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9-21 21:33:31

2030 자문단

<colbgcolor=#fff,#1f2023>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order-left: 10px solid #e61e2b; border-right: 10px solid #e61e2b"
{{{#!wiki style="margin:0 -2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e61e2b><colbgcolor=#f5f5f5,#2d2f34> 구성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 인사 · 민관합동위원회 · 국민통합위원회 ·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 국방혁신위원회 · 지방시대위원회 · 국가교육위원회
여당 국민의힘
정책 방향 외교 · 적폐청산 · 국방혁신 4.0 · 국민제안 · 청년보좌역 · 2030 자문단 · 규제혁신 ·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 · 주 69시간 근무제 · 과학방역 · 대통령실 용산 이전 · 디지털플랫폼정부 · 행정안전부의 경찰 통제 강화 · 한전 전력판매 독점 폐지 · 빚투 구제 · 경영위기대학 · 청년도약계좌 · 청년형 소득공제장기펀드 · 담대한 구상 · 북한방송 개방 · 대북 독자제재 · 강제징용 피해배상금 제3자 변제안 ·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계획 · 워싱턴 선언 · 마약과의 전쟁 · 글로컬대학 30 · 9.19 남북 군사합의 파기 · IPEF 가입 · CHIP4 가입 · 대구경북통합신공항 ·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 의사인력 수급 개선
평가 정치 ( 인사) · 경제 ( 노동 · 부동산) · 사회·문화 · 외교 ( 미국 · 중국 · 일본 · 북한) · 안보·국방
기타 임기 초 지지율 급락 사태 ( 원인 · 퇴진 운동) · 비상경제민생회의
타임라인
2022년 출범 이전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3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4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5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6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2027년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윤석열 개인과 관련된 문서는 틀:윤석열 참고
}}}}}}}}}}}}




1. 개요2. 전개3. 관련 문서

1. 개요

2030 자문단은 윤석열 정부가 2022년 6월 26일 발표한 청년 정책이다. 청년보좌역과 함께 시행된다.

2030 자문단은 청년보좌역을 포함한 만 19~39세 2030 청년 20명 이상으로 구성되며, 부처별 특성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된다. 정책 모니터링과 제언, 청년여론 수렴 및 전달, 정책 참고사항 발굴 및 제안 등을 맡는다.

2. 전개

2022년 6월 26일, 윤석열 정부 국무조정실은 청년의 목소리를 정책 프로세스에 반영하기 위해 9개 부처[1]에 2030 자문단과 청년보좌역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8월 출범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윤석열 정부는 9개 부처와 위원회의 직제를 개정하고, 국무총리 훈령을 제정해 2030 자문단 운영기반을 마련할 예정이다. 그리고 9개 부처를 대상으로 시범운영 결과를 평가해 모든 부처로 확대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국무조정실 보도자료에서 윤석열 대통령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소외됐던 청년들의 참여를 대폭 확대해 청년들의 목소리가 국정 전반에 반영될 수 있도록 심도 있게 논의해왔다”며 “공정과 상식에 부합하는 여건으로 유능한 젊은 인재들의 많은 지원을 기대한다”고 말했다고 밝혔다.

2023년 하반기부터는 청년보좌역과 더불어 2030 자문단 역시 기존 9개 부처에 더하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교부, 통일부, 법무부, 국방부, 국가보훈부, 농림수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여성가족부, 해양수산부, 방송통신위원회, 공정거래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15개 기관이 시행 기관으로 추가되어 총 24개 부처에서 운영하도록 확대되었다.

3. 관련 문서



[1] 기획재정부, 대한민국 교육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