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3:56:35

여의나루역

여의나루(유진투자증권)
파일:Seoulmetro5_icon.svg

마 포
역명 표기
5호선 여의나루 (유진투자증권)
Yeouinaru (Eugene Securities)
汝矣나루 / 汝矣渡口 / [ruby(汝矣, ruby=ヨイ)]ナル
주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동로 지하343 ( 여의도동 84-4)
소속 영업사업소
5호선 화곡영업사업소 여의나루역
운영 기관
5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5호선 1996년 12월 30일
역사 구조
지하 5층 (심도: 37.08m)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3. 일평균 이용객4. 승강장5. 역 주변 정보
5.1. 출구 정보
6. 연계 버스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여의나루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수도권 전철 5호선 527번.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동로 지하343 ( 여의도동 84-4) 소재.

2. 역 정보

파일:여의나루역 5호선.jpg 파일:527_여의나루역_대합실및개찰구_20240910_청동새.jpg
대합실
(러너스테이션 리모델링 이전)
대합실
(러너스테이션 리모델링 이후)

'여의'도의 '나루'터에 있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5호선 계획당시 임시역명은 여의도강변역이며, 1991년에 정해진 정식 역명은 '밤섬역'이었으나[1] 개통 직전인 1996년 11월 22일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2]
파일:밤섬역.jpg 파일:여의도역 초창기.jpg
5호선 노선도
(밤섬역 시절)
여의도역 역명판
(밤섬역 시절)

이 때문에 방화~여의도만 운행하던 당시 역명판의 전 역과 다음 역 부분에는 밤섬역이라고 적혀 있었다.
파일:small_DSCF2342.png
심도 관련 안내문

지하 5층에 승강장이 있으며, 여의나루- 마포역 하저터널로 인해 깊이는 42.5m에 이른다. 해발 기준으로 국내에서 가장 깊다(-27.5m).[3]

한강을 건너는 방법으로는 지상에 다리를 놓거나 지하 터널을 이용하는 2가지 선택지가 있다. 5호선은 그중 후자를 선택했다. 5호선은 서울 지하철 중 최초로 한강 밑을 관통한다. 한강의 수심과 불안정한 퇴적층을 고려하여, 한강의 수심보다 더 깊은 안정한 지층에 터널을 뚫어야 한다. 그래서 이 역과 마포역은 매우 깊은 곳에 있고[4], 두 역에 모두 양해문이 붙어 있다. 하저터널이 어떻게 한강을 통과하는지에 대한 그림도 있다.

역 출구는 여의동로에 있고 맞이방과 승강장은 여의도한강공원 아래에 있다. 그래서 엘리베이터를 지하 1층부터 5층까지 직통으로 뚫는 대신 2개를 만들었다. 두 엘리베이터 중 지하 1~2층에서 경사형 엘리베이터도 볼 수 있다.[5] 그런데 속도가 30m/min로 에스컬레이터보다 느리다. 운행속도는 에스컬레이터와 동일하지만 이용 시간은 엘리베이터가 약간 길다. 에스컬레이터는 층에 오면 바로 내릴 수 있지만 경사형 엘리베이터는 도착지점에서 레벨링해야 하고 문이 열려야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6] 이렇게 운행속도가 느려서 유모차나 휠체어처럼 에스컬레이터를 탈 수 없는 경우가 아니면 잘 이용하지 않는다.

2002 월드컵 전후로 한때 월드컵 출전 선수 사진벽화를 전시했다. 이 역 인근의 한강변에서 2000년부터 매년 10월 첫째 주에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열린다. 사람들이 많이 몰려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축제 폐막 직후 1시간 동안은 이 역의 모든 전동차는 무정차 통과시킨다.

이 역과 여의도역 사이는 상업광고 패널이 있었다. 긴 LED 전광판이 설치되어 열차 진행에 맞춰 가며 광고 영상을 재생했으나, 현재는 재생하지 않는다.

이 역부터 신금호역까지 애오개역을 제외한 모든 역이 섬식 승강장이며 또한 5호선 영등포구 구간 중 유일한 섬식 승강장이다.

2024년 5월 21일 펀 스테이션 사업으로 운동하는 사람들을 위한 탈의실, 소독기, 라커룸, 안내시설, 런닝머신 등의 시설을 개장했다.

2024년 8월 9일 서울교통공사 역명병기 유상판매에서 유진투자증권이 낙찰되었다. 낙찰금액은 2억 2천만원이다.

3.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996cac><bgcolor=#996cac> 연도 || 파일:Seoulmetro5_icon.svg ||<bgcolor=#996ca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0년 27,318명 비고
2001년 27,540명
2002년 28,066명
2003년 27,704명
2004년 26,663명
2005년 25,042명
2006년 23,557명
2007년 24,284명
2008년 24,024명
2009년 21,523명 }}}}}}}}}
2010년 20,652명
2011년 20,343명
2012년 20,753명
2013년 21,336명
2014년 21,906명
2015년 21,617명
2016년 24,174명
2017년 24,210명
2018년 23,830명
2019년 24,684명
2020년 14,680명
2021년 19,662명
2022년 26,160명
2023년 29,181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하루 평균 24,000여 명으로 5호선 평균 수준의 수요가 나온다. 여의도 업무지구와 떨어져 있어 여의도역, 국회의사당역에 비하면 수요가 적다. 이 역의 주된 이용객은 근처 아파트 주민과 한강 나들이를 나온 서울/수도권 시민들이다. 여의도의 4개 역 중에서 이 역만 주말이 주중보다 수요가 더 많다.

평상시에는 수요가 그저 그렇지만 벚꽃축제 등 여의도 한강공원 주변에서 각종 행사가 있으면 이 역의 수요가 급증한다.

2004년 환승할인 시행 후 하루 이용객이 3,000~4,000명 감소하였으며, 2009년 9호선 개통 후 하루 이용객이 약 2,500~3,500명 가량 감소하였다. 평균 수치만 가지고는 실제 탑승객 숫자를 체감하기가 어렵다. 만약 여의도 불꽃축제나 여의도 한강공원에서 행사가 있는 날에 이 역을 무정차 통과하지 않았더라면 이것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더현대 서울 개장 후 바로 옆 역인 여의도역과 함께 승하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7] 코로나19 여파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2022년 승하차량이 코로나19 전이었던 2019년 승하차량보다 높다.[8]

4. 승강장

파일:20190226_092616.jpg 파일:attachment/84858.jpg
5호선 역명판[9] 5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이후
파일:527_여의나루역_벽면역명판_20240910_청동새.jpg 파일:326607946_cedd3c9715_o.jpg
5호선 벽면 역명판[10] 5호선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 이전

기존 역명판에는 한자가 없었다. 잠실나루역에 일부 한자 표기가 있는 것과는 다르다.

여의나루역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구조이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이 역에서 방화행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진행방향 기준 왼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10개 정거장이나 차이가 나는 화곡역이다.
여의도
마포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도· 영등포구청· 김포공항· 방화 방면
공덕· 광화문· 하남검단산· 마천 방면

5. 역 주변 정보

역 바로 앞에 여의도한강공원이 있다. 한강둔치에 여의도 수영장이 있다. 여의도··· 여고가 이 역 앞에 있어서 등하교 시간에는 학생들로 북적거린다.

2021년 2월에 1번 출구 근처에 더현대 서울, 페어몬트 엠배서더 서울이 오픈하여 유동인구가 급격히 늘어났다.

2019년 실제 역명의 의미에 맞게 여의나루 통합선착장이 건설될 예정이다. 국제설계공모에서 홍콩팀의 '포에틱 프래그머티즘'이 당선되었다. home|newslist1#home

서울시에서 2017년 6월에 여의나루역 2번 출구 앞 버스 정류장으로부터 70m 떨어진 국방헬프콜 검문소 앞에 주말에만 버스가 서는 정류장이 생겼다. 참고
파일:20170702_214629.gif
파일:20170705_104056.jpg 파일:20170708_135749.jpg
주말운영 정류소는 매년 3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9개월간) 운영한다.

5.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5_icon.svg 여의나루역 출구 정보
1 여의도공원
한국전력공사 영등포지사
국회의사당 방면
한국방송공사(KBS) 방면
여의도순복음교회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지역본부
LG트윈타워
더현대 서울· 파크원타워
KMI 한국의학연구소
2 마포대교
여의도한강공원
요트마리나 방면
3 원효대교 방면
여의도선착장
우리꽃동산
여의도한강공원 안내센터
4 63빌딩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여의도고등학교
여의도중학교
여의도여자고등학교
서울여의도초등학교

6. 연계 버스

파일:Seoulmetro5_icon.svg 여의나루역 버스 정보
여의나루역(19139)
서울 버스 261
서울 버스 360
서울 버스 461
서울 버스 662
서울 버스 753
서울 버스 5633
서울 버스 5634
서울 버스 5713
서울 버스 6623
부천 버스 700
여의나루역(19140)
서울 버스 261
서울 버스 753
서울 버스 5615
서울 버스 5618
서울 버스 5633
서울 버스 5634
서울 버스 5713
서울 버스 7611
서울 버스 7613
서울 버스 영등포10
부천 버스 10
여의나루역(19940)
서울 버스 261
서울 버스 753
서울 버스 5615
서울 버스 5618
서울 버스 5633
서울 버스 5634
서울 버스 5713
서울 버스 7611
서울 버스 7613
서울 버스 영등포10
부천 버스 10
삼부아파트(19159)
서울 버스 262
서울 버스 753
서울 버스 5615
서울 버스 5713
서울 버스 7613
서울 버스 영등포10
서울 버스 영등포11
부천 버스 10
여의도공작아파트(19160)
서울 버스 360
서울 버스 461
서울 버스 662
서울 버스 753
서울 버스 5713
서울 버스 6623
부천 버스 700

7.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지하철 5호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본선
[[마천지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하남선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최극단 철도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실효통치지역 미수복지역 포함
최북단 제진역[1]
백마고지역[2]
세선역
최남단 여수엑스포역[3]
최동단 영일만항역[4]
영덕역[5]
두만강역
최서단 목포역 룡암포역
최고점 추전역 북계수역
최저점 여의나루역[6]
김포공항역(서해선)[7]
영광역[8]
[ 각주 펼치기 · 접기 ]

[1] 선로가 북쪽으로만 나 있어 영업중지 상태이나 2027년 남쪽으로의 동해선 철도가 완공 예정이다. [2] DMZ-train 내구연한 만료로 인해 2024년까지 실질 운행역 기준으로는 연천역이다. 단, 13번 버스로 접근은 가능하고 2025년 무궁화호 투입 예정이다. 경원선 복원 시 월정리역이 최북단 역이 되겠으나 남북관계가 극도로 나빠져 사업 진척이 아예 없어 제진역이 먼저 될 가능성이 높고 위도도 제진역이 훨씬 높다. [3] 2025년 6월 남해선 개통 시 강진역이 최남단 역이 된다. [4] 2024년 말 동해선 영덕-삼척 구간 개통 시 평해역이 최동단 역이 된다. [5] 여객영업철도역 기준이다. 동해선 영덕-삼척 구간 개통 시 평해역이 최동단 역이 된다. 현재는 디젤동차 폐차로 포항역~영덕역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어 실질 운행역 기준으로는 북울산역이다. [6] 해발고도 기준이다. 2029년 서울 7호선 청라국제도시역 개통 시 청라국제도시역이 최저점 역이 된다. [7] 지표면 기준이다. [8] 단 북한 정권에서 공식적으로 이 역의 깊이를 발표한 적은 없다.
}}}}}}}}} ||


[1] 市內 지하철驛 百여곳 改·作名(경향신문) [2] 밤섬역등 8곳 이름 바꿔(동아일보) [3] 2027년부터는 서울 7호선 청라국제도시역이 가장 깊어진다. 지표면 기준으로 가장 깊은 역은 수도권 전철 서해선 김포공항역이다. 이 역은 해발기준 약 30m. 한반도 전체로 따지면 평양 지하철도 만경대선 영광역이 약 150m(공식적으로 깊이를 발표를 안함)로 한반도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가장 깊다. [4] 여의나루역에서 전철을 타려면 지상에서부터 무려 에스컬레이터를 5번이나 타야 한다. [5] 2006년식 금호엘리베이터이며 용량은 11인승의 750kg이다. [6] 지하 1층 개찰구에 있는 층에 도착했을 때 경사로를 이용해야 한다. [7] 더현대 서울을 전철로 올 때 방화나 목동 방면에서 오는 사람은 여의도역 하차, 왕십리나 광화문 방면에서 오는 사람은 여의나루역에서 하차하면 편하다. [8] 코로나가 완전히 사라진 2023년 이후로는 여의도한강공원에서 각종 행사들도 재개하는 추세로 보아 이용객이 더 늘어날 것이다. [9] 병기역명 반영 이전 [10] 병기역명 반영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