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역 |
팔당 - |
양수역 | ||
문산 방면
운길산 ← 1.9 ㎞ |
경의·중앙선 (K130) |
지평 방면
신 원 4.7 ㎞ → |
문산 방면
도 심 ← 12.5 ㎞ |
경의·중앙선 중앙선 급행
|
용문 방면
양 평 16.7 ㎞ → |
역명 표기 | ||
중앙선 |
양수 Yangsu 兩水 / 两水 / [ruby(両水, ruby=ヤンス)] |
|
경의·중앙선 | ||
주소 |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목왕로 55-10 (용담리 255-2)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3급) ( 양평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
||
운영 기관 | ||
중앙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경북부선 | 1939년 4월 1일 | |
경경선 | 1941년 7월 1일[1] | |
중앙선 | 1948년 1월[2] | |
중앙선 | 2008년 12월 29일 | |
경의·중앙선 | 2014년 12월 27일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2면 7선 쌍섬식 승강장 | ||
철도거리표 | ||
청량리 방면
운길산 ←1.9 ㎞ |
중앙선 양 수 |
모량 방면
신 원 4.7 ㎞ → |
현 역사 (2008년 준공) |
구 역사 (1970년 준공, 2008년 철거) |
[clearfix]
1. 개요
맞이방
1939년 개업, 한때 화재로 역사 소실되기도
양수역은 구불구불한 철길 위로 완행열차가 오가던 곳으로 1939년 중앙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70년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하여 역사와 대합실, 각종 비품들까지 모두 타버리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 사건으로 인근 역사들보다 먼저 철근콘크리트 건물로 지어지게 되었다. 이때 지어진 단층짜리 연두빛 소박한 모습의 옛 양수역사는 2008년 중앙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수도권 광역전철이 오가는 화강암 외벽의 깔끔한 현대식 역사로 돌아왔다. 역사 앞에 남한강 자전거길 이용자들을 위한 자전거 대여소가 설치되어 있어 전철로 갈 수 있는 가족 나들이 코스이기도 하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130번[3].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목왕로 55-10 (용담리 255-2) 소재.양수역은 구불구불한 철길 위로 완행열차가 오가던 곳으로 1939년 중앙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했다. 1970년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하여 역사와 대합실, 각종 비품들까지 모두 타버리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 사건으로 인근 역사들보다 먼저 철근콘크리트 건물로 지어지게 되었다. 이때 지어진 단층짜리 연두빛 소박한 모습의 옛 양수역사는 2008년 중앙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고, 수도권 광역전철이 오가는 화강암 외벽의 깔끔한 현대식 역사로 돌아왔다. 역사 앞에 남한강 자전거길 이용자들을 위한 자전거 대여소가 설치되어 있어 전철로 갈 수 있는 가족 나들이 코스이기도 하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개통과 동시에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북한강과 남한강의 두 물줄기가 합친다는 뜻에서 이 지역의 이름이 두물머리였다. 그 두물머리를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에서 고유 지명을 한자화하면서 양수(兩水)라는 이름이 되었다. 참고로 양수역에서 두물머리까지는 멀다. 걸어서 15(1번 출구)~30(2번 출구)분 걸린다.[4]1970년 2월 13일에 역사를 신축했다. 준공된 지 1개월도 채 지나지 않은 1970년 3월 2일, 원인 불명의 화재로 한 차례 전소된 적이 있는데 간신히 복구를 끝마쳐 당시 새삥이던 구 역사를 철거하게 되는 최악의 상황을 겨우 막았다.
중앙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막바지로 진행됐던 2008년 2월 임시역사로 영업하고, 1970년에 완공된 역사는 2월 19일에 철거되었다. 2008년 9월 1일부터는 공사 관계로 모든 열차가 무정차 통과하게 되었다.
현재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을 제외한 모든 일반열차나 화물열차는 통과하고 있다. 화물 취급은 국수역이 대신하고 있다. 현재에도 화물하역장은 철거하지 않아서 그대로 남아있다.
이 역과 운길산역 사이에 복선전철화 이전에 다녔던 북한강철교(구 양수철교)가 있다. 현재의 중앙선이 지나가는 양수철교와 달리 북한강 철교는 위에다 보도를 깔고 남한강 자전거길이라는 이름으로 현재도 보존되어 있다.
3. 역 주변 정보
2번 출구 앞에 양서고등학교가 있다.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와 약 30초(!) 가량 걸으면 양서고 정문과 수위실이 나온다. 학교 부지의 한쪽 전체가 열차로와 붙어 있을 정도로 가깝다. 전원 기숙사제 자율학교로, 변변한 교통편이 없는 양서고 학생들이 외박/외출 등을 위해 이용하는 유일한 수단. 3학년쯤 되면 오후 4시~9시의 열차 시간표를 외울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고 한다.전원일기에서 가끔 등장하던 역이 이곳이다. 읍내를 양수리에서 촬영하면서 읍내에 있는 역이라는 설정이 있었기 때문.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7c4a3><bgcolor=#77c4a3> 연도 ||
||<bgcolor=#77c4a3> 비고 ||
2008년 | 1,409명 | [5] |
2009년 | 2,462명 | |
2010년 | 2,951명 | |
2011년 | 3,243명 | |
2012년 | 3,508명 | |
2013년 | 3,773명 | |
2014년 | 4,166명 | |
2015년 | 4,205명 | |
2016년 | 4,345명 | |
2017년 | 4,466명 | |
2018년 | 4,241명 | |
2019년 | 4,430명 | |
2020년 | 3,351명 | |
2021년 | 3,549명 | |
2022년 | 3,920명 | |
2023년 | 4,007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양수리( 두물머리) 중심가에서 1km 떨어진 곳에 위치하여 개통 초기에는 이용객이 매우 적었다. 그러나 출퇴근 시간과 주말을 가리지 않고 막히는 6번 국도에 비해 막히지 않고[6] 훨씬 빠르게 갈 수 있다는 메리트 덕분에 이용객이 빠르게 늘었다가 2014년부터는 코로나 시국을 제외하면 4000명대를 쭉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적은 편이긴 하며, 중앙선 계통 급행 정차역 중 꼴찌이다.
- 2018년 기준 하루 평균 4,241명이 이용함으로서 서울특별시 구간의 서빙고역, 양원역보다 승하차객이 많다.
- 위치가 위치인지라 차를 끌고 양수역을 찾아와 환승하는 이용객들이 많다. 수요가 늘면서 주차장이 포화 상태일 때가 점점 늘고 있다.
- 1번 출구 바로 앞에는 남한강 자전거길 코스여서 관광객과 라이더들도 많이 이용한다.
- 또한 서종면에서 버스를 타고 양수역에서 환승하는 승객 또한 적지 않다.
5. 승강장
경의·중앙선 승강장 |
↑ 운길산 | ||||||||||
ㅣ | ㅣ | ㅣ | ㅣ | 4 | 3 | ㅣ | ㅣ | 2 | 1 | ㅣ |
신원 ↓ |
1·2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급행 | 국수· 양평· 용문· 지평 방면 |
3·4 | 구리· 청량리· 용산· 문산 방면 |
6. 연계 교통
양수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구분 | 노선 |
양수역 (46017) |
<colcolor=#ffffff> 시내 | |
양수역 (46018) | 시내 |
7.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3c7a6> 경의선 |
도라산 -
임진강 -
운천 -
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능곡 -
행신 -
강매 -
한국항공대 -
수색 -
가좌 -
신촌 -
|
용산선 |
가좌 -
서강대 -
효창공원앞 -
|
|
경원선 |
용산 -
이촌 -
서빙고 -
한남 -
옥수 -
응봉 -
|
|
중앙선 |
중랑 -
망우 -
양원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중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명† -
삼곡† -
도담† - - - - - - - - - - - -
옹천† - - - - - - - - - - -
비봉† - -
우보† - -
봉림† -
갑현† - -
화산† - - - - - - - -
모량†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308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308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양수(K130), 신원(K131), 국수(K132), 아신(K133), 오빈(K134), 양평(K135), 원덕(K136), 용문(K137), 지평(K138) | ||
양평 | |||
매곡, 삼산, 석불, 양동, 용문, 일신, 지평 | |||
}}}}}}}}} |
[1]
경경남·북부선 통합 및 경경선으로 개칭된 날짜.
[2]
1948년 1월 하순 경경선에서 중앙선으로 개칭.
[3]
2005년까지
서빙고역의 역번호였다.
[4]
더 쉽게 가는 방법은
운길산역에서
남양주 버스 58,
남양주 버스 땡큐58-3번 버스를 이용하여 양수리차고지 정류소에서 하차하면 조금 더 가깝다. 도보 15~20분 거리이다.
[5]
개통일인 12월 29일부터 12월 31일까지 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6]
여기도
용산역-
망우역 구간이 포화 상태이고
용문역 끝까지
KTX,
무궁화호 대피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국도보다는 덜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