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15:34:27

크리스 플렉센

크리스 플렉센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131230><tablebgcolor=#131230>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두산 베어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d700>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캐세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 파일:미국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파머 (2)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콜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니일 (2) 파일:미국 국기.svg
베넷 (3) (2) 파일:호주 국기.svg
우즈 파일:미국 국기.svg
빅터콜 파일:러시아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d700>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이리키 파일:일본 국기.svg
쿨바 (2)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3)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 파일:미국 국기.svg
키퍼 (2)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트라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스미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리오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랜들 파일:미국 국기.svg
레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어 (3) (2) 파일:미국 국기.svg
랜들 (1) 파일:미국 국기.svg
세데뇨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왓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니코스키 (3)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왈론드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라미레즈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르난도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프록터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히메네스 (1)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올슨 (3) (2) 파일:미국 국기.svg
핸킨스 (3)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볼스테드 (2)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 (3) 파일:쿠바 국기.svg
칸투 파일:멕시코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마야 (2) 파일:쿠바 국기.svg
스와잭 (3) 파일:미국 국기.svg
루츠 (2) 파일:미국 국기.svg
로메로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니퍼트 파일:미국 국기.svg
보우덴 파일:미국 국기.svg
에반스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파레디스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반슬라이크 (3) (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후랭코프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플렉센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 파일:쿠바 국기.svg
로켓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미란다 (2) 파일:쿠바 국기.svg
브랜든 (3) 파일:미국 국기.svg
스탁 파일:미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아이티 국기.svg
<rowcolor=#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알칸타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딜런 (2) 파일:미국 국기.svg
브랜든 (3) 파일:미국 국기.svg
로하스 파일:미국 국기.svg
알칸타라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발라조빅 (3) 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랜든 파일:미국 국기.svg
시라카와 (4) 파일:일본 국기.svg
니퍼트 (5) 파일:미국 국기.svg
라모스 (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제러드 (3) 파일:캐나다 국기.svg
어빈 파일:미국 국기.svg
해치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브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5) 은퇴식 특별 엔트리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크리스 플렉센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 파일:2024 KBO 포스트시즌 엠블럼.svg KBO 플레이오프
역대 MVP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5 1996 1997 1998 1999
주형광
롯데 자이언츠 / 투수
최창호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신국환
LG 트윈스 / 내야수
유지현
LG 트윈스 / 내야수
송진우
한화 이글스 / 투수
1999 2000 2001 2002
박석진
롯데 자이언츠 / 투수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 투수
심정수
두산 베어스 / 외야수
안경현
두산 베어스 / 내야수
박용택
LG 트윈스 / 외야수
2003 2004 2005 2006 2007
이진영
SK 와이번스 / 외야수
로페즈
삼성 라이온즈 / 내야수
전상렬
두산 베어스 / 외야수
김태균
한화 이글스 / 내야수
이종욱
두산 베어스 / 외야수
2008 2009 2010 2011 2012
이종욱
두산 베어스 / 외야수
박정권
SK 와이번스 / 내야수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외야수
박정권
SK 와이번스 / 내야수
정근우
SK 와이번스 / 내야수
2013 2014 2015 2016 2017
유희관
두산 베어스 / 투수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 내야수
니퍼트
두산 베어스 / 투수
박석민
NC 다이노스 / 내야수
오재일
두산 베어스 / 내야수
2018 2019 2020 2021 2022
김강민
SK 와이번스 / 외야수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플렉센
두산 베어스 / 투수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 지명타자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외야수
2023 2024
손동현
kt wiz / 투수
레예스
삼성 라이온즈 / 투수
* 플레이오프는 1985년에 시작했지만, MVP는 1995년부터 수상하기 시작했다. 1999년과 2020년은 양대리그제로 플레이오프가 2경기 개최되었다. }}}}}}}}}

보유 기록
KBO 포스트시즌 2경기 연속 두 자릿수 탈삼진 2020년

뉴욕 메츠 등번호 64번
아킬 모리스
(2015)
<colcolor=#fff> 크리스 플렉센
(2017~2019)
옌시 디아즈
(2021)
두산 베어스 등번호 34번
린드블럼
(2018~2019)
플렉센
(2020)
로켓
(2021)
시애틀 매리너스 등번호 77번
결번 크리스 플렉센
(2021~2023)
라이더 라이언
(2023)
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32번
디넬슨 라멧
(2022~2023)
크리스 플렉센
(2023)
다코타 허드슨
(2024)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77번
루이스 파티뇨
(2023)
크리스 플렉센
(2024)
결번
}}} ||
}}} ||
파일:화이트삭스플렉센.jpg
크리스 플렉센
Christopher John Flexen
본명 크리스토퍼 존 플렉센
Christopher John Flexen
출생 1994년 7월 1일 ([age(1994-07-01)]세)
캘리포니아 뉴어크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메모리얼 고등학교
신체 191cm | 99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2년 드래프트 14라운드 (전체 440번, NYM)
소속팀 뉴욕 메츠 (2017~2019)
두산 베어스 (2020)
시애틀 매리너스 (2021~2023)
콜로라도 로키스 (2023)
시카고 화이트삭스 (2024)
등장곡 Hippie Sabotage - Your Soul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 국적의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크리스 플렉센/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7년 2018년 2019년 2021년
2022년 23 SEA 23 COL 2024년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20년

3. 피칭 스타일

파일:5dec72350a1e6.gif 파일:프렉센_체인지업.gif 파일:프렉센_패스트볼.gif
슬라이더 체인지업 패스트볼

서번트 기준 70도가 찍히는 MLB에서 가장 높은 팔각도로 던지는 오버핸드 투구폼과 함께, 평균 구속 91~92마일, 최고 구속 98마일에 형성되는 포심 패스트볼을 구사하며, 변화구로는 커터와 커브, 체인지업을 두루 구사하는 우완 정통파 투수다.

특히 패스트볼과 싱커, 커터를 주로 구사하는 덕분에 마이너 리그 통산 땅볼 비율이 40%를 훌쩍 넘길 정도로 땅볼 유도가 많은데, KBO 최고의 수비력을 가졌다고 평가받는 두산 베어스의 수비진과 만났을 때의 시너지 효과 역시 기대되는 부분. 여기에 회전수 높은 커브와 체인지업 등 변화구 구사 능력도 뛰어나다. 특히 플렉센의 커브 회전수는 메이저리그 기준에서도 최상위권에 속한다.

다만 다소 큰 투구폼과 불안정한 커맨드가 약점이란 평가를 듣는다.[1][2] 그리고 우투수임에도 불구하고 우상바라는 것이 걸린다.[3] 국내 투수 중에는 송승준이 이러한 편이다. 메이저리그에 살아남지 못한 이유도 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우투수는 좌타에게 약하고 우타에게 강한 게 맞는데, 우타자에게 약하면 성공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거의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것이다. # 메이저리그든, 한국야구든 좌타보다 우타가 더 많기 때문이다. 아무래도 좌타우타 안 가리고 투구판 1루 끝 쪽을 밟고 던진다. 이러면 좌타에게는 유리해질지 몰라도 우타에게는 반대로 약해진다. 왼쪽 어깨가 다소 빨리 열리는 경향이 있고, 디셉션도 그닥 뛰어나지 않다는 것. 따라서, 도루 허용이 잦으며, 제구 불안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는 것.

메이저에서는 불안한 커맨드 때문에 불펜으로 주로 나왔으나, 플렉센이 그동안 찍어온 기록을 보면 2018년까지는 선발투수로 나선 비중이 압도적이다. 2019년의 소화 이닝이 다소 적은 것 만으로 선발 경험을 크게 우려할 정도는 아니라는 뜻이며, 더구나 그 2019년 트리플A 기록도 경기별 기록을 살펴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시즌 초에 선발로 나서며 경기 당 거의 6이닝 정도를 꾸준히 소화하다가, 6월 초중반 MLB 콜업 후 불펜으로 주로 나선 뒤 마이너로 돌아오고 나서 불펜으로 뛰는 모습이 보이며, 이는 플렉센의 원래 보직 자체는 선발투수였음을 반증한다. 선발 경험이 일천한 선수를 이름값만 보고 뽑아왔다는 평가는 과장이 심하다고 볼 수 있다. MLB에서 불펜으로 뛰지 않았냐는 반박이 나올 수 있지만, 그나마도 2017 시즌은 선발과 불펜을 오가며 뛰었고 2018~2019 시즌은 고작 20이닝 정도 던진게 전부. 오히려 마이너에서 선발로 나온 이닝이 더 많다. 거기에 KBO 리그는 MLB가 아니다. 그 정도의 수준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마이너리그 시절처럼 선발로 뛰는 데 문제가 없다.

4. 여담

  • 2020년 6월 20일 LG전에서 덕아웃에서 유희관과 장난치는 모습이 중계 카메라에 포착되었다. # 유희관의 ' 나야나' 춤을 따라한 것으로 보인다.
  • 개막 직전 유희관과 똑같은 모히칸 헤어스타일을 하고 훈련에 나타났다. # 이벤트성으로 잠시 한 것이며 다음날 바로 밀었다고 한다. 평소에는 야구에 집중하기 위해 삭발을 한다.
  • 부상으로 재활하는 동안 자신에게 2군 식단과 별도로 닭가슴살과 계란 후라이를 제공해 준 이천 베어스파크 영양사에게 감사의 메세지와 팁을 건네 화제가 되었다. 팁 문화가 생소한 한국이라 처음에 영양사는 안 받겠다고 했지만 플렉센이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 싶다고 2군 팀장에게 부탁했다고. 영양사는 일한 지 20년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다고 인스타그램에 소감을 밝혔다. 두산 베어스 팬들이 플렉센 사인을 처음으로 보게 된 건 덤.
  • 마운드 위에서 한 성깔 할 거 같은 비주얼과는 달리[4] 멘탈이 꽤 좋은 편이며 경기가 잘 안 풀리거나 야수들이 실책해도 화를 내거나 인상을 쉽사리 구기지 않는다.[5] 전임 용병인 세스 후랭코프가 이거 때문에 논란이 있었던 것과는 상반되는 모습. 미담도 많아서 비록 성적에 대한 평가는 다소 갈리더라도 두산 팬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겨주고 있다. 그리고 부상 복귀 후 호투하더니 포스트시즌에서는 팀을 캐리하면서 두산 팬들에게는 호평 일색.
  • 모자를 쓰고 있을 때는 20대라는 것이 느껴지지만 모자를 안 쓰고 있을 때는 탈모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는 걸 알게 된다.[6]
  • 독특한 리액션이 많아서 움짤이 자주 생산되고 있다. 2020 준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그 무시무시한 투구를 보여주고 덕아웃에서 쉬는 동안 깜찍한 쌍브이를 날린다던가, 2020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김재환의 아쉬운 타구처리를 지켜보고 탄식하는 장면이라던가. #
  • 이름 때문에 FLEX라는 단어와 자주 엮인다. 영입될 때부터 돈 없는 두산이 100만 달러를 FLEX했다는 발언이 시작되더니 이젠 잘 던지는 날에는 팬들이 SUPER FLEX라고 부른다. 중계진들에게도 이게 알려졌는지, MBC 캐스터인 김나진이 플레이오프 1차전 중계에서 '플렉센은 오늘도 FLEX합니다'라는 멘트를 남겼다.
  • 2021 시즌 두산의 외국인 투수 워커 로켓과 친하다. 메츠 시절 같이 뛰었으며 로켓의 두산 이적도 플렉센의 추천으로 성사되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로켓의 2021년도 플렉센과 비슷했는데, 강력한 투심 구위와 함께 좋은 성적을 냈지만 부상으로 인해서 100%의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차이점이라면 로켓은 그 부상이 가을에도 이어지면서 포스트시즌 내내 결장한 반면, 플렉센은 정규시즌에는 로켓보다 더 자리를 오래 비웠지만 포스트시즌에 말 그대로 날아다녔다는 점.
  • 두산이 2021년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는 소식을 듣고 직관을 하기 위해 2차 백신도 맞으며 입국하려 했지만 자가격리에 걸리며 직관이 물건너갔다고 한다. #
  • 현재 투타 양면에서 최고의 기량을 보여주는 슈퍼스타인 오타니 쇼헤이의 몇 안되는 천적이다. 오타니를 상대로 삼진과 범타로 마무리했다.

5. 관련 문서


[1] 프록터가 구속은 90마일 중반대로 빠르지만, 커맨드가 불안정한 관계로 마무리로 뛰었던 것과 비슷하다. [2] 다만 MLB에서 커맨드에 약점을 보이다가 한 단계 낮은 리그에서 자리를 잡으면서 본인 공에 자신감을 갖고 커맨드 안정화를 성공시킨 케이스 역시 있는데, 멀리 갈 것도 없이 더스틴 니퍼트가 있다. 20시즌 가을 들어 커맨드도 상당히 개선되었다. 주자가 나가면 조금 불안해지는 문제가 있지만 이마저도 컨디션이 좋으면 구위로 찍어누른다. [3] 2019년 트리플A에서 좌타자에게는 ERA 2.76 / 피안타율 0.258을 기록했으나 우타자에게는 ERA 5.80 / 피안타율 0.333을 기록하면서 전형적인 우상바 기질을 보여주고 있다. [4] 하지만 인스타 사진을 보면 상당히 순둥하게 생겼다. [5] 다만 2020년 한국시리즈 2차전에서 제구가 뜻대로 되지 않고 스트라이크 콜에서 몇 번 불이익을 보며 표정이 안 좋아지는 장면이 종종 나왔었다. 존에 대한 불만을 몇 번 표출하기도. [6] 삭발 때문에 M자 탈모가 선명하게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