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19 16:45:14

대령후

고려의 왕자
[[틀:고려의 왕자/선종 ~ 공양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양헌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안경공|{{{#!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국왕 · 왕후 · 왕태후 · 왕태자
왕자 : 국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왕녀 : 태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


<colbgcolor=#FFB200><colcolor=#670000>
고려 인종의 왕자
고려의 제왕
대령후 왕경 | 大寧侯 王暻
출생 1130년( 인종 8년)
사망 미상
본관 개성 왕씨
경(暻)
부모 부왕 인종
모후 공예왕후
형제자매 5남 4녀 중 차남
배우자 대령후비 김씨[1]로 추정
(大寧侯妃 金氏)
자녀 1녀 추정
수춘궁주(壽春宮主)[2] 왕씨로 추정
지위 제왕(諸王)
작호 대령후(大寧侯)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고려 제15대 국왕 인종과 왕후 공예왕후의 차남.

고려사》에 의하면 도량이 넓어 많은 사람들의 신망을 샀다고 한다.

2. 생애

인종 공예왕후 임씨의 둘째 아들로 도량이 넓고 사람들의 신망이 두터워 모후인 공예왕후는 형제들 중 유독 그를 편애하여 태자로 삼고자 한다. 그러나 인종이 이를 허락하지 않아 이뤄지지 않았고, 결국 인종의 의지대로 의종이 즉위하자 이 일로 인해 의종과 공예왕후는 갈등을 빚는다. 그러나 인종도 의종이 태자 시절에 놀기 좋아하고 공부나 정치에 관심이 없다는 것을 걱정해서 태자를 바꾸려고 했었다. 다만 의종의 태자 시절 스승이였던 정습명이라는 강직한 신하의 만류로 뜻을 꺽었다. 이후 의종 2년인 1148년 형인 의종에 의해 대령후(大寧侯)로 책봉된다.

의종 초에는 의종이 밀어주는 환관 정함 김존중이 권력을 잡고 있었는데, 이 둘은 공예태후와 연결된 외척 장흥 임씨 가문을 비롯해 태후의 누이들과 혼인한 문벌귀족의 견제에 온 힘을 기울였다. 이 둘은 이런 문벌귀족들과 대간(臺諫)들을 견제하기 위해 그들이 대령후 왕경을 왕으로 추대하고자 한다고 모함하면서 대령후 왕경은 이 둘의 무고에 휘말린다. 먼저 정함과 김존중이 공예태후의 매부(妹夫)인 내시낭중(內侍郎中) 정서 등 외척 조신(朝臣)들이 대령후 왕경의 집에 자주 드나든다고 무고한다. 그러자 최유청, 문공원, 유필(庾弼)을 비롯한 재상부터 여러 대간들이 한목소리로 정서를 비난하고, 어사대(御史臺)에서는 정서가 종실(宗室)과 몰래 친교를 맺고 밤마다 모여 잔치를 열어 술을 마셨다고 하여 정서와 이 일에 가담한 5명을 가둔다. 그러나 의종은 이들 모두를 용서해 주지만 대령부를 폐지해 버리고, 대령후 왕경의 종 김참(金旵)을 유배보내고, 악공(樂工) 최예(崔藝) 등에게는 태(笞)를 치고 유배를 보낸다. 그러나 대간들이 편전의 문에 엎드려 재차 처벌을 요청하니, 의종은 대령후 왕경과 가까이 지낸 이들을 모두 유배보낸다. 이 때 재상 최유청도 정서가 대령후 왕경을 대접할 때 그릇을 빌려줬다는 이유로 남경유수사(南京留守使)로 좌천되는 등 정서의 매부들도 연좌되었으며, 결국 의종 11년인 1157년 대령후 왕경 본인도 천안부(天安府)로 유배를 가게된다.

이후 대령후 왕경은 여러차례 역모설에 엮이면서 무고를 당해 의종의 의심을 사게 된다. 1167년 1월 의종이 봉은사(奉恩寺)에서 연등회를 마치고 돌아오던 중 김돈중(金敦中)의 말이 갑자기 다른 기사(騎士)의 화살통인 시방(矢房)과 부딪치는 바람에 화살이 어가(御駕) 옆에 떨어진다. 이에 의종이 경악하며 자기를 향해 쏜 빗나간 화살로 여기고 급히 서둘러 환궁하자마자 궁성에 계엄(戒嚴)을 내렸다. 이후 의종은 적당(賊黨)을 색출하지 못했다하여 재상들을 책망하는 조서를 내렸다. 이로 말미암아 수많은 사람이 연달아 체포되었는데, 대령후 왕경 집안의 종인 나언(羅彦), 유성(有成), 황익(黃益) 등이 의심을 받고 혹독한 문초를 당하게 되자 거짓으로 자복하게 된다. 이 일로 대령후 왕경의 집안 종 셋과 그들의 처까지 참수되고, 왕의 호위를 성실히 하지 못했다하여 금위(禁衛)의 14명까지 모두 시골로 유배 보낸다. 이후 대령후 왕경이 어떻게 되었는지는 사료에 기록되어 있지 않아 알 수 없다.

이후 형인 의종이 무신정변으로 인해 폐위되지만, 차남인 대령후 왕경이 아닌 3남인 명종이 즉위한 것으로 보아 의종보다 먼저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처남인 공화후 왕영의 묘지명에 따르면 그가 사망할 당시인 1186년 대령후 왕경의 부인은 과부였기 때문이다.

3. 가족관계

부인과의 사이에서 계성후 왕원에게 시집간 딸이 한 명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계성후의 다른 명칭인 수춘후(壽春侯)라는 이름은 종실에게 봉작되던 지역명보다는 일반적인 미칭(美稱)에 가까운데, “ 수춘궁주의 궁호를 받은 여인의 남편”이라는 뜻의 별칭일 수 있다. 그렇다면 고려의 태자궁이었던 수춘궁에 대령후 왕경의 딸이 잠시나마 기거한 것이 된다. 홀아비였던 명종이 왕으로 즉위했을 때 후비를 들이지 않고 왕후 없이 재위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 시기 왕비의 거처로 쓰였던 흥덕궁은 과부였던 대령후 왕경의 부인이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인종 시기 수춘궁은 여정궁(麗正宮)으로 개칭되었으므로, 이름만 같은 다른 궁궐일 가능성도 있다.

4. 대중매체

  • 2003년작 KBS 드라마 《 무인시대》- 대령후 ( 김경응 분)

  • 드라마에서는 이의방이 의종 대신 대령후 왕경을 왕으로 세우려하였으나, 대령후 왕경이 왕위를 승계하게 되면 바른 정치를 할까 두려웠던 이들이 대령후 왕경을 살해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그러나 실제 역사에서는 그 이전에 사망했을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6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문종의 손자인 강릉공 왕온의 차녀로 모친의 성씨인 명주 김씨를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2] 현종의 6대손인 계성후 왕원의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