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문하시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 ||
문벌귀족기 (981~1170) |
문하시중 | |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 ||
무신정권 (1170~1270) |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 |
원 간섭기 (1270~1356) |
김방경 | |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 ||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능간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 ||
여말선초 (1356~1392) |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 |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염제신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 ||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 좌우보 · 상좌평) 신라 (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 |
한희유 관련 틀 | ||||||||||||||||||||||||||||||||||||||||||||||||||
|
고려국 도첨의좌중찬 한희유 韓希愈 |
|
생몰연도 | <colbgcolor=#fff><colcolor=#000>? ~ 1306년 |
본관 | 가주 한씨[1] |
이름 | 희유(希愈) |
주요 직위 |
판밀직사사 판삼사사 동북면도지휘사 도첨의찬성사 도첨의시랑찬성사 도첨의우중찬[2] 도첨의좌중찬[3] |
주요 참전 |
삼별초의 난 여몽연합군의 일본 정벌 카다안의 침입 |
자녀 |
자: 한검(韓儉) 녀: 가주 한씨 |
『고려사』 권104, 열전17 한희유 |
[clearfix]
1. 개요
고려 후기의 관리이자 무신.가주의 주리(州吏)[4]라는 한미한 배경에도 불구하고 한국사의 여러 굵직한 사건들 속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였다. 무신정권이 무너졌음에도 순전히 군공(軍功)만으로써 재상이 된 무신 출신의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무신이라는 배경으로 인해 문신 출신이나 외국 사신들에게 무시를 당하기 일쑤였고 무고를 당하기도 하면서 곤욕을 치루었지만, 같은 시기 원충갑과 더불어 고려를 지켜낸 용장이다.
2. 생애
2.1. 삼별초를 토벌하고, 일본정벌에서 활약하다
김방경(金方慶)을 따라 진도(珍島)와 탐라(耽羅)를 토벌하여 모두 공이 있었다. 일본 정벌 때 김방경은 한희유를 선봉으로 삼았는데, 단병(短兵)으로 적과 맞붙었는데, 한희유가 맨손으로 적의 칼을 빼앗다가 손을 다쳐 피가 흘렀으나 끝까지 힘써 싸워 여러 명의 수급을 베었다.
고려사 한희유 열전
1271년에 김방경을 따라 진도와 제주도에서 삼별초를 토벌하는데 전공을 세웠으며, 1274년 일본정벌 때에는 선봉으로 나서서 활약한다.[5]고려사 한희유 열전
1287년에는, 충렬왕이 원나라의 종왕(宗王) 나얀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소식을 듣고, 한희유를 좌익만호가 삼는다.그렇게, 한희유는 출정하게 된다.
하지만, 가던 도중, 내안을 잡았다는 소식이 전해져서 다시 고려로 돌아왔다.
2.2. 카다안의 침입을 막아내고, 동북면도지휘사로 임명되다
한희유(韓希愈)가 창을 들고 말을 몰아 적진으로 돌입하니 사람과 말이 두려워하며 물러섰다. 용사를 잡고 나와서 그를 참수한 후 그 머리를 창에 매달아 보이자 적들 모두 기세를 잃었으므로 대군이 사방에서 공격하여 이들을 크게 무찌르고 마침내 군사를 돌려 석파역(石破驛)에 주둔하였다.
고려사절요 권 21, 충렬왕 17년 5월
1291년에 카다안이 기병대를 거느리고 오자, 한희유는 좌익만호로서 군대를 지휘하여 카다안의 침입을 막아내었다. 고려사절요 권 21, 충렬왕 17년 5월
김흔(金忻)을 죽전(竹田)에, 한희유(韓希愈)를 충청도[忠淸]에, 나유(羅裕)를 교주도(交州道)에 보내어 합단(哈丹, 카단)의 잔당을 추포하였다. 신미. 적 580인이 한희유에게 항복하였다.
고려사절요 충렬왕 17년 6월
1291년 6월에는 충청도에서 카다안의 잔당을 추격해 항복을 받아내었다. 고려사절요 충렬왕 17년 6월
이후, 충렬왕은 카다안의 침입을 막아낸 한희유를 강화도에 파견시켜 외적을 방어하게 하게 한다.
2.3. 귀양을 다녀오다
한희유는 인천광역시 옹진군의 자월도로 귀양을 가게 되는데, 이유는 사적갈등으로 보인다. 그렇게 유배생활을 계속하다가 1298년 11월, 충렬왕이 다시 복귀한 이후, 풀려나 관직생활을 한다.2.4. 한희유 무고 사건
정유 만호(萬戶) 인후(印侯)와 김흔(金忻), 밀직(密直) 원경(元卿) 등이 함부로 군사를 동원하여, 만호(萬戶) 한희유(韓希愈)와 상장군(上將軍) 이영주(李英柱)를 잡아 모반했다고 무고하였다.
고려사 충렬왕 25년 1월
1299년 인후, 김흔, 원경(元卿)은 한희유를 담구려고 시도하였고, 이렇게, ‘한희유 무고 사건’ 이 일어나게 된다.고려사 충렬왕 25년 1월
인후는 이 사건을 충렬왕과 몽골 관료 카산에게 알린다. 이에 카산은 조사를 해본 뒤, 이 보고가 거짓임을 확인하였다.
그래도 한희유에 대한 처벌을 요구하게되고, 급기야 원나라까지 끌어들인다. 한희유 무고 사건의 관련자들은 모두 원나라로 송환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