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 전쟁·전투 | 교전국 |
<colbgcolor=#405486,#000031>
독립운동 1920~1945 |
일본 제국 | |
서부전선 교전 1948 |
북한 | |
개성 인근 교전 1949 |
북한 | |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
북한 | |
포천 전투 1949 |
북한 | |
옹진-은파산 전투 1949 |
북한 | |
양양 돌입 사건 1949 |
북한 | |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
북한 | |
6.25 전쟁 1950 ~ 1953 |
북한 소련 중국 |
|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
북한 조선인민유격대 |
|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
일본 | |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
일본 | |
독도대첩 1954 |
일본 | |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
북한 |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
북한 | |
1.21 사태 1968 |
북한 |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
북한 | |
베트남 전쟁 1965 ~ 1973 |
북베트남 베트콩 |
|
3.7 완전작전 1973 |
북한 | |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
북한 | |
3.23 완전작전 1980 |
북한 | |
판문점 총격사건 1984 |
북한 | |
걸프 전쟁 1990 ~ 1991 |
이라크 | |
5.22 완전작전 1992 |
북한 | |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
북한 |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북한 | |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
북한 | |
제1연평해전 1999 |
북한 | |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
탈레반 정권 | |
제2연평해전 2002 |
북한 | |
이라크 전쟁 2003 ~ 2011 |
이라크 알 카에다 및 저항 세력 |
|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
소말리아 해적 | |
대청해전 2009 |
북한 | |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북한 | |
연평도 포격전 2010 |
북한 | |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
소말리아 해적 | |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
북한 | |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
북한 | |
대 IS 군사 개입 2015 ~ |
ISIL | |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
북한 | |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
북한 |
판문점 총격사건 Soviet Defector incident Инцидент с пробегом Василия Матузка |
|||
날짜 | <colbgcolor=#fff,#191919> 1984년 11월 23일 | ||
장소 |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 ||
원인 | 한 소련인의 월남 시도 | ||
교전국 |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북한| ]][[틀:국기| ]][[틀:국기| ]] |
||
병력 | |||
대한민국 육군
유엔군사령부 |
조선인민군 육군 17명 | ||
피해 규모 | |||
대한민국 육군
|
조선인민군 육군
|
||
결과 | |||
소련인 망명 성공 |
[clearfix]
1. 개요
1984년 11월 23일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에서 벌어진 소련의 관광 유학생인 바실리 마투조크(Василий Яковлевич Матузок / Vasily Yakovlevich Matuzok[1])가 갑작스럽게 군사분계선을 넘고 월남을 시도하자 조선인민군 육군과 대한민국 육군 사이에 총격전이 벌어진 사건.2. 전개
1984년 11월 23일 11시 30분경, 판문점을 견학중이던 소련인 일행들 중 유학생 바실리 마투조크가 갑자기 남쪽으로 달려 월남을 시도했다. 이를 발견한 북한 육군 병력 일부가 월남을 제지하기 위해 총격을 하면서 군사분계선을 넘어 남쪽으로 침입했다.이에 한국 육군 JSA 경비대대원들이 망명인을 엄호하기 위해 북한군과 총격전을 벌였는데,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의 주범인 박철 북한 육군 중위 등 이미 남쪽으로 내려온 북한군들은 다시 북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황에서 나무에 몸을 숨겨 한국군과 교전을 벌였다. 갑작스러운 총격전에 미 육군 병력과 JSA 대대 5분대기조도 출동해 합류했다. 이때 박철 중위도 총격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고 사건 이후로 보이지 않아 미군의 총격에 사살당한 것으로 추측됐는데, 2018년 7월 8일자 이제 만나러 갑니다 방영분에 출연한 북한 육군 하사 출신 탈북자가 박철 중위가 그 때 사살됐다고 증언했다. 당시 박철 중위는 도끼 사건 이후에도 계속 JSA에 근무하며 국군과 유엔군 특히 미군의 어그로를 끌며 지냈기에, 미군들이 이때다 싶어 박철에게 집중 사격을 가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20여 분간 총격전이 계속됐고 5분대기조까지 출동한 상황에서 총격전이 심화되어 중립국감독위원회의 장교가 급히 사격 중지! 사격 중지!를 외치며 총격전이 잠시 멈추자, 북한군 측이 자신들의 사상자를 수습해 돌아가겠다며 교전 중단을 청했고 유엔 측이 받아들이자 북한 육군 생존 병력들이 전사자 시신과 부상자들을 끌고 다시 돌아갔다.
3. 결과
바실리 마투조크는 미국으로의 망명이 결정되면서 성공했다는 생각에 안도하였지만 자신의 망명으로 인해 한국군 1명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죄책감에 씁쓸한 표정을 지으면서 자신의 선택에 후회한다고 했다. 총격사건 이후 판문점총격전 과정에서 북한군은 박철 중위 등 3명의 전사자와 5명의 부상자가 발생했고 유엔 측은 JSA 대대 소속 장명기 육군 일병이 언덕에서 엄호 사격 도중 북한군 초소에서 날아온 총알을 맞고 전사했으며, 미 육군 마이클 A. 버고인(Michael A. Burgoyne) 일병이 부상을 입어 총 1명이 전사하고 1명이 부상당했다. 버고인 일병은 턱 부분을 피격당했으나 회복했고, 퍼플하트를 수훈했다.
[1]
누군가 실수로 잘못 써서 'Matusak'라고 알려진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