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5:03:57

PokéRogue/아이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PokéRogue
1. 개요2. 일반3. 슈퍼4. 하이퍼5. 로그6. 마스터7. 기술머신8. 기타

1. 개요

PokéRogue에서 등장하는 아이템들의 목록을 정리한 문서이다.

아이템은 보스전 / 체육관 관장전을 제외한, 매 전투가 끝날 때마다 3개(황금몬스터볼 소지 개수당 1개 추가)의 아이템이 랜덤하게 제시된다. 돈을 주고 아이템을 리롤할 수도 있으나, 정말 돈이 넘쳐나는 게 아니라면 비추천.

모든 아이템에는 희귀도가중치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희귀도는 아이템의 등급을 나타내는 것으로, 아이템이 제시되기 전에 나타나는 몬스터볼을 통해 희귀도를 알 수 있다.
희귀도 드롭율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일반 75.1%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1414.png 슈퍼 18.5%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1416.png 하이퍼 4.69%
파일:pokerogue_rogueball.png 로그 1.12%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1418.png 마스터 0.1%

가중치는 각각의 희귀도에서 해당 아이템이 등장할 확률을 설정한 값으로, 가중치가 높을 수록 등장할 확률이 높다.

제시된 아이템들을 고르는 동안 돈을 주고 다음의 회복류 아이템들을 구매할 수도 있다. 본가에 비해 최고레벨이 높아 스펙이 상승한 만큼 HP가 높을 경우 %단위 회복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본가에서는 PP회복제를 판매하지 않지만 포케로그는 자동회복이 10웨이브 단위로 있기에 구매 가능하다.
파일:상처약.png 상처약 포켓몬 1마리의 HP를 20 또는 10% 중 높은 수치만큼 회복한다.
파일:좋은상처약.png 좋은상처약 포켓몬 1마리의 HP를 50 또는 25% 중 높은 수치만큼 회복한다.
파일:고급상처약.png 고급상처약 포켓몬 1마리의 HP를 200 또는 50% 중 높은 수치만큼 회복한다.
파일:풀회복약.png 풀회복약 포켓몬 1마리의 HP를 모두 회복한다.
파일:회복약.png 회복약 포켓몬 1마리의 HP와 상태 이상을 모두 회복한다.
파일:PP에이드.png PP에이드 포켓몬이 기억하고 있는 기술 중 1개의 PP를 10만큼 회복한다.
파일:PP회복.png PP회복 포켓몬이 기억하고 있는 기술 중 1개의 PP를 모두 회복한다.
파일:PP에이더.png PP에이더 포켓몬이 기억하고 있는 4개의 기술 PP를 10씩 회복한다.
파일:PP맥스.png PP맥스 포켓몬이 기억하고 있는 4개의 기술 PP를 모두 회복한다.
파일:기력의조각.png 기력의조각 기절해 버린 포켓몬 1마리의 HP를 50%까지 회복한다.
파일:기력의덩어리.png 기력의덩어리 기절해 버린 포켓몬 1마리의 HP를 100%까지 회복한다.
파일:만병통치제.png 만병통치제 포켓몬 1마리의 상태 이상을 모두 회복한다.
파일:성스러운분말.png 성스러운분말 기절해 버린 포켓몬 전원의 HP를 완전히 회복한다.

2. 일반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아이템들로 상징하는 볼은 몬스터볼이다.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4815.png
* 몬스터볼 x5: 가장 낮은 성능의 볼류 아이템. 1배의 포획률 보정을 가진다. 가중치가 6으로, 일반적으로는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아이템이다. 물론 초반부가 아니고서야 집을 일은 없다.
파일:레어캔디.jpg
* 이상한사탕: 포켓몬 1마리의 레벨을 1 올려주며 친밀도를 10, 클래식 이외의 모드에서는 5 올려준다. 가중치는 2. 학습장치나 경험부적이 없는 초반에는 보이면 집는 수준으로 선호도가 높지만, 학습장치나 경험부적이 점차 쌓여 레벨이 쑥쑥 올라가는 후반부에는 거의 집지 않는다. 친밀도 진화 포켓몬들이 영 진화를 하지 않거나, 레벨 캡에 걸린 포켓몬들의 레벨을 올려줄 때나, 혹은 정 집을 게 없을 때나 가끔 집는 정도. 또한 본가와 다르게 기절한 포켓몬에게 사용할 수 없어 레벨업을 통한 부활이 불가능하다.
파일:상처약.png
* 상처약: 가장 낮은 성능의 HP회복류 아이템. 포켓몬 1마리의 체력을 고정 20 / 최대 체력의 10% 중 높은 수치만큼 회복시켜 준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파티에 체력이 87.5% 이하이거나 10 이상의 대미지를 입은 포켓몬 1마리당 가중치가 3만큼 상승해 최대 9까지 상승한다. 보통 정 고를 아이템이 없을 때 체력 회복용으로나 집는다.
파일:좋은상처약.png
* 좋은상처약: 포켓몬 1마리의 체력을 고정 50 / 최대 체력의 25% 중 높은 수치만큼 회복시켜 준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파티에 체력이 75% 이하이거나 25 이상의 대미지를 입은 포켓몬 1마리당 가중치가 1만큼 상승해 최대 3까지 상승한다. 활용도는 상처약과 동일.
파일:PP에이드.png
* PP에이드: 포켓몬이 기억하고 있는 기술 중 하나의 PP를 10 회복한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파티에 현재 PP가 5 이하인 기술을 보유 중인 기절하지 않은 포켓몬 1마리당 가중치가 3만큼 상승해 최대 9까지 상승한다. 상점에서 구매하는 것이 아닌, 제시된 PP에이드를 집을 일은 많지 않으나, 보스전 직전에 이 아이템이 제시되었다면 포켓몬들의 PP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파일:PP회복.png
* PP회복: 포켓몬이 기억하고 있는 기술 중 하나의 PP를 전부 회복한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파티에 현재 PP가 5 이하인 기술을 보유 중인 기절하지 않은 포켓몬 1마리당 가중치가 1만큼 상승해 최대 3까지 상승한다. PP회복이 필요할 정도로 PP가 많은 기술들은 초반용 기술인 데다가 10웨이브 동안 PP가 바닥날 일이 드물고, PP가 적은 기술들은 PP에이드면 충분하기 때문에 선택률은 0에 가깝다.

파일:벌레유인코롱.png
  • 벌레유인코롱: 5웨이브 동안 야생 포켓몬 배틀이 더블배틀로 진행될 확률을 2배 올려준다. 가중치는 2. 코롱 계열 아이템이 3개 중첩되면 모든 일반 야생 포켓몬 배틀이 더블 배틀이 되며, 5개 중첩되면 보스 포켓몬 배틀도 확정적으로 더블 배틀이 된다. 경험치를 좀 더 많이 얻을 수 있고, 야생 포켓몬들도 좀 더 많이 볼 수 있다는 이점은 있으나 그만큼 피해를 입을 가능성도 높아지기에 선택률은 바닥을 긴다. 대신 엔들리스 모드에서는 색이 다른 포켓몬 및 전설의 포켓몬을 찾는 것이 주 목적이 되므로 빛나는부적 4스택을 쌓은 이후로는 출현 확률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5중첩을 유지하기도 한다.
파일:플러스파워.png 파일:디펜드업.png 파일:스페셜 업.jpg 파일:스페셜가드.png 파일:스피드업.png 파일:잘-맞히기.png
* 랭크업 도구: 5웨이브 동안 포켓몬들의 해당하는 능력치를 1랭크 상승시켜 주며, 좌측부터 플러스파워(공격), 디펜드업(방어), 스페셜업(특수공격), 스페셜가드(특수방어), 스피드업(스피드), 잘-맞치기(명중률)이다. 가중치는 각각 4. 1랭크 증감만으로도 포켓몬들의 스펙이 확 달라지는 게임 특성상 일반 등급 아이템들 중에서는 선택률이 높으며, 특히 스피드업은 '내 포켓몬에게 공격이 들어오기도 전에' 상대 포켓몬을 먼저 원샷원킬로 기절시키는 플레이가 선호되는 게임 특성을 생각해보면 나보다 빠른 포켓몬에게도 선공을 때릴 수 있다는 점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후반부 보스전을 앞두고 있다면 최대한 많이 집어두자.
파일:Leppa Berry.png
* 과사열매: 지니고 있으면 포켓몬의 한 기술의 PP가 0이 되었을 때 그 기술의 PP를 10 회복한다. 가중치는 2로 한 포켓몬에게 2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PP가 적은 기술이 있다면 보험용으로 1개정도 지니게 하면 좋다.
파일:Curry_Lum_Berry_Sprite.png
* 리샘열매: 지니고 있으면 헤롱헤롱 이외의 모든 상태이상을 치료한다. 가중치는 2로 한 포켓몬에게 2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원작에서도 그렇듯 장착 가능한 만병통치제라는 점에서 굉장히 활용도가 높은 아이템으로 일단 집어서 에이스 포켓몬들에게 쥐어주면 후회는 하지 않을 것이다.
파일:Curry_Sitrus_Berry_Sprite.png
* 자뭉열매: 지니고 있으면 포켓몬의 체력이 1/2가 되었을 때 체력을 최대 체력의 1/4을 회복한다. 가중치는 2로 한 포켓몬에게 2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집어도 후회는 하지 않는 든든한 열매로 에이스 포켓몬들에게 2개씩 꽉꽉 채워주자.
파일:Curry_Enigma_Berry_Sprite.png
* 의문열매: 지니고 있으면 효과가 뛰어난 공격을 받았을 때 최대 체력의 1/4을 회복한다. 가중치는 2로 한 포켓몬에게 2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위의 자뭉열매보다는 조건이 까다롭지만, 약점이 많거나 예상치 못한 포켓몬에게 비자속으로 약점을 찔리는 상황에서 유용하다.
파일:Curry_Liechi_Berry_Sprite.png 파일:Curry_Ganlon_Berry_Sprite.png 파일:Curry_Salac_Berry_Sprite.png 파일:Dream_Petaya_Berry_Sprite.png 파일:Curry_Apicot_Berry_Sprite.png 파일:Curry_Lansat_Berry_Sprite.png 파일:Curry_Starf_Berry_Sprite.png
* 능력치 상승 열매: 지니고 있으면 포켓몬의 체력이 1/4가 되었을 때 능력치를 올려주는 열매들로, 좌측부터 치리열매(공격 1랭크), 용아열매(방어 1랭크), 캄라열매(스피드 1랭크), 야타비열매(특공 1랭크), 규살열매(특방 1랭크), 랑사열매(급소 확률 2랭크), 스타열매(무작위 능력치 2랭크)이다. 가중치는 2로 한 포켓몬에게 3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본가 시리즈에서 이들 열매, 특히 캄라열매가 자주 쓰이는 것과는 달리 포케로그에서는 빈사 상태에서 능력치를 끌어올릴 바에 그냥 원킬을 내는게 효율적이라 타 열매보다 효율이 낮다. 정 집을게 없을 때나 집는 정도.
파일:기술머신.png
* 일반 등급 기술머신: 해당하는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포켓몬에게 가르칠 수 있다. 가중치는 1.

3. 슈퍼

일반보다는 보기 힘들지만 그래도 자주 볼 수 있는 아이템들로 상징하는 볼은 슈퍼볼이다.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1414.png
* 슈퍼볼 x5: 2번째로 낮은 성능의 볼류 아이템. 1.5배의 포획률 보정을 가진다. 가중치는 6. 역시 초반에 쓰이고 말지만 미진화체는 대부분 슈퍼볼로도 충분히 잡히기 때문에 작정하고 도감작을 할 때는 쓸만하다.
파일:만병통치제.png
* 만병통치제: 포켓몬 1마리의 상태이상을 모두 회복한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상태이상에 걸린 포켓몬 1마리당 가중치가 6만큼 상승해 최대 18까지 상승한다. 에이스 포켓몬이 아니면 상태이상에 걸릴 일이 드물고, 에이스 포켓몬들은 보통 리샘열매를 지니게 하는 만큼 선택할 일이 많지 않다. 물론 슈퍼 등급답게 상점에서 비싸게 팔고 있으니, 에이스 포켓몬이 상태이상에 걸렸다면 집어야 한다.
파일:기력의조각.png 파일:기력의덩어리.png
* 기력의조각 / 기력의덩어리: 기절한 포켓몬 1마리를 체력을 50% / 100%로 하여 회복시킨다. 둘 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기절한 포켓몬 1마리당 가중치가 9/3만큼 상승해 최대 27/9까지 상승한다. 기절한 포켓몬은 학습머신으로 경험치를 얻지 못하기 때문에 성장에서 뒤쳐질 뿐더러, 상점에서 기력의조각 / 기력의덩어리를 사려면 비싸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선택지에서 뜰 때마다 선택해 재깍재깍 부활시켜 주는게 좋다. 에이스 포켓몬이 기절했다면 더 말할 것도 없다.
파일:성스러운분말.png
* 성스러운분말: 파티 내의 기절한 포켓몬 전원의 체력을 회복시킨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파티 내의 포켓몬이 절반 이상 기절했다면 가중치가 1이 된다. 보통 성스러운분말이 선택지로 제시될 정도라면 성스러운분말 이외의 선택지는 없을 것이다.
파일:고급상처약.png
* 고급상처약: 포켓몬 1마리의 체력을 고정 200 / 최대 체력의 50% 중 높은 수치만큼 회복시켜 준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파티에 체력이 62.5% 이하이거나 100 이상의 대미지를 입은 포켓몬 1마리당 가중치가 3만큼 상승해 최대 9까지 상승한다. 본가에서도 그랬듯 극후반이 아니고서야 어지간한 상황에서는 고급상처약 하나면 포켓몬 1마리를 회복시키기에는 충분할 것이다.
파일:풀회복약.png
* 풀회복약: 포켓몬 1마리의 체력을 전부 회복시켜 준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파티에 체력이 50% 이하이거나 150 이상의 대미지를 입은 포켓몬 1마리당 가중치가 1만큼 상승해 최대 3까지 상승한다. 극후반에 고급상처약으로도 회복이 안 되는 상황에서만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파일:회복약.png
* 회복약: 포켓몬 1마리의 체력과 상태이상을 전부 회복시켜 준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다음의 조건에 해당할 때마다 가중치가 1.5씩 상승해 최대 9까지 상승한다. 역시나 사용할 일은 많지 않다.
* 파티에 체력이 50% 이하인 포켓몬이 있을 경우
* 파티에 150 이상의 대미지를 입은 포켓몬이 있을 경우
* 파티에 상태이상에 걸린 포켓몬이 있을 경우
* 한 포켓몬은 상단의 조건 중 2개까지 해당될 수 있다.
파일:PP에이더.png
* PP에이더: 포켓몬이 기억하고 있는 기술 전부의 PP를 10 회복한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파티에 현재 PP가 5 이하인 기술을 보유 중인 기절하지 않은 포켓몬 1마리당 가중치가 3만큼 상승해 최대 9까지 상승한다. PP에이드가 그랬듯 보스전을 앞두고 PP가 바닥난 경우에만 선택된다.
파일:PP맥스.png
* PP맥스: 포켓몬이 기억하고 있는 기술 전부의 PP를 전부 회복한다. 기본 가중치는 0이며, 파티에 현재 PP가 5 이하인 기술을 보유 중인 기절하지 않은 포켓몬 1마리당 가중치가 1만큼 상승해 최대 3까지 상승한다. 포케로그에서 PP에이더로도 부족해 PP맥스가 필요한 상황까지 가는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파일:크리티컬커터.png
* 크리티컬커터: 5웨이브 동안 급소 확률이 1랭크 올라간다. 가중치는 4. 2대 때릴 걸 1대 때리게 해 줄 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인지 능력치 도핑약들 중 혼자서만 슈퍼 등급이다.

파일:실버코롱.png
  • 실버코롱: 10웨이브 동안 야생 포켓몬 배틀이 더블배틀로 진행될 확률을 2배 올려준다. 가중치는 4. 벌레잡이코롱과 마찬가지로 선택률은 낮다.
파일:Bag_Nugget_Sprite.png
* 금구슬: 적은 양의 돈을 얻는다. 가중치는 5. 어느 상황에서 집어도 손해보지 않는 국밥 선택지이다.
  • 공용 소모성 진화 아이템, 일부 전용 소모성 진화 아이템: 진화의돌과 통신 진화 포켓몬에 사용되는 연결의끈이 있다. 사용 시 해당하는 포켓몬을 진화시킨다. 가중치는 1~8로 후반부 스테이지로 갈 수록 등장 확률이 높아지며, 당연히 해당하는 포켓몬이 있을 때만 선택지에 등장한다. 일부 전용 소모성 진화 아이템도 슈퍼 등급으로 등장하는데, 종류는 과사삭벌레를 애프룡으로 진화시키는 새콤한사과, 단지래플로 진화시키는 달콤한사과, 차데스를 그우린차로 진화시키는 범작찻잔, 마빌크를 마휘핑으로 진화시키는 딸기사탕공예가 있다.
파일:pokerogue_map.png
* 지도: 일정 확률로 다음 바이옴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클래식 모드에서만 등장하며, 동시에 제시되자마자 집어야 하는 필수 아이템. 에이스 포켓몬이 약점을 찌를 수 있는 지역을 선택해 갈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도가 매우 높다. 한 번 집으면 그 이후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파일:기술머신.png
* 슈퍼 등급 기술머신: 해당하는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포켓몬에게 가르칠 수 있다. 가중치는 2.
파일:큰버섯.png
* 기억버섯: 사용 시 포켓몬이 잊어버린 자력기 중 1개를 되살려준다. 가중치는 1~4로 소지 중인 포켓몬들의 레벨이 높을수록 증가한다. 포케로그는 소위 '1레벨 자력기'로 불리는 기억버섯으로만 되살릴 수 있는 자력기의 수가 많지 않아 중요도가 높지 않으며, 무지성으로 Z키를 누르다가 중요한 기술을 잊었거나 고레벨로 잡은 포켓몬의 저레벨 자력기를 되살릴 때 선택된다. 아이콘은 본가의 큰버섯에서 따 왔으며 파레리그 시절에 작은버섯과 함께 하트비늘 대신 사용되었다.
파일:맥스업.png 파일:타우린.png 파일:사포닌.png 파일:리보플라빈.png 파일:키토산.png 파일:알칼로이드.png
* 영양 드링크: 본가에서 기초 포인트를 증가시켜 주었던 아이템으로, 포케로그에서는 지니게 하는 아이템으로 재해석되었다. 포켓몬이 지니고 있는 영양 드링크 1개당 특정 능력치를 10% 상승시켜 준다. 좌측부터 맥스업(체력), 타우린(공격), 사포닌(방어), 리보플라빈(특공), 키토산(특방), 알칼로이드(스피드). 가중치는 3으로 해당하는 포켓몬의 개체값 1당 최대 1개씩 쥐어줄 수 있다. 중요도가 매우 높은 아이템으로 특히 공격쪽에 해당하는 타우린 / 리보플라빈 / 알칼로이드는 보이는 대로 집어서 에이스 포켓몬들에게 쥐어주면 된다.
파일:1862-테라피스 노말.png
* 테라피스: 테라스탈 오브를 획득한 이후 등장하며, 포켓몬 1마리를 10웨이브동안 해당하는 타입으로 테라스탈시킨다. 하지만 테라스탈 오브를 획득한 이후에야 등장하는데 가중치도 1이라 잘 등장하지 않고, 기껏 등장한 테라피스가 원하는 타입일 가능성도 낮은데 심지어 기간제라 테라스탈 오브와 함께 함정 취급을 받는다.
파일:Regular_Egg_Voucher.png
* 일반 바우처: 알 1개를 뽑는 바우처. 가중치는 1이며 리롤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4. 하이퍼

본격적으로 강력한 성능의 아이템들이 등장한다. 대부분의 아이템들이 일단 집어두면 후회하지 않을 아이템들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1416.png
* 하이퍼볼 x5: 중간 성능의 볼. 2배의 포획률 보정을 갖는다. 가중치는 24. 여기까지 왔다면 일반적인 포켓몬을 잡는 데에는 지장이 없다. 보통 5개 이상은 들고 다니는 편.

파일:골드코롱.png
  • 골드코롱: 25웨이브 동안 야생 포켓몬 배틀이 더블배틀로 진행될 확률을 2배 올려준다. 가중치는 4. 하이퍼 등급의 꽝을 담당하고 있다.
파일:큰금구슬SV.png
* 큰금구슬: 적당한 양의 돈을 얻는다. 가중치는 12. 역시 무지성으로 집어도 전혀 후회하지 않는다.
파일:포인트업.png 파일:포인트맥스.png
* 포인트업 / 포인트맥스: 포켓몬이 기억하고 있는 기술 중 1개의 PP 최대치를 1/5 & 3/5만큼 올린다. 본가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한 기술에는 최대 3 / 1번까지만 사용할 수 있다. 가중치는 각각 9 / 3. 후반부 PP가 적은 기술들에 사용된다.
파일:분홍색민트SV.png
* 민트: 포켓몬 1마리의 성격을 해당하는 성격으로 바꾸며, 바뀐 성격은 새로운 게임의 스타팅에서도 선택할 수 있도록 반영된다. 가중치는 4. 포켓몬의 성격이 맘에 들지 않을 때 사용된다. 해당 성격이 어떤 능력치를 올려주고 내려주는지 보여주는 만큼 잘못 사용할 일은 없을 것이다. 포켓몬 목록에서 상태창을 열면 성격이 번역이 안되어 있어 영어로 나오지만, 붉은 글자로 된 능력치가 상승 능력치이고 파란 글자로 된 능력치가 하락 능력치이니 참고하자.
  • 대부분의 전용 소모성 진화 아이템: 특정 포켓몬만을 진화시키는 아이템들. 사용 시 해당하는 포켓몬을 진화시킨다. 가중치는 1~32로 후반부 스테이지로 갈 수록 등장 확률이 높아지며, 역시 해당하는 포켓몬이 있을 때만 선택지에 등장한다.
파일:부적금화.png
* 부적금화: 벌어들이는 수입을 개당 20% 증가시킨다. 가중치는 3이며 최대 5개까지 소지 가능하다. 배틀로 얻는 돈은 물론, 금구슬류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돈 파밍에 있어서 필수적이다.

파일:부활의씨앗.png
  • 부활의씨앗: 소지한 포켓몬이 배틀 중에 기절할 경우 최대 체력의 50%를 회복시켜준다.[1] 가중치는 4로 한 포켓몬에게 1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보이는 대로 집어야 하는 최강의 하이퍼 등급 아이템으로 죽으면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되는 로그류 게임에서 부활의 중요성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다. 에이스 포켓몬에게는 반드시 1개 쥐어주고, 하나가 더 떴다면 어지간해선 꺼내지 않을 포켓몬에게 쥐어주고 에이스의 부활의씨앗이 빠지면 바로 넘겨주면 된다.

파일:pokerogue_candy_jar.png
  • 사탕단지: 소지한 사탕단지 1개당 사탕류 아이템으로 올라가는 레벨이 1 증가한다. 가중치는 5. 좋은 성능의 아이템으로 당장의 이득은 없지만, 후반부에 집을 게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집게 되는 사탕류의 효율을 높여준다. 3개 이상 집었으면 그 때부터는 그냥 이상한사탕을 보이는 대로 집어도 될 정도.
  • 타입 강화 도구: 소지한 타입 강화 도구 하나당 해당하는 타입 기술의 위력을 20% 강화시켜 준다. 가중치는 10으로 목록은 이 항목으로. 본가에서는 찬밥 신세였지만, 도구를 여러 개 쥐어줄 수 있는 포케로그에서는 일단 타입에 맞는 아이템이 나왔다면 집어주면 된다.
파일:기술머신.png
* 하이퍼 등급 기술머신: 해당하는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포켓몬에게 가르칠 수 있다. 가중치는 8.
파일:스바광각렌즈.png
* 광각렌즈: 지닌 포켓몬의 명중률이 개당 5 증가한다. 가중치는 4로 한 포켓몬에게 3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주력기의 명중률이 어중간하게 90%대인 포켓몬이 있다면 이만한 아이템도 없다. 일단 집어두면 누군가는 지니게 될 아이템.

파일:pokerogue_rarer_candy.png
  • 더이상한사탕: 파티 내 모든 포켓몬의 레벨이 1 증가한다. 가중치는 4. 왠만한 상황에서 집어도 큰 손해를 보지는 않으며, 만약 사탕단지를 이미 얻은 상태라면 이만한 아이템도 없다.

파일:pokerogue_golden_punch.png
  • 골든펀치: 지닌 포켓몬이 상대 포켓몬에게 개당 가한 대미지의 50%를 돈으로 얻는다. 가중치는 2로 한 포켓몬에게 5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돈벌이용 아이템으로 이 아이템도 부적금화의 버프를 받는다. 아이콘은 본가의 럭키펀치의 팔레트 스왑.
파일:화염구슬.png 파일:맹독구슬.png
* 화염구슬 / 맹독구슬: 지닌 포켓몬이 배틀에 나온 첫 1턴이 지나면 자신이 화염 / 맹독 상태이상에 걸리게 된다. 활용할 방법이 없는 상황에서야 순수 패널티 아이템이니 당연히 기본적으로는 등장하지 않으며, 다음에 해당하는 포켓몬이 있을 경우에만 가중치 10으로 등장한다. 하나의 구슬을 소지하고 있다면 다른 구슬은 등장하지 않는다.
* 다음의 기술을 기억하고 있는 포켓몬이 존재: 객기, 트릭, 바꿔치기, 사이코시프트, 내던지기
* 다음의 특성을 가진 포켓몬이 존재: 근성, 속보, 이상한비늘, 열폭주(화염구슬), 독폭주(맹독구슬), 포이즌힐(맹독구슬)
기본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아이템이니 구슬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확실히 아는 경우에만 집고, 그 이외에는 거들떠보지도 말 것.

파일:탐지기RSE.png
  • 개체값탐지기: 야생 포켓몬의 개체치를 1개당 무작위로 2개 보여준다. 가중치는 4로 3개까지 획득이 가능하다. 개체치에 따라 출력되는 문구가 다르며, 0이면 '별로인 듯', 1~10은 '적당하다', 11~20은 '상당히 좋다', 21~30은 '굉장히 좋다', 31은 '최고'로 출력된다. 만약 초록색으로 출력된다면 현재 스타팅 개체치보다 높은 개체치라는 뜻으로 해당 포켓몬을 잡으면 스타팅 포켓몬의 개체치가 갱신된다는 의미이다. 초반 파티를 구성하거나, 도감작 시에는 쓸만하나 클리어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지는 않기 때문에 집지 않는 경우도 있다.

파일:pokerogue_exp_charm.png
  • 경험부적: 포켓몬이 받는 경험치가 개당 25% 증가한다. 간혹 보스전을 클리어하면 1개씩 주기도 한다. 가중치는 8. 파티원 전체의 레벨업 속도를 높여주므로 좋은 아이템이다.
파일:아이콘_학습장치_9세대.png
* 학습장치: 배틀에 참여하지 않은 포켓몬들이 개당 배틀에 참여한 포켓몬들이 개받는 경험치의 20%를 받게 된다. 간혹 보스전을 클리어하면 1개씩 주기도 한다. 가중치는 12로 5개까지 획득이 가능하다. 소지 중인 학습장치 개수가 초반부 난이도를 가른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초반부에는 그 어떤 아이템보다도 효율이 좋다.

파일:pokerogue_exp_balance.png
  • 균형학습장치: 레벨이 낮은 포켓몬이 개당 배틀에 참여한 포켓몬들이 받는 경험치의 20%를 추가로 받게 된다. 가중치는 4로 4개까지 획득이 가능하다. 학습장치만으로는 레벨이 유난히 뒤처진 포켓몬들을 커버하기에 한계가 있는데 이를 완화시켜주는 아이템.
파일:1833-테라스탈오브(SV).png
* 테라스탈오브: 획득한 이후부터 테라피스가 선택지로 등장하며, 이를 통해 포켓몬을 테라스탈시킬 수 있다. 하지만 테라피스 항목에서도 서술했듯, 함정 아이템에 가깝다.

5. 로그

본격적으로 '희귀 아이템'의 계열에 들어가는 아이템들. 그에 걸맞게 아이템 하나하나의 성능이 매우 강력하다.

파일:pokerogue_rogueball.png
  • 로그볼 x5: 두 번째로 좋은 성능의 볼. 3배의 포획률 보정을 갖는다. 가중치는 24. 성능은 뛰어난 편이지만 다른 로그 아이템들을 제치고 이 녀석이 튀어나오면 기분이 썩 좋지는 않다. 그래도 보통은 집어가는 편.

파일:고대의금화.png
  • 고대의금화: 많은 양의 돈을 얻는다. 가중치는 2. 얻는 돈의 양이 무지막지해서 로그볼은 거를 지라도 고대의금화를 거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파일:먹밥.png
* 먹다남은음식: 소지한 포켓몬들의 체력을 턴이 종료될 때마다 1/16씩 회복시켜 준다. 가중치는 3으로 한 포켓몬에게 4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4개 다 드는 순간 매턴 자뭉섭취나 다름없다. 체력이 중요한 포케로그에서는 그냥 보이는 대로 에이스 포켓몬에게 쥐어주면 된다.
파일:조개껍질방울.png
* 조개껍질방울: 소지한 포켓몬이 입힌 대미지의 1/8에 해당하는 체력을 회복한다. 가중치는 3으로 한 포켓몬에게 4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모든 기술을 미약하게나마 흡혈기로 만들어주는 도구로 역시 에이스 포켓몬에게 쥐어주면 된다.

파일:열매주머니.png
  • 열매주머니: 소지 시 포켓몬이 열매를 사용해도 개당 30%의 확률로 사라지지 않는다. 가중치는 4로 3개까지 흭득이 가능하다. 열매가 굉장히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는 게임인 만큼, 집어두는 게 좋다. 아이콘은 본가 파레리그의 열매주머니에서 따 왔으며 파레리그에서는 열매 칸이 따로 없고 중요한 도구 칸에 있는 열매주머니를 선택해 그 안에서 열매를 골라야 했다.
파일:끈기갈고리손톱.png
* 끈기갈고리손톱: 조이기류 기술의 지속 턴 수를 늘려주는 잉여 아이템인 본가와는 달리, 포케로그에서는 소지한 포켓몬이 공격 시 개당 10%의 확률로 상대 포켓몬의 아이템을 훔쳐 오는 강력한 아이템으로 탈바꿈했다. 가중치는 5로 한 포켓몬에게 5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로그 아이템답게 강력한 성능을 보여주며 특히 주력기가 연속기라면 각각 계산되어 최강의 효율을 보여준다.
파일:선제공격손톱.png
* 선제공격손톱: 소지한 포켓몬은 개당 10% 확률로 먼저 공격할 수 있다. 본가와 마찬가지로 선공기보다 먼저 공격할 수는 없다. 가중치는 3으로 한 포켓몬에게 3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원샷원킬이 중요한 게임인 만큼 확률 선공을 부여해주는 이 아이템 역시 효율이 좋다. 느린 포켓몬에게 안성맞춤.
파일:Bag_Stick_Sprite.png
* 바톤: 배턴터치처럼 교체 시 포켓몬의 랭크 업/다운 상태를 그대로 전달할 수 있다. 가중치는 2로 아이템 특성상 1개만 획득할 수 있다. 활용하기가 어렵다 보니 선호도는 높지 않은 편. 아이콘은 본가의 파오리 / 창파나이트 전용 아이템인 대파를 그대로 따 왔으며, 이를 보면 특정 포켓몬용 아이템은 추가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파일:external/cdn.bulbagarden.net/Dream_Soul_Dew_Sprite.png
* 마음의물방울: 라티남매 전용 아이템이였던 본가와 달리 포케로그에서는 소지 시 해당 포켓몬의 성격으로 인한 능력치 증감 효과를 개당 10% 강화시킨다. 즉 공격 증가/방어 감소 성격 포켓몬에게 쥐어주면 화력은 더 강해지는 대신 물렁해진다. 가중치는 8로 한 포켓몬에게 10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어차피 쓸모없는 스탯 감소 성격을 가진 포켓몬들이 주로 지니게 된다.

파일:pokerogue_ability_charm.png
  • 특성부적: 소지 시 야생 포켓몬이 숨겨진 특성을 소지한 채 등장할 확률이 증가한다. 야생 포켓몬이 숨겨진 특성으로 등장할 확률은 1/128인데, 특성부적 1개당 등장 확률이 2배 증가한다. 가중치는 6으로 4개까지 획득이 가능하다. 다만 정작 숨겨진 특성 포켓몬인지는 알려주지 않으며, 당장의 이득이 없다 보니 도감작 중이 아니라면 선호도가 낮다.
파일:평온의방울.png
* 평온의방울: 소지한 포켓몬이 배틀 승리로 얻는 친밀도가 개당 50% 증가한다. 가중치는 4로 한 포켓몬에게 3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사실상 친밀도 진화 포켓몬 전용인데 친밀도가 필요한 상황에는 로그 아이템이다 보니 없는 경우가 허다하고, 친밀도 진화가 끝나면 은혜갚기라도 있는 게 아니고서야 쓸모가 없어지며, 결정적으로 이상한사탕으로도 친밀도는 충분히 커버가 되기에 로그 아이템 중에서는 선호도가 바닥을 긴다.
파일:기합의머리띠.png
* 기합의머리띠: 소지한 포켓몬이 일격에 기절할 정도의 공격을 받을 경우 개당 10% 확률로 체력이 1 남고 버틴다. 가중치는 5로 한 포켓몬에게 5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전형적인 보험용 아이템으로 확률이 낮은 만큼 맹신할 수는 없지만 보험용으로 하나 정도 소지하는 것은 나쁘지 않다.
파일:왕의 징표석.png
* 왕의징표석: 소지한 포켓몬의 공격에 10%확률로 풀죽음 효과를 부여한다. 가중치는 3으로 한 포켓몬에게 3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연속기를 주력으로 쓰는 포켓몬이라면 효율이 아주 좋으며 굳이 연속기가 없더라도 10% 확률로 상대의 행동을 봉쇄한다는 효과는 무시할 수 없는 효과이므로 스피드가 빠르기만 하면 누구든 밥값을 할 수 있다.

파일:록캡슐.png
  • 록캡슐: 소지 시 돈을 추가로 지불하는 것으로 아이템을 리롤할 때 같은 등급의 아이템이 나오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가중치는 3으로 특성상 1개만 획득할 수 있다. 후반 잠재력만큼은 탑을 달리는 아이템으로 일찍 떴다면 이번 판은 되는 판이라고 생각해도 될 정도이다. 특히 보는 것조차 힘든 로그/마스터 등급의 아이템이 아쉬운 아이템으로 나왔을 경우 리롤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기성이 짙다.

파일:pokerogue_super_exp_charm.png
  • 좋은경험부적: 포켓몬이 받는 경험치가 60% 증가한다. 간혹 보스전을 클리어하면 1개씩 주기도 한다. 가중치는 10으로 30개까지 획득이 가능하다. 분명 얻으면 파티의 성장 속도가 확 빨라지는 것은 맞으나, 아무래도 다른 로그 아이템들에 비하면 아쉬운 성능이다.

파일:pokerogue_mega_bracelet.png 파일:pokerogue_dynamax_band.png
  • 메가뱅글 / 다이맥스 밴드: 획득한 이후부터 메가스톤 / 다이버섯이 선택지로 제시되며, 이를 통해 포켓몬들을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2]시킬 수 있다. 가중치는 메가뱅글 기본 8에 50웨이브가 지날 때마다 8씩 증가해 최대 32까지 증가하며, 다이맥스 밴드는 8 고정이다. 당연히 1개씩만 획득 가능. 파티에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가 가능한 포켓몬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등장하는데, 파티를 확정지은 것이 아니라면 나중에 로그 아이템으로 다시 보게 되는 경우를 막기 위해서라도 집는 것이 좋다. 특히 메가뱅글은 151라운드를 넘어가면 가중치가 로그볼보다도 높아지기 때문에 여러 번 보게 될 가능성이 크다.
  • 폼 체인지 아이템 / 메가스톤 / 다이버섯: 해당하는 포켓몬들을 폼 체인지 /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시킬 수 있다. 소모성 진화 아이템들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는 등장하지 않고 해당하는 포켓몬들이 있을 때에만 등장한다. 이 때 가중치는 18. 즉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를 위해서는 로그 아이템에서 원하는 아이템을 2번 챙겨야 하는데 덕분에 재수가 없다면 200라운드 전까지도 메가진화 / 거다이맥스를 하지 못하고 게임이 끝날 수 있다.

파일:pokerogue_pair_of_tickets.png
  • 플러스 바우처: 알 5개를 뽑는 바우처. 기본 가중치는 5이며 아이템을 리롤할 때마다 2씩 감소한다.

6. 마스터

최고 등급의 아이템. 기본 드롭율이 0.1%로 엄청 낮아서 이로치 파티를 꾸려 행운을 상당히 올려도 보기 힘들며, 그래도 게임 내내 가끔 보이는 로그와 달리 이 쪽은 게임 끝날때까지 아예 못 볼 가능성이 더 높다. 그 반대급부로 포켓몬볼부터 다른 아이템까지 로그 급까지와는 비교도 안되는 강력하고 유니크한 성능을 가졌다.
파일:external/dic.nicovideo.jp/241418.png
* 마스터볼: 최고 성능의 볼. 야생 포켓몬을 무조건 포획 가능하다. 가중치는 24. 잡고 싶은 포켓몬이 등장하면 냅다 던지면 되니 강력한 위력을 발휘하며, 설령 잡고 싶은 포켓몬이 없더라도 보스 포켓몬한테 파티가 전멸 위기에 처했을 경우를 대비한 보험용으로 쓰거나 숨특작을 할 때 일단 던져서 확인한 뒤 새로고침 하는등 시간을 아끼는데 쓸 수도 있다.

파일:pokerogue_shiny_charm.png
  • 빛나는부적: 소지 이후부터 색이 다른 포켓몬(이로치)가 등장할 확률이 높아진다. 기본 이로치 등장확률은 1/2048(약 0.05%)지만, 최초 획득 시에는 확률이 8배 증가하여 1/256(0.4%), 이후 1개를 추가로 소지할 때마다 확률이 2배씩 증가하며, 최대 소지개수인 4개 기준 확률은 1/64(약 1.6%)이다. 가중치는 14. 포케로그의 이로치는 단순 수집용 요소가 아니라, 파티내 이로치의 개수와 품질에 따라 보상의 품질이 증가할 확률이 높아지니만큼 장기적으로 볼 때 상당히 중요하다.

파일:pokerogue_healing_charm.png
  • 치유의부적: 소지 시 체력이 회복하는 기술(부활류 제외)의 체력 회복 효율이 개당 10% 증가한다. 가중치는 18로 5개까지 획득이 가능하다. 위의 로그 아이템인 먹밥, 조개껍질방울과의 시너지도 있고, 알게모르게 체력을 회복시켜주는 기술이 제법 있는 편이라 일단 집어두면 도움이 된다.
파일:스바포커스렌즈.png
* 멀티렌즈: 소지한 포켓몬의 공격이 가진 갯수에 따라 기존 공격의 60% / 72.5% / 85% 감소된 위력으로 2 / 3 / 4번 대미지가 들어간다. 가중치는 18로 한 포켓몬에게 3개까지 지니게 할 수 있다. 클래식에서는 랭크업 공격기가 아닌 이상 위력 감소로 인해 애매한 성능이지만 무한모드에서는 왕의징표석, 끈기갈고리손톱과의 시너지를 통해 야생 포켓몬의 공격을 봉인하거나 아이템을 쉽게 빼앗을 수 있다. 파르셀, 파밀리쥐 등에게 주면 엄청난 공격횟수를 보여준다. 아이콘은 본가의 포커스렌즈에서 따 왔다.

파일:pokerogue_mystic_ticket.png
  • 프리미엄 바우처: 레어 등급 이상의 알 1개가 보장된 알 10개를 뽑는 바우처. 기본 가중치는 6이며 아이템을 리롤할 때마다 2씩 감소한다. 엔들리스 모드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파일:도트_아이콘_유전자쐐기_5세대.png
* 유전자 쐐기: 자세한 설명은 PokéRogue 항목의 포켓몬 융합 소항목 참조. 가중치는 0이며 파티에 융합 상태가 아닌 포켓몬이 2마리 있을 경우 가중치가 24가 된다. 스플라이스드 엔들리스에서는 슈퍼 등급으로 떨어져 더 자주 볼 수 있게 된다.

파일:pokerogue_mini_black_hole.png
  • 미니 블랙홀: 소지한 포켓몬이 매 턴마다 상대 포켓몬의 도구를 하나씩 훔쳐온다. 끈기갈고리손톱의 압도적인 상위호환으로 인게임에선 클래식 모드 보스인 무한다이노가 가지고 나타난다. 클래식 모드 1회 클리어 이후부터 드랍 테이블에 등록되며, 그러고도 가중치가 1밖에 안되기 때문에 안그래도 확률 낮은 마스터 급 아이템중에서도 특히나 보기 힘들지만, 그만큼 초반에 하나 얻으면 그 값을 톡톡히 볼 수 있다.

7. 기술머신

일반, 슈퍼, 하이퍼 티어에서 선택지로 제시된다. 기술머신의 종류는 총 305종.
<rowcolor=#3861ad> 기술머신 / 일반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M006 칼춤 TM114 스킬스왑
TM007 풀베기 TM115 봉인
TM008 공중날기 TM117 깃털댄스
TM013 바늘미사일 TM122 웨더볼
TM014 울부짖기 TM123 거짓울음
TM022 안다리걸기 TM127 금속음
TM025 회오리불꽃 TM128 코스믹파워
TM027 전기자석파 TM130 모래지옥
TM033 고속이동 TM138 벌크업
TM034 나이트헤드 TM149 중력
TM035 싫은소리 TM150 자이로볼
TM036 그림자분신 TM155 보복
TM037 이상한빛 TM156 승부굳히기
TM038 빛의장막 TM157 금제
TM039 흑안개 TM158 내던지기
TM040 리플렉터 TM159 파워스왑
TM041 기충전 TM160 가드스왑
TM042 손가락흔들기 TM164 록커트
TM046 스피드스타 TM174 진공파
TM047 망각술 TM180 나쁜음모
TM050 플래시 TM190 안개제거
TM052 잠자기 TM191 트릭룸
TM055 분노의앞니 TM199 스텔스락
TM056 대타출동 TM203 손톱갈기
TM058 코골기 TM204 원더룸
TM059 저주 TM207 매직룸
TM060 기사회생 TM208 떨어뜨리기
TM061 원한 TM214 애시드봄
TM062 방어 TM216 돌림노래
TM063 겁나는얼굴 TM217 에코보이스
TM065 진흙뿌리기 TM218 어시스트파워
TM066 압정뿌리기 TM219 사이드체인지
TM069 모래바람 TM223 순서미루기
TM071 버티기 TM230 벌레의저항
TM072 애교부리기 TM234 분발
TM073 칼등치기 TM243 바크아웃
TM074 뽐내기 TM248 그래스필드
TM076 헤롱헤롱 TM249 미스트필드
TM077 잠꼬대 TM251 비밀이야기
TM079 화풀이 TM253 괴전파
TM080 신비의부적 TM255 일렉트릭필드
TM081 아픔나누기 TM256 베놈트랩
TM083 배턴터치 TM257 엉겨붙기
TM084 앙코르 TM264 사이코필드
TM086 메탈클로 TM266 스피드스왑
TM088 비바라기 TM276 아이언롤러
TM089 쾌청 TM279 미스트버스트
TM091 자기암시 TM280 그래스슬라이더
TM094 바위깨기 TM281 라이징볼트
TM095 바다회오리 TM282 대지의파동
TM096 집단구타 TM287 부식가스
TM099 싸라기눈 TM288 코칭
TM100 트집 TM289 퀵턴
TM101 도깨비불 TM290 트리플악셀
TM103 힘껏펀치 TM291 더블윙
TM104 자연의힘 TM295 설경
TM105 충전 TM296 달려들기
TM106 도발 TM297 개척하기
TM107 도우미 TM298 찬물끼얹기
TM108 트릭 TM300 드래곤옐
TM113 죽기살기 TM305 기선제압
}}}}}} ||
<rowcolor=#3861ad> 기술머신 / 슈퍼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M001 메가톤펀치 TM182 섀도클로
TM003 불꽃펀치 TM183 번개엄니
TM004 냉동펀치 TM184 얼음엄니
TM005 번개펀치 TM185 불꽃엄니
TM009 메가톤킥 TM186 사이코커터
TM010 누르기 TM187 사념의박치기
TM011 돌진 TM188 러스터캐논
TM020 환상빔 TM189 록클라임
TM023 괴력 TM195 크로스포이즌
TM030 구멍파기 TM197 아이언헤드
TM031 맹독 TM201 벌레먹기
TM043 자폭 TM202 차지빔
TM045 폭포오르기 TM205 사이코쇼크
TM048 꿈먹기 TM206 베놈쇼크
TM051 대폭발 TM209 오물웨이브
TM053 스톤샤워 TM210 헤비봄버
TM057 도둑질 TM211 일렉트릭볼
TM064 오물폭탄 TM212 니트로차지
TM067 얼어붙은바람 TM213 로킥
TM075 강철날개 TM220 열탕
TM085 아이언테일 TM221 병상첨병
TM087 비밀의힘 TM222 프리폴
TM090 깨물어부수기 TM224 애크러뱃
TM093 미래예지 TM225 원수갚기
TM097 소란피기 TM226 물의맹세
TM102 객기 TM227 불꽃의맹세
TM110 리벤지 TM228 풀의맹세
TM111 깨트리기 TM229 볼트체인지
TM112 탁쳐서떨구기 TM231 땅고르기
TM116 다이빙 TM232 얼음숨결
TM118 블레이즈킥 TM233 드래곤테일
TM124 에어커터 TM235 일렉트릭네트
TM126 암석봉인 TM236 와일드볼트
TM129 시그널빔 TM237 드릴라이너
TM131 탁류 TM239 셸블레이드
TM132 씨기관총 TM240 히트스탬프
TM133 제비반환 TM241 스위프뺨치기
TM134 고드름침 TM245 꽃보라
TM135 철벽 TM246 차밍보이스
TM139 뛰어오르기 TM247 드레인키스
TM140 머드샷 TM250 치근거리기
TM141 포이즌테일 TM252 매지컬플레임
TM142 매지컬리프 TM259 DD래리어트
TM143 명상 TM261 솔라블레이드
TM145 용의춤 TM262 지옥찌르기
TM146 록블라스트 TM263 꽃가루경단
TM147 물의파동 TM265 덤벼들기
TM148 날개쉬기 TM267 스마트혼
TM151 소금물 TM268 세차게휘두르기
TM152 순풍 TM269 사이코팽
TM153 유턴 TM270 분함의발구르기
TM161 독압정 TM273 와이드브레이커
TM163 파동탄 TM275 와이드포스
TM165 독찌르기 TM278 메테오빔
TM166 악의파동 TM283 엄습하는일격
TM167 씨폭탄 TM284 질투의불꽃
TM168 에어슬래시 TM285 분풀이
TM169 시저크로스 TM292 열사의대지
TM170 벌레의야단법석 TM293 테라버스트
TM171 용의파동 TM294 아이스스피너
TM172 파워젬 TM299 하드프레스
TM173 드레인펀치 TM301 매혹의보이스
TM175 기합구슬 TM302 열불내기
TM176 에너지볼 TM303 썬더다이브
TM179 기가임팩트 TM304 사이코노이즈
TM181 눈사태
}}}}}} ||
<rowcolor=#3861ad> 기술머신 / 하이퍼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M002 고양이돈받기 TM125 오버히트
TM012 이판사판태클 TM136 드래곤클로
TM015 화염방사 TM137 하드플랜트
TM016 하이드로펌프 TM144 리프블레이드
TM017 파도타기 TM154 인파이트
TM018 냉동빔 TM162 플레어드라이브
TM019 눈보라 TM177 브레이브버드
TM021 파괴광선 TM178 대지의힘
TM024 솔라빔 TM192 용성군
TM026 10만볼트 TM193 리프스톰
TM028 번개 TM194 파워휩
TM029 지진 TM196 더스트슈트
TM032 사이코키네시스 TM198 스톤에지
TM044 불대문자 TM200 풀묶기
TM049 흡혈 TM215 속임수
TM054 트라이어택 TM238 성스러운칼
TM068 역린 TM242 폭풍
TM070 기가드레인 TM244 고스트다이브
TM078 은혜갚기 TM256 매지컬샤인
TM082 메가혼 TM258 화룡점정
TM092 섀도볼 TM260 10만마력
TM098 열풍 TM271 아쿠아브레이크
TM109 엄청난힘 TM272 바디프레스
TM119 하이퍼보이스 TM274 철제광선
TM120 블라스트번 TM277 스케일샷
TM121 하이드로캐논 TM286 폴터가이스트
}}}}}} ||

8. 기타

선택지로는 등장하지 않거나, 더미 데이터인 아이템들.

파일:pokerogue_pb_gold.png
  • 황금몬스터볼: 아이템을 개당 1개 더 제시한다. 선택지로는 절대 나오지 않으며, 게임을 클리어하다 보면 알아서 1개씩 제공해 최종적으로 3개를 제공, 아이템 선택지가 6개까지 증가한다.
파일:행복의알.png 파일:pokerogue_golden_egg.png
* 행복의알 / 황금의알: 소지한 포켓몬이 받는 경험치가 40% / 100% 증가한다. 선택지로는 절대 나오지 않으며, 간혹 야생 포켓몬들이 들고 나오는 것을 잡거나 훔쳐서 얻을 수 있다. 소지 포켓몬이 경험치를 좀 더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경험부적과 비교해 나을 게 없기에 아이템 선택지로 제시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어쩌다 얻게 된다면 그 포켓몬의 레벨업 속도는 확실하게 보장되며, 초전설 원탑으로 주로 진행되는 엔들리스 모드에서는 유용하다.

파일:pokerogue_golden_exp_charm.png
  • 황금경험부적: 포켓몬이 받는 경험치가 100% 증가한다. 오직 데일리런에서만 기본적으로 3개 주어진다.

파일:pokerogue_coin_case.png
  • 동전케이스: 아이템을 얻은 이후 10웨이브가 지날 때마다 가진 돈의 10%를 이자로 얻는다. 현재 미구현 상태이다.

파일:pokerogue_oval_charm.png
  • 둥근부적: 여러 포켓몬이 배틀에 참여할 경우 배틀에 참여한 포켓몬들이 얻는 경험치가 10% 증가한다. 현재 미구현 상태이다.


[1] 다만 일격기, 날씨, 반동, 자폭류 기술로 기절하면 발동하지 않는다. 버그로 상태이상으로 기절할 경우에는 부활한다. [2] 일반 다이맥스는 불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