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9 16:12:16

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북대학교/학부
파일:경북대학교 심벌마크.svg 경북대학교의 단과대학 · 독립학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명칭 역사 상징 학사제도
총학생회 학내 언론 역대 총장 사건 사고
산격캠퍼스 칠곡캠퍼스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학부 ||<width=25%> 대학원 ||<width=25%>
생활
||<width=25%>
교통
||
역사 학부 생활
졸업생 / 기타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33.33%> 출신 인물 ||<width=33.33%> 총동창회 ||<width=33.33%> 미식축구부 ||
관련기관
중앙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자연사박물관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연구소
||<width=25%>
사범대부설초등학교
||<width=25%>
사범대부설중학교
||<width=25%>
사범대부설고등학교
||
치과병원 어린이병원
}}}}}}}}} ||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慶北大學校 工科大學
College of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olbgcolor=#DA2127><colcolor=#fff> 연혁 1968년 3월 1일
상징색 주홍색
연혁 1968년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고분자공학과·전기공학과
1969년 경북대학교 문리과대학 고분자공학과·전기공학과·금속공학과·기계공학과
1970년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학장 제27대 최세휴 학장
주소 대구광역시 북구 대학로80 공대6호관 209호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1. 개요2. 학부
2.1. 건축학부
2.1.1. 건축학전공2.1.2. 건축공학전공
2.2. 기계공학부2.3. 금속재료공학과2.4. 신소재공학과2.5. 에너지공학부2.6. 응용화학과2.7. 화학공학과2.8. 고분자공학과2.9. 토목공학과2.10. 섬유시스템공학과2.11. 환경공학과
3. 공과대학의 주요 동문

[Clearfix]

1. 개요

파일:경북대학교 공과대학 12호관.jpg
▲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12호관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영문 명칭은 College of Engineer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이다.

1968년 문리과대학 내에 고분자공학과, 전자공학과가 신설되고, 1970년 전자공학과, 고분자공학과, 금속공학과, 기계공학과, 응용화학과, 공업교육과 등 6개학과로 공과대학이 설립되었다. 현재는 5개 학부, 4개 학과에 재직교수 117명과 학부생 4,360여명, 대학원생 890여명이 재학하고 있다.

1999년 교육인적자원부의 BK21사업 과학기술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중심 대학원 사업단”으로 선정되었고, 2002년 지난 3년간의 중간 평가에서 참여사업단 중 광주과기원과 한양대학교를 제치고 1위로 평가받아 세계적 수준의 기계기술분야 교육 및 연구기관으로 거듭 발전하고 있다. 2006년 4월 지방대학중 기계분야에서는 유일하게 2단계 BK21 과학기술분야의 전국 대형사업단에 선정되어 국내 최고의 연구중심 대학원으로 위상을 확립하였다. 2004년 6월 교육부의 지역혁신역량강화사업에 “디지털 메카트로닉스 융합기술 인력 양성사업”이 선정되어 매년 30억씩 5년간 150억원을 지원받아 본 대학의 위상제고에 기여를 하고 있다.

공과대학 졸업생들은 매년 대학원 진학 및 삼성, LG, 현대, SK, 두산, 한화 등 국내외 유수 대기업으로 대부분 진출하고 있어 국가 및 지역사회를 이끌어가고 있는 핵심적인 중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장학금은 우수 신입생 및 학업성적이 우수하거나, 경제적 사정이 곤란한 학생 등에 혜택을 줄 수 있는 등록금 면제 및 교내, 외 각종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공과대학의 건물은 1호관부터 13호관까지 총 13개가 있었으나, 5, 10, 11, 13호관이 IT대학 소속으로 변경되어 현재는 9개이다.

2. 학부

2.1. 건축학부

파일:경북대학교-건축학부.png
학과 홈페이지

1981년 건축공학과로 개설되었다. 2002년 학부과정을 건축학부로 개편, 확대하여 전공영역을 건축학 전공건축공학 전공으로 분리하였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2호관에 위치해 있다.

2.1.1. 건축학전공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8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2009-2024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09-2025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8-2023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20-2023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9-2024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6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1-2025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3-2028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8-2022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7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4-2024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2010-20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8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0-2023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2017-2026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2018-2022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2012-2023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4-2025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2017-2022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20-2025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1-2026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8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5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7-20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3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07-2022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2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3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3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9-2023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2022-2027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7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2022-2025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2011-2026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2009-2025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2008-2026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8-2024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6-2024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2011-2026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22-2027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2021-2025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2011-2026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2022-2026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7-2023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3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4-2024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12-2024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17-2028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2012-2023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8-2023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12-2022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2013-2024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2010-202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2015-2026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2015-2026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2010-2025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2008-2023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2009-2023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2009-2025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2007-2023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2012-2023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프로그램 홈페이지 인증기간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2016-2024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2017-2025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2020-2022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 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 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건축학 전공은 국제 수준의 건축학교육인증 조건에 부합하는 5년제 전문건축학위과정으로 특화되어 있다. 따라서 교과목이 ‘건축설계’ 중심으로 편제되어 있다. 건축학 전공자는 ‘설계’를 공부하며, 5년 과정으로 학교를 다닌다. 이들은 졸업하면 주로 설계사무소에 취직하는데, 규모가 큰 기업부터 규모가 작은 건축 스튜디오 개념인 아틀리에까지 그 범위는 다양하다. 설계사무소에서 실무경력을 쌓은 후 건축사 시험에 합격하면 건축사 자격이 주어진다.

2.1.2. 건축공학전공

건축공학 전공은 건축구조의 설계와 해석, 시공의 제반과정, 건축재료와 공법, 환경 등을 다루는 학문으로, 역시 국제수준의 공학교육 인증조건에 부합하는 4년제 과정으로 특화되어 있다. 건축공학 전공은 ‘시공’을 공부하며, 4년 과정으로 학교를 다닌다. 건축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후 주로 건설회사에 취직하며, 시공회사, CM분야, 플랜트 분야 등 다양한 길이 있다. 그밖에 공기업이나 공무원 등으로도 진출한다.

2.2. 기계공학부

학과 홈페이지
1968년 설립된 기계공학과와 1993년 신설된 기계설계학과가 1995년에 통합되어 만들어진 학부이다. 4학년에 진학할 때 기계공학전공과 기계설계학전공, 로봇공학전공으로 세부전공이 나뉘어진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3호관이다.

실생활에 필요한 기계의 설계와 생산, 자동차•초고속 열차와 같은 운송수단, 인공위성•로봇•인공장기와 같은 첨단 기술에 대해서 배운다. 기계 관련 전공 이외에도 전자, 컴퓨터, 물리 등의 다양한 분야와 결합한 전공 수업을 많이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의 학업에 지장이 없도록 지원도 활발하다. 대표적으로 광역경제권 선도사업,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그리고 BK21+ 사업 등으로부터 지원받고 있다.

높은 취업률을 자랑한다. 진로 스펙트럼이 매우 넓은 편이다. 로봇, 자동차, 조선, 우주•항공뿐만 아니라 타 분야와 융합하여 전자, 화학, 건설, 발전, 기초 소재 산업의 사기업 및 공기업에 진출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삼성, 현대, SK, 포스코,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등이 있다. 또한 기계공학 및 기계설계학 관련 연구기관에서 연구원으로 일하거나 석박사 및 post doctoral research 과정을 거쳐 기계공학 혹은 기계설계학 연구자로 가는 졸업생들도 있다. 교직이수를 하여 공고의 교사가 되거나 5,7,9급 기술직 공무원으로 진출하기도 한다.

2.3. 금속재료공학과

학과 홈페이지 1969년 포스코가 들어서면서 철강 및 금속 산업의 발전과 인력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금속공학과가 개설되어 1973년 특성화 학과로 선정되었다. 2006년 금속공학과에서 금속신소재공학과로 명칭을 변경하고, 2007년 무기재료공학과와 합쳐져 현재의 신소재공학부가 만들어졌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3호관. 공대 학생들은 보통 금속과라고 줄여서 부른다. 2024년부터 '금속재료공학과'로 명칭이 변경된다

주로 재료공학 내부의 금속 분야를 중점적으로 배우고, 졸업 후 기업체 진출도 부품, 반도체, 철강, 배터리 관련 기업으로 한다.

2.4. 신소재공학과

학과 홈페이지 1974년 전자재료공학과로 개설되었다. 1978년 정부의 국립대 공대 특성화 정책으로 경북대가 전자공학 특성화로 지정되어 전자계산기학과, 응용전자공학과, 통신공학과와 함께 전자공학과에 통합되었다.

1986년 재료공학과가 신설되면서 전자공학부에서 분리되었고, 1990년 재료공학과가 무기재료공학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7년 금속신소재공학과와 통합되어 현재의 신소재공학부가 만들어졌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8호관. 공대 학생들은 보통 재료과라고 부른다.
재료공학 중 반도체, 무기재료 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사회 진출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으로 한다.

2.5. 에너지공학부

학과 홈페이지 2011년 개설되었다. 학부 내 세부전공으로 신재생에너지전공(재료·화학공학, 물리·원자력에너지 기반)과 에너지변환전공(전기·전자공학 기반)이 있다. 신재생에너지전공에서는 에너지 생산에 속하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태양광/수소에너지)와 원자력에너지에 관한 학문을, 에너지변환전공에서는 생산된 전기에너지의 변환/제어/전송에 관한 학문을 학습 및 연구한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7호관.

2.6. 응용화학과

학과 홈페이지 1970년 공과대학 설립 당시 응용화학과로 개설되었다. 1978년 고분자공학과와 함께 공업화학과로 통합되었다가 1985년에 다시 분리되었고, 1987년에는 염색공학과가 분리되었다. 2004년에 응용화학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2015년에 화학공학과와 함께 응용화학공학부로 통합되었으나, 2022년에 다시 응용화학과와 화학공학과로 분리하였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1호관

2.7. 화학공학과

학과 홈페이지 1982년 개설되었다. 2015년에 응용화학과와 응용화학공학부로 통합하였으나, 2022년에 다시 응용화학과와 화학공학과로 분리하였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9호관.

2.8. 고분자공학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고분자공학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9. 토목공학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토목공학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0. 섬유시스템공학과

학과 홈페이지 1987년 염색공학과라는 이름으로 개설되어 2005년에 섬유시스템공학과로 개칭하였다. 전통적으로 섬유 산업이 발달하고 섬유 도시인 대구 지역의 특수성이 반영된 학과이다. 염색공학과로 출발한 섬유시스템공학과는 화학, 고분자, 섬유, 염색 가공, 화학공정 등을 배운다. 학과 사무실 위치는 공대 1호관.

2.11. 환경공학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북대학교/학부/공과대학/환경공학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공과대학의 주요 동문

  • 곽병술(기계공학): 한국중부발전 기술본부장
  • 구광시: 전 코오롱 대표이사
  • 김수정 (전기공학): 前 울산지방경찰청
  • 김영환 (공업화학): 조인스닷컴 경영지원실장
  • 김이슬 (환경공학): 2011년 미스코리아
  • 김태한 (고분자공학):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 김홍배 (고분자공학): 상주문화원장, 예비역 육군소장(육군본부 동원참모부장, 감찰실장, 37보병사단장)
  • 류두열 (고분자공학): 연세대학교 화공생명공학부 교수
  • 박병기 (공업화학): 한국공학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 박용은 (환경공학): 건국대학교 사회환경공학부 교수
  • 박병식 (응용화학):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이사장, 한국국제대학교 교수
  • 박창언 (기계공학): 한국관세사회 회장
  • 박현동 (응용화학): 성 베네딕도회 왜관수도원장
  • 방창섭 (기계공학): 현대케피코 대표이사 부사장
  • 배철한 (응용화학): 인터플렉스 대표이사, 삼성SDI Digital Display 사업부장(부사장)
  • 서현석 (건축토목공학): 리그 오브 레전드 SBNU KOREA 탑라이너
  • 신경창 (토목공학): 대한민국 미식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신지오 (기계공학): 파뿌리의 멤버 및 카메라맨
  • 신현철 (공업화학): 前 부산소방본부장, 한국소방안전협회 회장
  • 유을봉 (금속공학): 세아특수강 대표이사 사장
  • 이은직 (화학공학): 김천과학대학교 총장
  • 이정식 (금속공학): 포스코 부사장
  • 이정주 (기계공학):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 임한순 (화학공학): TBC 보도본부장, 사업이사
  • 정영익 (응용화학): 한수원 고리원전본부장
  • 조재필 (재료공학): 유니스트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1]
  • 최대진 (토목공학): 경상북도의회 사무처장, 前 경상북도 경산시 부시장
  • 최명석 (고분자공학): 건국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
  • 최진석 (금속공학): 한화그룹 제조부문 운영혁신총괄 사장
  • 채수민 (섬유시스템공학) : 유튜브 크리에이터
    아세아항공직업전문학교 국방경찰계열 지도교수
  • 홍원화 (건축공학): 제19대 경북대학교 총장
  • 황정모 (공업화학): 효성첨단소재 대표이사 부사장


[1] 2차 전지 분야 세계적인 권위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