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6:16:21

화곡역

화곡역
파일:Seoulmetro5_icon.svg

까치산
1.2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대장홍대선|
대장홍대선
]]
대장홍대선
추진 중
}}}}}}}}}
역명 표기
5호선 화곡
Hwagok
禾谷 / [ruby(禾谷, ruby=ファゴク)]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지하168 ( 화곡동 1089-54)
소속 영업사업소
5호선 화곡영업사업소 화곡역
운영 기관
5호선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5호선 1996년 3월 20일
역사 구조
지하 2층
승강장 구조
복선 섬식 승강장


1. 개요2. 역 정보
2.1. 미래
3. 역 주변 정보
3.1. 출구 정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
6.1. 1번 출구6.2. 2번 출구6.3. 4번 출구6.4. 5번 출구6.5. 6번 출구6.6. 7번 출구6.7. 8번 출구
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5호선 517번.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로 지하168 ( 화곡동 1089-54) 소재.

2. 역 정보

파일:화곡역 안내도.jpg
역 안내도
파일:화곡역 5호선.jpg
대합실

역명은 역이 위치한 화곡동에서 유래했다.

수도권 전철 5호선 안양천 서쪽 구간 중 유일한 섬식 승강장 지하철역.[1] 이 역과 우장산역 사이에 있는 주박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부러 섬식 승강장으로 만든 것이다. 이로인해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첫차와 막차가 평일에는 도심방향 각각 2대, 1대,[2] 주말에는 양방향 모두 각 1대씩 존재한다.[3]

섬식 승강장인 덕분에 혹시나 방향을 바꿔타야할 때 매우 편리하다. 참고로 하남검단산/마천 방면 기준으로 다음 섬식 승강장은 무려 여의나루역. 혹시 노선을 잘못 탔을 경우 이전 역인 까치산역은 에스컬레이터를 한참 올라가거나 플랫폼 한쪽 끝에 위치한 환승통로 계단을 이용해야하고, 이후 역인 우장산역, 발산역은 아예 건너편으로 넘어갈 수 없으며 마곡역까지 가야 역무원 호출 없이 반대편 이동이 가능하니 참고하자.

5호선을 비롯한 2기 지하철 계획에서는 환승역이 아닌 한 승강장에서 대합실로 나가는 계단을 2개 확보하는 것이 표준인데, 화곡역은 이례적으로 3개를 확보하였다. 그리고 방화 방면 1-1 자리[4]에서 타면 역에 내렸을 때 바로 계단에 올라갈 수 있는 꿀루트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이 루트는 부천행 버스를 탈 사람들에게 무척 용이한데, 이유는 이 계단이 부천, 청라지구 등 경기권으로 가는 버스정류장이 코앞인 7번 출구와 가장 가깝기 때문이다. 그런데 사실 승강장에서 출구로 올라가는 계단이 세 개[5]나 있기 때문에 어디서 내려도 크게 많이 걸을 필요는 없다.

여담으로 하남검단산•마천방면으로 보면 항상 화곡역부터 사람이 많이 차기 시작하기 때문에, 항상 붐비는 역이다. 역이 목동이 개발하기 전에, 강서구와 양천구의 중심지였던 화곡동의 중심가에 위치하기도 하고, 부천 북부나 인천에서 버스 타고 온 사람도 많기 때문이다. 반대로 방화행 열차는 화곡역을 지나고 나면 한산해진다. 여러모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고 있는 역.

역 내부에는 2024년 6월 현재 핫브레드, 세븐일레븐, 쥬얼리/의류 매장 등 이 영업 중이다.

2019년 일자미상에 방화역처럼 선로쪽 타일과 역명판이 뜯겨 철거되었다.

2.1. 미래

2015년에는 화곡역을 중심으로 가양역 마포구 방향의 전철 노선인 화곡홍대입구선 신설 안이 논의되었는데 이에 부천시에서는 원종역까지 연장해 대곡소사선과 연계하는 방안을 추가 제안한 것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면서 원종홍대입구선이 되었고 2021년 4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의 공청회에서 대장신도시로 연장이 확정되면서 대장홍대선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2024년 민투심 통과로 향후 이 역은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자세한 것은 대장홍대선 참조.

3. 역 주변 정보

강서구 남부지역의 중심지에 위치한 역으로 강서구 남부 교통의 중심을 맡고 있으며, 부천시에서 오는 버스들이 이 역을 거치기 때문에 이용객이 많은 역이기도 하다. 주로 부천 북부 지역에서 서울특별시 도심으로 통근·통학하는 수요가 많다. 서울 도심을 오갈 경우, 부천 북부는 같은 부천 내에 있지만 부천 중앙에 붙어있는 경인선 상의 역들보다 이 역이 더 가깝고 서울 진입에 시간이 덜 걸리기 때문이다. 첨언하자면 이는 서울 도심·강북·강서권 및 경기 북부지역과 부천 북부를 오고갈 때 이야기이며, 서울 강남권이나 경기 남부지역에서 부천 북부로 접근할 때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나 서울 지하철 7호선을 타고 역곡역, 소사역, 부천역, 까치울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등에서 버스로 환승하는 것이 더 빠르다. 그 중에서도 원종동 일대가 목적지라면 수도권 전철 서해선 원종역도 좋다.

화곡역을 지나는 버스는 마을 버스부터 도심행 버스까지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대부분 화곡역을 가기 위한 목적으로 사람들이 이용하는 바람에 출근 시간에도 화곡역을 거쳐간 직후에 버스는 텅텅빈다. 대표적인 예가 650번.

2016년 이 역의 일평균 이용객은 56,476명으로, 광화문역, 까치산역에 이어 수도권 전철 5호선 역들 중 이용객 순위 3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수입금만큼은 광화문역에 이어 2위라고(하루 평균 2,300만원)...[6]

2013년 7월 개통한 청라-강서간 간선급행버스 노선인 7700번의 중간 경유지가 되다보니 인천 청라나 루원시티, 계산동 일대의 사람들도 이용하는 역이 되었다. 또한 이 노선의 개통으로 인해 화곡역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경기도 시내버스,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가 모두 모이는 곳이기도 하며, 방화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들 중 최후의 막차와, 마천역에서 토/일/공휴일 22시 53분에 출발하는 열차는 이 역까지만 운행한다.

서울과 부천 시내버스가 모이는 교통의 요충지인 덕분에 목동신시가지 2000년대 초중반에 오목교역 일대가 발전하기 전에는 화곡역 일대가 강서구ㆍ양천구의 상업과 업무의 중심지였지만, 양천구 일대의 발전으로 화곡역 상권은 강서구의 중심지로 축소되었으며, 이 입지도 이후 마곡동의 개발로 현재 위태로운 상태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화곡동 인구와 부천/강서구의 교통 요충지이기에 화곡역은 여전히 수요가 많으며 이용객 수도 오목교역을 압도하고 있다.

화곡역 7번출구 정류장은 2곳이 있는데 출구와 상대적으로 가까이 있는 정류장은 경기도 버스만이 정차하고 서울 시내버스 전용 정류장은 출구에서 3~4분 가량 소요되는 거리에 떨어져 있어 다소 먼 편이다.

역 근처에 투썸플레이스, 커피빈, 스타벅스, 파스쿠찌, 설빙, 이디야, 컴포즈커피, 메가커피 등의 브랜드 카페와 더불어 개인 카페 역시 엄청 많다.

카페 뿐만 아니라 미라클 메디특구의 기점이라 그런지 서울원병원이나 유광사여성병원을 비롯한 이비인후과나 내과, 안과 등 개인의원들도 많다.

특이하게 패스트푸드 햄버거가게가 모여있다. 우선 롯데리아가 7번출구 쪽에 있고, 5번출구 쪽에 써브웨이가 있다. 3,4번 출구 바로 앞에 있던 SC제일은행이 우장산역 쪽으로 이전하면서 그 자리에 KFC가 들어왔다. 그 외에 가장 가까운 패스트푸드점은 맥도날드가 있다. 또한 상기한 롯데리아에서 부천방향으로 조금 더 내려오면 맘스터치도 있다. 6번 출구 방향으로는 버거킹 파파이스까지 생기며 정말 국내 메이저 햄버거 브랜드의 정모 장소가 되어버렸다.

역 근처에는 다음과 같은 금융기관이 있다.

3.1. 출구 정보

파일:Seoulmetro5_icon.svg 화곡역 출구 정보
1 우장산동주민센터
우장산아이파크이편한세상
강서힐스테이트
우장산숲아이파크
2 서울우장초등학교 방면
한국폴리텍1서울강서대학 방면
대한상공회의소 서울기술교육센터
3 강서구청 방면
화곡시장
서울화곡초등학교
화곡우체국
서울강서경찰서 방면
4 화곡본동
화곡터널
5 화곡중앙골목시장
화원중학교
6 서울신월초등학교
강서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7 서울특별시강서양천교육지원청 방면
부천 방면
신화중학교 방면
신월중학교 방면
화곡푸르지오
8 화곡3동주민센터
화곡3치안센터
대원시장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996cac><bgcolor=#996cac> 연도 || 파일:Seoulmetro5_icon.svg ||<bgcolor=#996cac>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0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2000년 45,204명 비고
2001년 48,876명
2002년 51,995명
2003년 53,719명
2004년 54,210명
2005년 56,508명
2006년 56,561명
2007년 56,936명
2008년 57,576명
2009년 56,601명 }}}}}}}}}
2010년 56,233명
2011년 57,161명
2012년 57,719명
2013년 57,487명
2014년 56,452명
2015년 46,126명
2016년 56,475명
2017년 56,919명
2018년 57,182명
2019년 58,209명
2020년 45,181명
2021년 45,414명
2022년 49,241명
2023년 52,705명
2024년 52,632명
출처
서울교통공사 자료실

5호선 전체에서 다섯 손가락[10] 안에 꼽힐 만큼 많은 사람들이 찾는 역이다.

이렇게 승객이 많은 이유로는 강서로 화곡로가 만나는 교통 거점이기 때문이다. 특히 디지털미디어시티- 가양대교- 강서구청 부천시 북부, 청라국제도시까지 이어지는 봉오대로와 직결되는 화곡로의 존재는 화곡역이 환승 거점으로 올라서는데 큰 기여를 했다. 봉오대로를 통해 서울로 넘어오는 부천, 인천 버스들도 많을 뿐더러, 부천 원종동, 고강동, 성곡동, 신흥동 등 구 오정구 지역과 신월동 북부(3, 5동)[11] 주민들에게 서울 도심 방향으로 가장 가까운 역이 바로 이 화곡역이기 때문에 이들과 서울 도심을 잇는 거점 역할을 해왔다. 비록 상권은 오목교역에게 넘겨졌으나, 오목교역과 달리 외지인들을 많이 끌어올 수 있다는 점이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했다.

뿐만 아니라 역세권에 사는 주민들의 수가 많아서 자체 수요만으로도 상당수의 기본 승객이 확보되는지라 화곡역의 입지는 5호선 강서 구간에서 가히 절대적이다. 2002년에 하루 이용객 5만 명을 넘은 이후 2005년 5.5만 명을 넘기까지 화곡역의 수요는 가파르게 증가했고, 코로나 이전까지 꾸준히 5만 명대 후반의 이용객이 드나들었다. 현재는 과거 이용객수를 점진적으로 회복 중이며 출구 주변은 평일, 주말 할 것 없이 활발한 분위기를 띠고 있다.

다만 5호선 단일 노선 역이라는 한계 때문에 2호선 신정지선이 있는 까치산역에게 조금 입지가 밀린다. 인천, 부천에서 넘어온 환승객들은 화곡역에서 주로 갈아타지만 두 역의 거리가 비슷하거나 버스로 환승해야 하는 화곡1, 8동 주민들은 까치산역을 더 이용한다. 향후 대장홍대선이 개통하면 신월동, 부천 방향으로 이동하는 승객 중 일부가 환승 인원으로 바뀌어 승하차량은 다소 감소할 전망이다.

5. 승강장

파일:attachment/sdadsfadfasdf.jpg
승강장
파일:화곡역날개형역명판.jpg
선로쪽 역명판[12]
파일:517_화곡_20220619_완.jpg
승강장쪽 역명판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며, 강서구에서는 개화역과 함께 둘뿐인 단일 섬식 승강장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스크린도어가 닫힐 때 경고음이 추가되었다.

이 역에서 상일동, 하남검단산/마천행 열차를 타면, 자신이 탄 문(진행방향 기준 왼쪽)이 다시 열리는 역이 10개 정거장이나 차이가 나는 여의나루역이다.
우장산
까치산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우장산· 발산· 송정· 김포공항· 방화 방면
까치산· 여의도· 하남검단산· 마천 방면

6. 연계 교통

6.1. 1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화곡역1번출구(16207) ||
간선
지선
마을
심야

6.2. 2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화곡본동시장(16145) ||
간선
지선
일반시내

6.3. 4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화곡역4번출구(16206) ||
간선
지선
마을
심야

6.4. 5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화곡역5번출구(16205) ||
간선
지선
심야

6.5. 6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화곡역6번출구(16147/25046) ||
간선
지선
광역
일반시내

6.6. 7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화곡역7번출구(A)(16639)/화곡역7번출구(16878) ||
일반시내
마을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화곡역7번출구(B)(16148) ||
간선
지선
일반시내

6.7. 8번 출구

||<-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dddddd><tablebgcolor=#ffffff,#191919> 화곡역8번출구(16208) ||
간선
지선
마을
심야

7. 기타

  • 5호선의 역명을 가나다순으로 정렬했을 때 가장 마지막에 배치되는 역이다.
  • 5호선의 섬식 승강장을 가진 역 중 유일하게 상대식 승강장하고만 인접해있다.[13]

8. 둘러보기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서울 지하철 5호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본선
[[마천지선|{{{#!wiki style="display:inline-block"]]
하남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대장홍대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1] 5호선에서 섬식 승강장을 보유한 14개 역들 중 서울 도심 지역이나 신금호역 이후 동쪽 구간에 속하지 않은 유일한 역이다. [2] 첫차는 하남검단산행 열차 5007이다. 그 다음에 방화기지발 1501/5901 열차가 이 역에서 마천행 5513으로 출발. 막차는 방화발 5211인데, 주박한다. [3] 하남검단산/마천 방향 막차는 5179명절 5159인데, 주박 안 하고 마천발 56585638이 오기 전에 회차선을 통해 방화기지까지 공차회송한다. 방화방향 막차는 마천발 열차이며, 회차선에서 주박한 후 하남검단산행 5007으로 간다. 두번째 화곡발은 방화기지발 1501/5901(마천행 55095511). 시간상 첫차는 하남검단산행 열차이고 이후 마천행 열차 순으로 운행된다. [4] 하남검단산/ 마천행 열차일 경우 8-4 [5] 위에서 언급한 방화행 기준 1-1 계단 포함 [6] 아마 까치산역은 신정지선으로 환승하는 승객들이 많아서 그럴 것이다. [7] 은행은 8번 출구 쪽에, ATM기기만 모여있는 작은 코너는 4번 출구 쪽에 있다. [8] 6번 출구쪽에 있던 구 외환은행 지점은 폐점 [9] 화곡역 3번출구 더와이즈황병원 1층 로비에 있다. [10] 2023년 기준 4위. [11] 신월동 남부(2, 4, 6, 7동) 주민들은 신정역을 많이 이용하며, 신월동 중앙에 위치한 신월1동 주민들은 까치산역을 주로 이용한다. [12] 2019년경 벽면이 철거되어 지금은 볼 수 없다. [13] 반대로 5호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역 중 유일하게 섬식 승강장하고만 인접한 역은 애오개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