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 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 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 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 阿 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 西 | 土 | 墨 | 阿 根 廷 | 巴 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 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
/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 太 | 滿 | 加 州 | 羅 城 | 桑 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 盛 頓 | 莫 斯 科 | 伯 林 | 羅 馬 | 倫 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加 더할 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力,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カ
|
||||||
일본어 훈독
|
くわ-える, くわ-わる
|
||||||
-
|
|||||||
표준 중국어
|
jiā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加는 '더할 가'라는 한자로, '가하다', '더하다', '들어가다', '보태다', '미치다' 등을 뜻한다.1.1. 상세
유니코드는 U+52A0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大尸口(KSR)로 입력한다.力(힘 력)과 口(입 구)가 합한 회의자로, 嘉와 관련된다. 힘을 쓰는 것을 입으로 장려한다, 또는 입으로 악기를 불어 힘을 다해 칭찬하는 것으로 해석해 본의는 '예찬'으로 추측한다. 금문에는 口 대신 龠(피리 약)이 들어간 이체자도 있다. 여기에서 '무고하다', '더하다' 등의 뜻이 도출되었다.
2. 용례
2.1. 단어
- 가감(加 減)
- 가공(加 工)
- 가맹(加 盟)
- 가비의 이(加 比- 理)
- 가산(加 算)
- 가속(加 速)
- 가수분해(加 水 分 解)
- 가습기(加 濕 器)
- 가압(加 壓)
- 가열(加 熱)
- 가외(加 外)
- 가욋길(加外-)
- 가욋일(加外-)
- 가입(加 入)
- 가중(加 重)
- 가학(加 虐)
- 가해(加 害)
- 가호(加 號/加 護)
- 배가( 倍加)
- 증가( 增加)
- 참가( 參加)
- 첨가( 添加)
2.2. 고사성어/ 숙어
- 가상존호(加 上 尊 號)
- 난상가란( 卵 上加 卵)
- 납속가자( 納 粟加 資)
- 노기상가( 怒 氣 相加)
- 문불가점( 文 不加 點)
- 삼밀가지( 三 密加 持)
- 설상가상( 雪 上加 霜)
- 설상가설( 雪 上加 雪)
- 세가월증( 歲加 月 增)
- 악언상가( 惡 言 相加)
- 인상가서( 印 上加 書)
- 일가월증( 日加 月 增)
- 자행가지( 自 行加 持)
- 주마가편( 走 馬 加鞭)
2.3. 인명
- 가등청정(加 藤 清 正)
- 가라포고이(加 羅 布 古 伊)
- 가부라(加 布 羅)
- 가서일(加 西 溢)
- 나가에 리카( 長 江 里加)
- 김가빈( 金加 頻)
- 김가연( 金加 姸)
- 아불화도가( 阿 佛 和 度加)
- 오다 아야카( 小 田 彩加)
- 와타나베 리카( 渡 辺 梨加)
- 운젠 묘가( 雲 仙 冥加)
- 이와모토 렌카( 岩 本 蓮加)
- 카가 카에데(加 賀 楓)
- 카코가와 히류(加 古 川 飛 流)
- 카코 이사오(加 古 功)
- 카미에다 에미카( 上 枝 恵 美加)
- 카세 료(加 瀬 亮)
- 카토 에미리(加 藤 英 美 里)
- 키하라 카군( 木 原 加 群)
- 타케다 토모카( 武 田 智加)
- 호가명( 扈加 名)
2.4. 지명
- 가리왕산(加 里 旺 山)
- 가지산(加 智 山)
- 경기도 가평군(加 平 郡)
-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 暮加 面)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加 山 面)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加 北 面)과 가조면(加 祖 面)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加 山 洞)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加 陽 洞)
-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 金加 面)
- 가주(加 州): 캘리포니아주의 한자식 음역.
- 가나다(加 那 陀): 캐나다의 한자 음역
- 가산디지털단지역(加 山디지털 團 地 驛)
- 가양역(加 陽 驛)
- 가평역
- 가좌역
- 가오리역
2.5. 창작물
2.6. 기타
2.7. 중국어
- 加油[jiāyóu]: 힘내라(응원하는 소리). 흔히 짜요로 알려진 단어가 바로 이것이다.
3. 유의자
4. 상대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7. 차자표기적 관점
加는 한국 차자표기에서 흔히 음독하여 /가/로 읽히지만 /스/시/로 읽히는 경우가 있다. 확인된 근거는 아래와 같다.1.
新復縣, 夲加尸兮縣, 景徳王攺名. 今未詳.
신복현(新復縣)은 본래 가시혜현(加尸兮縣)인데 경덕왕 때 이름을 고쳤다. 지금은 상세치 않다.
(삼국사기 신복현)
해설: 지명 加尸兮(가시혜)가 新復(신복)에 대응된다. 보다 자세히는 加尸가 시(新[1])에, 兮[2]가 부(復[3])에 대응된다. 加의 독음이 /시/라면 新을 설명할 수 있다.
2.
星山郡, 夲一利郡一云里山郡., 景徳王攺名. 今加利縣.
성산군(星山郡)은 본래 일리군(一利郡)(이산군(里山郡)이라고도 한다)인데 경덕왕 때 이름을 고쳤다. 지금의 가리현(加利縣)이다.
(삼국사기 성산군)
해설: 지명 加利(가리)가 星山(성산)에 대응된다. 加의 독음이 /스/라면 星을 설명할 수 있다. 山은 마을이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縣이 있기에 생략될 수도 있다.
3.
菁山縣, 夲髙句麗加支逹縣, 景徳王攺名. 今汶山縣.
청산현(菁山縣)은 본래 고구려 가지달현(加支達縣)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은 문산현(汶山縣)이다.
(삼국사기 청산현)
해설: 지명 加支逹(가지달)이 菁山(청산)에 대응된다. 加의 독음이 /스/라면 菁(청/성)을 설명할 수 있다.
4.
市津縣, 本百濟加知奈縣, 景徳王改名. 今因之.
시진현(市津縣)은 본래 백제 가지내현(加知奈縣)이었는데, 경덕왕이 이름을 고쳤다. 지금도 그대로 쓴다.
(삼국사기 시진현)
해설: 지명 加知奈(가지내)가 市津(시진)에 대응된다. 보다 자세히는 加知가 시(市)에, 奈[4]가 나루(津)에 대응된다. 加의 독음이 /시/라면 市를 설명할 수 있다.
5.
東墟縣 一云加知斤.
동허현(東墟縣)(가지근(加知斤)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우수주의 주군현성)
해설: 지명 加知斤(가지근)이 동허(東墟)에 대응된다. 보다 자세히는 加知가 새/시(東[5])에, 斤이 거(墟[6])에 대응된다.加의 독음이 /시/라면 東을 설명할 수 있다.
6.
䢘城郡 一云加阿忽.
수성군(䢘城郡)(가아홀(加阿忽)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하슬라주의 주군현성)
해설: 지명 加阿忽(가아홀)이 䢘城(수성)에 대응된다. 加의 독음이 /스/라면 䢘를 설명할 수 있다.
8. 여담
한자 문화권에서 "가" 내지 "카" 발음의 대표격으로 쓰인다.- 위의 예시에 나온 캐나다, 캘리포니아 뿐만 아니라, 가나, 가봉 등의 음차 표기에 이 한자가 쓰인다.
- 한국에서 㔖(각), 乫, 㠰(이상 갈), 㖙(갓), 㔔(강) 등의 음역자를 만들 때 쓰였다. 예외사항으로 可(옳을 가)를 사용한 㐓(갈)이 있으며, 㔔은 "더하다"에서 따와 "덩"으로 읽기도 한다.
- 일본어의 히라가나 か와 가타카나 カ가 이 한자에서 유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