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10:41:07

댄 스트레일리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프로필 표에서 2020~21년 롯데 경력과 2022년 롯데 경력을 한 줄에 표기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프로필 표에서 2020~21년 롯데 경력과 2022년 롯데 경력을 한 줄에 표기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댄 스트레일리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롯데 자이언츠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브래디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길포일 (2) 파일:미국 국기.svg
기론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우드 (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 (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칸세코 (1) 파일:쿠바 국기.svg
호세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이 (3) 파일:미국 국기.svg
베로아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3)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처 (2) 파일:미국 국기.svg
매기 (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3)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모리 (1)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온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보이 (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페레즈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이시온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온 (3)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온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펠로우 (3)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이로우 (2) 파일:미국 국기.svg
존갈 (3)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세 (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 (3)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 (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매클레리 (2) 파일:미국 국기.svg
코르테스 (3) 파일:멕시코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애킨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 (2) 파일:미국 국기.svg
부첵 (3)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먼드 (1) 파일:캐나다 국기.svg
옥스프링 (3) 파일:호주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 (2)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웰 (3) (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마켈 (1) 파일:미국 국기.svg
애디튼 (3) (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3) 파일:미국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듀브론트 (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
톰슨 (2) 파일:미국 국기.svg
다익손 (3) 파일:캐나다 국기.svg
아수아헤 (2)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 (3)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파크맨 (2)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 (3)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스 (2)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 (3)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 (2)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 (3)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 (2) 파일:미국 국기.svg
구드럼 (3)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롯데 자이언츠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ed1c24> 1982~1983 1984~1987 1988~1990 1991 1992~1993
노상수 최동원 윤학길 박동희 윤학길
1994 1995~1996 <rowcolor=#000> 1997 1998~2000 2001
강상수 주형광 강상수 주형광 기론
2002 <rowcolor=#fff> 2003 2004 2005 2006
문동환 김장현 이상목 염종석 이상목
<rowcolor=#fff> 2007~2008 2009 2010 2011 2012~2014
손민한 송승준 사도스키 코리 송승준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레일리 린드블럼 레일리 듀브론트 레일리
2020~2021 2022 2023 2024
스트레일리 반즈 스트레일리 윌커슨
}}}}}}}}}}}} ||

댄 스트레일리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20 KBO 리그 탈삼진왕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투수 마일스톤 기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0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시진
(1983~1992)
1987년 / 124승
최동원
(1983~1990)
1990년 / 103승
선동열
(1985~1995)
1990년 / 146승
장호연
(1983~1995)
1993년 / 109승
윤학길
(1986~1997)
1994년 / 117승
정삼흠
(1985~1996)
1996년 / 106승
이강철
(1989~2005)
1996년 / 152승
조계현
(1989~2001)
1996년 / 126승
송진우
(1989~2009)
1997년 / 210승
김용수
(1985~2000)
1998년 / 126승
정민철
(1992~2009)
1999년 / 161승
김상진
(1989~2003)
1999년 / 122승
이상군
(1986~2001)
2000년 / 100승
한용덕
(1987~2004)
2000년 / 120승
정민태
(1992~2008)
2000년 / 124승
김원형
(1991~2011)
2005년 / 134승
임창용
(1995~2018)
2007년 / 130승
김수경
(1998~2012)
2007년 / 112승
이상목
(1990~2009)
2008년 / 100승
손민한
(1997~2015)
2009년 / 123승
이대진
(1993~2012)
2009년 / 100승
박명환
(1996~2015)
2010년 / 103승
배영수
(2000~2019)
2012년 / 138승
장원삼
(2006~2020)
2015년 / 121승
윤성환
(2004~2020)
2016년 / 135승
김광현
(2007~)
2016년 / 158승
장원준
(2004~2023)
2016년 / 132승
양현종
(2007~)
2017년 / 168승
송승준
(2007~2021)
2017년 / 109승
니퍼트
(2011~2018)
2018년 / 102승
차우찬
(2006~2023)
2019년 / 112승
유희관
(2009~2021)
2021년 / 101승
}}}}}}}}} ||
300세이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오승환
(2005~)
2021년 / 400세이브
}}}}}}}}} ||
2000탈삼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송진우
(1989~2009)
2008년 / 2048탈삼진
}}}}}}}}} ||
같이 보기: KBO 리그 타자 마일스톤 기록
}}}}}}}}}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67번
션 두리틀
(2012)
댄 스트레일리
(2012~2014)
대니 쿨롬
(2015)
시카고 컵스 등번호 19번
네이트 슈어홀츠
(2013~2014)
<colcolor=#fff> 댄 스트레일리
(2014)
조나단 에레라
(2015)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7번
제프 펄치노
(2010~2011)
댄 스트레일리
(2015)
크리스 데벤스키
(2016~2020)
신시내티 레즈 등번호 58번
네이선 애드콕
(2015)
<colbgcolor=#000> 댄 스트레일리
(2016)
루이스 카스티요
(2017~2022)
마이애미 말린스 등번호 58번
라두엘 라조
(2015)
댄 스트레일리
(2017~2018)
윌킨 카스티요
(2019)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53번
잭 브리튼
(2011~2018)
댄 스트레일리
(2019)
타이 블락
(2019)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8번
정준혁
(2018~2019)
스트레일리
(2020~2021)
진승현
(2022~2022.8.4.)
진승현
(2022~2022.8.4.)
스트레일리
(2022.8.10.~2023)
결번
}}} ||
}}} ||
파일:2023 댄 스트레일리 프로필.png
댄 스트레일리
Dan Straily
본명 대니얼 스티븐 스트레일리
Daniel Steven Straily
출생 1988년 12월 1일 ([age(1988-12-01)]세)
캘리포니아 주 레들랜즈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서스턴 고등학교 - 웨스턴 오리건 대학교 - 마셜 대학교
신체 189cm, 100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9년 드래프트 24라운드 (전체 723번, OAK)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12~2014)
시카고 컵스 (2014)
휴스턴 애스트로스 (2015)
신시내티 레즈 (2016)
마이애미 말린스 (2017~2018)
볼티모어 오리올스 (2019)
롯데 자이언츠 (2020~2021[1], 2022~2023)[2][3]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치 아이콘.svg
가족 아내 아만다 장 밀러
아들 잭슨 스트레일리
1. 개요2. 선수 경력3. 피칭 스타일4. 연도별 주요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 국적의 투수. 롯데 자이언츠 레전드 외국인 투수였다. [4]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 댄 스트레일리/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12년 2013년 14 OAK 14 CHC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3. 피칭 스타일

우완 쓰리쿼터 스타일로 평균 구속 145km/h 정도의 패스트볼 슬라이더, 체인지업 등의 변화구를 구사한다. 메이저리그에서의 투구비율은 전체적으로 패스트볼의 비율이 가장 높고 변화구 중에선 슬라이더와 체인지업을 자주 구사했다. 커리어 초반에는 낙폭이 큰 변화구로 뛰어난 탈삼진 능력을 보여줬으나 2019년에는 무릎 부상의 영향으로 변화구의 궤도가 무뎌지면서 피장타율이 높아졌다. 롯데 자이언츠는 이 부상에서 회복한다면 스트레일리가 좋은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하고 그를 영입했다. 박세웅의 커브 그립으로 낙차 큰 커브도 종종 던진다.[5] 슬라이드 스텝은 약간 느리지만 좋은 공과 제구로 타자를 압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파일:DanStraily_pitch_slider.gif
슬라이더(2017 시즌)

탈삼진/볼넷비율은 마이너리그 통산 3.51, 메이저 리그 통산 2.18이고 트리플 A에선 9이닝당 볼넷 2.6개를 기록했다. 비교적 뜬공이 많이 나오는 유형으로 이닝 대비 피홈런 횟수도 점점 늘어나는 편. 비교적 하위리그인 KBO에서는 205K를 기록할 정도로 탈삼진을 많이 잡아내고 있다.

1회에는 고전하면서 투구수가 늘어나도 6이닝 7이닝 먹는 슬로우 스타터의 모습을 보여주며 불펜의 피로도 또한 줄여준다. 시즌 초 아드리안 샘슨의 공백으로 4일 로테이션을 돌고 중반에 휴식없이 후반 5강 싸움을 위해 다시 4일 로테를 소화해내며 놀라운 체력을 보여줬다. 전담 포수제로 정보근과 호흡을 맞추는데 호흡이 잘 맞아 투구 템포가 상당히 빨라진다. 실제로 김준태가 중간에 들어오면 정보근에 비해 투구 템포가 느려지는 모습도 보여준다.

2021년엔 제구도 많이 무뎌졌으며 패스트볼의 구위 역시 많이 떨어지면서 140 후반의 패스트볼이 깨끗하게 맞아나가면서 무너지는 모습을 보여주다 시즌 후반기에 조금씩 폼이 올라오는 모습을 보였다.

4. 연도별 주요 성적

  • 푸른 글씨는 KBO 최다,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진한 글씨는 리그 5위 내 입상 성적.
MLB 역대 성적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탈삼진 피안타율 WHIP bWAR
2012 OAK 7 2 1 0 0 39.1 3.89 32 .237 1.32 0.4
2013 27 10 8 0 0 152.1 3.96 124 .233 1.24 1.5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탈삼진 피안타율 WHIP bWAR
2014 OAK/ CHC 14 1 3 0 0 52 6.75 47 .260 1.48 -1.0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탈삼진 피안타율 WHIP bWAR
2015 HOU 4 0 1 0 0 16.2 5.40 14 .239 1.44 -0.1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탈삼진 피안타율 WHIP bWAR
2016 CIN 34 14 8 0 0 191.1 3.76 162 .220 1.19 4.1
<rowcolor=#f9423a>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탈삼진 피안타율 WHIP bWAR
2017 MIA 33 10 9 0 0 181.2 4.26 170 .256 1.30 1.2
2018 23 5 6 0 0 122.1 4.12 99 .237 1.30 0.6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탈삼진 피안타율 WHIP bWAR
2019 BAL 14 2 4 0 0 47.2 9.82 33 .349 1.99 -1.3
MLB 통산(8시즌) 156 44 40 0 0 803.1 4.56 681 .246 1.32 5.4
KBO 역대 기록
<rowcolor=#fff> 연도 출장 이닝 ERA ERA+ FIP 피안타 피홈런 볼넷 탈삼진 WHIP sWAR
2020 롯데 31 194⅔
(3위)
15
(3위)
4 0 0 2.50
(2위)
194.9 3.01 148 10 51 205
(1위)
1.02 7.53
(3위)
2021 31 165⅔ 10 12
(1위)
0 0 4.07 111.5 3.63 162 12 66 164
(5위)
1.38 3.02
2022 11 62⅓ 4 2 0 0 2.31 180.1 3.96 54 5 22 55 1.22 1.82
2023 16 80⅓ 3 5 0 0 4.37 92.5 4.36 82 6 37 70 1.48 0.67
KBO 통산
(4시즌)
89 503 32 23 0 0 3.29 135.1 3.55 446 33 176 494 1.19 13.04

5. 여담

  • 브룩스 레일리의 대체 외인으로 롯데로 왔다 보니 롯데팬들 사이에서는 레일리가 가고 스트라이크를 던지는 레일리가 왔다, 레일리가 해탈한 나머지 성인이 되어 왔다[6] 같은 발언이 성행하고 있다. 심지어 나이도 같다. 호투 후에 승리를 못 챙기는 것도 같아서 스트레스+ 레일리라는 농담도...[7] 단 스트레일리와 레일리의 철자는 각각 Straily와 Raley이고, 던지는 손도 반대이다.
  • KBO 리그에서의 데뷔전을 치르고 난 다음날에 가진 ESPN과의 화상 인터뷰에서 KBO의 야구장 환경에 대해 마치 NBA 경기장 같다고 표현했다. #
  • 자신이 입단하기 전 2018년에 발생했던 이대호 치킨 사건을 알고 있다. 이 사건을 Momentum 채널의 화상 인터뷰에서 언급했다. 영상
  • 본인의 기량 자체도 훌륭하지만 팀 스피릿과 워크에식이 대단히 좋다. 스스로 자신의 승리보다는 팀이 이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하며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는 외인 투수이다. 훈련이던 경기던 성실하게 임하며, 외국인 선수임에도 불구하고 팀 분위기를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며 솔선수범하는 모습에 팬들은 절대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롯데 자이언츠의 성민규 단장 역시 이영미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스트레일리는 프로다. 생활도 프로, 인터뷰도 프로, 모든게 프로. 돈을 더 주고 싶게 만드는 선수" 라며 극찬한 바 있다.
  • 신발을 좋아한다고 한다. 시즌 중 성민규 단장이 신고 있던 나이키 조던 운동화에 관심을 보였고, 이에 성민규 단장이 한 켤레를 주문해주었다고 한다. 스트레일리는 가격을 지불하겠다고 했지만 성민규 단장이 고사했다고.
  • 최근 선수단에게 김준태를 프린트한 티셔츠를 나눠줬다고 한다. 이 티셔츠가 공개된 이후 팬들의 제작 요청이 쇄도하자 실제로 제작에 들어간다! 8월 12일 경기에서는 구단 자체 수훈선수 인터뷰 때 실제 모델인 김준태와 함께 같이 준태티를 입었다.[8]
  • 아버지가 전직 소방관인데, 2020년 7월에 한 어린이를 구하기 위해 강물에 뛰어들었고, 무사히 구조했으며 혹시 모를 폐렴 검진을 위해 입원중이라며 SNS에 글을 올렸다. # 그러면서 스트레일리는 자신의 아버지의 행동에 놀라지 않았고, 그게 자신의 아버지의 모습이며, 그런 아버지가 자랑스럽다고 밝혔다.
  • 자신의 선발 경기가 있는 날, 경기 시작 전에 커피를 팀원들에게 산다고 한다. 이제 루틴이 된 듯. 그런데 커피를 사고 난 이후부터 귀신같이 연승 중이다.
  • 7월 현재 계속해서 호투를 이어나가고 있고 약간 불안한 선발진[9]을 홀로 지탱하는 모습을 보여주자 동원, 형광을 이은 댄 학길로 불리고 있다.
  • 무관중으로 진행된 시즌 도중 선수단을 응원하기 위해 짝짝이를 더그아웃에 보급시켰다. 이 짝짝이는 관중 입장이 재개된 후 롯데 공식 응원도구가 되었다.
  • 수염이 에릭 테임즈를 연상시킬 정도로 강렬하게 인상적이라는 의견이 많다. 본인도 자기 수염이 최고라고 할 정도이다.
  • 자이언츠 TV에서 이대호 정훈 중에서 누가 더 잘생겼냐는 질문에 둘 다 아니라고 말했다.[10] 그러다 이대호의 딸인 예서 양이 다가오자, 이대호라고 답하는 재치를 보였다. #
  • 본인의 인생영화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겨울왕국이라 답했다. #
  • 본인의 최애 껌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Big red gum 이라고 답했다. #
  • 배번 58번은 메이저리그에서 좋은 성적을 거뒀을 때 단 번호라고 한다.
  • 유강남이 FA로 롯데로 이적하자 케이시 켈리에게 “너네 포수 뺏어 왔다”라고 문자를 보냈다고 한다.
  • 2023년 11월에 Breaking Bats 유튜브 채널 ML 8년 베테랑투수로 등장했다 #

6. 관련 문서


[1] 2021 시즌 종료후 롯데 재계약 거부 후 마이너리그 계약 [2] 2022 시즌 도중 대체용병으로 영입 [3] 2023 시즌 도중 방출 [4] 첫 해였던 2020시즌은 탈삼진왕을 차지하는 등 자타공인 롯데를 넘어 리그 최고의 에이스 중 하나였으며, 이듬해인 2021시즌에도 10승을 달성하였고, 미국으로 돌아간, 2022시즌 도중 롯데에 복귀하여 후반기에 1선발로 선발진을 이끌었다. [5] 댄 스트레일리가 박세웅의 낙차 큰 커브에 매우 관심이 있었고 직접 비법을 전수받는 모습이 자이언츠 TV에 포착됐다. [6] St. 레일리 [7] 이것에 관한 또 다른 농담도 있는데, KIA에 있는 애런 브룩스와 스트레일리가 2020 시즌 6월까지만 해도 정말 승운이 없는 투수였다. 이를 보고 팬들은 이 둘이 각각 '브룩스'와 '레일리'를 나눠 가져갔기 때문에 승리를 못 챙긴다는 농담을 한다. [8] 이 날 스트레일리는 6이닝 2실점, 김준태는 데뷔 첫 만루홈런으로 팀 승리에 공헌했다. [9] 노경은이 부상으로 이탈하고 대체선발인 장원삼이 최대한 막고 있고 박세웅은 피홈런, 서준원은 제구력 난조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아드리안 샘슨은 불이나 저지르고 있다. [10] 원문 "Nei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