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 | |
유니코드 | C5ED |
완성형 수록 여부 | O |
구성 | ㅇ+ㅕ+ㄱ |
두벌식– QWERTY | dur |
세벌식 최종–QWERTY | jex |
1. 驛
열차가 정차하는 정거장에 대한 내용은 역(교통) 문서로.2. 逆
逆'거꾸로', '반대로' 등을 뜻하는 한자. 명사로도 쓰이고 접두어로도 쓰인다.
2.1. 논리학
수학기초론 Foundations of Mathematics |
|||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 ||
수리논리학 | 논리 · 논증{ 귀납논증 · 연역논증 · 귀추 · 유추} · 공리 및 공준 · 증명{ 자동정리증명 · 귀류법 · 수학적 귀납법 · 반증 · 더블 카운팅 · PWW} · 논리함수 · 논리 연산 · 잘 정의됨 · 조건문( 조각적 정의) · 명제 논리( 명제 · 아이버슨 괄호 · #s-2.1 · 이 · 대우) · 양상논리 · 술어 논리( 존재성과 유일성) · 형식문법 · 유형 이론 · 모형 이론 | ||
집합론 | 집합( 원소 · 공집합 · 집합족 · 곱집합 · 멱집합) · 관계( 동치관계 · 순서 관계) · 순서쌍( 튜플) · 서수( 하세 다이어그램 · 큰 가산서수) · 수 체계 · ZFC( 선택공리) · 기수( 초한기수) · 절대적 무한 | ||
범주론 |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 ||
계산가능성 이론 | 계산 · 오토마타 · 튜링 기계 · 바쁜 비버 · 정지 문제 · 재귀함수 | ||
정리 | |||
드모르간 법칙 · 대각선 논법 · 러셀의 역설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 · 집합-부분합 정리 · 퍼스의 항진명제 · 굿스타인 정리 · 불완전성 정리 · 힐베르트의 호텔 · 연속체 가설 · 퍼지 논리 | |||
기타 | |||
예비사항( 약어 및 기호) · 추상화 · 벤 다이어그램 · 수학철학 | |||
틀:논리학 · 틀:이산수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 |
원명제(p → q)의 순서를 뒤집은 명제(q → p)가 바로 역이다.
원명제가 참이더라도 그의 역은 거짓일 수 있고, 반대로 원명제가 거짓이더라도 그의 역은 참일 수 있다. 이런 경우는 q가 p를 포괄하지만 p가 q를 포괄하지 못하기 때문에 p → q는 성립되어도 q → p는 성립되지 못하고, 반대로 p → q는 성립되지 못해도 q → p는 성립된다. 예를 들어, '4의 배수는 항상 짝수이다'는 참이지만 '짝수는 항상 4의 배수이다'는 거짓이 된다.
어떤 명제가 참일 때 그 역도 참일 것이라고 생각하면 논리적 오류 중 하나인 후건긍정의 오류가 된다.
어떤 명제가 참일 때 그 역도 참이라면, p = q이다. 즉, p와 q가 같지 않다면, 어떤 명제가 참이면 그 역은 반드시 거짓이다. 수학적인 논증을 할 때 굉장히 중요한 조건 중 하나이며, 따라서 공식이나 정리 등을 보면 "a, b 등의 조건이 있을 때 p->q이이며, 그 역 또한 성립한다/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라는 식의 언급이 많이 나온다. 사실 역의 대우가 이이므로 역 대신 이를 써도 결국 똑같은 의미이지만, 사람들이 이보다는 역과 더 친숙하므로(...) 거의 쓰지 않는다.[1]
3. 役
특별히 맡은 소임을 나타내는 말.또는 국가가 백성들의 노동력을 수취하던 제도.[2]
'현역', '예비역', '복역', '징역', ' 역할' 등의 그 역이다. 참고로 연극에서 '배역'이라고 할 때도 똑같은 한자를 쓴다. 이 경우 '어떤 배우가 ○○라는 캐릭터를 연기했다'란 뜻이다. [예 : 아무개(홍길동 역), ↔분(扮)]
역할이나 배역은 전자의 의미로, 현역, 예비역, 복역, 징역은 후자의 의미로 사용된다.
일본어에 특히 많이 보여서 일본에서 들어온 말 같이 보이지만 한국에서도 후자의 의미로 과거부터 쓰긴 썼다.
한국사의 경제 부문에 나오는 수취 제도에서 전세, 공물과 함께 나오는 제도이다.
현재도 노동력을 수취하는 제도(병역, 징역)에 역을 붙이는 건 이러한 유래에서 비롯된 것이다.
일본어에선 정말로 사용빈도가 높다. 상담역, 검사역, 퇴역 등등. 한국에서 임원이라 불리는 것을 '중역'이라 부르는 것도 그 예.
하지만 본래 한문 뜻은 전쟁으로 '전역(戰役)' 등 현대 중국어에서도 전쟁을 의미하는 표현으로 쓰인다. 일본어도 마찬가지인데 임진왜란을 '분로쿠의 역'이라고 부르는 등.
4. 域
'지경', '구역'을 나타내는 한자. 정의역(定義域), 치역(置域), 공역(共域) 등에 쓰인다.4.1. 생물학
domain생물 분류 단계의 최상위 단계. 1990년 칼 워즈에 의해서 제안되었다. 5계 분류 체계에서의 원핵생물에서 고균 집단이 분리되면서 제안되었다.
세균역[3], 고균역[4], 진핵생물역이 있으며 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바이러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