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3 01:38:30

wavve


OTT 서비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5px -11px;"
<tablebgcolor=#fff><tablewidth=100%>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파일:Apple TV+ 로고.svg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파일:Sling_TV_logo.svg.png
파일:Tubi_logo.svg.png
파일:Pluto_TV_logo_2020.svg.png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 중국 / [[홍콩|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 홍콩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 일본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스포츠 중계 서비스
||<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20%>
||<width=20%>
||<width=20%>
파일:FIFA+로고.png
||<width=20%>
||<width=20%>
||
실시간 방송 서비스
||<^|1><tablebgcolor=#fff><tablewidth=100%><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1><width=12.5%>
||
||}}}}}}}}} ||
파일:SK텔레콤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품 소프트웨어 서비스
파일:SKT 5GX 로고.svg
파일:SKT_band LTE Logo.png
요금제
파일:FLO 로고.svg 파일:T전화 아이콘.png 파일:T스팸필터링 아이콘.png 파일:T아이디 아이콘.png
T 인터넷 [1] 파일:wavve 로고.svg 파일:tmap.svg
파일:B tv 로고.svg [1] 파일:nugu_logo.png / 파일:에이닷(skt).png [오픈 베타] 파일:T팩토리 로고.svg
고객센터 멤버십 Wi-Fi 존
파일:T world 로고.svg 파일:T membership 로고.svg 파일:T wifi 로고.png
[1] SK브로드밴드 재판매 상품
SK텔레콤 · SK브로드밴드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2d2f34> 파일:wavve 로고.svg 웨이브(wavve)
콘텐츠웨이브(주)[1]
}}}
<colcolor=#fff> 출시일 2019년 9월 18일 ([age(2019-09-18)]주년)
대표 이태현
본사 소재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19층
( 여의도동, 포스트타워)
파일:wavve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1. 개요2. 로고 변천사3. 해외 이용 및 지원 브라우저4. 지배 구조5. 요금제6. 실시간 방송 채널 목록7. 콘텐츠8. 콘텐츠 목록
8.1. 오리지널 콘텐츠 목록8.2. 독점 해외시리즈 콘텐츠 목록
9. 서비스 제공 지역
9.1. wavve9.2. wavve go
10. 문제점
10.1. oksusu 시절 서비스 미승계10.2. 개별구매 영화 미구분 검색10.3. 낮은 해상도, 비트레이트와 음질 및 콘텐츠 소스 관리 방치10.4. 방송사 측의 일부 콘텐츠 미제공10.5. 이용권 변경시 차액 미환불 & 코인 사용 유도10.6. 기타 문제점 및 해결된 문제점
11. 논란 및 사건 사고
11.1. 2021년 서비스 이용 장애 사태11.2. 2022년 콘텐츠 음향 강제 모노 다운믹스 의혹
12. 여담1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SBS, MBC, KBS로 이루어진 지상파 3사와 SK텔레콤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대한민국 OTT 서비스로, 2019년 9월 18일 오전 9시를 기준으로 서비스가 시작되었다. 기존의 POOQ oksusu가 합쳐져 새로운 이름으로 탄생하게 된다.[2]

브랜드 네이밍은 세계 최대 브랜드 컨설팅 회사인 인터브랜드에서 진행했다고 한다.

2. 로고 변천사

파일:wavve 로고 2019.svg 파일:wavve 로고.svg
<rowcolor=#fff> 2019년 ~ 2022년 7월 2022년 8월~

3. 해외 이용 및 지원 브라우저

동남아를 제외한 해외에서는 저작권 문제로 시청할 수 없다. 같은 이유로 해외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앱스토어에서는 이 앱을 다운로드할 수 없다.

4. 지배 구조[4]

주주명 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SK스퀘어 36.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SBS 로고.svg 2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MBC 로고.svg 21.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KBS 로고(1984-2023).svg 21.2%

5. 요금제

\ 베이직 스탠다드 프리미엄
PC 결제/원스토어 7,900원 10,900원 13,900원
앱스토어/구글플레이 9,000원 12,500원 16,000원
이용 기기 모바일+PC 모바일+PC+TV 모바일+PC+TV
제공화질 HD(720p) FHD(1080p) UHD 포함(~2160p)*
동시시청 1 2 4
  • 구글의 인앱결제 정책 변경으로, 2022년 4월 1일부터 인앱결제 가격이 인상되었다. 이후 5월부터 애플의 인앱결제 가격이 구글과 동일하게 인하되어 운영된다. 기존 결제 이용자에게는 별도의 인상 조치는 없으며, PC에서 결제할 경우 기존과 동일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0캠퍼스 대학생 또는 현역, 예비역 군인 (KB 나라사랑카드로 결제 시) 등은 할인이 제공된다.
  • 4K UHD는 PC, 모바일에 제공되지 않으며 Apple TV, Android TV, LG webOS TV의 WAVVE 앱으로만 제공된다. 그것도 무슨 이유인지 삼성 tizen TV는 지원하지 않으며 LG webOS 용 앱은 webOS 4.0 버전 이상을 탑재한 UHD TV에서만 가능하다. 문제는 4K를 지원하는 컨텐츠가 트레이서 단 한 작품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다른 컨텐츠들 처럼 타 서비스들의 1080p 영상과 비슷한 처참한 비트레이트로 서비스되며, 4K 컨텐츠가 단 한 작품밖에 존재하지 않는데도 이를 전혀 명시하지 않고 4K 요금제라는 이름을 받고 파는건 거의 소비자 기만, 사기 마케팅이라고 할 수 있다. 2022년 12월 현재까지도 4K 작품들은 트레이서 이후 극소수를 제외하면 거의 추가되지 않고 있으며, HBO Max나 Peacock의 4K, HDR, Dolby Vision 지원 작품들도 전부 1080p SDR로 올라오고 있다. 그럼에도 요금제 설명은 그대로이다.
  • FLO 또는 벅스 음악 듣기와 묶음으로 결제가 가능하며, 13,750원 요금제를 가입하면 된다.(베이직만 가능)
  • 신용카드, 휴대폰,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로 결제가 가능하며, 미리 등록된 신용카드로 비밀번호만 입력하여 바로 결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월 단위 자동결제이므로 더 이상 이용하지 않을 시 해지신청을 해야 한다.
  • 11번가에서 서비스하는 우주패스 Mini 요금제[5]에서만 선택 가능한 wavve Lite 요금제가 있다. 1회선 동시시청에 VOD는 HD 화질이며 방송에 경우 방영일 기준 3주에서 1년 이내인 작품이 무료로 제공되며, 실시간 TV는 SD 화질(무료회원 실시간TV 시청차단이 진행되며 웨이브 라이트도 차단)로 wavve 베이직의 일부 하위호환격 요금제다. 다만 4,900원 구독 상품에 포함된 것을 감안하면 괜찮은 편이다.
  • 9,900원 우주패스 All[6]에서는 wavve 추가 서비스를 선택 시 wavve 앤 데이터나 wavve 콘텐츠 팩을 기본 제공하며, 1,000원 추가 시 2회선 동시, FHD 이용이 가능한 wavve 앤 데이터 플러스[7]나 wavve 콘텐츠 팩 플러스[8]를 사용 가능하다. wavve 앤 데이터 플러스 선택 시 wavve 스탠다드와 동일한 기능과 요금에 T우주 구독이 포함되는 셈이다. 여기에 SK텔레콤 지정 요금제 사용자라면 wavve 앤 데이터/데이터 플러스 선택 시 매월 요금이 5,000[9]~9,900[10]원 할인되므로 해당 요금제 이용자들은 1,000~5,900원에 wavve 스탠다드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다.
  • 주의해야 할 점은 2021년 5월 1일 이전 요금제 혜택으로 wavve 앤 데이터를 무료로 이용하고 있는 경우에 우주패스 All 옵션으로 FLO 앤 데이터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wavve 앤 데이터 무료 혜택이 없어지고 70% 할인으로 바뀌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상품설명 어디에도 표시가 없다.) 또한 현재 wavve 앤 데이터를 무료로 이용하고 있는 경우 우주패스 All 옵션을 wavve 앤 데이터 또는 wavve 앤 데이터 플러스로 선택해서 wavve 시청회선을 추가로 사용하고 싶다면 기존 이용하고 있는 요금제 wavve 무료 혜택을 포기하고 70% 할인으로 전환해야 한다. (옵션을 wavve 로 선택하면 기존 wavve 무료 가입이 자동으로 해지되니 주의해야 한다.)
  • 공공시설 및 사업장이 가입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wavve on 서비스도 있다.
    보통 PC방, 숙박, 도서관, 병원 등의 사업장에서 가입하여 해당 사업장 이용자에게 무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업장에 접속된 유선, 무선인터넷 (와이파이) 에 연결된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등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LIVE + VOD + wavvie 영화 서비스 제공* 3회선 : 41,700원 (초고화질 : 50,700원)* 5회선 : 69,500원 (초고화질 : 84,500원)* 10회선 : 139,000원 (초고화질 : 169,000원)* 20회선 : 278,000원 (초고화질 : 338,000원)* 30회선 : 417,000원 (초고화질 : 507,000원)* 50회선 : 695,000원 (초고화질 : 845,000원)

6. 실시간 방송 채널 목록

}}}
}}}
}}}
}}}
}}}
}}}
  • {{{#!folding 영화/스포츠 ▼
    • PLAYY 프리미엄 영화
    • PLAYY 웰메이드 영화
    • PLAYY 액션영화
    • 시네마천국
    • AsiaM
    • 인디필름
    • THE MOVIE
    • SBS Golf
}}}
}}}
}}}

모든 실시간TV 채널은 구독권 없이 볼 수 없다.[11] 단, "정주행 채널"[12]과 홈쇼핑 채널은 구독권이 없는 단순 회원도 무료로 시청 가능하다.

7. 콘텐츠

국내 방송 콘텐츠로는 대표적으로 KBS, MBC, SBS의 콘텐츠와 wavve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공한다. 그 외에도 종합편성채널인 채널A, TV CHOSUN, MBN의 프로그램과 iHQ, t.cast, NQQ 등 여러 MPP들에서 제작한 프로그램들도 제공한다. 한때 JTBC 콘텐츠들도 제공되었으나 2020년 1월 31일을 끝으로 종료되었다.

TV채널에서 방송이 시작된 직후 바로 볼 수 있는 Quick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실시간으로 TV채널을 통해 방영되고 있는 부분까지만 볼 수 있다. 다만, 모든 프로그램을 Quick VOD로 볼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인기프로그램에 한해서 제공한다. 그 외 프로그램들은 방송이 종료된 후 오픈된다.

영화는 월정액 가입자가 볼 수 있는 영화 카테고리 (wavvie 영화) 와 개별 결제를 통해 구입해야 하는 영화 플러스 카테고리로 나누어 서비스하고 있다. 영화 플러스의 경우 애플 계열 모바일 기기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 대부분 상영한 지 어느 정도 지난 영화들이 wavvie 영화로 서비스되고 있으나, 일부 영화의 경우 wavve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영화들도 존재한다. 코로나-19로 인해 오프라인으로 개최되지 못한 국내에서 열리는 국제영화제나 일부 클래식 공연의 경우도 유료결제 형식을 통해 특정기간 동안 시청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되기도 하였다.

해외시리즈는 2020년부터 매주 새로운 컨텐츠를 독점/최초 공개하고 있으며, 미드/영드, 중드, 일드, 대드 등 다양한 콘텐츠를 월정액 이용권만 있으면 시청할 수 있다. 2021년 7월 20일, HBO와의 1년간 계약을 작품을 공급받기로 했으며, 일부 작품은 독점공개한다. 그리고 7월 22일부터 HBO 콘텐츠가 매주 업데이트되고 있다.[13] 2021년 9월부터 NBC유니버셜의 스트리밍 서비스 Peacock의 오리지널 콘텐츠를 독점 공개한다고 발표하였다. NBC유니버셜(SKY, Peacock 포함), HBO 작품 다수를 독점 공개하고 있다.

2022년, 퀴어 예능의 성격을 갖는 [메리퀴어], [남의연애] 2개를 론칭한다고 발표해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

언제부터인지 확실치 않으나 애니플러스에서 동시방영중인 분기별 신작애니들이 매주 업로드 되고 있다. 22년 3분기 현재 인게이지 키스, 빙설제국 등 애니플러스에서 방영중인 3분기 신작들이 업로드 되고 있으며, 애니맥스 작품들 중에선 초히트작인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과 환락의 거리편이 매주 업로드 됐으며, 다른 작품들은 완결후 제공되고 있다.

2022년 10월에 카카오엔터테인먼트와 콘텐츠 파트너십을 강화하면서 카카오TV 오리지널 인기작품을 여기서 볼 수 있다. #

8. 콘텐츠 목록

8.1. 오리지널 콘텐츠 목록

파일:wavve 로고 화이트.svg 오리지널 콘텐츠 목록
{{{#!wiki style="color:#0274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17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예능 <colbgcolor=#DCF6FF,#2d2f4b> NCT LIFE in Osaka 태일, 태용, 유타, 도영, 윈윈 파일:KBS joy 로고.svg 21부
레벨업 프로젝트 시즌1 Red Velvet 파일:KBS joy 로고.svg 23부 }}}}}}}}}
{{{#!wiki style="color:#0274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18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예능 <colbgcolor=#DCF6FF,#2d2f4b> 레벨업 프로젝트 시즌2 Red Velvet 파일:XtvN 로고.svg 60부
레벨업 프로젝트 시즌3 40부
EXO의 사다리타고 세계여행 시즌1 EXO-CBX 파일:XtvN 로고.svg 40부 }}}}}}}}}
{{{#!wiki style="color:#0274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19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예능 <colbgcolor=#DCF6FF,#2d2f4b> EXO의 사다리타고 세계여행 시즌2 EXO 파일:XtvN 로고.svg 50부 }}}}}}}}}
{{{#!wiki style="color:#0274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0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예능 <colbgcolor=#DCF6FF,#2d2f4b> 레벨업 - 아슬한 프로젝트 레드벨벳-아이린&슬기 파일:wavve 로고.svg 본편 12부
외전 4부
소년멘탈캠프 정세운, 김재환, 김우석, 이진혁, 데프콘 파일:wavve 로고.svg 12부
M토피아 SuperM 파일:wavve 로고.svg 12부
어바웃타임 강호동, 이수근, 신동 파일:wavve 로고.svg 5부
마녀들-그라운드에 서다 윤보미, 김민경, 박기량, 신수지 파일:MBC 로고.svg 10부 }}}}}}}}}
{{{#!wiki style="color:#0274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1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예능 <colbgcolor=#DCF6FF,#2d2f4b> 유노윤호의 출발 뮤직비디오 여행 유노윤호 파일:wavve 로고.svg 3부
반전의 하이라이트 하이라이트 파일:wavve 로고.svg 12부
소년멘탈캠프 - NCT DREAM 편 NCT DREAM, 데프콘 파일:wavve 로고.svg 12부
신과 함께 신동엽, 성시경, 이용진, 박선영, 시우민 파일:채널S 로고.svg 10부
신과 함께 시즌2 40부
잡동산 강호동, 은혁, 승관 파일:채널S 로고.svg 12부
취향의 아이콘 iKON 파일:wavve 로고.svg 12부
편먹고 공치리 이경규, 이승엽, 이승기, 유현주 파일:SBS 로고.svg 16부
취향의 아이콘 iKON 파일:wavve 로고.svg 12부
한쿡사람 장동민, 유세윤 파일:E채널 로고.svg 4부
노는 언니 2 박세리, 한유미, 정유인 파일:E채널 로고.svg 44부
THE BOYZ의 타임아웃 더보이즈 파일:라이프타임 로고.svg 5부
피의 게임 이상민, 장동민, 박지윤, 최예나, 슈카, 정근우, 최연승, 박재일, 허준영, 송서현, 박지민, 퀸 와사비, 이태균, 덱스, 이나영, 박서휘 파일:MBC 로고.svg 12부
탱키박스 태연, 파일:wavve 로고.svg 12부
다큐멘터리 키스 더 유니버스 주지훈, 데니스 홍, 닐 디그래스 타이슨, 심채경 파일:KBS 1TV 로고.svg 3부
문명: 최후의 섬 박은하, 박도현, 강원재, 마초맨, 부식, 김소봉, 박찬이, 송선, 장대현, 한혁규 파일:MBC 로고.svg 8부
}}}}}}}}} ||
{{{#!wiki style="color:#0274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2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예능 <colbgcolor=#DCF6FF,#2d2f4b> 홀인러브 황제성, 한보름, 김강열, 이가흔 파일:wavve 로고.svg 14부
돌싱글즈 외전: 가족의 탄생 유세윤, 존박 파일:MBN 로고.svg 5부
EXO의 사다리타고 세계여행 시즌3 EXO 파일:wavve 로고.svg 12부
에덴 일반인 참가자 및 이홍기, 윤보미, 시미즈 파일:채널 iHQ 로고.png 8부
에덴Ⅱ
메리 퀴어 일반인 및 신동엽, 홍석천, 하니 파일:wavve 로고.svg 9부
남의연애 일반인 파일:wavve 로고.svg 11부
도포자락 휘날리며 김종국, 지현우, 주우재, 노상현, 황대헌 파일:MBC 로고.svg 10부
입주쟁탈전: 펜트하우스 유진, 김일중, 김보성, 낸시랭, 장명진, 이루안, 조선기, 서출구, 지반, 이시윤 파일:채널A 로고.svg 12부
Listen-Up(리슨 업) 다이나믹 듀오, 라이언 전, 팔로알토, 정키, 픽보이, 김승수, PATEKO, 도코, LAS, 이대휘, BIG Naughty 파일:KBS 2TV 로고.svg 10부
강철볼-피구전쟁 김성주, 김동현, 김병지, 최현호 및 강철부대 출연자 파일:채널A 로고.svg 13부
썸핑 조세호, 김진우, 강승윤, 이미주, 엄지윤 및 일반인 출연자 파일:wavve 로고.svg 10부
배틀그램 김준현, 김경, 박상현, 배이정, 조준, 김주연, 정나금, 현지수 파일:라이프타임 로고.svg 6부
레드벨벳의 레벨업 프로젝트 시즌5 Red Velvet 파일:wavve 로고.svg 12부
잠만 자는 사이 일반인 출연자 및 노홍철, 정혜성, 죠지 파일:wavve 로고.svg 8부
버튼게임 이성호, 손서아, 김종서, 허유미, 이창재, 강초롱, 유경환, 김다움, 유종완 파일:wavve 로고.svg 8부
좋아하면 울리는 짝!짝!짝! 일반인 출연자 및 진영, 홍석천, 이은지, 파일:wavve 로고.svg 13부
에스파의 싱크로드 aespa 파일:wavve 로고.svg 12부
다큐멘터리 혼공, 조남호의 입시코드 조남호 파일:MBN 로고.svg 10부
MMM_Where are we now 마마무 파일:wavve 로고.svg 4부
더 타투이스트 이석훈, 모니카 파일:wavve 로고.svg 4부
키스 더 유니버스 시즌2 하지원, 데니스 홍, 아비 로브, 이정모 파일:KBS 1TV 로고.svg 2부
영화 젠틀맨 주지훈, 박성웅, 최성은 파일:wavve 로고.svg 123분
}}}}}}}}} ||
{{{#!wiki style="color:#0274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3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예능 <colbgcolor=#DCF6FF,#2d2f4b> WET! 웻보이, Raiden, , SURAN, 제이블랙 파일:wavve 로고.svg
}}}}}}}}} ||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개 예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분류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영화 <colbgcolor=#DCF6FF,#2d2f4b> 데드맨 조진웅, 김희애, 이수경 파일:wavve 로고.svg -
용감한 시민 신혜선, 이준영 파일:wavve 로고.svg -
}}}}}}}}} ||

8.1.1. 드라마

{{{#!wiki style="color:#0154fa;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16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colbgcolor=#DCF6FF,#1F2C47> 통 메모리즈 이학주, 허지원, 이재윤 <colbgcolor=#fff,#2d2f34> 파일:tv팟 아이콘.svg 12부 }}} }}} }}}
{{{#!wiki style="color:#0154fa;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17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colbgcolor=#DCF6FF,#1F2C47> 복수노트 김향기, 김환희, 차은우, 로몬 <colbgcolor=#fff,#2d2f34> 파일:oksusu_logo.png 23부
회사를 관두는 최고의 순간 고원희, 이청아, 김재이, 정연주 파일:라이프타임 로고.svg 24부
수요일 오후 3시 30분 홍빈, 진기주, 안보현 파일:SBS Plus 로고.svg 16부
뇌맘대로 로맨스 LR 공명, 김재영, 이정민, 홍경 파일:네이버TV 로고.svg 파일:네이버TV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oksusu_logo.png
10부
멜로홀릭 정윤호, 경수진, 한주완 파일:OCN 로고.svg 25부
애타는 로맨스 성훈, 송지은, 김재영, 정서하 파일:OCN 로고.svg 39부
}}} }}} }}}||
{{{#!wiki style="color:#0154fa;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18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colbgcolor=#DCF6FF,#1F2C47> 이런 꽃 같은 엔딩 강훈, 안시은, 이호정, 정건주, 최희진 <colbgcolor=#fff,#2d2f34> 파일:네이버TV 로고.svg 파일:네이버TV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oksusu_logo.png
10부
오목소녀 박세완, 안우연, 이지원, 장햇살 파일:oksusu_logo.png 6부
넘버식스 이민혁, 백서이, 권영민, 배우희 파일:네이버TV 로고.svg 파일:네이버TV 로고 컬러 화이트.svg
파일:oksusu_logo.png
8부
나는 길에서 연예인을 주웠다 성훈, 김가은 파일:oksusu_logo.png 10부
독고 리와인드 세훈, 안보현, 강미나, 조병규 파일:oksusu_logo.png
파일:카카오페이지 로고.svg
10부
}}} }}} }}}||
{{{#!wiki style="color:#0154fa;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19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colbgcolor=#DCF6FF,#1F2C47> 너 미워! 줄리엣 이홍기, 정혜성, 최웅, 문수빈 <colbgcolor=#fff,#2d2f34> 파일:oksusu_logo.png 18부
조선로코 녹두전 장동윤, 김소현, 강태오, 정준호 파일:KBS 2TV 로고.svg 16부
}}} }}} }}}||
둘러보기

2010년대 2020년대

파일:wavve 로고 화이트.svg 오리지널 드라마 목록
{{{#!wiki style="color:#0274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0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colbgcolor=#f2f2f2,#2d2f34> 꼰대인턴 박해진, 김응수, 한지은, 박기웅 <colbgcolor=#fff,#2d2f34> 파일:MBC 로고.svg 12부
거짓말의 거짓말 이유리, 연정훈, 이일화, 임주은 파일:채널A 로고.svg 16부
좀비탐정 최진혁, 박주현, 권화운 파일:KBS 2TV 로고.svg 12부
앨리스 김희선, 주원, 곽시양, 이다인 파일:SBS 로고.svg 16부
나의 위험한 아내 김정은, 최원영, 최유화 파일:MBN 로고.svg 16부
SF8 문소리, 이동휘, 이연희, 이유영, 염혜란, 이다윗, 신은수, 김보라, 최성은, 유이, 최시원, 하니, 신소율, 이시영 파일:MBC 로고.svg 8부
복수해라 김사랑, 윤현민, 유선, 정만식, 윤소이 파일:TV CHOSUN 로고.svg 16부
날아라 개천용 권상우, 정우성, 김주현, 정웅인 파일:SBS 로고.svg 20부
바람피면 죽는다 조여정, 고준, 김영대, 연우 파일:KBS 2TV 로고.svg 16부
}}}}}}}}} ||
{{{#!wiki style="color:#0274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1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colbgcolor=#f2f2f2,#2d2f34> 러브씬넘버# 김보라, 심은우, 류화영, 박진희 <colbgcolor=#fff,#2d2f34> 파일:wavve 로고 2019.svg
파일:MBC 로고.svg
8부
모범택시 이제훈, 이솜, 김의성, 표예진, 장혁진, 배유람, 차지연 파일:SBS 로고.svg 16부
오월의 청춘 이도현, 고민시, 이상이, 금새록 파일:KBS 2TV 로고.svg 12부
보쌈-운명을 훔치다 정일우, 권유리, 신현수, 이재용, 김태우, 송선미, 명세빈, 이준혁, 신동미 파일:MBN 로고.svg 16부
경찰수업 차태현, 정수정, 진영 파일:KBS 2TV 로고.svg 16부
유 레이즈 미 업 윤시윤, 하니, 박기웅 파일:wavve 로고 2019.svg 8부
검은태양 남궁민, 박하선, 김지은, 김병기, 이경영, 장영남, 유오성 파일:MBC 로고.svg 12부
뫼비우스 : 검은태양 박하선, 정문성, 장영남 파일:MBC 로고.svg 2부
원 더 우먼 이하늬, 이상윤, 진서연, 이원근 파일:SBS 로고.svg 16부
쇼윈도: 여왕의 집 송윤아, 이성재, 전소민, 황찬성 파일:채널A 로고.svg 16부
엉클 오정세, 전혜진, 이경훈, 박선영, 이상우 파일:TV CHOSUN 로고.svg 16부
꽃 피면 달 생각하고 유승호, 이혜리, 변우석, 강미나 파일:KBS 2TV 로고.svg 16부
이렇게 된 이상 청와대로 간다 김성령, 백현진, 배해선, 이학주 파일:wavve 로고 2019.svg 12부
}}}}}}}}} ||
{{{#!wiki style="color:#0274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022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colbgcolor=#f2f2f2,#2d2f34> 트레이서 손현주, 임시완, 고아성, 박용우 <colbgcolor=#fff,#2d2f34> 파일:wavve 로고 2019.svg
파일:MBC 로고.svg
16부
악의 마음을 읽는 자들 김남길, 진선규, 김소진 파일:SBS 로고.svg 12부
위기의 X 권상우, 성동일 파일:wavve 로고.svg 6부
청춘 블라썸 서지훈, 소주연, 김민규, 강혜원, 윤현수, 오유진 파일:wavve 로고.svg 16부
치얼업 한지현, 배인혁, 김현진, 장규리, 이은샘, 양동근 파일:SBS 로고.svg 16부
진검승부 도경수, 이세희 파일:KBS 2TV 로고.svg 12부
일당백집사 이혜리, 이준영 파일:MBC 로고.svg 16부
약한영웅 Class 1 박지훈, 최현욱, 홍경, 이연 파일:wavve 로고.svg 8부
}}}}}}}}} ||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개 예정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목 출연진 방송사 방송 분량
<colbgcolor=#f2f2f2,#2d2f34> 귀왕 <colbgcolor=#fff,#2d2f34> 파일:wavve 로고.svg -
미션 투 파서블 김영광, 이선빈 파일:wavve 로고.svg -
백설공주에게 죽음을 변요한, 고보결, 김보라, 고준 파일:wavve 로고.svg -
박하경 여행기 이나영 파일:wavve 로고.svg 8부
거래 유승호, 김동휘, 유수빈 파일:wavve 로고.svg -
}}}}}}}}} ||
둘러보기

2010년대 2020년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wavve 오리지널 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2. 독점 해외시리즈 콘텐츠 목록

파일:wavve 로고 화이트.svg 독점 해외 시리즈 목록
{{{#!wiki style="color:#0050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미드 · 영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제목 장르 방영 분량
2020년 이전
미국 <colbgcolor=#f2f2f2,#2d2f34> 시카고 PD
CHICAGO P.D.
범죄, 드라마 15부작
영국 마녀의 발견(드라마)
A DISCOVERY OF WITCHES
판타지, 로맨스, 드라마 8부작, 10부작
디스 웨이 업
This Way Up
코미디, 시트콤, 블랙코미디 6부작, 6부작
인텔리전스(드라마)
Intelligence
시트콤 6부작, 6부작
더 캡처
The Capture
수사, 범죄, 미스터리, 스릴러 6부작
템플(드라마)
Temple
의학, 메디컬 드라마 8부작, 7부작
2020년
미국 코브라(드라마)
COBRA
정치, 드라마 8부작
데빌스(드라마)
DEVILS
스릴러 10부작
코드 404
CODE 404
액션, 코미디, 수사 6부작, 6부작
베이사이드 얄개들
SAVED BY THE BELL
하이틴, 시트콤, 드라마 10부작
영국 아이 헤이트 수지
I HATE SUZIE
블랙코미디, 드라마 8부작
히트맨(드라마)
HITMEN
코미디, 범죄, 시트콤 6부작
갱스 오브 런던
GANGS OF LONDON
범죄, 드라마 9부작
캐나다 트랜스플랜트
TRANSPLANT
메디컬 드라마, 드라마 13부작
2021년
독일 이비자 스캔들
Die Ibiza Affäre
드라마 4부작
뉴질랜드 크리머리
Creamerie
드라마 6부작
호주 파이어
Fires
드라마 6부작
미국 라 브레아
La Brea
재난, 드라마, 미스터리 10부작
오디너리 조
Ordinary joe
드라마, 로맨스 10부작
2022년
미국 이퀄라이저(드라마)
The Equalizer
범죄, 드라마 10부작
영 락
Young Rock
시트콤 11부작
레지던트 에이리언
Resident Alien
SF, 코미디, 드라마 10부작
펑키 브루스터
Punky Brewster 2021
시트콤 10부작
걸스파이브에바
Girls5eva
코미디, 뮤지컬 8부작
러더포드 폴스
Rutherfold falls
드라마, 시트콤 10부작
닥터 데스
Dr. Death
의학, 범죄 8부작
처키(TV 시리즈)
Chucky
공포 8부작
Law&Order: Organized Crime
LAW&ORDER: ORGANIZED CRIME
범죄, 형사 8부작
영국 블러드(영국 드라마)
BLOODS
코미디, 의학 6부작
위 아 레이디 파트
WE ARE LADY PARTS
코미디, 음악, 시트콤 6부작
도미나(드라마)
Domina
시대극, 정치 8부작
프랭크 오브 아일랜드
Frank of Ireland
코미디, 드라마 6부작
울프(드라마)
Wolfe
수사, 범죄, 드라마 6부작
캐나다 프리티 하드 케이스
PRETTY HARD CASE
범죄, 수사 10부작
오스트리아 미 앤드 디 아더스
ME AND THE OTHERS
드라마 6부작
뉴질랜드 걸 인 더 우즈
The Girl In The Woods
드라마 8부작
아이슬란드 시스터 후드
Sisterhood
범죄, 미스터리 6부작
}}}}}}}}}||
{{{#!wiki style="color:#0050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드 · 일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국가 제목 장르 방영 분량
2020년
중국 <colbgcolor=#f2f2f2,#2d2f34> 소녀상방게와 로맨스 23부작
2021년
중국 와우여황리조 청춘 40부작
종규착요기 무협, 고장극 55부작
친애적의기군 로맨스 36부작
인간지미시청환 로맨스, 현대극 42부작
불가사의적애정 로맨스 23부작
일본 앞으로 3번, 너를 만날 수 있어 범죄, 미스터리 단편
누나의 연인 로맨스 9부작
투윅스(일본판) 리메이크 10부작
10의 비밀 서스펜스 10부작
오오마메다 토와코와 3명의 전남편 드라마 10부작
}}}}}}}}}||

9. 서비스 제공 지역

9.1. wavve

  • 대한민국

9.2. wavve go

웨이브고는 국내 유저가 해외방문 시 7일 간 서비스를 계속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여행이나 출장 시 챙겨보던 드라마, 예능 등 콘텐츠를 현지에서 스트리밍으로 즐길 수 있으며, 해외시리즈 등 일부 콘텐츠는 제공하지 않는다. 아래는 웨이브고 제공 국가.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필리핀
  • 베트남
  • 라오스
  • 태국

10. 문제점

10.1. oksusu 시절 서비스 미승계

POOQ oksusu를 통합했는데 이름과 다르게 oksusu의 채널을 모조리 가져온 것이 아니고, 오히려 oksusu에서 서비스 중이던 채널과 혜택이 거의 대부분 사라졌다. oksusu 시절에는 SK텔레콤 고객이 컨텐츠를 결제할 때 T-멤버십을 이용해 할인 혜택이 제공되었고 볼 수 있는 채널이 많았으며, 5G 상영관이 있어 VR 컨텐츠도 제공되었으나 이러한 혜택들이 모조리 사라졌다. 다른 통신사와의 차별화된 혜택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부분. 그나마 SK텔레콤 고가 요금제에 가입할 경우 무료 혜택이 제공되긴 하나, 중저가 요금제 가입자는 국물도 없다. 거기다 5GX 프라임 요금제, T플랜 스페셜 요금제 가입자는 wavve 앤 데이터 또는 FLO 앤 데이터 둘 중 하나 무료 혜택을 선택할 수 있었는데, wavve와 FLO 모두 가입 유도로 wavve + FLO 70% 할인으로 변경해버렸다. 또한 SK텔레콤 가입자 인증을 받으면 지상파 실시간 방송 채널을 15~30초 광고 시청 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으나 2022년 3월부터 이러한 혜택도 사라졌다.

2022년 8월 이후 기준으로 SK텔레콤 고객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은 5GX 플래티넘 요금제, 5GX 프라임플러스 요금제, T플랜 맥스 요금제 가입자만 무료로 제공되며, wavve 앤 데이터 프리미엄 요금제(월 15,900원으로 매일 1GB 제공, 소진시 3Mbps로 속도 조정)까지 가입할 수 있다.

프로야구 콘텐츠가 신설되었으나 모바일에서만 지원된다. Android 앱에서는 빠른 중계도 지원한다. 빠른 중계가 가능한 단말에서만 지원하는 것은 동일하나, 플레이어에 보이는 빠른 중계 버튼은 사라지고, toast pop-up 으로 빠른 중계임을 알려주기만 한다.(빠른 중계 on/off 가 없다.)

어린이 애니메이션 채널의 경우, 애니맥스, 디즈니채널 등은 통합 이전부터 양쪽에서 모두 제공하던 채널이라 문제가 없으나 oksusu에서만 제공됐던 JEI 재능TV 등은 wavve 쪽으로 하나도 이관되지 않았다.[14] 그나마 2020년부터 브라보키즈 (8월), 대교어린이TV (9월)가 추가되었다. TVING은 투니버스, 애니맥스, 애니박스, 니켈로디언, 디즈니채널을 제외한 디즈니주니어, 대교어린이TV, 애니원 등 다른 애니메이션 채널은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여기는 애니메이션 시청자들의 수요는 있는 편이다.

또한 기존 oksusu 시절에는 유료/SK텔레콤 일정금액 이상 요금제로 LIVE 채널 전채널 FULL HD 화질로 이용 가능했는데 wavve 통합 직전 기존 oksusu 이용권을 POOQ으로 이전하면 wavve에서 지상파 채널, 종편 3개 채널만 720p화질로 시청 가능하고 나머지는 SD화질로 서비스되는 마법이 구현된다. 기존 POOQ에서도 전 채널 SD화질로 시청이 가능했던 걸 생각하면 oksusu는 서비스가 종료되고 POOQ이 wavve로 이름만 바뀐 거라 말할 수밖에 없다.

이용권 구매자에 한해 타임머신 서비스도 제공한다. oksusu에서 SK텔레콤 기본월정액 이용자가 wavve로 이전하면 제공하는 기본월정액권은 2020년 8월 21일부로 종료되었으며, 기존 가입자에게는 wavve코인 10,000개[15]만 지급하고 끝이다. oksusu만 없어진 꼴. 넷플릭스에 대항한답시고 통합을 핑계 삼아 oksusu를 없애고 사실상 POOQ에서 이름만 바꿔 이용자들을 기만한 wavve은 결국 이용자들에게 "대체 누구을 위한 통합이냐?"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10.2. 개별구매 영화 미구분 검색

영화는 일반 영화(하부 카테고리에서는 wavvie 영화라고 나온다)와 영화플러스로 카테고리가 나뉘어지는데,[16] wavvie 영화는 기본 월정액 요금제부터 시청 가능하고[17] 플러스 영화는 개별구매이다. 사실 엄연히 유료 서비스임에도 해외 OTT와는 달리 좀 너무하다 싶을 정도로 개별구매 영화가 많은 편인 것도 사실이다.

대부분의 이용자가 알고 싶은 것은 별도 부담 없이 정상적인 시청이 가능한 영화가 어느 것이냐일 텐데, 카테고리별 검색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영화 카테고리와 영화 플러스 카테고리 각각의 내부에서는 검색기능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카테고리를 나뉘어 놓은 것이 아무 의미가 없다.[18] 검색 리스트에서 개별구매 여부를 보여 주면 비율이 너무 기울어지게 나타나니 일부러 보여 주지 않는 것이라는 의심이 들 만큼, 한마디로 편의성이 처참하다. 영화를 검색해서 클릭했다가 3분 미리보기만 나오는 상황을 반복해서 겪으면 당장 자동결제 해지버튼을 누르고 싶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서비스 1년이 다 되어 감에도 검색화면에서 구분을 안 해주는 것을 보면 화면 설계과정에서의 실수가 아니라 일부러 그렇게 세팅한 것으로 볼 수밖에 없다. 영화 뿐만 아니라 wavve 카테고리 자체가 굉장히 부실해서 원하는 컨텐츠를 찾기에는 부적절하다. 특히 카테고리를 나눠놓는 기준이 장르, 년도별로 세밀하게 나눠서 이용자들이 편하게 찾게끔 만들어놓은게 아니라 카테고리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아무리 컨텐츠가 많아도 제대로 된 카테고리가 없다면 이용할 수 있는 컨텐츠는 극도로 제한이 된다. 이용자들이 모든 컨텐츠의 제목을 알고 있는게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부실한 카테고리에도 막상 그 카테고리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컨텐츠 수도 상당하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장르의 컨텐츠를 찾으려고 해도 제대로 분류되지 않은 카테고리를 보면 이용자들의 wavve를 이용하고자 하는 마음이 싹 사라지는 게 당연하다. 원하는 컨텐츠도 제대로 찾을 수 없는 OTT 서비스를 누가 이용하려고 하겠는가? 참고로 나무위키 영화 문서에 스트리밍으로 wavve가 있어도 개별구매인 경우가 있으니 조심할것.

10.3. 낮은 해상도, 비트레이트와 음질 및 콘텐츠 소스 관리 방치

요금제 항목에 언급된 것처럼 홍보 문구와 달리 2023년이 다 되가는데도 4K UHD를 사실상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 4K UHD로 서비스되는 HBO Max나 Peacock의 컨텐츠도 전부 1080p로 제공된다.

무엇보다 같은 해상도에서 비트레이트가 심각하게 낮은 것도 문제이다. 이로 인해 기가 인터넷에서도 화질이 심각하게 떨어지고, Apple TV+ iTunes Store 등의 서비스와는 비교 조차 불가능하며 똑같이 심각하게 떨어지는 비트레이트를 제공하는 TVING이나 Seezn과 비교해도 HD(720p) 콘텐츠의 화질은 더 떨어진다. 분명히 해상도는 720p인데 실제 화질은 480p, 심하면 360p 수준. 따라서 고화질로 즐기려면 FHD(1080p) 이용권 결제가 필수이지만 FHD의 비트레이트도 처참한 수준이다. 720p영상은 고화질이라고 도저히 볼 수 없는 수준이라 FHD 영상을 결제하게 되는데, 1080p 파일을 다운 받아보면 그마저 영상은 H.264 5000kB/s, 음성은 HE-AAC 96kbps로 제공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FHD영상도 유튜브보다 낮은 수준의 끔찍하게 낮은 비트레이트로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HE-AAC 96kbps 음질은 정말 심각한 편으로 확연히 방송이나 OTT에 비해 음질이 떨어지는 것을 막귀라도 느낄 정도. HE-AAC는 고효율 코덱이기 때문에 mp3보다 2배 이상의 음질이라는 말도 있지만 lame 인코더의 발전으로 그러한 등식은 무리수가 있다. 해외 스트리밍 업체들에선 돌비 디지털 플러스(E-AC3, DD+)가 표준으로 자리잡아 서비스 중이며, 지상파도 돌비 디지털(AC3, DD) 192kbps로 방송하는데 지나치게 낮은 음질이란 지적을 피해갈 수는 없다.

당연하지만 HDR, Dolby Vision[19], Dolby Atmos는 지원하지 않고, 심지어 유튜브 조차 지원하는 5.1채널 오디오 조차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 원본 오디오가 어떻든 모든 컨텐츠의 오디오 포맷은 음질을 떠나 2채널 스테레오 고정이다.

SD 시절 드라마와 만화들이 16:9 화면비인 경우가 많다. 자체 플레이어에서 4:3 화면비로 변환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원본과는 전혀 다른 화면비로 감상을 해야 한다. 또한 일부 작품은 제대로된 리마스터링을 거치지 않았는지 화면이 깨지거나 뭉게지기도 한다. 인기가 있을만한 콘텐츠까지도, 특히 가을동화와 겨울연가,미안한다 사랑한다 등 KBS 구작들의 경우 고화질 리마스터링판으로 제공되지 않고 4:3이 아닌 16:9 화면비로 옆으로 퍼진 수준으로 제공되는 점이 두드러지는 편이다. 또한 FHD나 UHD 시절 드라마들이라도 구작들은 HD(720P)나 심지어 SD(480P)로도 제공되는 경우도 있는데, 2000년대 뿐만 아니라 2010년대 작품까지 그런 형편.

10.4. 방송사 측의 일부 콘텐츠 미제공

국내 방송사와의 협력도 그다지 원활하지 않은 것 같다. 단적으로 KBS 드라마 클래식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드라마들 중 많은 수가 웨이브에선 제공되지 않는다. 최근 MBC에서 리마스터링 이후 홈페이지에 공개되고 있는 드라마들도 마찬가지다. 올드 드라마팬이라면 여전히 웨이브보단 KTV나 엣지티비 등 케이블 올드 드라마 채널들의 편성을 참고해야 한다. 지상파 3사가 협력하는만큼 이들의 콘텐츠가 구작부터 신작까지 잘 구비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음에도 신작 위주로만 운영되고 있다. 아마존 프라임 등 해외 OTT들이 아주 예전 드라마들까지 복원해가며 구비되어 거대한 문화콘텐츠 허브처럼 되고 있는 것과는 다른 모습.

10.5. 이용권 변경시 차액 미환불 & 코인 사용 유도

이용권 사용 중에 다른 등급의 이용권으로 변경할시 기존 이용권의 남은 사용기간 만큼의 차액을 정상 환불해주지 않는다.

해당하는 차액은 대신 웨이브 안에서만 사용가능한 코인으로만 강제 충전된다. 문제점은 결과적으로 이 코인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추가로 따로 코인 충전을 결제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참고로, 완전히 같은 방식으로 이용권 변경 단계를 제공하고 있는 티빙은 기존 이용권의 남은 사용기간 만큼의 차액을 결제 수단을 통해 전액 그대로 정상 환불해준다.

10.6. 기타 문제점 및 해결된 문제점

  • 플레이어 설정에서 화질을 UHD로 눌렀는데도 화질이 HD로 설정되는 경우가 가끔씩 있다. 심지어 이런 경우에는 화질이 HD임에도 불구하고 플레이어 설정에는 HD가 아닌 UHD로 되어있어 햇갈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 실시간TV에서 약 30초 ~ 2분에 1번씩 프레임이 끊기는 현상이 있다. 또한 다음 장면으로 넘어갈때 잠깐동안 잔상이 생기는 현상도 간혹가다 있다.
  • 사용중인 이용권이 두개일 경우, 둘 중 상위의 이용권이 적용된다고 고객센터에서 안내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하위 요금제가 적용되어 Quick VOD 등 상위 기능을 이용하지 못하는 버그가 있다.[20] 이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Wavve로부터 따로 안내나 보상을 받을 순 없으니 개인이 유의하는 수밖에 없다.
  • 삼성TV 에서는 알수없는 이유로 LIVE방송을 볼 수 없다. 삼성TV에서는 UHD화질도 지원하지 않는다.
  • 일반적인 OTT 서비스들처럼 고배속 저배속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1배속 미만의 경우 0.5배속만 존재하고 0.7배속 구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 해결 - HBO 드라마들이나 외국 영화 등 재생버튼을 누르면 동그라미 버퍼링만 돌고 재생이 먹통되는 경우가 잦다. 웃기게도 국내 드라마나 사람들이 많이 시청중인 컨텐츠들은 잘 재생되는 등 서비스가 원활하지 않은편.
  • 해결 - Microsoft Windows Chrome에서 탭이 여러 개 생성되는 증상이 있었다. 만약 위의 증상 발생 했다면, 은행 사이트 등에서 설치하는 보안 프로그램 중 APS Engine 이라는 프로그램을 삭제하면 된다. 피싱/파밍 방지 프로그램이라고 하지만, wavve 홈페이지를 잘못 인식하여 오동작을 일으켰었다. macOS Chrome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11. 논란 및 사건 사고

11.1. 2021년 서비스 이용 장애 사태

2021년 1월 27일부터 일부 VOD 및 LIVE 콘텐츠가 오류 때문에 접속 혹은 이용이 안 된다고 공지했다. 문제는 거의 모든 콘텐츠가 이용이 안 된다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속도가 좋아도 화질이 제멋대로 바뀌는 등 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확실히 oksusu만 사라진 꼴.

이 문제는 2021년 1월 29일에 깨진 파일을 복구하면서 그나마 나아졌으나, 복구 과정에서 파일이 뒤섞여 나오는 문제가 발생했다. 더욱 심각한 것은 뽀로로 극장판 컴퓨터 왕국 대모험[21]에 중간중간 출처불명의 베드신이 몇 초씩 7차례 이상 송출되면서 어린이들을 키우는 부모들 사이에서 동심 파괴 관련으로 난리가 났다. 평일(금요일) 오후 시간인데도 웨이브 콜센터에 연결이 안되어 문의가 불가능한 상태였다.

이후 웨이브 측은 문제의 콘텐츠를 삭제했으며, 1월 31일에 재업로드를 완료해 콘텐츠가 정상적으로 제공 중이다. 또한 "파일 오류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영상이 섞인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내부에서 정확한 사태 원인을 파악 중이며 책임소지를 분명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1 #2 #3 1월 30일 오후 웨이브 측은 공식 홈페이지와 애플리케이션에 사과문을 공지했다. #1 #2 안 그래도 뽀로로라는 이름 자체가 부적절한 아재 개그용으로 써먹힌 실제 사례( 기사 1, 기사 2)가 가끔 있는데, 이 사건 때문에 그 이름이 떠오른다는 말이 나온다.

하지만 해당 오류가 완전히 해결된 2021년 2월 7일까지 일부 VOD 콘텐츠를 제외한 대부분의 콘텐츠들은 여전히 재생이 불가한 상황이다. 그런데도 wavve 측에서는 명확한 보상 대책을 내지 않고 있으며, '불편하시라도 당분간은 최신 VOD 위주로 시청해 주세요'라는 말 같지도 않은 매크로 답변만 복붙 중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구글 플레이 평점은 2021년 2월 10일 기준 2.2점까지 떨어진 상태이며, wavve 측에서는 아래와 같은 매크로 답변만 반복하는 중이다. 이 때문에 정기결제를 끊고 탈퇴하는 사람들까지 나타났다.
안녕하세요. wavve(웨이브)입니다. 먼저, 이용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2021-1-27(수) 06:20~ 부터 서버 이슈로 인해 LIVE 특정 채널과 일부 vod 이용불가 증상이 발생되었습니다. 최근 1개월 내에 방송된 VOD는 시청이 가능하며 그 외 콘텐츠들은 현재 복구 중에 있습니다. 정말 죄송하게도 복구 시까지는 약 2주 가량의 시간이 소요될 예정이니, 너그럽게 양해 부탁드립니다. 불편하시더라도, 약 1~2주 기간 동안은 최근 방송된 VOD를 위주로 시청 부탁드립니다. 최선을 다해 안정화 위해 힘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실 대개의 가입자가 정액제 회원이므로 정상이용이 불가능했던 1월 27일부터 복구완료까지의 기간동안을 연장해주면 되는 것인데, 그 돈이 아까워서인지 뻔뻔하게도 양해 어쩌고를 시전하는 모양새이다. 4주 기준으로 판매되는 상품이 2주동안 정상이용이 불가능하면 소보법상 전액환불 처리가 가능한 사안인데 이런 공지를 올린다는건 어떻게든 대충 스리슬쩍 넘어가고 싶다는 소리에 지나지 않는다.

파일:20210208_banner_164416.jpg

2021년 2월 8일 서비스 장애와 관련하여 프리미엄 영화를 무상제공한다는 공지가 올라왔다. 대표적인 영화로는 밤쉘, 런, 국제수사, 대장 김창수, 인천상륙작전등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문제가 된 부분이 영화보다는 드라마, 예능 등 지상파 VOD쪽이었기에 다소 연관성 없는 보상이 아니냐는 불만이 있다. 위에 언급된 것처럼 보통 정상적으로 이용이 불가했던 기간만큼은 유료결제기간을 연장해주는 것이 일반적인 대처로 손 꼽히기 때문이다. 또한 보상으로 올라온 영화들이 망작으로 손꼽히는 영화들이라 사과를 하는건지 도발을 하는건지 알 수 없는 수준이다.

2021년 2월 11일 시점에서도 서버가 매우 불안정하여 버퍼링이 걸리거나 화질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게다가 상술했듯이 어처구니 없는 보상까지 더해져서 평점은 계속해서 떨어지는 중이다.

따로 1:1문의를 할 경우 쿠폰을 준다.

같은 해 8월 24일 이후 방송한 채널에 한한 VOD 시간조정이 오류가 생겼고 해당 영상에 방송사 로고가 나오지 않는다. 수정되지 않고 있다.

11.2. 2022년 콘텐츠 음향 강제 모노 다운믹스 의혹


2022년 1월 31일, 한 유튜버에 의해 웨이브가 제공하는 VOD 콘텐츠의 음향이 전부 모노로 다운믹스 인코딩되어 제공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 되었다. 다만 다운로드 받아 확인해보면 1080p영상 기준으로는 96kbps HE-ACC로 스테레오 인코딩이 되어 있다. 일단 HE-AAC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HE-AAC는 블라인드 청음에서도 평가가 안 좋을 정도라, 그로 인해 빚어지는 문제인지 아니면 정말 실제로 모노로 다운믹스한 것인지는 좌우 스펙트럼을 봐야 정확한데 해당 유튜버는 우선 청음으로만 의혹을 제시한 상태다.[22]

12. 여담

  • 채널 중에 순옥명작관이 있다. 24시간 김순옥이 집필한 드라마들을 방송해 준다고 한다.
  • 아무 요금제에도 들지 않은 무료 회원은 광고시청 후에 SD/모바일 화질에 한하여 실시간TV 채널을 이용할 수 있는데, 2020년 10월 당시에는 광고 뛰어넘기도 불가능했었다. 과거엔 15초 이상 광고 시청 시 뛰어넘기가 가능했으나, 2분 광고와 15초 광고 두 편까지 총 3편, 2분 30초 동안 광고를 본 후 채널을 이용할 수 있어서 굉장히 불편했다.[23] 2021년 7월 기준, 광고 뛰어넘기가 가능하다.
  • 오래된 지상파 드라마나 과거 유행했던 드라마들이 많은 편이다. 설마 이런 것도 있을 줄은 예상하지 못했을 정도로 지상파 드라마는 다양하다.[24] 그러나 지상파 예능은 이런 것도 없나 할 정도로 적은 편이다.
  • 2021년 7월 20일부터 1년간 HBO와의 콘텐츠 계약을 체결하면서 HBO의 드라마,다큐 등을 제공하기 시작했다.[25] HBO Asia, HBO Europe, Cinemax의 컨텐츠를 포함한다. MAX original과 나머지 워너 계열 채널의 컨텐츠는 현재 개별 수입된 작품 일부를 제외하고 제공되지 않고 있으나, 재계약을 통해 Max Original까지 제공하는 방안이 협의중에 있다. 단, 웨이브에서 비영어권 일부 콘텐츠를 영어 더빙된 형태로 제공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2022년 6월 30일, 일부 독점 작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HBO 컨텐츠가 내려갔다. 독점 계약에서 인기작 중심 건별 계약으로 전환되면서 인기작을 제외한 나머지 작품의 계약이 만료된 것으로 보인다. 계약이 연장되어 8월부터 MAX original 콘텐츠를 포함하여 작품이 공급된다.
  • 2022년 3월 11일부터 정주행 채널과 홈쇼핑 채널을 제외한 대부분의 실시간 방송 채널들은 이용권을 구독해야 시청이 가능하도록 변경되었다.[27] 우노큐브 셋톱박스의 우노플러스와[28] LG스마트TV의 LG채널같이[29] 웨이브를 이용하는 앱들도 2022년 3월 11일부터 채널 정책이 똑같이 적용된다.
  • 구글의 인앱결제가 의무화되면서 2022년 3월 31일부터 안드로이드 app에 한하여 기존 요금 대비 1,100원에서 2,100원을 더 내고 결제해야 하는 구글에 지불할 추가적인 수수료를 내고 감상해야 한다. 다만, PC 화면이나 모바일 웹, 스마트TV에서 결제하였거나 혹은 기존 구독자에게는 가격을 그대로 징수해야 한다. 단, 유료 결제를 해약하거나 wavve 관련 앱을 삭제하였지만 이후에 wavve를 다시 설치할 경우에는 인앱결제를 해야 하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게 된다.
  • 역시 구글 정책 변경으로 다운로드 파일은 android/data/kr.co.captv.pooqV2/files/Movies/wavve/downlod/movie[30] or vod[31]의 경로에 저장되어서 오직 wavve 앱의 다운로드 콘텐츠를 통해야만 볼 수 있으며 하필 안드로이드 11 업데이트후 data 폴더가 폰에서는 접근이 막혔는데 이 앱으로는 접근이 된다. 해당 앱을 깔아서 위에 적힌 경로대로 가면 VOD 파일을 찾을 수 있다.
  • 위와 같은 변경, 그리고 전반적인 OTT 업계의 부진, 그리고 홀인러브 등의 오리지널 컨텐츠의 참패로 2022년 4월 이용자가 급갑했다. #
  • 2022년 7월부터 이용권을 보유하지 않은 사용자는 실시간 TV 의 PIP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 모바일 앱의 경우 화면을 보지 않고 오디오만 들을 수 있는 '오디오 모드'를 제공한다. 넷플릭스가 2020년 12월초 아주 잠깐 베타테스트로 도입을 시도했다가 접은 서비스인데,[32] 오히려 음성해설을 제공하지 않는 웨이브에서는 그냥 오디오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 시청목록을 지우더라도 취향 분석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즉 시청목록을 지우더라도 해당 콘텐츠를 시청한 내역은 그대로 취향 분석에 반영이 되어 나타난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장점에 해당하지만, OTT 서비스가 인식하는 사용자 취향 자체를 관리하고 싶거나 다른 사람과 같은 프로필을 쓰는 사람이라면 주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13. 관련 문서


[1] 한국방송공사(KBS), 문화방송( MBC)과 SBS의 합작사인 콘텐츠연합플랫폼(CAP)에 SK텔레콤이 주주로 참여하면서 회사 명칭 변경. [2] oksusu가 모바일 IPTV 서비스인 B tv mobile과 영화,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hoppin이 합쳐진 것이기에 지상파 방송인 POOQ과 B tv mobile, hoppin 세 가지가 합쳐진 것이다. 다만 서비스 만족도는 낮은 편인데, 그 이유는 아래 서술. [3] 크롬과 동일한 엔진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브라우저도 포함. [4] 2021년 기준. [5] SK텔레콤이 서비스하지만 가입은 사용하는 통신사와 무관하게 11번가를 통해서 가입할 수 있다. [6] 이쪽은 Mini 요금제와는 달리 SK텔레콤 T월드에서 가입하나 타 통신사 고객도 가입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부 구독서비스는 SK텔레콤 이용자만 가입 가능. [7] 모바일+PC+TV, 전용데이터 1GB/일. [8] 모바일+PC, VOD 다운로드 10회. [9] 5GX 프라임, T플랜 스페셜, 0플랜 라지/슈퍼히어로 [10] 5GX 플래티넘, 5GX 프라임플러스. [11] 이용권 없이 정주행이나 홈쇼핑이외의 실시간 채널을 보면 1분 미리보기만 볼 수 있다 [12] 인기작 및 특정 구작 작품의 에피소드들만 반복해서 틀어주는 VOD 스트리밍 채널 [13] HBO 외 워너 계열의 다른 채널의 콘텐츠는 공개되지 않고 있다. 2022년 8월부터 MAX Original 콘텐츠도 공개될 예정이다. [14] JEI 재능TV 카카오TV에서도 스트리밍을 제공하고 있으며 대교어린이TV Seezn에서도 스트리밍을 제공하고 있다. [15] 2020년 10월 31일까지 사용 가능했다. [16] 최초 런칭 당시에는 중간단계로 playy영화 등급이 있었으나 2020년 4월 1일 wavvie영화로 합쳐져 개별구매냐 아니냐로만 구분하게 되었다. [17] 다운로드는 개별구매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거의 모든 영화가 스트리밍 방식으로만 이용 가능하다는 것이다. 다만 이 부분은 다른 국내 OTT도 동일하며, 일부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넷플릭스나 왓챠의 경우에도 앱 내에서만 시청 가능한 방식인 만큼 마냥 부정적으로 볼 수 없는 점이다. [18] wavvie영화관으로 들어가면 wavvie영화만 나오긴 하지만 이 안에서 검색기능이 작동되지 않아 가나다 순으로 정렬해 놓고 스크롤을 계속해야 한다. 그 영화 제목이 "ㅎ"으로 시작되기라도 하면 엄두가 나지 않는다. [19] 트레이서 단 한 작품이 지원한다 [20] 예를 들어 Quick VOD가 제공되지 않는 SK텔레콤 우주패스의 Wavve lite 요금제를 사용하다가 Quick VOD 시청을 위해 Wavve Basic 이상의 요금제를 구매하더라도 버그로 인해 기능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21] 겨울왕국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에서도 같은 증상이 발생했다는 말이 있다. [22] 저화질 영상에서는 모노로 인코딩 되어 있을 수는 있다. [23] 경쟁사인 TVING에서도 무료 회원에게는 스킵불가 45초(개편 전에는 1분) 광고를 봐야 실시간TV 채널을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있으나, TVING 쪽은 2021년 4월 29일부로 실시간TV 서비스가 재 유료화되었다. [24] 하지만 KTV의 위엄에 미치지는 못한다. 옛 드라마 애호가에게는 여전히 KTV가 압도적이다. [25] 웨이브에 HBO 작품 대거 들어온다, 2021-07-20, 한국경제TV [26] 웨이브, NBC유니버설 '피콕 오리지널' 국내 독점 서비스, 2021-08-30, 연합뉴스 [27] 무료 서비스 개편 안내, 2022-02-11, wavve [28] 우노플러스(웨이브공지사항) 무료 라이브 TV 변경 사항 공지(3월 11일 적용 예정), 2022-02-22, 우노큐브 [29] [LG 채널] 제공 채널 개편 안내, 2022-02-17, LG콘텐츠스토어 [30] 영화 다운로드. [31] vod 다운로드. [32] 넷플릭스 베타테스트는 설정에서 테스트 참여 항목을 켰더라도 일부 선별적으로 랜덤 제공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잠시 있었던 베타테스트의 경우 모르는 사람도 많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