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플래닛볼
컨트리볼 Countryballs |
각국의 컨트리볼들[1][2] |
[clearfix]
1. 개요
폴란드볼이 인기를 끌자 2009년 10월에 탄생한 다른 나라 공들이다. 대부분 자신의 국기를 쓰는 동그란 공이지만 동그랗지도 않은 나라가 생기기도 하고, 각 나라마다 자신만의 특색이 있다.2. 상세
상임이사국 중에서는, 미국[3]은 선글라스와 총 또는 미사일을 들고 다닌다. 영국은 실크햇과 모노클을 쓰고 찻잔을 들고 있고, 프랑스는 베레모를 쓰고 바게트를 들고있기도 하며 러시아는 우샨카를 쓰거나 보드카를 달고 있으며 하하하( Хахаха)라고 웃는다. 중국은 xixixixi라는 소리를 내며 웃는다. 일본은 고양이 귀나 고양이 꼬리를 달고 있으며 또 한국 유튜버들 중에는 한국볼에게 파란색 빨간색 헤드셋을 씌우는 모습도 볼 수 있다. 그 외의 특징들은 아래 문단 참조.폴란드볼의 주된 테마가 국민성 유머를 베이스로 한 국제관계나 지정학이고, 당연히 세계사와 관련이 깊기 때문에 과거에 존재했던 나라들의 컨트리볼도 많이 볼 수 있다. 이때 네팔처럼 국기가 네모 모양이 아닌 나라들은 그 국기의 특색에 맞는 변형이 자주 들어가는데, 대표적으로 베네치아 공화국의 경우 깃발에 달린 다섯 개의 술(鬚)이 촉수처럼 사방으로 뻗어있고, 맘루크 왕조의 경우 국기가 주둥이처럼 생겨서 네팔처럼 국기 모양 그대로, 항상 옆모습으로만 그린다.
움직일 때는 튀어다니거나, 미끄러지듯 이동한다. 가끔 멍청한 컨셉을 살리기 위해 옆으로 데굴데굴 구르면서 이동하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가끔 원래 특이한 모양이 아닌 나라이지만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가 있는데 그중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가난과 기아로 인해 공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땅콩처럼 되거나 놀라거나 기분상태에 따라 공의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든다. 단, 칠레는 반드시 계속 세로로 길어지는 것을 유지한다.
나라가 아니더라도 카탈루냐, 홍콩, 퀘벡, 바스크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제주특별자치도나, 기초 행정구역도 표현되기도 한다.[4] 또한 민족들도 공으로 표현이 가능한데 별개의 상징 국기나 문양이 없는 민족을 그릴때는 당구공으로 많이 그린다. 당구공은 국기가 없는 고대 국가의 주 민족들을 나타내는 데도 쓰이는데 레딧에서는 종류를 4가지( 컨트리볼/기타 참조.)에 국한하여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리는 사람들의 성향이 천차만별이어서 어떤 편은 인종 차별 조크를 다루고 어떤 편은 선진국들의 이중적인 행태를 은유적으로 풍자하기도 한다. 다만 최근 유럽 사회의 분위기 때문에 이슬람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편이고, 반면에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지 경영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뉘앙스가 많다. 특히 아프리카 국가들에 동정적인 편이다. 워낙 그리는 사람들이 많다 보니 전체적으로 보면 모두까기 성향으로도 보인다.
3. 규칙
컨트리볼을 그리기 위해서는 이를 지켜야 하는 암묵의 룰이 존재하는데, 특히 레딧의 메인 서브레딧에는 비교적 엄격한 규칙이 적용되어 있어 규칙을 어기기만 해도 관련 작품을 올릴 수 없다. Polandball Wiki에서도 개별 문서로 나올 정도로 내용이 방대하며, 본 문서에서는 대표적인 규칙만을 주로 서술한다.- 입[5], 발, 눈썹, 눈동자를 그려서는 안되며, 손도 웬만하면 그리지 않는 것이 좋고 손 없이 표현이 어려운 장면은 고무장갑이나 고릴라 등 영장류의 손으로 표현할 것.
- 완벽한 공 모양, 특히 원형 툴로 그리지 말 것.
- 특징이 잡힌 캐릭터를 변형해서 그리지 말 것.
- 폴란드: 국기가 180도 뒤집어진 모양으로 그릴것 인도네시아, 모나코와 국기 구성이 같다.
- 카자흐스탄: 가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그린다. 소련시기 카자흐 SSR도 마찬가지. 영문명은 Kazakhstanbrick(카자흐스탄벽돌).
- 이스라엘 : 정육면체 또는 속이 보이는 정팔포체로 그린다. 영문명은 Israelcube(이스라엘큐브).
- 싱가포르 : 삼각형으로 그린다. 영문명은 Tringapore(삼각포르).
- 라이히(독일 제국) : 동그란 일반 독일 제국과는 또다른 형태로 세로로 긴 직사각형에 눈이 매우 작게 그려진다. 영문명은 Reichtangle.
- 네팔, 오하이오 주, 맘루크 술탄국 등 국기(주기) 형태가 완전한 직사각형이 아닌경우 : 국기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되 안쪽으로 들어간 부분에 이빨이 돋아나게 그린다. 영문명에서는 ball이 아닌 rawr(으르렁 소리를 표현한 의성어)로 부른다.
- 칠레: 뱀 내지는 서핑보드.
- 국기 색상의 원형을 유지할 것. 국기 형태가 복잡하거나 사람의 신체, 표정이 그려진 국기라면 어느 정도 변형이 가능하나, 되도록이면 원형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
- 컨트리볼을 그릴 때에는 국기를 인터넷에서 찾아 복붙하지 않고, 직접 그려야 할 것.
-
특정 볼들에는 귀나 꼬리, 장신구 등이 있으므로 그리는 것은 필수지만, 굳이 그리지 않아도 딱히 상관은 없다.
{{{#!folding [ 볼들이 사용하는 장신구 ] - 폴란드: 현대의 폴란드를 그릴 때에는 뚫어뻥을 자주 들고 나온다.
- 영국: 실크햇과 단안경.
- 미국: 선글라스를 쓰는 것이 기본적이지만, 벗는 경우도 허용된다.
- 러시아: 우샨카 모자. 보드카도 그리는 경우가 있지만 이건 핀란드와 동일하다.
- 일본: 고양이 귀와 꼬리, 일본 제국일 땐 전투모와 일본도를 착용한다. 다만 규칙 상 실제 부위를 그리는 건 안되므로 귀와 꼬리에 가격표를 붙이는 경우도 있다.
- 프랑스: 베레모를 주로 착용한다.
- 인도네시아, 폴란드, 모나코: 기본형은 폴란드, 인도네시아는 실눈/삿갓/송꼭(인도네시아 전통 모자) 중 택1, 모나코는 선글라스.
- 아랍 국가들: 케피예과 선글라스.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가 주로 케피예을 자주 착용하며 아랍에미리트는 선글라스를 미국 못지 않은 빈도로 자주 착용한다.
- 이란: 터번. 아야톨라들이 착용하는 터번이다. 이란은 위의 아랍권과 다른 문화권이다 보니 터번의 형태가 다르게 묘사된다. 특히 정통 시아파임을 강조하기 위해 검은 터번을 쓰는 경우가 많다. 선글라스는 거의 끼지 않는다.
- 아일랜드: 레프러콘 모자.
- 바티칸: 교황 삼층관.
- 대한민국: 게임용 헤드셋을 착용하지만, 대부분 작품에서는 거의 쓰지 않는다.
- 소말리아: 트리코른과 안대. 소말리아 해적의 모습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 튀르키예: 페즈.
-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스페인,
칠레:
국장이나
별을 안대처럼 쓴다.
}}} -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말 것. 가장 중요한 황금률(Golden Rule)이다. 즉 만화의 풍자를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라는 뜻인데, 물론 창작자들도 최소한의 선은 넘지 않는 게 일종의 매너로 통한다.
{{{#!folding [ 통상적인 형태와 다른 컨트리볼 ]
}}}
다만 컨트리볼을 그리는 사람들 중에서는 규칙을 조금이라도 어기는 경우가 비일비재한데, 이는 레딧이 아닌 유튜브 등 타 플랫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때문에 레딧에서는 좋지 않은 평가를 받는 건 기본이고, 아예 이를 다루는 서브레딧이 존재할 정도이다. 그렇지만 모 유튜버와 공식 유튜브 채널처럼 규칙을 지키는 사람도 적지 않다.
4. 특징
영토는 'clay(점토)'라고 부른다는 특징이 있다. 아예 자기 밥줄이나 동네북을 그렇게 칭하는 걸 보면 약자에게 욕으로도 쓰이는 듯하다. 같은 국가의 볼이 두개이상 나올 경우에도 clay라 부른다. ' Remove Kebab'이라는 용어는 4chan발 유명 반이슬람 copypasta에서 유래한 것으로, 'remove ~ ' 식의 관용 표현으로 쓰인다.비영어권 국가가 대사를 할 경우 문법이나 단어를 자주 틀린다. 예를 들면 you를 yuo로[6] 말하거나 strong을 stronk라고 말하는 등. 원래는 영어 키보드에서 흔히나는 오타인데 영어권 국가의 경우 저런 실수를 잘 하지 않지만 비영어권 국가는 일부러 자주 틀리게 그린다. 처음 접하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으나 보다 보면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이 점점 눈에 잘 들어오게 된다. 그 외에도 기초 중의 기초 어휘들은 각 공의 사용 언어 그대로 말한다.(예: 1인칭 단수 대명사 - na, watashi, je, ich 등) 이때 너무 남발하면 해당 언어에 대한 지식이 없는 독자들은 읽기 어려워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 로마자에 악센트를 쓰는 언어나 키릴 문자, 그리스 문자 등을 쓰는 언어는 영어의 틀을 유지하되 원어의 느낌이 나도록 적절히 섞어 사용한다. 이를 Engrish(엉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웃음소리도 스테레오타입으로 정해져 있다. 대한민국은 kh kh kh 또는 ke ke ke, 중국은 xi xi xi, 러시아는 Хахаха, 프랑스는 hon hon hon 등. 스웨덴의 웃음소리는 'börk'인데, 어떤 공의 웃음소리를 잘 모르겠으면 그냥 이것으로 하면 된다.
특성상 국제적으로 화제가 되는 언론 보도가 나오면 이를 풍자하는 작품들이 마구 나온다. 가령 2014년 홍콩 우산 혁명 때는 중국과 홍콩, 영국을 함께 소재로 한 작품들이 대거 등장했다. 또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발하자 우크라이나, 러시아를 소재로 한 작품도 증가했다.
2022년에는 원래 주인공 역할이었던 폴란드가 제일 많이 쓰인 국가 10위에도 들지 못했다.(...)
5. 폴란드볼 세계지도
자세한 내용은 폴란드볼 세계지도 문서 참고하십시오.6. 목록
6.1. 유럽
자세한 내용은 컨트리볼/유럽 문서 참고하십시오.6.2. 아시아
자세한 내용은 컨트리볼/아시아 문서 참고하십시오.6.3. 아프리카
자세한 내용은 컨트리볼/아프리카 문서 참고하십시오.대다수 국가가 상황이 좋지 않아 테러리스트, 총기, 내전, 전염병에 고통받는 이미지가 많다.
6.4. 아메리카
자세한 내용은 컨트리볼/아메리카 문서 참고하십시오.6.5. 오세아니아
자세한 내용은 컨트리볼/오세아니아 문서 참고하십시오.6.6. 기타
자세한 내용은 컨트리볼/기타 문서 참고하십시오.7. 관련 문서
[1]
최상단부터
볼리비아,
자메이카,
칠레,
가나,
요르단,
도미니카 공화국,
일본,
기니,
태국,
인도네시아,
오스트리아,
핀란드,
잠비아,
튀르키예,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우디 아라비아,
코스타 리카,
프랑스,
인도,
이라크,
말리,
쿠바,
네팔,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
벨기에,
스위스,
앙골라,
온두라스,
싱가포르,
대한민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아일랜드,
EU,
체코,
콩고민주공화국,
캐나다,
우크라이나,
파나마,
과테말라,
튀니지,
레바논,
헝가리,
네덜란드,
마다가스카르,
카자흐스탄,
말레이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콜롬비아,
이탈리아,
아랍 에미리트,
알제리,
카타르,
에스토니아,
우루과이,
남극,
스웨덴,
뉴질랜드,
포르투갈,
아르헨티나,
영국,
피지,
차드 (또는
루마니아),
바하마,
스페인,
이집트,
멕시코,
세르비아,
아루바,
크로아티아,
노르웨이,
에티오피아,
북한,
페루,
파푸아 뉴기니,
그리스,
통가,
트리니다드 토바고,
세네갈,
팔레스타인,
베트남,
탄자니아,
벨라루스,
바누아투,
괌,
브라질,
케냐,
모로코,
필리핀,
러시아,
이스라엘,
미국,
UN,
폴란드,
중국,
독일,
이란이다. 이 중
EU,
남극,
아루바,
괌,
UN을 제외하면 모두 독립국이다.
[2]
몇몇 컨트리볼 고유의 특징들을 알 수 있는데,
인도네시아의 삿갓,
사우디아라비아의 히잡,
카타르의 선글라스,
남극의 고글,
영국의 탑햇과 모노클이 있다.
[3]
미국의 50개 주는 stateball로 독립한 상태이나,
텍사스,
캘리포니아,
몬태나를 비롯한 몇몇 주는 메인 캐릭터로 자주 나온다.
[4]
홍콩의 경우 영국령 시절의 깃발을 쓴 버전과 현재의 홍콩특별행정구기를 쓴 버전 모두 자주 쓰인다. 영국령 시절의 깃발을 쓸 경우 영국처럼 단안경과 실크햇(또는 단안경만)을 쓰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 물론 현재의 홍콩 깃발을 쓴 경우에도 일부러 단안경과 실크햇(또는 단안경만)을 쓰기도 한다. 중국 본토와 다른 정서를 강조하기 위한 장치인 셈.
[5]
다만 모리타니와 카자흐스탄의 경우 국기 문양으로 웃는 표정을 표현한다. 네팔과 오하이오의 경우 특이한 국기 모양에 이빨을 달아 입을 표현하기도 한다.
[6]
(풀버전 번역)루마니아의 정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