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07 18:30:55

홍다구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성종 · 목종 현종 · 덕종
<rowcolor=#670000,#fedc89>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문종 · 순종 선종 · 헌종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숙종 · 예종 인종 · 의종 · 명종 신종 · 희종 · 강종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고종 원종 충렬왕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36권 37권
충선왕 ·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 충정왕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공민왕 우왕 · 창왕 공양왕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표(表) ]
86·87권 「연표(年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 「공주(公主)」
태조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 성무부인 소생 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혜종 정종 광종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경춘원군 · ( 문성왕후 소생 공주)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경종 성종 목종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현종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덕종 정종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문종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순종 선종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숙종 예종
명의태후 유씨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승덕공주 · 흥경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인종 의종 명종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광정태후 김씨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신종 희종
선정태후 김씨 성평왕후 임씨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종 고종 원종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안혜태후 유씨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수령궁주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세자 왕감 · 덕흥군 용산원자
충혜왕 공민왕 공양왕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휘의 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순비 노씨
석기 · 장녕공주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92권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93권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94권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95권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96권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97권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98권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99권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100권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101권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102권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rowcolor=#670000,#fedc89> 103권 104권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105권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106권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rowcolor=#670000,#fedc89> 107권 108권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109권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rowcolor=#670000,#fedc89> 110권 111권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112권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113권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114권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wiki style="margin: -16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15권 116권 117권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rowcolor=#670000,#fedc89> 118권 119권 120권
조준 정도전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121권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충의(忠義)」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열녀(烈女)」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122권
{{{#!wiki style="margin: -16px -11px" <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환자(宦者)」 「혹리(酷吏)」
김위제 · 이녕 (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송길유 · 심우경 }}}
123권 「폐행1(嬖幸一)」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124권 「폐행2(嬖幸二)」
윤수 윤길보 (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125권 「간신1(姦臣一)」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126권 「간신2(姦臣二)」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wiki style="margin: -16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128권 「반역2(叛逆二)」 129권 「반역3(叛逆三)」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 정지상)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131권 「반역5(叛逆五)」
한순 다지 · 홍복원 (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132권 「반역6(叛逆六)」
신돈
133·134·135·136·137권
신우(우왕) ( 신창(창왕)) }}}}}}}}}}}}

이름 본명: 홍준기(洪俊奇)
초명: 홍다구(洪茶丘)
몽골식 이름: 홍차르구(洪察爾球)[1]
본관 당성(唐城 = 南陽: 현 화성시)
국적 고려, 원나라
생몰년 1244년(고종 31년) ~ 1291년(충렬왕 17년)
1. 개요2. 생애3. 기타4.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고려 출신의 원나라 장수.

2. 생애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태후 가문
경주김씨
신성태후
정안임씨
공예태후
경원이씨
인예태후
안산김씨
원성태후
당성홍씨
명덕태후
재상 가문
파평윤씨
윤관
해주최씨
최충
청주이씨
이자림
언양김씨
김취려
황려민씨
민영모
동주최씨
최유청
평양조씨
조인규家
횡천조씨
조영인
평강채씨
채송년
공암허씨
허재
}}}}}}}}}

조부는 홍대순(洪大純), 아버지는 홍복원(洪福源)이며 대대로 인주(麟州, 오늘날 평안북도 의주군)를 관할하던 수령이었는데 홍대순은 1218년 몽골의 침입 때 그들에게 협력하였고 홍복원은 한술 더 떠 1231년 몽골의 1차 침입 때 몽골 쪽에 붙어 조국인 고려를 여러 차례 침공하여 짓밟은 매국노다. 홍복원이 반란을 일으켰다가 패해 원나라로 쫓겨가서 홍다구는 그 곳에서 태어났다. 홍복원이 고려에서 인질로 온 영녕공(永寧公) 왕준(王綧)과 귀부한 고려 백성들을 관리하는 문제로 마찰을 일으키다 모함을 받아 장사들에게 맞아 죽자 이 때부터 홍다구는 고려에 적개심을 품게 된다. 1261년 홍복원이 맡고 있던 관령귀부고려군민총관(管領歸附高麗軍民摠管)을 이어받았으며 1263년 아버지의 원수인 왕준을 모함해 그가 가지고 있던 고려 군민에 대한 관령권을 빼앗았다.

1269년 당시 원나라에 입조해 있던 원종이 권신 임연을 처단하고자 도움을 요청하므로 2년 뒤 홍다구는 툴렝케이(頭輦哥) 장군을 따라 귀부 고려 병사 3000명을 이끌고 들어와 봉주(鳳州)에 둔전총관부(屯田總管府)를 세우고 부원 세력(원나라에 붙어서 고려에 해를 끼친 세력)의 앞잡이 노릇을 한다. 한편 임유무가 죽고 무신정권이 무너지자 무신정권의 뒷배를 봐주던 삼별초들은 원종이 개경으로 환도를 실행하고 자신들을 해체할려고 하자 이에 반대해 삼별초의 난을 일으켰다. 1271년 홍다구는 지휘관이 되어 김방경(金方慶), 훈둔(忻都, 忽敦)과 함께 진도를 기습하여 기세를 크게 꺾어 놓았고[2] 삼별초의 수장이었던 배중손을 전사시켰으며 왕으로 옹립했던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3]은 홍다구가 직접 죽여버렸다. 참고로 이렇게 대립왕으로 세워진 왕족을 왕의 허락 없이 멋대로 죽인 점은 후대 조선시대에서 이괄의 난 당시 흥안군을 죽였던 심기원과 같다. 세력이 약화된 삼별초는 김통정, 유존혁 등이 잔여 세력을 모아 탐라로 가서 재기를 노렸으나 홍다구는 여기까지 쫓아가서 결국 모조리 토벌하고야 말았다.

파일:삼별초의 항전.png
삼별초의 항전

그 후 원나라가 일본을 칠 계획을 세우자 소용대장군(昭勇大將軍) 겸 감독조선관군민총관(監督造船官軍民摠管)으로 임명되자 고려로 가서 함선의 건조를 심하게 닥달하므로 고려의 백성들이 모두 죽일 놈이라고 원망하였다. 1274년 도원수 훈둔(忻都, 忽敦) 휘하로 동정우부도원수(東征右副都元帥)가 되어 유복형(劉復亨), 김방경 등과 일본에 쳐들어가서 초반에 쓰시마 섬, 이키 섬을 헤집어 놓고 기타큐슈 해안까지 진출하였으나 날씨가 좋지 않은 탓에 병력의 30%~40%를 잃어버리고 돌아온다. 하지만 원나라는 포기하지 않고 또 일본을 침략할 생각을 해서 1277년 홍다구를 정동도원수(征東都元帥)로 삼고 고려에 주둔하게 했다. 그런데 원나라 상도(上都)에서 반란이 일어나 일본 원정에 지장을 주자 바린 바얀(伯顔) 승상을 따라 참전해서 공을 세우고 다시 고려에 들어오게 된다. 이 때 김방경이 위득유(韋得儒) · 노진의(盧進義) · 김복대(金福大) 등에게 원나라를 반역하려 한다는 모함을 받자 이를 더 부풀려서 원나라에 고려를 침략할 구실을 만들려 김방경을 잡아들여 그를 마구 때리며 모질게 문초하였다. 하지만 김방경은 끝까지 결백을 주장하였고 충렬왕과 대신들이 거의 그의 편을 들고 원나라에서도 증거가 없으니 풀어주라고 하기에 홍다구는 뜻을 이루지 못하고 김방경을 풀어주게 되었으며 도로 원나라로 돌아가게 된다.

파일:몽골습래회사.jpg
몽골습래회사

하지만 1281년 원나라가 다시금 일본을 치려고 하자 자청하여 동정군의 지휘관이 되었고 고려에서는 그동안 홍다구가 상당히 어그로를 끌어놓은지라 고려에 오는 걸 격렬하게 반대했지만 결국 용호위상장군 정동행성우승(龍虎衛上將軍征東行省右丞)에 임명되어 훈둔, 김방경과 일본 원정을 떠난다.

이때 일본군은 지난번 호되게 당한 일을 교훈삼아 해안에 원구방루라 불리는 방어용 성채를 쌓고 규슈 지역뿐 아니라 혼슈 지역 무사들까지 동원하는 등 방비를 단단히 해 둔 터였다. 그럼에도 마치 1차 원정을 재현하듯이 초반에 승승장구했다. 그러나 지난 원정때와 마찬가지로 전염병과 좋지 못한 날씨 때문에 원정을 실패한다. 그 후 원나라가 일본에 대한 정벌을 중단하면서[4] 다시는 고려 을 밟지 못했다고 한다.

3. 기타

  • 홍다구와 달리 그의 동생인 홍군상은 원의 일본원정 중단을 요청하며 고려에서 관직을 받기도 하는 등 고려에 우호적이었다. 그래서 충렬왕이 원나라에 내조했을때 홍군상의 집에서 숙박하기도 하였고 충렬왕 29년에 요양행성의 승상이 되자 홍다구의 아들이자 자신의 조카인 홍중희와 경쟁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나중에 홍군상은 쿠빌라이가 죽자 새 칸이 된 원성종에게 일본 원정의 중지를 건의하였고 결국 다시는 일본 원정이 일어나는 일이 없게 되었다. 1, 2차 일본 원정에서 고려가 입은 피해를 감안하면 명백히 고려를 도운 것이었기에 홍군상은 고려 조정으로부터 관작과 공신으로서의 우대를 받았다.
  • 기록상 한국에 수박을 처음 가져온 인물이라고 한다. 사실 좀 더 앞 시대인 고려도경에서 이미 수박이 고려에 있었다고 하기도 하는데, 고려도경의 '과(瓜)'가 수박을 지칭하는 게 맞는지 애매하다고 한다. 일설에는 그냥 수박이 아닌 무등산수박이었다고 하는데 원래는 개성 지방에서 재배하다가 토질이 안 맞아 17세기경 무등산으로 옮겨 심었다고 한다.
  • 자신에게 방해되면 동맹군인 고려군까지도 팀킬을 했다. 오죽했으면 당대 장수였던 김방경도 홍다구를 잔인무도하고 훈둔보다 더 나쁜놈이라 했을까? 아무리 몽골군이 적에겐 잔인했다 해도 결코 아군이나 동맹군을 팀킬하진 않았는데 말이다.

4. 대중매체에서

  • 코에이의 게임인 징기스칸 4 시나리오 2에 회령에서 등장한다. 능력치는 정치 46, 전투 57, 지모 51. 원나라 장수 중에서는 그나마 수군 적성이 B로 높지만 특기가 없다. 또한 제아무리 수군 적성이 높다지만 해당 시나리오에서는 홍다구의 완벽한 상위호환인 장홍범이 있기 때문에 전투에서 어그로용으로 쓰거나 가도 까는 노동자로 쓰자. 어차피 이 게임은 잡장 활용도가 높아서 어떻게든 써먹을 수 있다. 출신은 아비 홍복원이 몽골에 항복한 후 거기서 태어났다는 것을 반영한 건지 알 수는 없지만, 고려가 아니라 화북 출신으로 되어 있다. 일본의 징기스칸 4 팬사이트에서는 홍다구 인물 열전에서 '고려와 일본 모두에게 있어 역병신[5]이자 고려나 일본으로 플레이한다면 가장 먼저 참수할 만한 인물'이라고 촌평해 놓기도 했다.

[1] 그래서 사실 그의 이름은 '홍다구'가 아니라 '홍차구'라고 발음했을 가능성이 높다. '홍다구'라는 표기보다는 적지만, 관련 서적이나 학술논문 등에도 '홍차구'라고 표기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몽원사 전공인 충남대학교 고명수 교수가 이렇게 표기하며, 역사저널 그날의 패널 서울시립대학교의 이익주 교수도 '홍차구'라고 발음했다. [2] 이 때 훈둔이 몽골 본국에 요청해 가져온 화약 무기가 처음으로 쓰였다고 한다. [3] 승화후 왕온은 영녕공 왕준의 형이다. 진도 공격에는 영녕공의 두 아들도 함께 있었는데 영녕공은 아들들에게 큰아버지를 죽이지 말고 살려야 한다고 신신당부를 해두었다고 한다. [4] 이때 원나라 조정에 일본 원정을 중단해야 한다고 아뢴 인물이 홍다구의 동생인 홍군상이었다. 그 공로로 홍군상은 고려 조정으로부터 벼슬을 받는다. [5] 원래는 역병을 부르는 귀신이라는 의미지만 일본에서 일상회화로 쓰일 때는 '불행을 부르는 존재', '꺼림칙한 존재' 정도의 관용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