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67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700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
<rowcolor=#670000>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
<rowcolor=#670000>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덕종 | 정종(靖宗) | 문종 | 순종 | |
<rowcolor=#670000>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선종 | 헌종 | 숙종 | 예종 | |
<rowcolor=#670000>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인종 | 의종 | 명종 | 신종 | |
<rowcolor=#670000>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희종 | 강종 | 고종 | 원종 | |
<rowcolor=#670000>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
<rowcolor=#670000>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충목왕 | 충정왕 | 공민왕 | 우왕 | |
<rowcolor=#670000> 제33대 | 제34대 | |||
창왕 | 공양왕 | |||
}}}}}}}}}}}} |
충정왕 관련 틀
|
|||||||||||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제30대 국왕
충정왕 | 忠定王 |
|||
|
|||
총릉 전경 | |||
출생 |
1338년
9월 8일[1][2] (음력 충숙왕(후) 7년 8월 16일) |
||
즉위 |
1349년
6월 2일[A] (음력 충정왕 원년 5월 8일) |
||
사망 |
1352년
3월 31일[4] (향년 13세) (음력 공민왕 원년 3월 7일) |
||
고려 양광도 강화현[5] (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
|||
능묘 | 총릉(聰陵) | ||
재위기간 | 고려 제30대 국왕 | ||
1349년
6월 2일[A] ~
1351년
11월 3일[7] (음력 충정왕 원년 5월 8일 ~ 충정왕 3년 10월 6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 개성 왕씨 | |
휘 | 저(㫝) | ||
부모 |
부왕
충혜왕 모후 희비 윤씨 |
||
형제자매 | 3남 1녀 중 차남 | ||
배우자 | 왕제의 모후? | ||
자녀 | 1남? | ||
몽골식 이름 | 미스겐도르지(迷思監朶兒只) | ||
봉호 | 경창부원군(慶昌府院君) | ||
작호 | 심왕(瀋王) | ||
시호 | 충정왕(忠定王) | ||
별호 | 저왕(㫝王) / 폐왕(廢王) | }}}}}}}}} |
[clearfix]
1. 개요
고려의 제30대 군주.고려식 휘는 '저'(㫝), 몽골식 휘는 '미스겐도르지'(迷思監朶兒只). 묘호는 없고, 시호는 '충정왕'(忠定王)이다.
시호는 원나라에서 내려준 '충정'만이 존재하고, 폐위된 군주라 고려 조정에서는 시호를 올리지 않았다. 그래서 충정왕이라 부르지 않는 경우에는 '폐왕 저', 혹은 '저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지막 '충' 자 돌림 임금이자 마지막으로 원나라에서 시호를 받은 임금이기도 하다. 공민왕의 시호는 명나라에서 내렸고, 우왕과 창왕은 시호가 없었으며 공양왕의 시호는 조선 태종이 올렸기 때문.
2. 생애
제28대 충혜왕의 차남으로, 제2비 희비 윤씨 소생인데, 즉위 전에는 '경창부원군'(慶昌府院君)으로 불렸다가 선왕이자 이복형이였던 충목왕이 어린 나이에 승하하자 그 뒤를 이어 고려의 제30대 국왕이 되었다. 이때 섭정 자리를 놓고 충혜왕의 제1비 덕녕공주와 충정왕의 모친 희비 윤씨 사이에서 세력 다툼이 벌어졌는데, 덕녕공주가 고려의 다른 왕들과 달리 충혜왕이 첫 혼인으로 맞은 부인[8]에다가 원나라 황족이기까지 했으므로 자연스레 섭정은 덕녕공주가 맡게 되었다. 그러다 충정왕 2년인 1350년, 덕녕공주가 원나라로 떠나면서 섭정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9]선왕 충목왕이 영리했다고는 하나 연달아 어린 임금이 즉위한 나머지 충목왕 말기부터 환관과 외척의 전횡이 상당히 심해졌고[10][11] 특히 기황후의 오빠 기철 일파의 전횡이 매우 심각했는데, 더 큰 문제는 안으로만 혼잡한 것이 아니라 외적으로도 꽤 어지러웠다는 것이다. 한반도 주변 상황을 보더라도 원나라마저 혼란기에 접어든 무렵이었고, 특히 일본 열도에서는 가마쿠라 막부가 멸망하고, 2명의 천황이 대립하는 남북조시대의 혼란기가 와서 중앙정부의 통제력이 거의 상실[12]되고 말았다. 이 틈을 타 세력이 커진 왜구의 침입이 도를 넘을 정도로 심해졌으며, 특히 1350년 무렵 이들의 침략과 약탈 등이 100여 회가 넘을 정도로 폭발적인 활동을 벌였는데 아예 이 해의 간지를 따서 경인왜구(庚寅倭寇)라고 부를 정도였다.
이렇듯 고려가 내우외환에 시달리자 고려 내부에서는 어린 임금으로는 위기 극복이 결코 못 될 것이니 그를 교체하여 국면의 전환을 노려보고자 하는 여론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그래서 충목왕이 승하했을 때 충정왕과 함께 유력한 왕위 계승 후보자로 꼽혔으며, 충정왕과는 다르게 이미 장성한 나이였던 삼촌 강릉대군 왕기[13]에게 시선이 집중되었다. 급기야 윤택, 이승로를 중심으로 하여 도당에서 정식으로 원나라에 요청한 후 고려 국왕 교체가 전격 결정되었고 이에 폐위된 충정왕은 강화도에 유배되고 말았다. 그리고 이듬해 숙부 강릉대군이 임금이 되자 폐주 충정왕은 향년 16세로 원나라에 의해 독살당하는 비운을 맞았으나,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공민왕 본인이 손수 독살을 주도했다고 보고 있다. 한편 이 사건은 당시 고려 국왕이라는 자리가 얼마나 유명무실한 자리인지를 여지없이 보여주는 사건이기도 하다. 아무리 나이가 어리고 통치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국왕이라 하더라도 쿠데타처럼 무력을 동원하는 것도 아니고 정부 기관에서 국왕의 폐위를 의결하여 상국의 재가를 받아 집행할 수 있었다는 것은 당시 고려 국왕이라는 자리가 무신정권 시기의 고려 국왕보다도 더 허약한 허수아비 자리였음을 증명한다.
3. 평가
《 고려사》와 기록에 의하면 난폭한 행동을 일삼는 폭군이자 간신과 외척의 전횡으로 국정을 문란케한 암군이었다고 한다.[14] 하지만 당시 충정왕의 나이가 너무 어렸고, 실권이 없는데다 충정왕 본인이 부왕 충혜왕이 막장 행각을 일삼다가 어떤 비참한 최후를 맞았는지 알았을 것이고, 승자인 공민왕 측에서 폐위의 정당성을 위해 조작한 기록일 가능성이 높다는 반론도 있다.[15] 특히 《고려사》 <충정왕 세가>를 읽어보면 사망 기사에 딸린 대목 외에는 폭정에 대한 기록이 없기도 하고, 또한 결정적으로 이 기록 외에는 교차검증이 되는 내용도 없어서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에는 어려운 부분이 많다.嘗夜 王與近侍 相戲謔達曙 或以墨 灑侍學官衣。或有近女而行者 便生妬心 雖宰相 至見撞擊 往往以鐵椎 擊人幾死 或於冬月 取冰雪水 和凍飯食人 狂悖類此。
밤에 왕이 근시(近侍)와 함께 새벽까지 장난질을 친 일도 있으며 때로는 시학관(侍學官)의 옷에다 먹물을 뿌리기도 했다. 여자와 함께 길을 가는 사람을 보면 질투심을 일으켜 그가 비록 재상이라도 마구 때렸으며 쇠몽둥이로 사람을 쳐서 거의 죽게 만드는 일도 있었고 때로는 한 겨울에 얼어붙은 밥에 얼음물을 부어 사람에게 먹이는 등 광패한 행동을 일삼았다.
《 고려사》 충정왕 3년
밤에 왕이 근시(近侍)와 함께 새벽까지 장난질을 친 일도 있으며 때로는 시학관(侍學官)의 옷에다 먹물을 뿌리기도 했다. 여자와 함께 길을 가는 사람을 보면 질투심을 일으켜 그가 비록 재상이라도 마구 때렸으며 쇠몽둥이로 사람을 쳐서 거의 죽게 만드는 일도 있었고 때로는 한 겨울에 얼어붙은 밥에 얼음물을 부어 사람에게 먹이는 등 광패한 행동을 일삼았다.
《 고려사》 충정왕 3년
《 동국통감》에서는 동정적인 태도로 충정왕에 대한 평을 내렸는데 자기 수명을 마치지 못했다는 것이다. 《동국통감》에서는 그의 독살을 주도한 것으로 지목받는 공민왕을 깠다.
[사신(史臣)이 말하기를] “충목왕(忠穆王)·충정왕(忠定王)은 모두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는데, 덕녕공주(德寧公主)와 희비(禧妃)가 어머니라는 존귀한 위치로 안에서 권세를 부리고, 간신(奸臣)과 외척(外戚)은 밖에서 권세를 부리니, 두 임금이 비록 영리한 자질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할 수 있었겠는가? 또 충정왕의 때를 당하여 강릉대군(江陵大君)은 직접 숙부가 되므로 국인(國人)들의 마음을 얻었으며, 또 원나라의 후원이 있었는데, 여러 윤씨(尹氏)들이 이런 사정을 돌아보지 않고 당파를 만들어 사욕을 부렸으므로, 화근(禍根)을 빚어서 마침내 왕으로 하여금 불행히 짐독(鴆毒)의 살해를 당하게 하였으니, 슬프다.” 하였다.
《 동국통감》 제45권 충정왕 3년 신묘년
《 동국통감》 제45권 충정왕 3년 신묘년
4. 기타
- 《 개성 왕씨 족보》에 의하면 시중공 왕제(王濟)라는 서자가 있었다고 하며, 실제로 개성 왕씨 집안에 왕제의 후손을 자처하는 시중공파가 있다. # 하지만 《 고려사》와 《 고려사절요》 같은 정사에는 그런 기록이 보이지 않으며, 오직 《개성 왕씨 족보》에서만 보인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는 조선 시대때 편찬된 사서라 고려 왕조의 정통성을 훼손하기 위해 기록하지 않았거나 아예 《 고려실록》에서부터 누락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원래 족보 자체가 위조나 과장이 많아서 그대로 믿기 곤란하고, 시중공 왕제가 실존 인물이라고 해도 생모에 대한 기록도 불분명할 정도로 출신이 미약한 서자이기 때문에 별 문제없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생모가 정식으로 후궁이 되지 못한 이름없는 궁녀일 수도 있다.[16] 조선이라는 나라 자체가 폐가입진[17]을 명분으로 일어선 나라였기 때문에 만약에 시중공 왕제가 충정왕의 자손이라면 공민왕보다도 정통성이 높다는 문제가 생긴다. ' 시중'이라는 호칭은 충정왕때 없었고, 공민왕때 가야 다시 생겨난다. 애초에 시중은 최고 재상직으로 왕자가 맡기에는 부적합한 직책이다.[18][19]
5. 대중매체에서
|
- 2005년 MBC 드라마 < 신돈>에서는 배우 최영주가 연기했다. 평범한 어린아이로 나오다가 역사대로 폐위되는데 어머니인 희비 윤씨에게 휘둘렸지만 폐위된 후 쫓겨날 때 행렬을 막고 통곡하는 백성들이 화를 당하는 걸 막기 위해 수레에서 나와 "내 길을 막지 마라. 내가 내 길을 막던 너희들을 잊지 않을 것이니, 그만하면 됐다."고 말한 뒤 수레 안에서 눈물을 흘리는 것이 그나마 군주다운 모습. 후에 기황후 측의 모략으로 독살당한다.
|
6. 둘러보기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2권 | 3권 | 4·5권 | |||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덕종 | ||||
<rowcolor=#670000,#fedc89> 6권 | 7·8·9권 | 10권 | ||||
정종靖宗 | 문종 · 순종 | 선종 · 헌종 | ||||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 15·16·17·18·19·20권 | 21권 | ||||
숙종 · 예종 | 인종 ·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 25·26·27권 | 28·29·30·31·32권 | ||||
고종 | 원종 | 충렬왕 | ||||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 36권 | 37권 |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 ||||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 133·134·135·136·137권열전 | 45·46권 | ||||
공민왕 | 우왕 · 창왕 | 공양왕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
[ 표(表) ] | ||||||
86·87권 「연표(年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
||||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 「공주(公主)」 |
||||||
태조 | ||||||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 ||||||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 성무부인 소생 공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혜종 | 정종 | 광종 | |||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 ||||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 경춘원군 · ( 문성왕후 소생 공주) |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 ||||
경종 | 성종 | 목종 | ||||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
-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 }}} | |||
현종 |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 ||||||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 ||||||
덕종 | 정종 | |||||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 |||||
상회공주 · ( 유씨 소생 공주) |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 |||||
문종 | ||||||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 ||||||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 ||||||
순종 | 선종 | |||||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
-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 |||||
숙종 | 예종 | |||||
명의태후 유씨 |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 |||||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승덕공주 · 흥경공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인종 | 의종 | 명종 | |||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 광정태후 김씨 | ||||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 | |||
신종 | 희종 | |||||
선정태후 김씨 | 성평왕후 임씨 | |||||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종 | 고종 | 원종 | |||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 안혜태후 유씨 |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 ||||
수령궁주 |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 ||||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 세자 왕감 · 덕흥군 | 용산원자 | ||||
충혜왕 | 공민왕 | 공양왕 | ||||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 휘의 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 순비 노씨 | ||||
석기 · 장녕공주 | -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92권 | |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 ||||||
93권 | ||||||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 ||||||
94권 | ||||||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 ||||||
95권 | ||||||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 ||||||
96권 | ||||||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 ||||||
97권 | ||||||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 ||||||
98권 | ||||||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 ||||||
99권 | ||||||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 ||||||
100권 | ||||||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 ||||||
101권 | ||||||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 ||||||
102권 | ||||||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 ||||||
<rowcolor=#670000,#fedc89> 103권 | 104권 | |||||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 |||||
105권 | ||||||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 ||||||
106권 | ||||||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 ||||||
<rowcolor=#670000,#fedc89> 107권 | 108권 | |||||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 |||||
109권 | ||||||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 ||||||
<rowcolor=#670000,#fedc89> 110권 | 111권 | |||||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 |||||
112권 | ||||||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 ||||||
113권 | ||||||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 ||||||
114권 | ||||||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15권 | 116권 | 117권 | |||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 ||||
<rowcolor=#670000,#fedc89> 118권 | 119권 | 120권 | ||||
조준 | 정도전 |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 | |||
121권 | ||||||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 「충의(忠義)」 | |||||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 |||||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 「열녀(烈女)」 | |||||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 |||||
122권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 「환자(宦者)」 | 「혹리(酷吏)」 | |||
김위제 · 이녕 (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 송길유 · 심우경 | }}} | |||
123권 「폐행1(嬖幸一)」 | ||||||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 ||||||
124권 「폐행2(嬖幸二)」 | ||||||
윤수 윤길보 (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 ||||||
125권 「간신1(姦臣一)」 | ||||||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 ||||||
126권 「간신2(姦臣二)」 | ||||||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 128권 「반역2(叛逆二)」 | 129권 「반역3(叛逆三)」 | |||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 정지상) |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 |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 131권 「반역5(叛逆五)」 | |||||
한순 다지 · 홍복원 (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 |||||
132권 「반역6(叛逆六)」 | ||||||
신돈 | ||||||
133·134·135·136·137권 | ||||||
신우(우왕) ( 신창(창왕)) | }}}}}}}}}}}} |
[1]
율리우스력
8월 31일
[2]
《
고려사》에서는 탄생월일 기록이 없지만 《고려사절요》에 충숙왕(후) 7년(1338년) 무인일에 태어났다는
기록이 있고, 1350년 음력 8월에 충정왕의 탄일이라는
기록이 있으므로, 충정왕의 탄생월일은 1338년 음력 8월 16일로 볼 수 있다.
[A]
율리우스력
5월 25일
[4]
율리우스력
3월 23일
[5]
현 인천광역시 강화군. 제23대 고종 치세때 '
강도 강화군'으로 승격되어 제1수도가 되었지만 제25대 충렬왕 치세때 '강화현'으로 강등되었다.
[A]
[7]
율리우스력
10월 26일
[8]
제25대
충렬왕부터 제27대
충숙왕까지는 모두 다른 비를 들인 상태에서 원나라 공주를 제1비로 들였다. 제28대 충혜왕과 제31대
공민왕만 원나라 공주와 혼인하기 전에 다른 여인과 혼인한 적이 없었다.
[9]
이후 공민왕 치세 때 다시 고려로 재귀국하여 남은 여생을 보냈다.
[10]
그나마 충목왕 때는 덕녕공주가 섭정했기에
권문세족들을 견제라도 할 수 있었지만, 충정왕 즉위 이후에는 영향력이 대폭 줄어들면서 다시 날뛰기 시작한 듯 하다. 충정왕 때
권력을 남용한 대표적인 인물이 희비 윤씨의 오빠 윤시우였다. 그는 어린 왕의 외숙부라는 명분을 악용해 인사권을 휘두르면서 공공연한 비리를 저질렀는데, 조카 충정왕이 폐위당한 뒤
이제현에 의해 유배되었고 이후
제주도 순문사로 기용되었으나 토착 세력들의 반발인
목호의 난이 일어났을 때 그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11]
그나마
개혁을 했다던 덕녕공주도 본인의 친위 세력의 전횡에는
보고도 눈을 감아버리는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충목왕 시대의 한계점이라면 한계점이었다.
[12]
남북조시대 초기에는 그랬다. 발호한
왜구들이
한반도와
중국 동부 해안을 약탈하면서 재미를 보기 시작하자 남북조는 이들을 고용하게 되었고, 심지어 규슈가 중심지가 되었는데 열세였던 남조 측에서 직접 정규군을 이끌고
해적질을 하기도 했다.
[13]
제27대 충숙왕과
공원왕후 홍씨 사이의 2남이며, 제28대 충혜왕의 친동생인 동시에 제30대 충정왕에게는 숙부가 된다.
[14]
원의 쇠퇴와 공민왕의 반원정책
[15]
우리역사넷
[16]
실제로 《고려사》 <열전>에는 왕자나 왕녀라고 해도 모계의
신분이 낮은 경우, 따로 실리지 않기도 했다.
[17]
제31대
공민왕의 혈통이 끊기고 더이상 왕위를 계승할
왕씨가 없어서
신씨가 왕이 된 상황을 말한다.
[18]
만약 시중공 왕제가 실존인물이라고 가정한다면 1350년에서 1352년 사이 태어났을 것이며 아버지를 폐위시킨 공민왕의 재위시기까지는 숨죽여 살았을 가능성이 높다. 허나 혈통이 불안한 우왕이 즉위하면서 왕제 또한 종실에 편입되고 중앙정치에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 이후 공양왕이 폐위되는 1392년까지는 시간이 있기에, 실제 문하시중직을 잠깐이나마 맡아보았거나, 실직이 아닌 검교(명예직을 의미)문하시중을 역임했거나, 아니면 생전이 아닌 사후에 문하시중으로 추증되었을 가능성 또한 있다. 다만 고려 말기의 혼란으로 그가 시중직을 맡았거나 추증된 기록 자체는 유실되었을 수 있다.
[19]
다만 종친이 시중직을 맡은 기록은 적어도 고려사에는 없으며, 고려 말기 종친이 맡을 수 있는 직책은 명예직인 판문하부사(기존에 종친이 다수 역임했던 중서령과 상서령이 합쳐진 직책)가 전부였다. 물론 당시 고려가 혼란기라 기존에 확립한 정치체계가 무너지고 있었으며, 시중직 또한 2개(문하시중, 수시중)로 쪼개졌기에 그런 부분을 감안할 여지는 있다. 왕제가 실존했더라면 실제 문하시중/수시중에 보임된 적이 있는지, 또한 봉지명(평양, 양양 등)이 아닌 직책명(시중)이 작위(공)에 들어간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