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23:33:47

광주광역시/역사

전라남도 광주시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광주광역시

1. 개요

원래 광주 일대는 삼국시대 백제 남북국시대 신라에 의해 무진군(武珍郡), 무진주(武珍州)-무주(武州)[1]로 불렸다. 이두에서 珍의 새김(훈)은 돌, 들로서 순우리말로 무돌, 또는 무들이 되며 '물(水)' + '들(野)'의 의미인 것으로 보인다. 광주에서 가까운 전라남도 나주시 영산포에도 이두로 水入伊(무들이)라고 읽는 지명이 남아 있다. 광주의 유명한 산인 무등산(無等山) 역시 순우리말 '무들'을 한자로 옮겨 적은 여러 다른 표기 가운데 하나이며, 무주는 신라 경덕왕의 한화정책으로 지명이 개정될 때 등장하는데, 아예 새로운 한자를 붙인 게 아니라 원래 지명을 고려하여 명명한 것에 해당한다. 오늘날 쓰이는 광주(光州)란 이름은 고려 태조(고려) 23년인 940년에 처음으로 생긴 이름이다. 왜 광주라 바꾼 것인지는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고려 말의 대학자 이색이 '석서정기'라는 책에서 광주를 가리켜 "光之州"라 언급한 것으로 미뤄볼 때 빛의 고을이란 의미인 것은 분명해 보인다. 그래서 이를 다시 우리말로 푼 빛고을이란 이름도 많이 쓴다.

2. 선사시대

광주에 언제부터 사람들이 살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하게는 알 수 없으나 영산강 유역을 따라 구석기 유물들이 출토되는데 광주의 도시개발 과정에서 상무지구의 치평동, 첨단지구 산월동, 철도이설 구간인 매월동 등의 구릉상에서 뗀석기가 발견되어서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들이 살았을 것이라 본다. 또한 매월동과 풍암지구 등에선 고인돌의 존재가 확인되어 청동기 시대에도 사람들이 계속 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3. 상고시대

상고시대에는 삼한 마한연맹에 속했는데 현 광주광역시 일대에는 임소반국(臨素半國) 등이 위치해 있었다. 광산구 첨단지구에는 일본 전방후원분이 분포하고 있어 학계의 논란거리가 되고 있다. 학계에서는 양국의 교류가 삼한의 성립 이전부터 있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고(주로 서강대), 반도 일본어설을 인정하는 쪽(주로 서울대)에서는 한반도에 잔류하던 야요이인이 건설했다는 견해도 있다.[2]

파일:attachment/wkdrhqns.jpg
문제의 일본식 전방후원분인 광주 월계동 장고분.

4. 삼국시대

이 시기 전남 해안가 일대에는 신미국(新彌國)을 중심으로 형성된 연맹인 침미다례가 있었는데, 당시 침미다례는 중국에 독자적으로 사신을 보내고 마한연맹의 맹주인 백제에게 도전장을 내밀 정도로 강력한 세력을 구가하고 있었다. 그래서 원래대로면 바로 옆인 광주 일대도 침미다례의 일원이 될 가능성이 높았으나, 이쪽은 백제의 지원을 통해 복속되는 걸 피하고 준독립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다 백제가 근초고왕대에 본격적으로 남정을 시작하며 광주 일대 역시 백제의 직접지배 영역에 속하게 되는데, 이 시기에 백제에 의해 설치된 행정구역이 바로 무진군(武珍郡)이었다. 무진군은 산하에 미동부리현(未冬夫里縣)[3] 복룡현(伏龍縣)[4] 굴지현(屈支縣)[5]을 거느리고 있었다. 현 광산구 운수동에는 수천현(水川縣)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이쪽은 따로 놀아 발라군(發羅郡)[6]의 산하에 있었다.

이후 백제가 침미다례를 완전히 직접지배로 편입시키기 위해 키운 곳이 다름 아닌 이 무진군, 즉 오늘날의 광주 일대였다. 이미 침미다례 내부에서도 백제의 지원을 통해 친백제 세력인 나주 일대 세력이 주도권을 잡은 상황이긴 했으나, 백제의 진정한 의도는 침미다례 연맹 자체의 해체 및 직접지배화하였기에 광주 일대 세력을 별도로 지원한 걸로 보인다.[7] 원래 생활권의 차이로 인해 그다지 잘 섞이지 못하고 있었던 두 지역의 이러한 앙금은 이렇게 이 지역을 통괄하게 된 영역국가들의 정책 및 행정과 어우러지며 차후로도 복잡한 관계로 발전하게 된다. 고려의 후삼국 통일 이래로 나주와 광주는 행정구역상 천 년이 넘게 한덩이로 묶여 취급되었기에, 현대 한국인들의 입장에선 이런 광주 VS 나주 구도가 영 생소하겠지만, 적어도 후삼국시대까진 상기의 이유로 인해 최소 수백 년은 대립을 거듭한 관계였다.[8]

5.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역시 서남해 일대의 중요거점으로 광주 일대를 인식하여 9주 5소경에 들어가는 거대 행정구역인 무진주(武珍州)를 설치하고, 무진주는 오늘날의 전남 일대에 해당하는 15군 34현을 관할하는 행정중심지가 된다. 무진주는 경덕왕대의 한화정책으로 무주(武州)로 개칭되고, 산하의 미동부리현은 현웅현(玄雄縣)으로, 복룡현은 용산현(龍山縣)으로, 굴지현은 기양현(祁陽縣)으로 개칭된다. 여전히 따로 놀던 수천현은 여황현(艅艎縣)으로 개칭된다. 그러나 이러한 한화지명은 그리 잘 정착하진 않았던 걸로 보인다.

백제가 이미 개척하고 분획해놓은 행정망을 계승한 건 신라의 입장에선 당연히 합리적인 정책이었지만, 이미 광주 일대 세력과의 앙금이 있었던 침미다례의 후신, 즉 나주 일대 세력의 입장에선 영 재미없는 결말이었다. 장보고 청해진을 둘러싼 내전에서도 장보고를 암살한 염장이 바로 무진주 출신이었기에, 주로 나주 및 그 근처의 해안가 사람들로 구성된 나머지 청해진 사람들과의 관계에 어색한 측면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지적이 있을 정도. 그리고 이렇게 강제로 봉합되어 있던 감정은 차후 영역국가의 압력이 느슨해진 후삼국시대에 들어 본격적으로 폭발하게 된다.

6. 후삼국시대

신라구 및 각종 도적들이 횡행하던 혼란한 신라 말기에 서남해 일대의 해적을 소탕하는 임무를 맡고 온 군관 견훤은 서남해 일대 해적과 호족들을 장악한 후 진성여왕 6년에 무진주를 점거한 뒤 거병한다. 그리고 그렇게 무진주를 중심으로 기틀을 다지다 완산주[9]를 수도로 하여 후백제의 건국을 선포한다.[10] 그리고 후백제는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었던 태봉과 대립하게 되는데, 이 시기에 광주 VS 나주의 오랜 대립은 태봉과 후백제의 대립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아예 전쟁까지 치르는 뜨거운 결말로 치닫게 된다. 나주 공방전 문서 참조. 다만 이러다보니 얄궂게도, 후백제는 오늘날 나주시의 동쪽 절반을 깊이 장악한 반면, 태봉-고려는 오늘날 광주광역시의 서쪽 절반을 내내 석권하여 서로 중요 지역을 절반씩 사이좋게 교환한 형국이 형성된다. 물론 서로 협정해서 이렇게 된 게 아니라, 하도 무력으로 치고박고 하다보니 자연적으로 국경이 그렇게 형성되고 만 것. 이후 고려의 후삼국 통일로, 마한 시절로까지 소급되는 나주와 광주 사이의 오랜 대립은 완전히 끝나게 된다.

7. 고려 시대

940년,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뒤, 태조는 전 국토의 행정체제를 새로 개편하면서 무주의 이름을 광주로 고치고 그곳에 도독부를 설치한다. 그 후 성종 14년에 관제개혁으로 전국을 3경 4도호부 10도로 나누는 동시에 12주목을 12주절도사로 변경한다. 이 개혁으로 오늘날의 전남 일대를 해양도라 했으며 도호부를 안남(현 영암군)에 설치했고 광주에는 자사를 두었다. 이때 광주의 이름을 해양현이라 개칭했다. 고종 때는 기주라 칭하다가 충렬왕 때 다시 무주로 개칭하는가 하면 충선왕 때에 화평부, 공민왕 때에 무진부, 다시 공민왕 22년인 1373년에는 광주목 등으로 지명과 행정지위가 자꾸 바뀌었다.

8.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 들어오면서 전라도를 좌도와 우도로 나누었는데 광주는 좌도에 속했다. 그런데 세종 12년 노홍준이라는 자가 광주목사 신보안을 구타했다는 이유로 광주목에서 무진군으로 강등시켜 버렸다. 문종 1년에 광주목으로 다시 회복되었지만 비슷한 사건 등으로 성종 20년 다시 광산현으로 강등되었고 연산군 1년에 다시 광주목으로 회복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인조대와 숙종대에도 비슷한 일들이 있었다.

고종 32년인 1895년 전국을 23부로 나누면서 나주부에 속한 광주군이 되었다가, 1896년 13도제로 개편함에 따라 전라남도청을 나주가 아닌 광주에 둠으로써 전라남도의 중심지로 성장하게 되는 발판이 되었다.[11]
파일:attachment/광주광역시/역사/gwang1896.jpg
구한말 광주 일대의 행정구역 상황. 위쪽의 담양군 대전면 일대는 원래 광주 땅이었다가(대치면, 갈전면), 1914년 담양군으로 넘어갔다.

9. 일제강점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e2e2e>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 일제강점기
{{{+1'''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 평안남도
파일:경성부 휘장(1925-1945).svg 파일:제2기 경성부 휘장_White.png 파일:인천부 휘장.svg 파일:인천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개성부 휘장.png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파일:신의주부 마크(1929~?).png 파일:신의주부 화이트.svg 파일:평양부 마크(1922~?).png 파일:평양부 로고_White.png 파일:진남포부 휘장.svg 파일:진남포부 휘장 화이트.svg
경성부 인천부 개성부 평양부
함경북도 함경남도
파일:청진부 휘장.svg 파일:청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나진부 휘장.svg 파일:나진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성진읍(1938~?)의 마크.png 파일:원산부 휘장.svg 파일:원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함흥부 휘장.svg 파일:함흥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흥남읍(일제강점기)의 마크.png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원산부 함흥부 흥남부
황해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파일:해주부 마크(1939~?).png 파일:대전부 휘장 2기.svg 파일:대전부 휘장 2기 화이트.svg 파일:군산부 마크(1928~?).png 파일:전주읍 마크(1930~?).png 파일:목포부 마크(1926~?).png 파일:광주부 휘장.svg 파일:광주부 휘장 화이트.svg
해주부 대전부 군산부 전주부 목포부 광주부
경상남도
파일:대구부 마크(1927~?).pn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일제강점기~1996)_White.svg 파일:부산부 휘장.svg 파일:부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마산부 휘장.svg 파일:마산부 휘장 화이트.svg 파일:진주부 마크(1940~?).png
대구부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 }}}}}}}}}

일본어로는 고슈(Kōshū)라고 독음되었다. 일제강점기 전까지는 그나마 조용한 동네였으나 1896년 나주[12]를 대신해 전라남도청이 들어서게 되면서 성벽을 부수고 확장을 하였다. 그리하여 광주본정(光州本町, 현재의 금남로)이 들어서고 발전을 시작하게 되었다. 구한말 의병 또한 많았는데 남한 대토벌 작전으로 대부분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평야가 많아 게릴라전도 쉽지 않은 것도 이유였다.

일제는 1910년 9월 30일 조선총독부의 새로운 지방제도를 발표하고, 이에 따라 광주읍성 안쪽인 성내면(충장로, 금남로 일대[13])과 성밖의 기례방(오늘날의 대인동 일대)·공수방(오늘날의 수기동 일대)·부동방(오늘날의 서석동 일대)의 3방을 합해 광주면을 설치했다.
파일:attachment/광주광역시/역사/gwang1914.jpg
1914년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 당시 광주군의 행정구역 상황

이후 1914년 4월 1일 전국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여 15개 면으로 재편했다.

이후 1923년 서방면[14], 효천면, 지한면의 각 일부를 광주면에 편입하여 시가지를 확장한 후, 1931년 읍(邑)제 실시에 따라 광주면은 광주읍으로 승격되었다.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중심지가 되었고 이 운동의 여파로 전국의 거의 모든 학교가 동맹휴학을 하는 등의 일이 있었다. 1931년 우치면과 본촌면이 지산면으로 통합되었다.

1935년 서방면, 효천면, 지한면, 극락면의 일부를 편입하여 광주읍이 광주부로 승격되었으며[15], 효천면과 지한면이 효지면으로 통합되고, 광주군의 잔여지역은 광산군으로 개칭되었다. 1937년 광산군 송정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0. 8.15 광복 이후

구한말 전남도청이 옮겨진 이후, 일제강점기를 거쳐 광주는 크게 발전하게 되는데, 광복 이후에도 이 추세가 지속되어 과거 전통적으로 전라도 수부도시로 취급받던 전주의 인구를 확실히 추월하게 되고, 전라도의 유일 광역시이자 최대 중심도시로 올라가게 된다.
파일:attachment/광주광역시/역사/gwang1945.jpg
1945년 8.15 광복 당시 광주부와 광산군의 행정구역 상황

1946년, 1947년에 일본식 동명을 개정하였다. #1 #2
개편 전 개편 후
학강정 학동
금정 금동
남정 남동
광산정 광산동
명치정(明治町)1정목, 명치정2정목, 명치정3정목, 명치정4정목, 명치정5정목 금남로1가, 금남로2가, 금남로3가, 금남로4가, 금남로5가
대화정(大和町) 대의동
궁정 궁동
본정(本町)1정목, 본정2정목, 본정3정목, 본정4정목, 본정5정목 충장로1가, 충장로2가, 충장로3가, 충장로4가, 충장로5가
황금정 황금동
부동정 불로동
수기옥정 수기동
호남정 호남동
욱정 장동
동정 동명동
서석정 서석동
대정정 대인동
북정 북동
누문정 누문동
천정 양동
서정 서동
구강정 구동
사정 사동
양림정 양림동
유정 유동
임정 임동
소화정(昭和町) 계림동
산수정 산수동
지산정 지산동
백운정 백운동
월산정 월산동
농성정 농성동
광천정 광천동

해방과 정부수립 이후 1949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목포부, 순천부, 여수부가 각각 목포시, 순천시, 여수시로 개칭되면서 광주부도 광주시로 개칭되었고, 나주군 본량면, 삼도면, 평동면이 광산군에 편입되고 광산군청을 광주 시내(현 동구 대의동)에서 송정읍으로 이전했다.

파일:attachment/광주광역시/역사/gwang1957.jpg
1955년 7월 광산군 극락면, 서방면, 석곡면[16], 효지면이, 1957년 11월 지산면, 서창면[17], 대촌면이 광주시에 편입되어 시역(市域)이 대폭 확장되었다. 이는 자유당 이승만 정권의 게리맨더링이라 한다. 그러나 1963년 서창면과 대촌면은 다시 광산군으로 환원되었다.
파일:attachment/광주광역시/역사/gwang1963.jpg
1963년 서창면, 대촌면이 광산군으로 환원된 이후의 행정구역 상황

1973년 구(區)제가 실시되어 동구 서구의 2개 구가 설치되고, 1980년에는 동구와 서구의 각각 일부를 떼어 북구를 신설했다.[18]

11. 5.18 민주화운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5.18 민주화운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광주의 역사 중 현대사 부분은 5.18 민주화운동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을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1980년 5월 27일을 기해서 완전히 시민군과 계엄군 간의 전투는 중지되었으나, 이미 광주는 희생자들의 시신들을 화장하고 장례를 치르느라 여유있는 날이 없었고 현재는 최소 40대 중반[19] 이상의 광주 시민들에게는 큰 아픔을 남겼다. 이후 1986년까지 정부와 방송, 언론기관은 보도지침 때문에 광주에 대한 일상을 평화롭다고 선전하며 실체를 은폐하려 들었다. 그러나 광주와 전남 일대에서 일어난 일련의 학살 소동에 대한 소식은 민주화 운동가들, 천주교 재단과 1982년 광주 5.18 유가족들의 국회의사당 앞 집회로 인하여 전국의 대학교 및 국민들에게 그 실체가 퍼져나가기 시작했고, 이는 서독 기자였던 위르겐 힌츠페터가 목숨까지도 걸고 광주에 잠입하여 5.18 당시의 상황을 취재하는데 성공하는 쾌거를 이루면서 전 세계로 광주에 대한 소식이 퍼져나가면서 사실상 전두환 정부는 대외적으로도 빼도박도 못한 상황에 직면했다. 오죽하면 1980년대 미국 반공정책의 대명사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마저도 전두환 대통령에게 5.18의 원인 중 하나인 김대중 구속을 이유로 들며 김대중을 석방하지 않으면 앞으로의 한미간 정상회담은 없을 것이라고 못을 박았다. 어쨌든 그 이후 1986년까지 재빠른 재건을 거듭하며 직할시로의 승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12. 5.18 민주화운동 이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004c97; border-right: 10px solid #004c97"
{{{#!wiki style="margin: 0 -2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4c97><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인사 · 통일주체국민회의
여당 민주정의당
정책 및 방향 제5~6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 중화학공업 구조조정 · 3저 호황 · 자동차공업 통합조치 · 3S 정책 · 2기 지하철 계획 · 언론통폐합 · 땡전뉴스 · 보도지침 · 일당제 · 관제야당 · 삼청교육대 · 녹화사업 · 1자녀 장려 정책 · 야간 통행금지 해제 · 서울 올림픽 유치
평가 긍정적 평가 · 부정적 평가
타임라인
1979년 12.12 군사반란 · 서울의 봄
1980년 서울의 봄 · 사북사건 · 5.17 내란 · 5.18 민주화운동 · 김대중 내란음모 조작 사건 · 동명목재 공중분해 사건 · 미스유니버스대회 폭파음모사건 · 사회정화운동 실시 · 공직자 숙정계획 · 원풍모방 노조사수투쟁 · 노동계 정화조치 · 계엄포고 제13호( 삼청교육대) · 방송자율정화방안 발표 · 중화학공업 1차 투자조정 조치 · 만화정화방안 발표 · 중화학공업 2차 투자조정 조치 · 10.27 법난 · 이윤상 유괴 살인 사건 · 언론통폐합 · 폭력성 만화영화 금지 정책 · 광주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부림 사건 ·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 · 대청댐 준공
1981년 경주 당구장 여주인 피살사건 · 전국민주학생연맹 결성 · 자동차공업 통합조치 · 한수산 <욕망의 거리> 필화 사건 · 아침방송 시간대 부활 · 국풍81 개최 · 학림 사건 · 아람회 사건 · 윤경화 보살 피살사건 · 전민노련/전민학련 사건 · 교정시설경비교도대 창설 · 해외여행 자유화 첫 실시 · 부마고속도로 개통 · 학사장교 도입 · 학력고사 시행 · 야간자율학습 시행 · 대구/ 인천 직할시 승격 · 제5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부림사건 · 무림파천황 사건 · 박상은 여대생 피살사건 · 서울올림픽 개최 확정 · 금강회 사건 · 서울 아시안게임 개최 확정 · 대학생불교연합회 노동야학 사건
1982년 교복자율화 조치· 야간통행금지 해제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 발표 · 한국콘트롤데이타 노동쟁의 · 제주 C-123 추락사고 · 부산 미국문화원 방화 사건 · 한국프로야구 개막 · 의령 총기난사 사건 ·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 · 제1차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파동 · 정부 제2청사 개청 · 녹화사업 · 오송회 사건
1983년 함주명 간첩조작 사건 · 북한 공군 이웅평 귀순 · 천하장사 씨름대회 개막 · 중공 여객기 불시착 사건 · 프로축구 개막 · 김영삼 단식 농성 사건 · 김영삼 보름달 사건 · 명성그룹 사건 · 야학연합회 사건 · 영동개발진흥 사건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 농구대잔치 개막 · 삼성전자 64K D램 개발 · 학원자율화 조치
1984년 부산 대아호텔 화재사고 · 대통령배 전국남녀배구대회 개막 · 정치활동 규제자 2차 해금 · 청계피복 노조 합법화 투쟁 · 민중문화운동협의회 결성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방한 · 대우어패럴 노조 탄압 · 정래혁 투서 사건 · 88올림픽고속도로 개통 · 민중민주운동협의회 결성 · 목동주민 철거 반대투쟁 · 전두환 방일 반대투쟁 · 1984년 한강 대홍수 · 함평 무안 농민대회 · 청량리경찰서 여대생 성추행 사건 · 전두환 대통령 방일 · 서울대 민간인 감금 폭행 고문 사건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개장 · 민주화추진위원회 결성 · 박영두 의문사 사건 · 민주통일국민회의 결성 · 망원동 수재 사건 · 학생의 날 부활 · 민정당 중앙당사 점거농성 · 전국학생총연맹 결성 · 판문점 총격사건 · 박종만 노동자 분신 · 자유실천문인협의회 재창립 · 민주언론운동협의회 결성
1985년 양강교 버스 추락사고 · 김대중 귀국 · 국제그룹 해체 사건 · 고려대 김준엽 총장 사퇴파동 · 중국 해군 어뢰정 망명사건 ·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출범 · 대우자동차 부평공장 파업 · 민중교육지 사건 · 서울 미국문화원 점거농성 사건 · <>지 창간 · 구로동맹파업 · 삼민투위 사건 · '힘'전 탄압 사태 · 대구교도소 양심수 집단구타 사건 · 학원안정법 파동 · 홍기일 노동자 분신 · 서울노동운동연합 결성 · 구미유학생 간첩단 사건 · 63빌딩 개장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지하철 3호선 개통 · 서울 지하철 4호선 개통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개통 · 충주댐 준공 · 우종원 의문사 사건 · 서울대학교 민주화추진위원회 사건 · 주한 미국상공회의소 점거 농성 · 민정당 중앙정치연수원 점거 농성 ·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 결성
1986년 KBS 시청료 거부 운동 · 개헌 서명운동 개시 · 서울대 졸업식 집단퇴장 사건 · 박영진 노동자 분신 · 국회 국방위원회 회식 난투극 사건 · 구국학생연맹 사건 · 전방입소 거부투쟁 · 김세진·이재호 분신사건 · 인천 5.3 운동 · 서노련 사건 · <교육민주화 선언> 발표 · 부천 경찰서 성고문 사건 · 신호수 의문사 사건 · 한국출판문화운동협의회 결성 · 김성수 의문사 사건 · 인천 뉴송도호텔 사장 피습사건 · 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결성 · 보도지침 폭로 사건 · 한강종합개발사업 완료 · 김포국제공항 폭탄 테러 · 화성 연쇄살인 사건 · 제6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발표 ·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 광주 직할시 승격 · 서울대 대자보 사건 · 유성환 국시론 파동 · 전국노동자연맹 추진위원회(이하 전노추) 사건 · 마르크스 레닌주의당(이하 ML당) 결성기도 사건 · 10.28 건국대 항쟁 · 금강산댐 사건 및 평화의 댐 모금 운동 · 반제동맹당(이하 AILG당) 사건 및 민통련 사무실 폐쇄 · 김일성 사망 오보 사건 · 서울개헌대회 봉쇄 · 이민우 구상 · 대한민국 사상 첫 무역수지 흑자
1987년 수지 김 간첩 조작 사건 · 안산노동자해방투쟁위원회 사건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노동자해방사상연구회 사건 · 제헌의회그룹 사건 · 대전 성지원 사건 · 김만철 일가족 귀순 · 한국민중사 사건 · 한국여성단체연합 결성 · 평화의 댐 착공 · 부산 형제복지원 사건 · 서울 택시기사 연대파업 · 4.13 호헌조치 · 통일민주당 창당방해 사건 · 서울남부지역 노동자연맹 사건 · 서대협 결성 · 서머타임제 실시 · 광양종합제철소 준공 · 공기업 민영화방안 확정 · 강우확률예보제 실시 · 이한열 최루탄 피격 사망 사건 · 6월 민주항쟁 · 극동호 유람선 화재 사건 · 6.29 선언 · 1987년 노동자 대투쟁 · 문화예술 자율화 대책 · 금지곡 186곡 해금 · 영화 시나리오 사전심의 폐지 · 출판활성화조치 실시 ·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결성 · 독립기념관 개관 · 오대양 집단자살 사건 · 장의균 간첩조작 사건 · 한국여성민우회 결성 · 민족문학작가회의 출범 · 전교협 결성 · 신민주공화당 창당 · 평화민주당 창당 · 언론기본법 폐지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 KBS 별관 점거농성 사건 · 제13대 대통령 선거 · 중부고속도로 개통 · 구로구청 선거부정 항의 점거농성 사건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전두환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전두환 참고
}}}}}}}}}}}}


파일:attachment/광주광역시/역사/kwang1986.jpg
1986년 광주직할시 및 송정시 승격 당시 행정구역 상황
파일:광주직할시 휘장(1986-1987).svg
광주직할시 승격 직후 1년 동안 사용한 휘장
파일:전라남도 광산군 휘장(광주편입 전까지 사용).jpg
광주직할시 편입 전까지 사용한 전라남도 광산군 휘장[20]
파일:광주광역시 휘장(1987~2000).svg
1987년 이후 2000년까지 사용한 휘장[21][22]

1986년 전라남도 광주시가 광주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광산군 송정읍 역시 송정시로 승격되었다.[23] 그러나 2년 후인 1988년 광산군과 송정시 전역을 광주직할시에 편입하고 광산구를 설치함으로서 송정시는 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24]

1995년 직할시 광역시로 이름이 변경되면서 광주직할시가 광주광역시로 개칭되고, 서구에서 남구를 분리했으며, 광산구 서창출장소(구 광산군 서창면)를 서구에, 대촌출장소(구 광산군 대촌면)를 남구에 편입했다.[25] 2011년 10월 북구 동림동과 운암동 중 하남대로 이남 지역이 서구에 편입되어 동천동이 되었으며, 이외에도 각 구마다 자잘한 경계조정이 있었다.

2024년 현재 5 자치구 96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전북특별자치도에 있는 무주군과는 한자가 다르다. 여기는 한자가 茂朱로, 무주(武州)가 이미 광주목으로 바뀐 후에 무풍현(豊縣)과 주계현(溪縣)의 무와 주를 따서 만들었다. [2] 이 학설에 따르면 현 일본인의 조상이 되는 야요이인이 당시 호남뿐만 아니라 한반도 남부 전체에 잔류하고 있었다 본다. 여기서 일본열도로 건너간 야요이인은 지배적인 위치를 점하게 됐지만, 한반도에 남은 야요이인은 보다 후대에 내려온 한국계인 예맥인들에게 정복당하며 동화되었다고 본다. 그리고 이들이 야요이식 고분, 즉 일본식 고분인 전방후원분을 건설했을 것이라 보고 있는데, 하지만 전방후원분은 일본 기내지방에 초기부터 그 발전과정이 드러나 있는 반면, 전남 일대에서 발견되는 전방후원분은 후기의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백제가 근초고왕 등의 남방 정복 때 동원한 왜계 용병들의 무덤이었을 것이란 설도 대두되고 있다. [3]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면 일대. [4] 광산구 복룡동 일대. [5] 현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일대. [6] 현 전라남도 나주시 일대. [7] 백제가 마한의 전 맹주국이었던 목지국을 무력화할 때, 현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청당동 일대의 기성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동남구 성남면 일대 세력을 지원하면서, 또 별도로 현 충청북도 청주시 일대 세력도 전략적으로 키워주었던 것과 비슷한 맥락이었다. [8] 문안식 교수의 호남인의 기원과 문화원형 참조. [9] 전라북도 전주시 일대. [10] 완산주를 얻자마자 도읍을 옮긴 걸로 보아( 후백제 도성) 1,100년 전쯤에는 전주 일대가 광주 일대보다 번화했었을 것이라 추측되기도 한다. 사실 조선시대만 해도 전주는 부였고 광주는 목이었다. 물론 이것 외에도 한반도 내륙으로 더 진출하기 위함과 기반이 된 백제인들의 지지를 더 얻기 위해 백제의 영향력이 더 많이 남아있던 곳을 수도로 정한 것도 있었을 것이다. [11] 정확한 과정을 설명하자면, 단발령으로 인해 의병이 봉기하고 나주군수를 살해하면서 관찰사가 광주로 피신갔으며, 차후 의병이 없어져도 나주로 안 돌아갔기에 광주에 도청이 생긴 것이다. [12] 나주는 고려 혜종의 외가라는 특수성 때문에 고려시대부터 대읍이었고 양반이 많아 일제에 잘 순응하지 않았다. [13] 지금의 충장로1~3가, 금남로1~3가, 궁동, 대의동, 광산동, 황금동이 해당된다. [14] 여담으로 김태촌으로 유명한 조직폭력배 이름인 '서방파'는 이 면의 이름을 딴 것이다. 김태촌이 이 곳 출신이기 때문. [15] 다만 전라남도 내에서는 목포보다 부 승격이 늦다. (목포는 1897년 무안부→1910년 목포부로 일찌감치 승격) 물론 이거는 초창기의 부(府)가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던 개항장 위주로 지정되어서 그런 것이다. [16] 덕의리, 충효리, 금곡리는 담양군 남면(현 가사문학면) 소재지와 가깝다는 이유로 따로 그쪽에 편입되었다가, 2년 후인 1957년 11월 다시 광주시에 편입되었다. [17] 단, 송대리는 광주시에 편입되지 않고 동곡면으로 편입되었다. [18] 이와 동시에 양림동, 방림동, 봉선동이 동구에서 서구로 넘어갔다. [19] 43~46세 [20] 광주직할시로 편입 이후에도 광산구 휘장으로 2000년까지 사용했다. [21] 2000년 10월 31일까지 사용했다. 2000년 11월 1일부터 현재의 휘장을 사용 중이다. [22] 이 휘장은 직할시 시절 동구, 서구, 북구에서 응용되어 변형된 휘장을 사용했다. 동구의 경우 가운데 '동구'라는 글자를 썼고, 서구와 북구는 휘장 위의 부분을 남기고 아래 부분을 변형했다. (단, 1995년 분구된 남구의 경우는 2003년 이전까지는 고유의 휘장이 없었다.) [23] 같은 해에 여천군 삼일읍도 여천시로 승격되었다. [24] 그로부터 광산구 농어촌 지역은 6년 후 농어촌발전특별조치법에 따라 지원된 각종 혜택이 중단되고 주민들의 세금 부담마저 가중됐다며 1994년 1999년 두 차례 광산군 환원 운동이 있었지만 광산군으로 환원에 대한 방식이 다르고 광주광역시의 무관심과 소극적인 행동으로 끝내 무산되면서 부산, 대구, 인천, 울산, 세종과 달리 행정구역적으로까지 도농복합시로 이루지 못했다. 참고로 대전의 경우는 대덕군 자체가 해체되고 5개 자치구(+ 논산군 두마면, 현 계룡시)로 분할 편입되었다. [25] 이들 지역은 이미 1957년에 광주시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에 광산군으로 환원되었던 지역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