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21:39:29

판문점 총격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로당 깃발.png 조선인민유격대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독도 대첩
195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이라크
5.22 완전작전
199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 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1c27>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포천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
1967 ~ 1969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1 사태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앙골라 내전
1975 ~ 1980년대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우간다 내전
1980 ~ 1986
파일:우간다 국기.svg 민족저항군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홍단호 사건
2007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Edward_England.svg.pn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리아 내전
2011 ~
파일:시리아 국기.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4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판문점 총격사건
Soviet Defector incident
Инцидент с пробегом Василия Матузка
날짜 <colbgcolor=#fff,#191919> 1984년 11월 23일
장소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원인 한 소련인의 월남 시도
교전국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미국|]][[틀:국기|]][[틀:국기|]]

[[북한|]][[틀:국기|]][[틀:국기|]]
병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육군 파일:유엔군사령부 휘장.svg 유엔군사령부
파일:북한 국기.svg 조선인민군 육군 17명
피해 규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육군
  • 1명 전사
파일:미국 국기.svg 미합중국 육군
  • 1명 부상
파일:북한 국기.svg 조선인민군 육군
  • 3명 전사
  • 5명 부상
결과
소련인 망명 성공

1. 개요2. 전개3. 결과

[clearfix]

1. 개요

1984년 11월 2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벌어진 소련의 관광 유학생인 바실리 마투조크(Василий Яковлевич Матузок / Vasily Yakovlevich Matuzok[1])가 갑작스럽게 군사분계선을 넘고 월남을 시도하자 조선인민군 육군 대한민국 육군 사이에 총격전이 벌어진 사건.

2. 전개

1984년 11월 23일 11시 30분경, 판문점을 견학중이던 소련인 일행들 중 유학생 바실리 마투조크가 갑자기 남쪽으로 달려 월남을 시도했다. 이를 발견한 북한 육군 병력 일부가 월남을 제지하기 위해 총격을 하면서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쪽으로 침입했다.

이에 한국 육군 JSA 경비대대원들이 망명인을 엄호하기 위해 북한군과 총격전을 벌였는데,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의 주범인 박철 북한 육군 중위 등 이미 남쪽으로 내려온 북한군들은 다시 북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황에서 나무에 몸을 숨겨 한국군과 교전을 벌였다. 갑작스러운 총격전에 미 육군 병력과 JSA 대대 5분대기조도 출동해 합류했다. 이때 박철 중위도 총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고 사건 이후로 보이지 않아 미군의 총격에 사살당한 것으로 추측됐는데, 2018년 7월 8일자 이제 만나러 갑니다 방영분에 출연한 북한 육군 하사 출신 탈북자가 박철 중위가 그 때 사살됐다고 증언했다. 당시 박철 중위는 도끼 사건 이후에도 계속 JSA에 근무하며 국군과 유엔군 특히 미군의 어그로를 끌며 지냈기에, 미군들이 이때다 싶어 박철에게 집중 사격을 가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20여 분간 총격전이 계속됐고 5분대기조까지 출동한 상황에서 총격전이 심화되어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장교가 급히 사격 중지! 사격 중지!를 외치며 총격전이 잠시 멈추자, 북한군 측이 자신들의 사상자를 수습해 돌아가겠다며 교전 중단을 청했고 유엔 측이 받아들이자 북한 육군 생존 병력들이 전사자 시신과 부상자들을 끌고 다시 돌아갔다.

3. 결과

바실리 마투조크는 미국으로의 망명이 결정되면서 성공했다는 생각에 안도하였지만 자신의 망명으로 인해 한국군 1명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죄책감에 씁쓸한 표정을 지으면서 자신의 선택에 후회한다고 했다. 총격사건 이후 판문점

총격전 과정에서 북한군은 박철 중위 등 3명의 전사자와 5명의 부상자가 발생했고 유엔 측은 JSA 대대 소속 장명기 육군 일병이 언덕에서 엄호 사격 도중 북한군 초소에서 날아온 총알을 맞고 전사했으며, 미 육군 마이클 A. 버고인(Michael A. Burgoyne) 일병이 부상을 입어 총 1명이 전사하고 1명이 부상당했다. 버고인 일병은 턱 부분을 피격당했으나 회복했고, 퍼플하트 수훈했다.


[1] 누군가 실수로 잘못 써서 'Matusak'라고 알려진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