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분할 민영화 이전 적자의 늪에서 허덕이던 일본국유철도가 내놓은 자구책 중 하나. 한국에서는 적자인 지방노선을 따로 공식적으로 분류한 바 없지만,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이용객이 적은 지방 간선( 정선선, 경북선 등)을 로컬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 정의
전국에 널리고 널린 수 많은 로컬선들 중에, 1977년부터 1979년까지의 수송 실적이 하위권이면서 전체 구간에서의 수송 밀도가 일일 4000명 미만인 노선들이 세 번에 걸쳐 특정지방교통선으로 지정되었는데, 이 세 번의 조건들은 아래와 같았다.차수 | 조건 |
1 |
영업거리가 30km 이하인 막다른 노선[1]이면서 여객 수송 밀도가 일일 2천명 미만[2] 영업거리가 50km 이하면서 전 구간의 수송 밀도가 일일 500명 미만인 노선 |
2 | 수송 밀도가 일일 2천명 미만인 노선 |
3 | 수송 밀도가 일일 4천명 미만인 노선 |
이후 일본국유철도는 이상의 조건에 부합하는 노선들의 순차적인 폐지 또는 다른 운영주체로의 이관을 단행하게 되는데, 자세한 정보는 아래의 목록 참조.
2.1. 폐지/이관 목록
잘 보면 선정된 노선들의 상당수가 홋카이도와 규슈에 몰려있다.- 회색은 바로 폐선된 노선.
- 노란색은 제3섹터로 이관된 노선.
- 분홍색은 제3섹터로 이관된 후 폐선된 노선.
2.1.1. 1차 폐지대상
노선명 | 영업거리(km) | 폐지일 | 폐지 이후 |
시라누카선 | 33.1 | 1983 10 23 | 시라누카 정영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쿠지선 | 26.0 | 1984 04 01 | 산리쿠 철도 에 이관 |
미야코선 | 12.8 | ||
사카리선 | 21.5 | ||
닛추선 | 11.6 | 아이즈 승합자동차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아카타니선 | 18.9 | 니가타 교통 관광버스 노선으로 대체 | |
우오누마선 | 12.6 | 에치코 교통 노선으로 대체 | |
시미즈항선 | 8.3 | 시즈오카 철도 버스 로 대체 | |
카미오카선 | 20.3 | 1984 10 01 |
카미오카 철도에 이관 2006 04 01 폐지 |
타루미선 | 24.0 | 1984 10 06 | 타루미 철도 에 이관 |
쿠로이시선 | 6.6 | 1984 11 01 |
코난 철도 에 이관 1998 04 01 폐지 |
타카사고선 | 6.3 | 1984 12 01 | 신키 버스노선으로 대체 |
미야노하루선 | 26.6 | 오이타 교통노선으로 대체 | |
츠마선 | 19.3 | 미야자키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코마츠시마선 | 1.9 | 1985 03 14 | 코마츠시마 시영 버스노선으로 대체 |
아이오이선 | 36.8 | 1985 04 01 | 홋카이도 키타미 버스노선으로 대체 |
쇼코츠선 | 34.3 | 호쿠몬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만지선 | 23.8 | 홋카이도 츄오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호조선 | 19.3 | 호조 철도에 이관 | |
미키선 | 6.8 |
미키 철도로 이관 2008 04 01 폐지 |
|
쿠라요시선 | 20 | 츄테츠미마사카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카츠키선 | 3.5 | 서일본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카츠타선 | 13.8 | 서일본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소에다선 | 12.1 | 서일본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무로키선 | 11.2 | 서일본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야베선 | 19.7 | 호리카와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이와나이선 | 14.9 | 1985 07 01 | 니세코 버스노선으로 대체 |
코힌호쿠선 | 30.4 | 소야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오하타선 | 19.7 |
시모키타 교통으로 이관 2001 04 01 폐지 |
|
코힌난선 | 19.9 | 1985 07 15 | 호쿠몬 버스노선으로 대체 |
비코선 | 21.2 | 1985 09 17 | 메이시 버스노선으로 대체 |
야시마선 | 23.0 | 1985 10 01 | 유리 고원철도 에 이관 |
아케치선 | 25.2 | 1985 11 16 | 아케치 철도 에 이관 |
아마기선 | 14.0 | 1986 04 01 | 아마기 철도 에 이관 |
타카모리선 | 17.7 | 1986 04 01 | 미나미아소 철도 에 이관 |
마루모리선 | 17.4 | 1986 07 01 | 아부쿠마 급행 에 이관 |
카쿠노타테선 | 19.2 | 1986 11 01 | 아키타내륙종관철도 에 이관 |
시가라키선 | 14.8 | 1987 07 13 | 시가라키 고원철도 에 이관 |
와카사선 | 19.2 | 1987 10 14 | 와카사 철도 에 이관 |
키하라선 | 26.9 | 1988 03 24 | 이스미 철도 에 이관 |
2.1.2. 2차 폐지대상
노선명 | 영업거리(km) | 폐지일 | 폐지 이후 |
우루시오선 | 7.9 | 1986 04 01 | 니시테츠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이부리선 | 83.0 | 1986 11 01 | 도난 버스 노선으로 대체 |
토미우치선 | 82.5 | 1986 11 01 | 도난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아니아이선 | 46.1 | 1986 11 01 | 아키타내륙종관철도에 이관 |
에츠미난선 | 72.2 | 1986 12 11 | 나가라가와 철도에 이관 |
미야노조선 | 66.1 | 1987 01 10 | 이와사키 버스 노선으로 대체 |
히로오선 | 84 | 1987 02 02 | 토카치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오스미선 | 98.3 | 1987 03 14 | 가고시마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
후타마타선 | 82.5 | 1986 11 01 | 텐류하마나코 철도에 이관 |
세타나선 | 48.4 | 1987 03 16 | 하코다테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유모선 | 89.8 | 1987 03 20 | 아바시리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시호로선 | 98.3 | 1987 03 23 | 토카치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이세선 | 22.3 | 1986 11 01 | 이세 철도에 이관 |
사가선 | 24.1 | 1987 03 28 | 사가 시영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시부시선 | 38.6 | 1987 03 28 | 가고시마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
하보로선 | 141.1 | 1987 03 30 | 엔간 버스 노선으로 대체 |
호로나이선 | 20.8 | 1987 07 13 | 홋카이도 츄오 버스 노선으로 대체 |
마츠마에선 | 50.8 | 1988 02 01 | 하코다테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우타시나이선 | 14.5 | 1988 04 25 | 홋카이도 츄오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시베츠선 |
본선 69.4 지선 47.5 |
1989 04 30 | 네무로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
텐포쿠선 | 148.9 | 1989 05 01 | 소야 버스 노선으로 대체 |
나요로 본선 | 143 | 1989 05 01 | 키타미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치호쿠선 | 140 | 1987 07 13 |
홋카이도 치호쿠 고원철도에 이관 2006 04 21 폐지 |
아이즈선 | 57.4 | 1987 07 16 | 아이즈 철도로 이관 |
모오카선 | 42.0 | 1988 04 11 | 모오카 철도로 이관 |
아시오선 | 46 | 1989 03 29 | 와타라세 계곡철도로 이관[3] |
간니치선 | 32.7 | 1987 07 25 | 니시키가와 철도로 이관 |
야마노선 | 55.7 | 1988 02 01 | 난코쿠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
마츠우라선 | 93.9 | 1988 04 01 | 마츠우라 철도로 이관 |
카미야마다선 | 25.9 | 1988 09 01 | 니시테츠 버스 노선으로 대체 |
타카치호선 | 50.1 | 1989 04 28 |
타카치호 철도에 이관 2005 09 06 운행중단 2008 12 28 폐지 |
2.1.3. 3차 폐지대상 노선
노선명 | 영업거리(km) | 폐지일 | 폐지 이후 |
나가이선 | 30.6 | 1988 10 25 | 야마가타 철도로 이관 |
오카타선 | 19.5 | 1988 01 31 | 아이치 환상철도로 이관 |
노토선 | 61.1 | 1988 03 25 |
노토 철도로 이관 2005 04 01 폐지 |
미야즈선 | 83.6 | 1990 04 01 | 교토 탄고 철도로 이관 |
카지야선 | 13.2 | 신키 버스 노선으로 대체 | |
타이샤선 | 7.5 | 이치바타 전차 버스로 대체 | |
나카무라선 | 43.4 | 1988 04 01 | 토사 쿠로시오 철도로 이관 |
이타선 | 16.2 | 1989 10 01 | 헤이세이 치쿠호 철도로 이관 |
이토다선 | 6.9 | 헤이세이 치쿠호 철도로 이관 | |
타가와선 | 26.3 | 헤이세이 치쿠호 철도로 이관 | |
유노마에선 | 24.9 | 쿠마가와 철도로 이관 | |
미야다선 | 5.3 | 1989 12 23 | 니시테츠 버스로 대체 |
2.1.4. 특정지방교통선 정책 실시로 건설 또는 계획이 중단된 노선
노선명 | 영업거리 (km)[4] | 개통일 | 이관 업체 |
코힌나카선 | 51.2 | 무산 | |
메이우선 | ? | ||
비코선 (니이푸 ~ 키타미에사시) | ? | ||
사쿠마선 | 약 35 | ||
나카츠가와선 | ? | ||
게로선 | 47.6 | ||
쟛코선 | ? | ||
고신선 | ? | ||
이마후쿠선 | 약 54 | ||
간니치키타선 | 41.0 | ||
난쇼선 | 43.1 | ||
요부코선 ( 니시카라츠역 ~ 요부코역)[5] | 22.9 | ||
타카야마 본선 전철화 | 225.8 | ||
미야후쿠선 | 30.4 | 1988.07.16 | 키타킨키 탄고 철도 |
요카쿠선 | 29.0 | 1989.04.01 | 아키타내륙종관철도 |
타루미선 ( 코미역 ~ 타루미역) | 10.9 | 1989.03.25 | 타루미 철도 |
이바라선 | 41.7 | 1999.01.11 | 이바라 철도 |
스쿠모선 ( 스쿠모역 ~ 우와지마역) | 54.8 | 무산 | |
스쿠모선 ( 나카무라역 ~ 스쿠모역) | 23.6 | 1997.10.01 | 토사 쿠로시오 철도 |
아사사이선 | 42.7 | 2002.07.01 | |
아사선 ( 칸노우라역 ~ 나하리역) | 50.2 | 무산 | |
아사토선 | 8.5 | 1992.03.26 | 아사 해안철도 |
쿠지선 ( 타로역 ~ 후다이역) | 32.2 | 1984.04.01 | 산리쿠 철도 |
사카리선 ( 요시하마역 ~ 카마이시역) | 15.0 | ||
야간선 | 30.7 | 1986.10.09 | 야간 철도 |
치즈선 | 56.1 | 1994.12.03 | 치즈 급행 |
호쿠에츠호쿠선 | 59.5 | 1997.03.02 | 호쿠에츠 급행 |
마루모리선 ( 후쿠시마역 ~ 마루모리역) | 37.5 | 1997.03.22 | 아부쿠마 급행 |
오카타선 ( 세토시역 ~ 타지미역) | ? | 무산 | |
오카타선 ( 신토요타역 ~ 세토시역) | 19.6 | 1988.01.31 | 아이치 환상철도 |
세토선 (세토시역 ~ 코조지역)[6] | 6.2 |
2.1.5. 특정지방교통선으로 분류되지 않았지만, 철도 민영화 이후 수익 감소로 폐지된 노선
노선명 | 영업거리(km) | 폐지일 | 폐지 이후 |
나나오선 ( 와쿠라온센~와지마) |
53.5 | 1991 09 01 |
노토 철도로 운영 전환[7] 아나미즈~와지마 구간은 2001 04 01 폐지 |
신메이선 | 121.8 | 1995 09 04 | JR 홋카이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
미네선 ( 오미네 지선) |
2.8 | 1997 04 01 | 후나키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카베선 ( 카베- 산단쿄) |
46.2 | 2003 11 30 |
히로덴 버스로 대체 2017 03 04 카베- 아키카메야마 연장개업 |
도야마항선 | 8.0 | 2006 03 01 |
폐선 후 재개업 도야마 라이트레일에 이관 이후 도야마 지방철도로 재이관 |
에사시선 ( 키코나이- 에사시) |
42.1 | 2014 05 21 | 하코다테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이와이즈미선 | 38.4 |
(2010 07 30)[8] 2014 08 01 |
동일본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
루모이 본선 ( 루모이- 마시케) |
16.7 | 2016 12 05 | 엔간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산코선 | 108.1 | 2018 04 01 |
이와미 교통,
다이와 관광, 비호쿠 교통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세키쇼선 ( 신유바리- 유바리) |
16.1 | 2019 04 01 | 유바리 철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
케센누마선 ( 야나이즈- 케센누마) |
55.3 |
(2011 03 11)[9] 2020 04 01 |
자사 BRT 노선으로 대체 |
오후나토선 ( 케센누마- 사카리) |
43.7 |
(2011 03 11)[10] 2020 04 01 |
자사 BRT 노선으로 대체 |
삿쇼선 (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 신토츠카와) |
47.6 |
(2020 04 18)[11] 2020 05 07 |
시모단 모터스, 비바이 자동차학교, 홋카이도 추오 버스 노선으로 대체 |
히다카 본선 ( 무카와- 사마니) |
111.0 |
(2015 01 09)[12] 2021 04 01 |
도난 버스, JR 홋카이도 버스 노선으로 대체 |
루모이 본선 ( 이시카리누마타- 루모이) |
35.7 | 2023 04 01 | 엔간 버스 노선으로 대체 |
히타히코산선 ( 소에다- 요아케) |
29.2 |
(2017 07 05)[13] 2023 08 28 |
JR 큐슈 버스로 이관 |
네무로 본선 ( 후라노- 신토쿠) |
81.7 |
(2016 08 31)[14] 2024 04 01 |
홋카이도척식버스, 도호쿠버스, 토카치버스, 후라노버스, 미나미후라노쵸 버스 노선으로 대체 |
2.2. 예외 조건
물론 무턱대고 선정하지는 않았으며, 아래와 같이 예외 조건을 두었다.1. 피크 타임 때 시간당 1천 명 이상이 이용
2. 연선에 철도를 대체할 도로가 없는 경우
3. 도로가 있더라도 폭설 때문에 연간 10일 이상 통행할수 없는 경우
4. 수송 밀도가 일일 천 명을 넘으면서 승객들의 평균 승차 거리가 30km를 초과한 경우
2. 연선에 철도를 대체할 도로가 없는 경우
3. 도로가 있더라도 폭설 때문에 연간 10일 이상 통행할수 없는 경우
4. 수송 밀도가 일일 천 명을 넘으면서 승객들의 평균 승차 거리가 30km를 초과한 경우
이 조건에 맞아서 당장에 폐선을 면한 철도가 여럿 있었는데, 그 중에는 결국 한참 후에 폐지된 이와이즈미선, 산코선, 신메이선, 루모이 본선 같은 노선들이 존재했다. 그 외 에사시선의 키코나이역 서쪽 구간도 폐선을 면했는데, 키코나이역 - 고료카쿠역 간이 앞으로 운행량이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거기에 업혀서 폐선을 면했다.[15] 세키호쿠 본선, 소야 본선, 타카야마 본선[16]은 네 가지 조건을 모조리 만족시켜 폐선을 모면한 케이스다. 반대로 소야 본선에서 갈라졌다 재합류하는 텐포쿠선은 2차에 걸려서 폐선 처리되었고, 이 노선이 분기하던 오토이넷푸역이 있는 오토이넷푸무라는 철도 종사자의 급감으로 홋카이도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지자체가 되었다.
3. 당근과 채찍
물론 무턱대고 있던 철도 걷어가고 버스나 제3섹터로 강판시킬 수는 없었다. 지자체가 당연히 반발할 게 뻔할 뻔자였으니... 당연히 일본국유철도 측은 폐선 노선상의 지자체들을 달래고 또 달래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전환 교부금을 준다거나 전환 후 5년간의 적자보전 등 나름 파격적인 정책들을 내놓았다. 다만, 지자체 내에서 및 지자체간 합의가 안 되면 국철이 직접 폐선처리를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고 한다!4. 노선들의 운명
1차에 선정되었던 시라누카선의 경우, 시라누카역에서 호쿠신역까지 이어지는 30km짜리 막다른 노선이었고[17], 결국 전국 특정지방교통선 중 최초로 폐선이라는 명예(?)를 얻게 되었다.그 이후로 여러 수십 가지 노선들이 줄줄이 폐선이 되거나 제3섹터로 넘겨지기 시작했다. 민영화 이후에도 나요로 본선, 텐포쿠선, 신메이선 등이 줄을 지어 폐선되었다.
5. 예외 사례
다만 특정지방교통선의 기준을 완벽하게 맞추고도 여러 사례로 예외가 된 노선도 두 개나 있었다. 하나는 요산선의 우회 겸 단축루트가 된 우치코선[18], 다른 하나는 현 카시마 임해철도 오아라이카시마선.6. 전체 노선 목록
특정지방교통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제1차 | |||||||
아이오이선* | 아카타니선* | 아케치선 | 아마기선 | 이와나이선* | 우오누마선* | 오하타선†* | 카쿠노다테선 | |
카츠키선* | 카츠타선* | 카미오카선†* | 키하라선 | 쿠지선 | 쿠라요시선* | 쿠로이시선†* | 코힌난선* | |
코힌호쿠선* | 코마츠시마선* | 사카리선 | 시가라키선 | 시미즈항선* | 쇼코츠선* | 시라누카선* | 소에다선* | |
타카사고선* | 타카모리선 | 타루미선 | 츠마선* | 닛츄선* | 비코선* | 호조선 | 마루모리선 | |
만지선* | 미키선†* | 미야코선 | 미야노하루선* | 무로키선* | 야시마선 | 야베선* | 와카사선 | |
제2차 | ||||||||
아이즈선 | 아시오선 | 아니아이선 | 이세선 | 이부리선* | 우타시나이선* | 우루시오선* | 에츠미난선 | |
오스미선* | 카미야마다선* | 간니치선 | 사가선* | 시부시선* | 시베츠선* | 시호로선* | 세타나선* | |
타카치호선†* | 치호쿠선†* | 텐포쿠선* | 토미우치선* | 나요로 본선* | 하보로선* | 히로오선* | 후타마타선 | |
호로나이선* | 마츠우라선 | 마츠마에선* | 미야노조선* | 모오카선 | 야마노선* | 유모선* | ||
제3차 | ||||||||
이타선 | 이토다선 | 오카타선 | 카지야선* | 타이샤선* | 타가와선 | 나가이선 | 나카무라선 | |
노토선†* | 미야다선* | 미야즈선 | 유노마에선 | |||||
*: 일본국철 또는 JR산하에서 폐지에 이른 노선 †: 제3섹터 전환 이후 폐선에 이른 노선 |
[1]
기종점 중 한쪽이 다른 노선으로의 환승 없이 막다른 곳에서 끊겨 있는 노선.
[2]
단, 석탄 수송 밀도가 72만 톤 이상이면 예외.
[3]
마토역~
아시오혼잔역 구간은 이관과 동시에 폐선
[4]
제3섹터 이관후 건설이 재개된 구간들의 경우 현재 영업거리를 기준으로 하며, 관련 자료가 없는 경우 ?로 표기한다.
[5]
니지노마츠바라역 ~
카라츠역 구간은
치쿠히선의 일부로 편입되어 1983년 3월 22일에 개통되었다.
[6]
츄오 본선과 중첩되는
코조지역 ~
카치가와역 구간의 복복선화는 무산되었으며,
카치가와역 ~
비와지마역 구간은 민영화 과정에서 무산되지 않고
JR 도카이가 노선을 임대하게 되었다. 다만 운영권은 자회사인
도카이 교통사업으로 이관시켰다.
[7]
소유는
JR 서일본 그대로
[8]
자연재해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
[9]
동일본 대지진으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
[10]
동일본 대지진으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
[11]
코로나바이러스-19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
[12]
자연재해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
[13]
자연재해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
[14]
히가시시카고에-신토쿠 구간 자연재해로 운행중지. 실질적 폐지일
[15]
하지만
에사시선
키코나이역 이서 구간보다는 수익성이 그나마 나았던
마츠마에선은 결국 2차에서 걸려서 폐선되었다.
[16]
다만 전철화 사업은 전술했듯이 무산되었다.
[17]
종점인 호쿠신역에는 역세권이라고 할 만한 게 하나도 없을 정도로 연선 인구가 처참하기도 했다.
[18]
그러나 얄궂게도 비슷한 성격의
이세선은 특정지방교통선에 지정되어 폐선 직전까지 갔다가 제3섹터화 되었다. 해당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