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9 18:41:14

메릴 켈리

켈련님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4년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메릴 켈리/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a71930>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a71930><colcolor=#fff> 투수 19 R.넬슨 · 23 갤런 · 24 K.넬슨 · 27 살프랭크 (1) · 29 켈리 · 32 파트 · 33 · 35 맨티플리 · 37 진켈 · 39 번스 · 40 자비스 · 45 디아스 · 47 헨리 · 48 월스턴 · 52 몽고메리 · 57 로드리게스 · 63 J.마르티네즈 · 64 메나 · 81 톰슨 · 99 제임슨 · # S.마르티네즈 · # 엘비스
포수 11 에레라 · 14 모레노 · 25 델 카스티요
내야수 2 페르도모 · 4 마르테 · 9 알렉산더 · 10 롤러 · 22 네일러 · 28 수아레스 · # 타와
외야수 1 바로사 · 5 토마스 · 7 캐롤 · 12 구리엘 Jr. · 26 스미스 · 31 맥카시
''' 파일:미국 국기.svg 토리 러벨로''' 파일:미국 국기.svg 제프 배니스터 파일:미국 국기.svg 조 매더 파일:미국 국기.svg 대미언 이즐리 · 파일:미국 국기.svg 트래비스 뎅커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 케플란 파일:미국 국기.svg 오웬 듀 파일:캐나다 국기.svg 데이브 맥케이 · 파일:미국 국기.svg 숀 라킨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웰링턴 세페다 파일:미국 국기.svg 샤리프 오스만 ·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호세 퀘리즈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리노 에이시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파일:아마릴로 소드푸들스 엠블럼.svg 산하 AA팀 로스터 보기
(1) 스포츠 도박 규정 위반 1년 출장 정지 }}}}}}}}}
메릴 켈리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 (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 (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 (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 (3) (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 (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 (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 (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 (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 (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 (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 (3) (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 (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 (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 (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 (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 (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 (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 (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 (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 (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 (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 (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 (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 (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 (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 (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 (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 (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 (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 (3) 파일:쿠바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시라카와 (4) 파일:일본 국기.svg
더거 (2)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 (3)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SSG 랜더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 2000 2001~2002 2003 2004 2005
김태석 에르난데스 스미스 카브레라 김원형
<rowcolor=#fff> 2006 2007~2008 2009 2010 2011
신승현 레이번 채병용 카도쿠라 글로버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마리오 레이예스 김광현 밴와트 김광현
<rowcolor=#fff> 2017~2018 2019 2020 2021 2022
켈리 김광현 킹험 르위키 폰트
<rowcolor=#fff> 2023~2024
김광현
}}}}}}}}}}}} ||

메릴 켈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K 와이번스 우승 엠블럼 V4.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18

{{{#!wiki style="margin: -5px -10px"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 KBO 리그 2016~2020
월간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6 시즌
<rowcolor=#fff> 4월 5월 6월 7월 9월 10월
니퍼트
두산 베어스
김재환
두산 베어스
최승준
SK 와이번스
양현종
KIA 타이거즈
유희관
두산 베어스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2017 시즌
<rowcolor=#fff>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맨쉽
NC 다이노스
최형우
KIA 타이거즈
켈리
SK 와이번스
양현종
KIA 타이거즈
김재환
두산 베어스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레일리
롯데 자이언츠
2018 시즌
<rowcolor=#fff>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유한준
kt wiz
정우람
한화 이글스
김재환
두산 베어스
로맥
SK 와이번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한동민
SK 와이번스
2019 시즌
<rowcolor=#fff>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윌슨
LG 트윈스
양현종
KIA 타이거즈
최정
SK 와이번스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양현종
KIA 타이거즈
페게로
LG 트윈스
2020 시즌
<rowcolor=#fff>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구창모
NC 다이노스
로하스
kt wiz
허경민
두산 베어스
소형준
kt wiz
양의지
NC 다이노스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 KBO 리그
역대 탈삼진 1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노상수
롯데 자이언츠 / 141K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 220K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223K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210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4K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163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20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98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89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0K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이강철
해태 타이거즈 / 155K
김상엽
삼성 라이온즈 / 170K
정민철
한화 이글스 / 196K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163K
주형광
롯데 자이언츠 / 221K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정민철
한화 이글스 / 160K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183K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184K
임선동
현대 유니콘스 / 174K
에르난데스
SK 와이번스 / 215K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김진우
KIA 타이거즈 / 177K
이승호
LG 트윈스 / 157K
박명환
두산 베어스 / 162K
리오스
두산 베어스 / 147K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147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04K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78K
김광현
SK 와이번스 / 150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50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87K
윤석민
KIA 타이거즈 / 178K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10K
리즈
LG 트윈스 / 188K
밴덴헐크
삼성 라이온즈 / 180K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194K
보우덴
두산 베어스 / 160K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켈리
SK 와이번스 / 189K
샘슨
한화 이글스 / 195K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189K
스트레일리
롯데 자이언츠 / 205K
미란다
두산 베어스 / 225K
<rowcolor=#fff> 2022 2023 2024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 224K
페디
NC 다이노스 / 209K
하트
NC 다이노스 / 182K
* 탈삼진왕은 1993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SK 와이번스 등번호 56번
정규창
(2013~2014)
<colbgcolor=#ff6600><colcolor=#ffffff> 켈리
(2015)
봉민호
(2016~2017)
SK 와이번스 등번호 23번
브라운
(2015)
켈리
(2016~2018)
배영섭
(2019)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29번
브래드 지글러
(2018)
메릴 켈리
(2019~)
현역
}}} ||
}}} ||
파일:다이아몬드백스메릴켈리24.jpg
<colbgcolor=#a71930><colcolor=#fff>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No.29
메릴 켈리
Merrill Kelly
본명 케네스 메릴 켈리
Kenneth Merrill Kelly
출생 1988년 10월 14일 ([age(1988-10-14)]세)
텍사스 주 휴스턴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데저트 마운틴 고등학교 - 야바파이 칼리지 - 애리조나 주립대학교
신체 188cm | 90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7년 드래프트 37라운드 (전체 1112번, BAL)
2009년 드래프트 22라운드 (전체 665번, CLE)
2010년 드래프트 8라운드 (전체 251번, TB)
소속팀 SK 와이번스 (2015~2018)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19~)
계약 2023 - 2025 / $24,000,000
연봉 2025 / $7,000,000
가족 아내 브레 켈리
장녀 해들리 켈리(2022년생)
파일:MLB 로고.svg | 파일:KBO 리그 로고(국문/다크모드).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수상 내역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소속 우완 투수.

2015년부터 2018년까지 SK 와이번스에서 4년간 활약한 외국인 투수다.[1][2] 현재는 애리조나에서 잭 갤런과 함께 원투펀치를 이루며, 에이스 선발 투수로 자리매김하였다.

2018년 12월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와 메이저리그 계약이 성사되며 미국으로 복귀하였고, 2019년에는 KBO 리그 출신 선수 중 두 번째로 메이저 리그 10승을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3] 이후 소속팀에서 뛰어난 성적을 바탕으로 2023 WBC 미국 국가대표팀에 승선, WBC 결승전 선발투수 등판, 월드 시리즈 선발투수 등판 및 승리 투수 등 에릭 테임즈, 다린 러프, 브룩스 레일리, 크리스 플렉센과 함께 KBO에서 메이저리그로 역수출 된 사례 중 가장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고 있는 선수다.[4][5]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메릴 켈리/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파일:MLB 로고.svg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_화이트 레드.svg
2023 WBC

3. 피칭 스타일


포심 패스트볼의 구속은 평균 147-8km/h 대이며, 최고 구속은 155km/h. 투심 패스트볼 과 컷 패스트볼의 구속은 평균 141-147km/h 사이에 형성된다. 미국에서는 평균구속이 140km 중반대였는데 미국에서 있었을 때보다 구속이 상승한 특이한 케이스. 변화구로는 써클 체인지업을 주로 구사하는데, 완성도가 매우 높다. 또한 완급조절을 통해 138km/h 까지 끌어올려 체인지업을 싱킹 패스트볼 처럼 구사한다.[6] 투심 패스트볼도 주 무기중에 하나인데, 투구폼이 로우 쓰리 쿼터라 공에 회전을 매우 잘 걸어서 우타자 무릎 안쪽으로 급격히 휘어들어와 치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컷 패스트볼도 간간히 구사하다 16시즌부터 제대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17시즌엔 많은 탈삼진을 잡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커브도 구사하는데, 너클 커브 계열이라 브레이킹 포인트가 매우 늦으며 움직임도 상당한데다, 구속도 130 초, 중반까지 나올정도로 파워커브와 유사하다.

KBO 리그에서 다양한 구종을 정상급으로 구사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대단한데, 완급 조절 능력 역시 최정상급이라고 할 정도로 뛰어나다. 앞서 말했듯 체인지업의 구속을 120대 초반에서 130대 후반으로 끌어 올릴 수 있으며, 투 스트라이크 이후 타자를 잡기 위해 구속을 끌어올리는 것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점들 때문에 타자들이 상대하기 까다로워 하는 투수 중 한 명이다. 이닝 소화 역시 정상급으로 2016년 헥터 노에시, 양현종과 함께 200이닝을 돌파했다. 제구력은 마이너리그 통산 9이닝당 볼넷 3.31개, 삼진 6.47개로 나쁘지 않은 편.[7] 다만 커리어 전체로 보면 평범한 편이고, 땅볼/뜬공 비율이 1.50으로 땅볼이든 뜬공이든 유도 능력도 평범한 편이다. 한국에 온 이후로는 체인지업을 이용한 땅볼 비율이 굉장히 늘어난 편. 재밌는 것은 켈리를 처음 데려올 때는 땅볼 유도형 투수인 줄 알고 데려왔는데, 매시즌을 거듭할수록 평균구속이 오르더니[8] 이제는 150을 상회하는 포심 패스트볼로 타자들을 윽박지르고 있다.[9] 스카우팅 리포트를 보면 대학 시절부터 투구폼이 와일드했다고 한다. 그 당시 영상을 보면 매우 역동적인 투구폼 때문에, 팔꿈치 부상을 입을 위험이 높았지만, 프로 입단 후 많이 깔끔해졌다. 던지기 전 팔을 길게 늘려 쓰리쿼터로 던지는 투구폼인데, 부상위험도가 낮은 이상적인 투구폼 중 하나라 평가받는 매디슨 범가너의 투구폼이 연상될 정도이다. 덕분인지 커리어를 통틀어 큰 부상이 없는 부분도 주목할 점.

다만, 이러한 장점들이 있음에도 ERA가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것엔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켈리는 경기 초반 다양한 구질로 타자를 상대하지만, 타순이 한바퀴 돌아가면 공이 상대 타자들에 눈에 어느 정도 익어가는지, 주자를 출루시키는 일이 잦아진다.[10] 그렇게 주자가 쌓이고, 경기 초반에 관리하던 투구수도 급격히 늘어나면서 연속 실점을 하는 경기가 종종 있다. 한마디로 흐름을 내주면 상당히 잘 무너지는 투수라는 뜻.

KBO 시절엔 포스트시즌에 상당히 약했었다. 2015년과 2017년 1패라도 하는 즉시 시즌이 끝나는 와일드카드 결정전을 두 경기 등판했는데, 15년엔 블론세이브를, 17년에는 선발로 나와 2⅓이닝 8실점[11]을 기록하며 영혼까지 털리고 말았다. 2018년에는 플레이오프 2차전과 5차전 동안 각각 4이닝 1실점(자책점0), 2⅔이닝 5실점(자책점3)하면서 또 다시 약한 모습을 보여줬으나,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수비수들의 실책에도 흔들리지 않고 7이닝 2실점(자책점0)으로 훌륭한 피칭을 선보이면서 포스트시즌에서 약하다는 모습을 스스로 지워냈다. 한국 시리즈 6차전에서는 5회까지 잘던지다가 6회 3실점으로 흔들리며 내려왔으나 팀은 우승을 했고, 본인도 첫 우승반지를 꼈다. 그리고 메이저리그 진출 후 첫 포스트시즌인 2023년에는 그동안 약한 모습을 보여줬었던 다저스 상대로도 호투하고 챔피언십 시리즈에서도 호투하는 등 가을역적 이미지를 완전히 탈피하는 데 성공하였다.

휴식일을 상당히 타는 편이다. KBO 리그 시절 5일 간격 등판시 평균자책점이 5.22에 달하여 통산 평균자책점 3.86에 비해 무려 1.4점 가까이 더 높을 정도. 원래 오래 쉴수록 더 잘하는 것이 당연하긴 하지만, 에이스급 투수 중에서 이렇게 휴식일에 따라 극단적으로 차이나는 투수는 몇 없었다. 그래서 일정이 KBO보다 더 빡빡하고 휴식일이 더 적은 MLB에서 켈리가 잘 적응할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메이저리그 진출 후에도 92마일대의 패스트볼 구속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주무기였던 체인지업 대신 새로운 주무기가 된 커브의 구사율을 높였다.

타격 실력은 투수들 중에서도 매우 좋지 않은 편이다. 2019년엔 60타석 53타수 1안타로 타율 .019를 기록했는데, 2020년엔 코로나로 인한 한시적 지명타자 도입으로 타석이 없었고, 2021년에 47타수 3안타 타율 .064로 또다시 대단한 타격실력을 보여줬고, 2022년부터는 내셔널 리그에도 지명타자가 도입되며 타석에 설 일이 없어졌다.

2022년 전까지 마이너는 A⁺까지는 리그 상관없이 지명타자제를 도입하고, AA, AAA만 메이저 구단의 소속 리그에 따라 지명타자제를 도입했는데, 켈리는 한국에 가기 전까지 탬파베이 레이스 산하 마이너 소속이라서 말 그대로 학교 졸업하고 디백스에 오기 전까지 방망이를 한번도 안 잡아봤기 때문에 이런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단순히 재미있는 TMI정도는 아닌 게 투수들도 평균적으로 1할대는 치고, 번트도 대고 뛰어댕기고 하다보니 미미하지만 이것도 팀 전력에 어느정도 반영이 된다. 선수평가에 명백히 마이너스가 될 부분. 내셔널리그에 지명타자 제도 도입을 가장 기뻐한 투수 중 한 명이었을 듯.

4. 수상 내역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메릴 켈리의 KBO 수상 경력
2017 탈삼진 1위 / 드림 올스타(감독추천) / 2017 KBO리그 올스타전 우수투수상
2018 한국시리즈 우승 / 페넌트레이스 준우승

파일:MLB 로고.svg
메릴 켈리의 MLB 수상 경력
2022 내셔널 리그 금주의 선수 (2022.07.31.) / 내셔널 리그 이달의 투수 (2022.07.)


파일: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메릴 켈리의 미국 야구 국가대표팀 수상 경력
2023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준우승

5. 여담

  • 2015년 SK 와이번스의 제의를 받기 전에는 한국에 프로야구가 있는 줄도 몰랐다고 한다.
  • 더그아웃에서 카메라를 많이 응시하는 걸로 유명하다.
  • KBO 각 팀별 맞대결 성적중 패가 승보다 많은 팀이 없다! 맞대결 성적중 가장 승률이 낮은 팀은 4승 4패의 NC 다이노스. 나머진 모두 승리가 패보다 많다.
  • 파일:2015071101808_0.jpg
    이닝을 마치고 덕아웃으로 들어갈 때 위 사진처럼 모자를 머리에 걸치며 들어간다.
  • 파일:kelly.jpg
    상당히 유복한 집안에서 자라왔다. 아버지는 고급 호텔 리츠 칼튼의 GM이었으며 은퇴 후에도 여러 개의 식당을 경영 중이라고. 이 짤이 퍼진 이후 켈리의 별명은 '켈리 도련님', 줄여서 켈련님이 되었다.
  • 2017년 12월 여자친구와 약혼을 했다고 한다. 2018 시즌이 끝난 뒤 미국으로 귀국해서 12월 초에 결혼했다.
  • 투수들의 타격이 대부분 별로인 걸 감안해도 그 중에서도 좀 심하게 타격을 못한다. 2021년 5월 3일 기준 65타수 1안타 2볼넷 .015/.045/.015로 메이저리그 역사를 통틀어 50타석 이상 최저 타율을 기록하고 있다.
  • 2022년 기준, 미국 무대로 복귀해 벌써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의 4번째 시즌을 맞이하고 있지만 아직도 한국에 대한 애정이 각별한 편이다. 22시즌부터 켈리의 KBO시절 소속팀이던 SK 와이번스의 후신 팀인 SSG 랜더스에서 뛰게 되는 전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팀 동료였던 케빈 크론에게 한국 야구 스타일과 전반적인 한국의 문화 생활, 그리고 본인이 살았고, 크론이 살게 될 인천광역시라는 도시에 대하여 아주 자세하고 아낌없는 조언을 전해주며 KBO와 전 소속팀에 대한 여전한 애정을 드러냈다. # 그러나 안타깝게도 크론은 시즌 중반에 퇴출되었다.
  • 애리조나 팬들은 켈리와 닮은 꼴 유명인으로 미국의 영화배우인 크리스 엘리엇을 꼽고 있다. # #
  • 김병현과의 인터뷰에서 SK 시절 투수 동료들인 김광현, 문승원, 박종훈과의 단톡방이 있다고 밝혔다. 그래서 2023년 현재에도 자주 연락을 한다고. 야구 이야기보다는 주로 인생 이야기를 한다고 한다. #
  • 한식 중에서 잡채를 아주 좋아한다고 한다. #

6. 관련 문서


[1] 국내 선수 포함 SK 투수 역대 선발 WAR 2위를 기록하고 있다. # 1위는 김광현. [2] 역대 외국인 투수 통산 WAR 8위이자 연평균 WAR 5위를 기록했다. # [3] 첫 번째는 2013년의 류현진. KBO 리그를 경험한 한국 이외 국적 출신 선수로는 켈리가 최초다. [4] 함께 언급된 선수들은 KBO에 오기 전 단 1경기라도 메이저 리그 경력이 있던 선수들임에 반면, 켈리의 경우 메이저리그 등판이 전무했다. [5] 특히 2023년 현재 소속팀인 애리조나의 포스트시즌 진출 이후 팀의 제 2선발로서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고 있다. [6] 사실상 한 구종을 두가지 구종으로 쓰는 셈. [7] 14시즌은 9이닝당 삼진 비율을 8.53개까지 끌어올렸다. [8] 첫해는 평균 구속이 144km/h 대에 머물렀지만 2년차엔 146km/h 로 2km/h 나 끌어올리더니 2018 시즌엔 평균구속이 148km를 찍었다. [9] 하지만 삼진만 늘었지 땅볼/뜬공 비율로 보면 여전히 땅볼이 많은 투수이다. [10] 실제로 4-6회 실점이 전체 실점의 2/3에 이를 정도로 많은 편이다. [11] 8점 모두 자책점이었다. [12] 한국에 오기 전 마지막 소속팀이었다. [13] 당시 등록명 '오르샤' [14] 3, 4위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결승골을 기록하고 크로아티아는 해당 대회에서 3위를 기록하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