. 고종황제는 이 병원에도 ' 보구녀관(普救女館)'[9]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 보구녀관은 한국 최초의 여성병원이며, 최초로 간호교육을 실시하는 등 오늘날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과 의과대학/간호대학의 전신으로 자리 잡았다.

메리 스크랜튼 여사 이후로 교장을 맡은 미국인 여성 선교사들에 의해 이화학당은 유치원, 보통과, 중등과, 고등과 등으로 체계가 갖추어졌고, 1912년에는 이화학당에 대학과가 생겨 덕분에 당시 구제중학교 고등보통학교까지밖에 없었던 조선에서 여성의 체계적 교육이 가능해졌다. 이화학당 대학과는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규칙에 의거해 1925년 구제전문학교인 이화여자전문학교로 인가되었고, 오늘날 오차노미즈여자대학의 전신인 도쿄여자고등사범학교의 본을 따 여성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으로 발전해왔다.

1935년에는 정동 이화학당 자리에서 현재 이화여자대학교/캠퍼스가 위치한 신촌으로 이전했고, 태평양전쟁 개전으로 미국인 선교사들이 축출되고 나서 1943년에는 정동에 남아있던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구제중학교급)가 '학교법인 이화학원'으로[10]과 신촌으로 옮겨간 이화여자전문학교( 구제전문학교)가 '학교법인 이화학당'[11]으로 법인 분리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 구제전문학교로 복귀한 이화여자전문학교는 대한민국 최초로 종합대학 인가를 받아 이화여자대학이 되었으며, 1946년 이화여자대학교로 개칭했다. 메리 스크랜튼 여사가 초대 총장으로 존경받고 있다. 참고.
이화여자대학교 역사
이화여자대학교 역사
1886.05.31. <colbgcolor=#f5f5f5,#191919> 미국 감리회에서 파견된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Mary F. Scranton) 여사에 의해, 한국 최초의 여성교육기관으로 설립.
단 1명의 학생으로 시작하였다.
1887 고종 이화학당(梨花學堂)이라는 이름을 하사.
한국 최초의 여성병원인 보구녀관을 설립.
1890 제2대 당장 루이자 로드와일러(Lousia C. Rothweiler) 취임.
1893 제3대 당장 조세핀 페인(Josephine O. Paine) 취임.
1904 중학과 설치.
1907 제4대 당장 룰루 프라이(Lulu E. Frey) 취임.
1910 대학과 신설.[12]
1912 보통과, 고등과, 중학과, 대학과 설치.
1914 대학과 1회 졸업식(신마실라, 이화숙, 김애식)
이화유치원[13] 신설.
1915 유치원 사범과[14] 설치.
1917 중학과를 대학예과로 개칭.
1918 보통과, 고등과를 이화학당에서 분리하여 이화여자보통학교,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로 11월 1일 개교.
1921 제5대 당장 자네트 월터(Jeanette A. Walter) 취임.
1922 제6대 당장 앨리스 아펜젤러(Alice R. Appenzeller) 취임.
1925.04. 대학과 및 대학예과를 전문학교인 이화여자전문학교로 승격 및 문과, 음악과 신설.
1927.03. 이화여자전문학교 제1회 졸업식.
1928 유치원 사범과를 이화보육학교로 개칭.
1929 가사과 신설.
1935.03. 이화여자보통학교 폐교.
이화여자전문학교 및 보육학교를 정동에서 신촌으로 이전.
1936.05. 창립 50주년 기념식 거행.
1939.04. 제7대 교장 김활란 취임.(최초의 한국인 교장)
1940.04. 3년제 보육과 및 1년제 가사전수과 신설.
학생 정원을 음악과 50명, 가사과100명, 전수과 100명으로 증원.
1941.04. 이화보육학과 폐교.
1943.08.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와 이화보육학교ㆍ이화여자전문학교의 재단을 분리.
재단법인 [이화학당] 설립.
1943.12. 전시교육임시조치령에 의하여 전문학교 교육 정지.
1944.01. 전시교육임시조치령에 의하여 이화여자전문학교 여자청년연성소 지도자 양성과로 개편.
1945.04. 경성여자전문학교로 개칭하고 3년제 후생과, 육아과, 1년제 보육전수과, 교육전수과를 설치.
1945.08.15. 박탈당했던 교명 '이화'를 되찾음.
1945.10. 한림원·예림원 및 행림원의 3원을 두고, 한림원에 문과·가사과·교육과·체육과를, 예림원에 음악과·미술과를, 행림원에 의학과·약학과를 설치.
1945.12. 의학과 실습병원으로 동대문부속병원 신설.
1946.08.15. 이화여자전문학교를 4년제 대학 이화여자대학교로 승격.(한국 최초로 종합대학 인가)[15]
1946.10.31. 초대 총장에 김활란 박사 취임.
1947.09. 한림원의 문과를 인문학부로, 가사과를 가정학부로, 교육과를 교육학부로, 체육과를 체육학부로 승격. 인문학부에 국어국문학과·영어영문학과·기독교사회사업과, 가정학부에 가정학과·영양학과·의류학과, 교육학부에 교육학과·아동학과, 체육부에 체육학과 개설. 예림원의 음악과를 음악학부로, 미술과를 미술학부로 승격. 음악학부에 피아노과·성악과·현악과·작곡과, 미술학부에 동양화과·서양화과·자수과·도안과의 전공학과 개설. 행림원의 의학과를 의학부로, 약학과를 약학부로 승격. 의학부에 본과·예과, 약학부에 약학과의 전공학과 개설.
1949.07. 이화여자대학교 제 1회 졸업식.
1950.05. 한림원 법정학부 및 행림원 간호교육학부를 신설.
1950.06. 대학원 신설.
한국 전쟁으로 휴교.
1951.09. 부산에 임시 교사(校舍) 마련하고 개강.
1951.10.27. 한림원의 교육학부를 사범대학으로 승격.
1953.08. 서울로 복귀.
1954 대학원 제1회 졸업식.
1955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ㆍ부속중학교 개교.
1956 대강당 건축.
1958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개교.
1960 이화여자대학교병설금란여자중학교ㆍ 이화여자대학교병설금란여자고등학교 개교.
1961.09.30. 제8대 총장 김옥길 취임.
1969.03.03. 이화여자대학교병설영란여자중학교 영란여자상업고등학교 개교.
1969.11.20. 자연사박물관 신설.
1971 국제하계대학[16] 신설.
1977 한국 최초의 여성학 강좌 개설.
1979.09.01. 제9대 총장 정의숙 취임.
1982 자연과학대학 설립.
1983 평생교육원 개원.
1984 100주년 기념 도서관 건립.
1985 총학생회 발대식.
1986 이화 창립 100주년 기념식 거행.
1990.09.01. 제10대 총장 윤후정 취임.
1992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개교.
1993.10.06. 이대목동병원 개원.
1995 여성최고지도자과정인 알프스(ALPS)[17] 신설.
1996 제11대 총장 장상 취임.
세계 최초 여자 공과대학 설립
영란여상을 이화여자대학교병설영란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로 개칭.
1999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방문.
금란여중고를 남녀공학으로 전환.
2001 국내 대학 최초로 국제학부 신설.
부속중고등학교와 금란중고를 통합.[18]
2002.08.14. 제12대 총장 신인령 취임.
2003 금혼 학칙 폐지.
2004 영란여자정보산업고를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로 개칭.
2005 지하캠퍼스 ECC(Ewha Campus Complex) 기공식.
아시아 최초 세계여성학대회 유치.
2006 개발도상국 여성 인재 양성을 위한 전액 장학 프로그램인 EGPP[19] 시작.
이화학당 한옥 교사(校舍) 복원
제13대 총장 이배용 취임.
2007 국내 대학 최초 자유전공학부 신설.
의학전문대학원 신설.[20]
2008 ECC 완공.(국내 최대 규모의 지하 캠퍼스)
법학전문대학원 신설, 법과대학 폐지.[21]
이대동대문병원 폐원.
2010.08.01. 제14대 총장 김선욱 취임.
2011 솔베이 그룹과 산학협력 체결.
2012 아시아ㆍ아프리카 여성 비정부기구 활동가 양성을 위한 단기교육 프로그램인 EGEP[22] 시작.
2014 산학협력관 완공.
신축 기숙사(e-house) 기공.
2014.07.26. 의과대학 체제로 전환, 2015학년도부터 의예과 신입생 선발.
2014.08.01. 제15대 총장 최경희 취임.
2016.10.19. 제15대 총장 최경희 사임.
2017.05.31. 제16대 총장 김혜숙 취임.
2019.05.23. 이대서울병원 개원.
2021.02.26. 제17대 총장 김은미 취임.

3. 상징

이화여자대학교의 교표, FM, 마스코트, 슬로건, 상징색, 과잠, 학위복 등에 대한 서술은 아래를 참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화여자대학교/상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역대 총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화여자대학교/역대 총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전공(학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화여자대학교/학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전공(대학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캠퍼스

파일:external/thongtinhanquoc.com/tthq-ewha-womans-university.jpg

정말 아름다운 캠퍼스로 유명하다. 전세계 대학교를 통틀어 가장 예쁜 캠퍼스 중 하나로 꼽히며, 해외 관광객들 역시 많이 방문한다. 모든 대학교 중 유일하게 대한민국 최고의 건축물 TOP 10 으로 선정되었다.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화여자대학교/캠퍼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학교생활 및 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화여자대학교/학교생활 및 문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특징

9.1. 개신교 미션스쿨

기본적으로 이화는 선교사가 세운 개신교( 감리회)계 미션스쿨이다. 이 때문인지 1955년 다른 종교에 가입한 학생과 교직원들이 면직/퇴학되는 사건이 있기도 했다.

채플을 30분씩 8학기(4년 내내) 이수해야 졸업할 수 있다.[23] 쉽게 얘기해서 졸업할 때까지 의무적으로 들어야 한다는 얘기. 1970년대 초반에는 채플이 1주일에 3회였다고 한다. #

채플에 대해 잘 모르고 입학한 학생들은 당황하지만, 개신교 신자가 아닌 학생들도 훈련학점으로 채플을 이수해야 한다. 물론 채플이라고 해서 꼭 예배만 드리는 것은 아니고, 유명인사가 와서 강의하거나 공연을 할 때도 있다. 옛날에는 간혹 개신교 신자인 연예인들이 오기도 했다. 한 학기 채플에서 기본적으로 교양합창 수업 학생들의 합창, 무용학과 학생들의 무용채플, 이화 페스티벌 학생/동아리 공연 채플이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학교가 2학기(1년) 내지는 4학기(2년)인 것에 비해 파격적으로 긴 기간이다. 그나마 채플 내용이 교양에 가까운 편이고 채플 시간이 30분이라는 점이 그나마 위안이다. 하지만 갈수록 종교적 색채가 짙어져 학생들의 원성이 커지고 있다. 채플 시작 직전 대강당의 모든 문을 잠가버린다. 쪽문은 1분 정도 더 열어주지만, 대강당 계단을 뛰어 올라와서 들어갈 확률은 희박하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때문에 비대면 수업을 하게 되면서 채플도 온라인으로 전환되었다.

이 시간에 책을 보거나 음악을 듣는 것은 가능하지만, 채플 조교마다 달라서 못하게 하는 조교들도 있다. 음료와 먹을 것은 반입할 수 없으며, 대강당 로비의 탁자에 올려 놓고 들어가야 한다. 빠진 학생들을 위한 보충 채플이 있으며[24], 그 외에 특별 채플[25]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학년이 될수록 채플 이수를 다 못해 한 학기에 2개, 3개, 4개 이상 듣는 학생이 제법 있다.

못 들은 채플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채플을 대체할 수 있는 제도도 있다. 채플 하나당 10점을 채워야 하는데,[26] 성경 필사 1점, 리포트 2장에 2점 하는 식이다. 한 학기 채플을 개근하는 경우 선물을 준다. 담요, 에코백 등등. 마이보틀이 유행하자 2014년 2학기 채플에서는 학교 이름을 새긴 이화보틀을 채플 개근선물로 증정했다.

9.2. 과거

  • 1946년부터 학칙에서 입학 자격을 '고등학교를 졸업하거나 고교를 졸업한 자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미혼 여성자(제14조 1항)로 명시하고 결혼한 자는 총장이 제적한다'(제28조 7항)라고 규정하고 있었다. 이른바 금혼규정. 하지만 이 규정은 2003년도에 폐지되었다.
    애초에 이 금혼 학칙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반 당시 조혼이라는 악습으로부터 소녀들의 학습권을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것이었다.[27] 부모와 어른들의 손에 이끌려 신체적ㆍ정신적으로 미성숙한 소녀들이 억지로 시집가는 것을 막기 위해, 외국인 교사들은 설득을 하기도 하고, 심지어 방학을 없애기도 했다.

    그러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과거보다는 여성들의 고등 교육환경에 대한 인식이 달라졌고, 금혼을 이유로 입학을 불허하는 것은 '차별'이라는 헌법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만큼 개정하였다. 때문에 금혼에 관련된 학칙 개정 이후, 학교로 돌아온 학부생도 볼 수 있다.[28] 단, 결혼으로 인해 퇴학당한 것을 증명할 수 있을 시에 해당된다. 또한 금혼 학칙이 없어지면서, 기혼 여성들이 학부 신입생으로 입학하기도 했다.[29]

    이화여대 총장직에 금혼 규정은 없지만, 결혼 경력이 없는 여성에게만 총장직을 맡길 수 있다는 암묵적 규율이 있었다. 설립자인 메리 스크랜튼 여사는 장성한 아들[30]을 둔 과부였고, 이후부터는 독신 여성들만 총장(교장)을 맡았다. 그러다가 제11대 장상 총장이 이 불문율을 깨뜨리고 기혼 여성 총장으로 취임했다. 교내 운동권들이 농담 삼아 '철의 여인'이라 부르던 총장이다. 제13대 총장 이배용은 3번째 기혼 여성 총장이다.
  • 1970년 이전, 메이퀸(5월의 여왕)을 뽑았지만 1977년 들어 '여성의 성 상품화다', ' 이런 시국에 여왕이 가당한가'라는 자성의 목소리와 함께 학생들의 반발로 인해 폐지되었다. 학교 측에서는 메이퀸이 학교의 전통이라고 반발하였으나, 메이퀸의 후보가 되는 각 단과대학 메이퀸을 뽑는 과정에서, 3개를 제외한 단대가 메이퀸 선출에 반발하여 단대 메이퀸을 뽑지 않음으로써 결국 폐지되었다.
  • 90년대까지 캠퍼스 내 남성출입금지였다. 점차 자유로워지는 사회 분위기와 학교 주변에 사는 주민들의 편리한 통행을 고려해 캠퍼스 내 남성의 출입이 가능하게 되었다.[31] 그러나 현재도 안전상의 이유로 밤 10시 이후 남성은 출입이 불가하다. 기숙사 사는 여친과는 정문에서 인사하자 캠퍼스는 자유로이 돌아다닐 수 있지만, 출입 가능한 건물은 ECC 지하 4층 정도로 제한적이다.

9.3. 기타

  • 여성주의는 이화여자대학교의 창립 철학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 이화의 창립 이념과도 같으며 대한민국 여성 교육의 구심점이기도 하다. 위의 설립 부분에도 써 있듯이, 오랜 남존여비의 인습 아래서 억압받고 있던 조선 여성들을 위해 메리 스크랜튼 여사가 세운 한국 최초의 여학교가 이화이기 때문이다. 이화의 FM은 '해방 이화'인데, 독재정권에 맞서 만들어진 FM이기는 하나 근대화 시기에 구여성으로부터 해방하여 신여성이 되자는 의미와 일제로부터 조선의 해방이라는 의미와도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32] 자세한 것은 FM(자기소개) 참조.
  • 그리스도교 교리에 입각한 여성의 교육, 전인격적 발달, 자립, 주체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성균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숙명여자대학교와 함께 국내에서 여성학 과정이 개설된 대학 중 하나다.[33] 이 점에서도 볼 수 있듯 이대는 국내에서 여성학 강의가 가장 많은, 또 여성학이 연계 전공으로 세워져 있는 드문 학교 중 하나이다. 하버드와 국내에서 유일하게 학점교류하는 대학인 이유도 여성학 분야에서 가장 발전된 대학교라는 평을 듣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덕분에 여성학 관련 강좌의 질이 좋다는 평이 많으며, 또 학교의 특성으로도 취급하는 분위기. 그래서인지 재학생들 중 여성학에 관련된 수업을 하나쯤은 들은 학생이 많은 편이다. '여성학', '글로컬시대의 아시아 여성', '세계여성문학', '한국의 구비문학' 등과 같은 다양한 강좌가 존재하며, 그 외 인문학, 사회과학 등의 전공수업에서도 여성으로서의 시각을 추가하여 강의하기도 한다.
  • 이화여대는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여성 리더를 길러내는 산실이자 각계 각층의 지도부에 이대 출신의 여성들이 자리 잡고 있다.[34] 이화여대는 과거 된장녀가 사회적 이슈가 되었을 때 이유없이 엮여 폭풍처럼 까인 적도 있다. 인터넷 상에서는 된장녀의 본거지라는 인식이 강한데, 이는 대학이 신촌- 이대역 근처에 있어서 그 근방에 보이는 여자들의 화려한 옷차림을 이대생과 동일시하면서 생겨난 편견과 일반화의 오류일 가능성이 높다. 인터넷이 있기 전인 1990년대 초반에 뉴스위크에서 '돈의 노예들: 이화여자대학교 학생들'이라는 기사를 이화여대생 5명의 사진과 함께 보도한 사건이 있었다. 길 가던 아무 대학생의 사진을 찍어 모자이크도 없이 저런 기사에 무단으로 포함시킨 것이었다. 얼굴을 알아본 주변 사람들로부터 연락을 받은 피해자들은 당연히 명예훼손과 초상권으로 소송을 제기하였고, 뉴스위크는 결국 9천만 원을 배상하였다. 해당 사건은 우리나라에서 보도 사진에 의한 초상권 침해를 인정한 최초의 판례가 되었다. 이화여대의 전신인 이화여자전문학교를 졸업한 이희호는, 자신의 자서전에서 재야인사였던 김대중과 결혼한 이유를 '사랑 때문이라기보다, 나의 소망이었고 인생의 목표였던 성평등을 실현할 수 있는 최선의 길이기도 하다고 생각했다'라 표현하기도 하였다.
  • 여군 학생군사교육단(ROTC)를 창설하게 되자 대부분의 여자대학교에서 ROTC 인가 신청을 했다. 숙명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는 인가를 받아 ROTC를 창설했고, 남녀공학 대학에서도 여학생을 후보생으로 받았으나, 이화여대는 ROTC 인가 유치전에 실패했다. 타 대학들에 비해 학번 간ㆍ사제 간 서열문화가 유연한 편인 교내 정서가 약해질지도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ROTC에 대하여 교수진 및 높으신 분들이 처음부터 그다지 탐탁지 않아했다는 소문도 있다. 2010년 4년제 여자대학들이 모두 ROTC 유치 신청을 할 때 함께 신청했으나, 선정되기 위한 조건[35]을 충족시키지 않아 탈락, 2011년에는 신청하지 않았다. 애초에 학교가 ROTC를 유치할 생각이 없었던 듯. 그러나 2016년 2월 24일 ROTC 유치대학으로 최종 선정 되었다.
  • 다만 일부 학생들의 반발이 있었다. 학교 측에서 총학, 학생들과의 의논 없이 멋대로 날치기 유치를 추진해, 재학생들의 대다수는 뉴스로 유치소식을 알게되었다. 최경희 총장 개인의 의지로 밀어붙였다는 얘기도 많다. 더구나 반전운동의 면모를 보였던 그동안의 행보에 정반대되는 터라, 학내에 유연한 문화 대신 경직적인 문화에 대한 걱정으로 총학생회 반대 선언이 진행되었지만 ROTC 유치를 찬성하는 학생들의 반발로 철회되는 일도 있었다. 관련 뉴스 부족한 기숙사 인원을 확충하기 위해 전임 김선욱 총장이 추진한 신축 기숙사를, 그대로 학군단에 갖다 바쳤다. 당장 2017년부터 후보생을 받게 될 경우, 이화여대 학군단은 학군 57기부터 임관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전에는 학생들 대다수가 반대했다는 근거없는 주장이 있었지만 사실이 아니다. 반대하는 학생도 많았지만 찬성하는 학생도 많았다. 뉴스 뉴스 총학생회가 반대 입장서를 철회한 것도 ROTC 유치에 찬성했던 학생들의 반발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것을 미래라이프대학 신설과 비교하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다. 우선적으로 학교측은 학군단을 유치해 30명이 입단했다. 탈북 새터민 출신도 있다고 한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어쨌든 결국 학군단을 유치한 이후에는 학교에서 학군단을 강력히 지원하고 있다. 학군단 후보생에게 전액 장학금을 주고 신축 기숙사도 준다.
  • 최근 2019년부터 홍콩중문대하고도 글로벌 교류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EWHA-CUHK GLOBAL STUDENT PARTNERSHIP PROGRAM이다. 홍콩중문대는 홍콩에서 알아주는 명문대로 전세계적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 이화여자대학교 학생들이 서로를 부르는 유명한 호칭은 '벗'이다. 타 학교에서 주로 쓰는 '학우' 와 비슷한 호칭으로서 이화여자대학교 학생들에게는 '벗'이라는 단어가 더 익숙하다. '벗' 이라는 단어를 활용한 각종 문구나 모임들을 만난다면 열에 아홉은 이화여자대학교 학생들이 있는 경우가 많다.
  • 이와 함께 신입생을 새내기, 그 윗학년부터는 정든내기라고 부르는 것이 특징이다.
  • 영화 타짜에서 정 마담의 "나 이대 나온 여자야" 라는 대사가 유명하다. 정작 정 마담이 정말로 이 학교 출신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정 마담을 연기한 배우 김혜수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출신으로, 해당 대사는 본인의 애드립이 아닌 원래 대본에 있는 대사다. 감독이 후일 밝히길, 인터뷰에서 남성들이 이대에 대해 가지는 판타지를 이용해서 화제를 몰고 싶어 사용했다고 한다.

  • 2022년 3월부터 명품브랜드 디올과 함께 '차세대 여성 리더'를 양성하기 위해 협연을 진행 중이다. # "공동체 내 양성평등을 구현하고 모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사회를 이끌어 나갈 미래의 여성 리더들에게 무한한 영감을 불어넣으며 끝없는 성장을 지원함으로써 공통의 가치를 계속해서 이어 나간다"는 취지로 산학협력 및 장학금 기부 파트너십을 맺고, 재학생을 대상으로 크리스챤디올의 여성 인재 양성 프로그램인 '우먼스디올'[36]에 참여할 학생들도 선정했다. 이러한 협연의 일환으로 2022년 4월 30일, 디올의 2022 F/W 패션쇼를 이화여자대학교 ECC에서 진행하였는데, 디올이 국내에서 패션쇼를 개최한 건 지난 2007년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개최했던 '60주년 기념 아시아 퍼시픽 패션쇼' 이후 처음이며, 국내 대학 캠퍼스에서 패션쇼를 여는 것도 이번이 처음이라 화제를 모았다. 피에트로 베카리 디올 회장 겸 최고경영자는 "디올은 올해 한국과 굳건한 관계를 계속해서 이어나가고자 한다"며 "이화여대와 파트너십을 통해 지식의 전파, 교육, 여성 공동체에 주목하는 'Women@Dior'(위민앳디올) 프로그램을 함께하고 패션쇼를 개최하는 등 창조적 소통과 문화적 다양성이라는 가치를 위해 그 어느 때보다 헌신하고 있다"고 밝혔다. #

10. 대학평가

파일:이화여자대학교 흰색 로고.svg
<colbgcolor=#00643E><colcolor=#fff> 연도 QS THE ARWU CWUR USN & WR CWTS P(10%) Nature Index
2020 331위 601-800위 501-600위 537위 692위 590위 국내 10위
2021 333위 601-800위 501-600위 547위 741위 622위 국내 12위
2022 362위 601-800위 601-700위 576위 795위 613위 국내 10위
2023 346위 801-1000위 601-700위 600위 856위 636위 국내 15위
2024 498위 601-800위 601-700위 602위 902위 - 국내 14위
2025 511위 601-800위 - - - - -

11.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주변 교통편

12.1. 버스

12.2. 지하철역

13. 기타

13.1. 재단

  • 재단 규모 역시 2018년 기준 1,261,572,866 (1조 2,618억)원이며, 2019년 초 이대서울병원의 개원으로 모든 재정이 지속적으로 부유해지고 있다.

13.2. 남학생

여자대학교임에도 불구하고, 남학생이 입학한 적이 있다는 루머가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규정에 성별에 대한 제한이 없어서 장난삼아 원서를 넣은 남학생이 합격했다는 이야기. 이 루머에 따르면 그 남학생은 결국 자퇴했고, 그 후로 입학 규정에 성별제한이 생기게 됐다고 한다. 다른 버전으로는 무용학과에서 여학생들을 받쳐주기 위해서 남학생을 받아 연습한다는 얘기도 있었다. 그러나 이는 사실무근이다.

이화여대에 남학생이 입학한 적은 개교 이래 단 한번도 없다. 역대 총장들이 " 국회의원의 절반이 여성으로 채워져야만 여대를 철폐하고 이화는 문을 닫을 것"이라고 말했다는 이야기가 유명하다.

학내 신문에서 소문의 진위여부를 밝히기 위한 인터뷰를 했는데, 원칙적으로 주민등록번호에서 성별이 남자 코드이면 원서를 받지 않는다. 무용과 남학생 떡밥의 경우, 수업 특성상 알바로 남자 무용수를 외부에서 데려오는 것이라고 밝혀졌다. 그 외에 음대의 오페라 공연 때도, 남자 배역은 타 대학 음대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오디션을 해서 뽑는다. 특히 다른 여대의 경우 학부만 여성으로 제한하고, 대학원[38]에서는 성별 제한을 따로 두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실제 극소수의 대학원 재학생, 졸업생이 있는 것과 달리, 이대는 학부뿐 아니라 본 대학원뿐 아니라 경영대학원이나 교육대학원 같은 전문, 특수대학원과 같이 학위를 수여하는 모든 형태의 정규교육에서 모두 남학생을 따로 받지 않고 있다.

하지만 이화여대에서 남학생이 수업을 들을 수 있느냐라고 물어보면, 그건 경우에 따라 가능하다. 타 대학 학점교류나 외국 대학 교환학생의 경우이다.[39]
  •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는 신촌 대학 교류라고 하여 학점교류가 매우 자유로운 편이다. 학부생들도 4개 학교를 오가지만, 대학원생들은 본 학교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은 과목이 다른 학교에서 개설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요즘처럼 학점교류가 많아지기 훨씬 전부터 이 제도가 시행 중이라 학점교류를 하는 비율이 잦다. 이 때문에 나머지 세 학교 남자 대학원생들이 이대에 오는 빈도가 꽤 높다. 대학원 세미나실에 앉아 있는 남학생들은 거의 세 학교 학생들이라고 봐도 무방.
  • 외국 대학에서 온 교환학생들 중 1/4~1/5 가량이 남학생이다. 물론 함께 수업도 듣는다.

남학생 입학을 받지 않는다는 원칙은 법학전문대학원도 예외가 아니라서, 이화여대 로스쿨은 100명을 모집하는데 모두 여학생만 모집한다. 로스쿨 총 정원 2,000명 중에서 100명을 따로 여성만 우선 선발한다고 볼 수 있는 여지가 있어, 로스쿨 선정 자격을 두고 법적 시비가 붙어 고등법원까지 갔었다. 서울대, 이화여대, 경북대, 전남대에 내준 로스쿨 인가는 위법하긴 하나 취소 시 공익을 현저히 저해해 취소할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40] 참고

그 뿐만 아니라 이대에서 로스쿨을 운영하는 것이 성차별이라는 헌법소원도 제기되었다. 전체 로스쿨생 2,000명 중 이대에서 100명을 뽑기 때문에 남성이 여성에 비해 로스쿨의 문이 좁아서 직업 선택의 자유 등을 침해한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그러나 합헌결정을 받았다. # 합헌결정은 이화여대의 로스쿨 인가는 여성 할당제의 취지가 아니라 지금까지 이대 사시합격생 배출 실적이 우수한 것, 법조계에서 이화여대의 기여를 인정한 것, 그리고 사학재단의 자율권을 인정한 것이었다.[41]

이화여대는 법전원 인가를 받을 때 여성에게만 입학 자격을 주기로 한 것을 "분명히" 입학전형계획에 밝혔으며, 교육부는 그를 확인하고 설립인가를 내주었다. 헌재 2009헌마514 판례의 사건의 개요의 (3)항에 '…교육부장관이 2008.9.1.학교법인 이화학당에 한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인가 중 여성만을 입학자격요건으로 하는 입학전형계획을 인정한 부분 및 피청구인 학교법인 이화학당의 2010학년도 법학전문대학원 모집요강 중 여성만을 입학자격요건으로 한 부분…'이라는 부분의 존재로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헌재는 “청구인은 이화여대 이외에 24개 로스쿨에 지원할 수 있고, 입학 후 변호사시험을 통해 법조인이 될 수 있는 충분한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 사건 인가처분으로 청구인이 받는 불이익이 과도하게 크다고 보기는 어렵다. 청구인의 로스쿨 합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법학적성시험(LEET) 성적, 학부 성적, 면접 점수 등 다양하기 때문에 남성이 입학 가능한 법학전문대학원 총 정원이 여성의 경우보다 적다는 점은 로스쿨 합격 여부의 결정적 요소라 할 수 없다.”고 밝혔다.[42]

참고로 서울권 사립대학 법학전문대학원 입학 정원은, 해당 대학의 사법고시 역대 합격생 배출 실적과 비례한다. 로스쿨 인가신청 평가 총괄표에 따르면 #, 이화여대는 전체 인가 대학 중 5위의 점수를 획득해 총 100명의 인원을 할당받았다.

아울러, 위 사항은 학부 및 대학원에 적용되는 내용으로 부속기관인 언어교육원, 기록관리교육원 등은 성별 제한이 없는 경우가 많아 모집요강을 체크해야 한다.

여담으로 FTM 트랜스젠더로서, 이대 졸업 후 성전환 수술을 해서 이대 출신 남성이 된 케이스는 있다. #

14.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화여자대학교/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대 영부인을 가장 많이 배출한 학교이다. 이순자(의학, 중퇴), 손명순(약학), 이희호(이화여전 문과), 김윤옥(보건교육) 총 4명의 영부인이 이화여대 출신이다.

15.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화여자대학교/사건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관련 문서

17. 둘러 보기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의 여자대학교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89em"
종합대학
파일:광주여자대학교 UI.svg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전문대학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파일:배화여자대학교 UI.svg 파일:부산여자대학교 심볼.svg 파일:수원여자대학교 UI.svg
파일:서울여자간호대학교 UI.svg 파일:숭의여자대학교 UI.svg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

대한민국의 개신교 산하 대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감리회, 그리스도의교회, 루터교회, 성공회 산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 감리회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감리교신학대학교
파일:목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목원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신대원
연세대학교[1]
파일:협성대학교 UI.svg
신대원
협성대학교
감리회 계열 초교파[2]
파일:남서울대학교 UI.svg
남서울대학교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배재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이화여자대학교
[1] 감리회 계열과 장로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2] 재단이 감리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연세대, 이화여대, 배재대는 재단과 별개로 신학대학원이 KAICAM과 인준하였다.
그리스도의교회 그리스도의교회교역자협의회
(무악기파)
그리스도의 교회협의회
(유악기파)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강서대학교
파일:서울기독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기독대학교
파일:동서대학교 로고.svg
동서대학교
루터교회 기독교한국루터회(기루)
파일:루터대학교 UI.svg
신대원
루터대학교
성공회 대한성공회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신대원
성공회대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장로회 산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장로회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고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백석)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고신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신대원
안양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신대원
백석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통합)
파일:대전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전신학대학교
파일:부산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부산장신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장신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신대원
연세대학교[4]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신대원
영남신학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장로회신학대학교
파일:한남대학교 UI.svg
신대원
한남대학교
파일:한일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일장신대학교
파일:호남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호남신학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피어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한영)
한국기독교장로회
(기장)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평택대학교
파일:서울한영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한영대학교
파일:한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동)
파일:광신대학교 UI.svg
신대원
광신대학교
파일:대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신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총신대학교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신대원
칼빈대학교
장로회 계열 초교파[5]
파일:경성대학교 UI.svg
신대원
경성대학교
파일:김천대학교 UI.svg
신대원
김천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전주대학교_심볼.svg
전주대학교
파일:창신대학교 UI.svg
창신대학교
[4] 장로회 계열과 감리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5] 재단이 장로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연세대, 경성대, 김천대, 한남대는 재단과 별개로 신학대학원이 KAICAM과 인준하였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성결교회, 오순절교회, 침례회, 재림교회, 초교파 산하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성결교회 기독교대한성결교회
(기성)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나사렛/나성)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예성)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신학대학교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신대원
나사렛대학교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신대원
성결대학교
오순절교회 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기하성)
파일:한세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한세대학교
파일:순복음총회신학교 UI.svg
순복음총회신학교[3]
[3] 학사학력 인정 각종학교.
재림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재림)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신대원
삼육대학교
침례회 기독교한국침례회
(기침)
침례회 계열
초교파
[6]
파일:한국침례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한국침례신학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6] 재단이 침례회 계열이지만 어떤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초교파 한국독립교회및선교단체연합회(KAICAM)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계명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명지대학교
파일:아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아신대학교
파일:한국성서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한국성서대학교
파일:호서대학교 UI.svg
신대원
호서대학교
無교단 초교파[7]
파일:강남대학교_UI.svg
신대원
강남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
부산외국어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파일:예수대학교 UI.svg
예수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7]: 어떤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개신교 성향 대학
}}}}}}}}} ||
신대원
: 해당 교단의 목사를 양성하는 신학대학원 목회학과 설치
}}}}}}}}}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대한민국의 감리회 산하 고등교육기관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감리교신학대학교|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감리교​신학대학교]]
파일:목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목원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1]
파일:협성대학교 UI.svg
신대원
협성대학교
감리회 계열 초교파[2]
파일:남서울대학교 UI.svg
남서울​대학교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파일:배화여자대학교 UI.svg
배화여자대학교
파일:안산대학교 UI.svg
안산대학교
파일:인덕대학교 엠블렘.svg
인덕대학교
[1] 감리회 계열과 장로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2] 재단이 감리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되지 않은 대학.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bottom: -15px;"
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
중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중학교 이화여자대학교병설영란여자중학교
초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유치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유치원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이화여자대학교 목동병원 이화여자대학교 서울병원 }}}}}}}}}

신촌 지역 4개 대학 대학혁신협의체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서강대학교 로고.svg 서강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교육대학 (초등교육과 포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교육대학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경인교육대학교 엠블럼.svg 경인교육대학교 파일:공주교육대학교 교표.svg 공주교육대학교 파일:광주교육대학교 UI.svg 광주교육대학교 파일:대구교육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교육대학교 파일:부산교육대학교 로고.svg 부산교육대학교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파일:전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전주교육대학교 파일:진주교육대학교 UI.svg 진주교육대학교 파일:청주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청주교육대학교 파일:춘천교육대학교 엠블럼.svg 춘천교육대학교
}}} ||
교육대학 외 초등교육과 개설 대학
국립
사립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파일:한국교원대학교 심볼.svg 한국교원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


파일:3cdd7f0dcd76b.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0> 수도권 파일:가천대학교 엠블럼.svg 가천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 ·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 ·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 파일:신한대학교 UI.svg · 신한대학교 파일:아주대학교 엠블럼.svg 아주대학교 ·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ERICA)
관동권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미래) · 파일:한라대학교 엠블럼.svg 한라대학교 · 파일:한림1.png 한림대학교
호서권 파일:건양대학교 UI.svg 건양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세종) ·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 파일:한밭대학교 엠블럼.svg 국립한밭대학교 ·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배재대학교 · 파일:선문대학교 심볼마크.svg 선문대학교 · 파일:순천향대학교 교표.svg 순천향대학교 ·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우송대학교 ·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 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
동남권 파일:경남대학교 엠블럼.svg 경남대학교 · 파일:부경대학교 엠블럼.svg 국립부경대학교 · 파일:창원대학교 심볼.svg 국립창원대학교 · 파일:동서대학교 심볼.svg 동서대학교 · 파일:동아대학교 UI.svg 동아대학교 ·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 파일:울산대학교 심볼마크.svg 울산대학교 · 파일:인제대학교 심볼.svg 인제대학교
대경권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 파일:경운대학교 UI.svg 경운대학교 · 파일:안동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안동대학교 · 파일:대구가톨릭대학교 엠블럼.svg 대구가톨릭대학교 ·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호남권 파일:군산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군산대학교 · 파일:순천대학교 엠블럼.svg 국립순천대학교 ·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 파일:조선대학교 엠블럼.svg 조선대학교
사업 종료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동명대학교 엠블럼.svg 동명대학교 ·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특화트랙(중·소규모대학), : 재선정 대학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장로회신학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

{{{#!wiki style="margin: -8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인증 현황 #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파일:SKKU_Emblem.svg
건국대학교 경북대학교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파일:우송대학교 심볼.svg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파일:UNIST_emblem.svg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세종대학교 우송대학교 연세대학교 울산과학기술원 이화여자대학교 인하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파일:KAIST_emblem.svg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중앙대학교 전남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
* 본교에 해당하는 경우 별도로 캠퍼스명을 기재하지 아니함. }}}}}}}}}

파일:한국공학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2020학년도 기준
<rowcolor=#fff>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대학 EAC CAC ETAC 어코드
가천대학교 O - - 워싱턴 가톨릭대학교 O - - 워싱턴
강릉원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강원대학교 O - - 워싱턴
거제대학교 - - O 시드니 건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남대학교 O O - 워싱턴 경복대학교 - - O 더블린
경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상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경성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경일대학교 O - - 워싱턴
경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계명대학교 O O - 워싱턴
고려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공주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광운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구미대학교 - - O 더블린
국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군산대학교 O - - 워싱턴
국립금오공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죽전) O O - 서울/워싱턴
단국대학교(천안) O - - 서울/워싱턴 대구대학교 O - - 워싱턴
대덕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대진대학교 O - - 워싱턴
동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국대학교(WISE) O - - 워싱턴
동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서대학교 O - - 워싱턴
동서울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동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아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동원대학교 - - O 시드니
동의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동의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두원공과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마산대학교 - - O 더블린
명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목원대학교 O - - 워싱턴
목포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부경대학교 O - - 워싱턴
부산대학교 O O - 워싱턴 백석대학교 - O - 서울
상명대학교(서울) - O - 서울 상명대학교(천안) O - - 워싱턴
상지대학교 O - - 워싱턴 서강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영대학교 - - O 더블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서울대학교 O - - 워싱턴 서울시립대학교 O - - 워싱턴
선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성균관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세종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수원과학대학교 - - O 더블린 숙명여자대학교 - O - 서울
순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순천향대학교 O - - 워싱턴
숭실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신라대학교 O - - 워싱턴
아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아주자동차대학교 - - O 더블린
국립안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연성대학교 - - O 시드니
연세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영남이공대학교 - - O 더블린/시드니 영진전문대 - - O 더블린
울산과학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울산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원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이화여자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인천대학교 O - - 워싱턴
인하대학교 O - - 워싱턴 전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전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대학교 O - - 워싱턴 제주한라대학교 - - O 시드니/더블린
조선대학교 O O - 워싱턴 중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창원대학교 O - - 워싱턴 청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충북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경국립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공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교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기술교육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외국어대학교 O - - 워싱턴 한국항공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국해양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남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동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라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국립한밭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한성대학교 O - - 워싱턴
한신대학교 O - - 워싱턴 한양대학교 - O - 워싱턴
한양대학교 ERICA - O - 워싱턴 호남대학교 O - - 워싱턴
호서대학교 O O - 서울/워싱턴 호원대학교 - O - 서울
홍익대학교(서울) O O - 서울/워싱턴 홍익대학교(세종) O - - 워싱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4-2029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30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 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 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파일:한국경영교육인증원 로고.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영남대학교 파일:원광대학교 엠블럼.svg 원광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파일:전북대학교 엠블럼.svg 전북대학교
파일:충남대학교 엠블럼(Blue).svg 충남대학교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

{{{#!wiki style="margin: -8px"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1
<colcolor=#fff><colbgcolor=#0B6138>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colcolor=#000,#fff> 경남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려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대학교 · 국민대학교 · 군산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 동서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목포대학교 · 목포해양대학교 · 부경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천대학교 · 제주대학교 · 포항공과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국립가오슝제일과기대학 · 국립대만대학 · 국립대만예술대학 · 국립대만해양대학 · 국립연합대학 · 국립윈린과기대학 · 국립자이대학 · 국립중앙대학 · 국립타이중교육대학 · 난타이과기대학 · 둥하이대학 · 슈더과기대학 · 징이대학 · 창룽대학 · 카이난대학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몽골과학기술대학교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국제경영농업기술대학교 · 다카 대학교 · 다포딜 국제대학교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베트남상매대학 · 호찌민 교육대학 · 호찌민 사범대학 ·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학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공업경영대학교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11월 10일 공과대학교 · 가자마다 대학교 · 다르마프르사다 대학교 · 반둥 공과대학교 · 붕 하타 대학교 · 사탸와차나 기독대학교 · 시아쿠알라 대학교 · 아이를랑가 대학교 · 우다야나 대학교 · 인도네시아 대학교 · 하사누딘 대학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간사이국제대학 · 고베가쿠인대학 · 고베국제대학 · 고베대학 · 고베쇼인여자학원대학 · 고베시간호대학 · 고베시외국어대학 · 고베신와대학 · 고베약과대학 · 고베여자대학 · 고베여학원대학 · 고베예술공과대학 · 무코가와여자대학 · 소노다학원여자대학 · 아시야대학 · 오테마에대학 · 유통과학대학 · 간세이가쿠인대학 · 코난대학 · 코난여자대학 · 코시엔대학 · 효고교육대학 · 효고대학 · 효고현립대학 · 히메지대학 · 히메지독쿄대학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광둥공업대학 · 광둥외어외역대학 · 난징대학 · 난카이대학 · 내몽골대학 · 닝보대학 · 다롄이공대학 · 다롄해사대학 · 둥베이사범대학 · 베이징공업대학 · 베이징대학 · 베이징사범대학 · 베이징외국어대학 · 베이징체신대학 · 상하이해양대학 · 쑤저우과기대학 · 쑤저우대학 · 쑤저우시립대학 · 연변대학 · 자오칭대학 · 저장대학 · 중국의과대학 · 중국인민대학 · 중산대학 · 지린대학 · 톈진공업대학 · 톈진외국어대학 · 푸단대학 · 하이난대학 · 하이난사범대학 · 홍콩중문대학 · 화난사범대학 · 화둥사범대학 · 후난과기학원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라차팟 수안두싯 대학교 · 수라나리 공과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치앙마이 대학교 · 타이니치 공과대학교 · 탐마삿 대학교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AMA 대학교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 미리엄 칼리지 · 아시아 트리니티 대학교 · 어셤션 대학교 · 엔데룬 칼리지 · 필리핀 대학교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곤자가 대학교 · 세인트 마틴 칼리지 · 애리조나 대학교 · 에버그린 주립 칼리지 · 오거스타나 대학교 · 와이오밍 대학교 · 워싱턴 대학교 · 이스턴 워싱턴 대학교 ·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 · 피츠버그 대학교 · 하와이 대학교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론드리나 주립대학교 · 파라나 연방기술교육센터 · 파라나 연방대학교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퀸스 대학교
파일:UN기.svg 유엔
( 코스타리카)
평화대학교
오세아니아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와이카토 대학교 · 캔터베리 대학교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그리피스 대학교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머독 대학교 · 서호주 대학교 ·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 에디스 코완 대학교 · 커틴 대학교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 퀸즐랜드 대학교 · 호주 노틀데임 대학교 · 호주해양대학 }}}}}}}}}}}}


Association of Christian Universities and Colleges in Asia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계명대학교

한동대학교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고베여학원대학 난잔대학 도시샤대학
도쿄여자대학 메이지가쿠인대학 모모야마가쿠인대학 세이난가쿠인대학
아오야마가쿠인대학 오비린대학 오사카여학원대학
간세이가쿠인대학 호쿠세이가쿠인대학 히로시마여학원대학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특별행정구
링난대학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성 요한 과기대학
원자오외어대학 중위안대학 진리대학
징이대학 창룽대학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놈멘슨 대학교 댜나푸라 대학교 두타와차나 기독교대학교 마라나타 기독교대학교
사나타다르마 대학교 수기야프라나타 가톨릭 대학교 앗마자야 가톨릭 대학교
앗마자야 욕야카르타 가톨릭 대학교 위댜만디라 가톨릭 대학교 크리다와차나 기독교대학교
타라카니타 통신비서대학 플리타하라판 대학교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데라살 대학교 다스마리나스 라콘솔라션 대학교
미리암 대학 성 폴 대학교
어섬션 대학 웨슬리언 대학교 필리핀
필라메르 기독교대학교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아시아태평양 국제대학교 어섬션 대학교 태국기독교대학교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미얀마 신학대학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그리스도 대학교 도크 여사 대학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창립 회원
전 회원

* 숭전대학교로서 창립했다
}}}}}}}}}}}} ||

{{{#!wiki style="margin: -8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isep.jpg
International Student Exchange Program Community
국제교환학생 프로그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 -8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영남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파일:International_Christian_University_logo.png 파일:Kyushu University logo.png 파일:도쿄대학 심볼마크.svg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rikkyo university logo.png 파일:와세다대학 문장.svg 파일:조치대학 문장.svg 파일:야마나시가쿠인대학교 로고.png 파일:푸런대학 로고.png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국립정치대학 엠블럼.svg 파일:국립동화대학 로고.webp 파일:듀크 쿤산 대학교 로고.png 파일:화둥사범대학 로고.png 파일:동북사범대학 로고.png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YU_Shanghai_Logo.jpg 파일:University of Nottingham_Crest.png 파일:베이징대학 엠블럼.svg 파일:링난대학(HK)의 로고.svg 파일:치앙마이 대학교 로고.png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마히돌 대학교 로고.png 파일:아메다바드 대학교 로고.png 파일:심바이오시스 대학교 로고.png
}}}}}}}}} ||

[] [] [3] 한국 최초의 여성 교육기관. 1946년 8월 15일 이화여자대학교로 승격. [4] 학부 (전임 816명, 비전임 1,496명), 대학원 (전임 159명, 비전임 382명) [5] '梨花'는 배꽃이란 뜻이다. women's가 아닌 womans를 쓰는데, 이는 설립자 메리 스크랜튼 여사와 단 1명의 여학생으로 한국 최초의 여성 교육기관으로 시작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여성 한 사람 한 사람을 전인적 인격체로 존중한다는 뜻에서 이와 같은 전통을 고수하고 있다. 당시 영어에서는 Women's 뿐만 아니라 Woman's 역시 혼용되었다. [6] 신촌동, 대현동, 대신동 일대에 캠퍼스가 자리 잡고 있다. [7] 의과대학 이대서울병원 [8] 이화라는 명칭은 당시 학당 근처에 흐드러지게 피곤 했던 배꽃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건축물의 이름을 함께 딴 것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9] '여성을 널리 구하는 집'이라는 의미. 보구- 여관이 아니라 보구녀-관이다. [10]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팔렬중학교, 팔렬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예술학교인 예원학교 서울예술고등학교도 본래 이화학원 소속이었으나, 두 학교는 1988년 이화학원에서 분리되어 따로 재단을 세웠다. [11] 이화여자대학교와 그 부속학교들인 이대부속유치원, 이대부속초등학교, 이대부중, 이대부고, 이대병설영란여중, 이대병설미디어고를 운영하고 있다. [12] 이화의 대학과의 목표는 선진국과 같은 수준의 대학교육을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화학당 대학과를 각 교파가 공동후원하는 기독교연합여자대학으로 성장시키려는 논의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한국인의 대학교육 기회를 제한하려는 일제 식민지교육정책으로 인해, 대학이 아닌 전문학교 인가를 받게 되었다. [13] 現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 [14] 유치원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과정. 당시에는 유치원 교사를 양성하던 기관이 없었으며 현재의 초중고 교사에 해당하는 사범교육은 당시 보통학교(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들어가는 고등보통학교(현재의 중고등학교) 기관이었다. [15] 1946년도는 조선의 유일한 대학교였던 경성제국대학을 흡수한 서울대학교를 제외한 모든 전문학교들이 대거 대학으로 승격된 해였다. 당시 종합대학 1호 인가를 받기 위해 전문학교 간 상당한 눈치게임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인가신청 몇년 전부터 준비한 이화여자전문학교가 종합대학 1호로 승격되었다. [16] 여름방학 중에 외국인 학생과 해외동포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단기 교육과정 [17] Advanced Leadership Program Society [18] 교명을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중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고등학교로 개칭 [19] Ewha Global Partnership Program [20] 2004년까지만 의예과 신입생 선발, 2005년부터 의예과 신입생 모집 중단. [21] 2008년까지만 법과대학 신입생 선발. 2009년부터 법과대학 신입생 모집 중단, 법학전문대학원 신입생 선발. [22] Ewha Global Empowerment Program [23] 0학점이다. [24] 한 학기에 2번 가능. [25] 기본 1시간을 넘어간다. [26] 2개면 20점, 3개면 30점. [27] 하란사는 기혼이었지만, 교장 룰루 프라이에게 간곡히 매달린 끝에 예외적으로 입학할 수 있었다. [28] 가정학과 입학 58년 만에 졸업한 할머니 [29] 58년 만의 아줌마 신입생들, 첫 기혼 신입생 졸업. [30] 윌리엄 스크랜튼. 의사이며, 어머니 메리 스크랜튼과 함께 선교하러 한국에 왔다. [31] 그래서 음식배달이나 퀵서비스 일을 하는 남성의 캠퍼스 출입은 가능하다. 단, 물건이나 음식을 전달할 때에는 건물 밖에서 전달하도록 하자. [32] 1980년대 민주화 운동 당시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총학생회가 모여 처음으로 총학생회의 이름 앞에 자주, 민주, 민족, 해방 즉 자주-민주 민족해방 별명을 붙이게 된 것이였고, 각각 자주관악, 민주연세, 민족고대, 해방이화였다. 민주화 이후에는 연세대학교가 '민주'를 '통일'로 바꾸어 '통일연세'가 되었고, 이 별명들을 합쳐 불러 '자주통일 민족해방'이라는 오늘날에도 쓰이는 운동권의 표어가 완성되었다. [33] 서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모두 학부 과정은 아니고 대학원 과정. 물론 여성학과에서 개설하는 수업들을 학부생들이 자유롭게 들을 수는 있다. [34] 2010년대 초 정청래 의원이, 정계 내에서 이화여대 출신 정치인들끼리 서로 밀고 끌어주고 있다며 이대 학맥 카르텔을 폭로 #할 당시 기준으로 여성가족부의 장관으로 임명되었던 6명의 전직 장관 중 4명이 이화여대 출신이기도 했던 점에서 엿볼 수 있는 대목. 물론 지금은 이를 의식한 모양인지 김금래 장관 이후의 장관부터는 이화여대 출신 대신 서울대 성균관대, 경북대 등 비이대 출신들로 임명된다. [35] 기숙사 설립, 운동장 리모델링 등 [36] 대학교 재학생과 디올 본사 직원을 1대 1로 연결해 멘토링을 진행하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37] 줄여서 지은 역이다. [38] 단, 숙명여자대학교의 경우 일반대학원에서는 남성의 입학을 제한하고, 일부 특수대학원만 허용. [39] 당장 공대라서 남학생 숫자가 훨씬 많은 포항공과대학교조차, 이화여대와 학점교류를 하는 과목이 몇 개 있다. [40] 이를 사정 판결이라 하며, 행정소송의 특유한 판결 형태다. [41] "이화여대의 정체성의 핵심은 ‘여성 고등교육기관’이라는 점이고, 교육목표의 핵심은 여성지도자 양성에 있기 때문에 이화여대가 여대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것인지 여부는 대학의 자율성에 해당한다. 교육부가 이화여대의 모집요강을 인가한 것은 직업선택의 자유 등 기본권을 침해하지 않는다” # [42] --사실 로스쿨은 가군 1개, 나군 1개, 총 2개의 로스쿨에 지원하는 것이므로 여학생들이 이대 로스쿨을 써주면 남학생 입장에서는 자기 경쟁자가 줄어들기 때문에 오히려 이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