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3:59:33

포르피로게니투스

포르피로예니토스에서 넘어옴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 파일:투명.png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파일:투명.png 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마우레타니아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 군관구) · 타그마 · 바르다리오타이 · 투르코폴레스 · 불사 부대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문화 라틴어 ·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서 · 박물지 ·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수다 · 알렉시아스
경제 데나리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매체 동로마 제국/매체 }}}}}}}}}

남자 여자
라틴어 포르피로게니투스(Porphyrogenitus) 포르피로게니타(Porphyrogenita)
그리스어 포르피로예니토스(Πορφυρογέννητος) 포르피로예니티(Πορφυρογέννητη)


1. 개요2. 기원3. 유명한 사례4. 그 외

1. 개요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d5fa5d9f3a661973f4d4a74f1ef50224.jpg

동로마 제국의 '재위 중인' 황제 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을 일컫는 말.[1] 콘스탄티노플 동남부의 마르마라 해가 내다 보이는, 대황궁 옆 부콜레온 궁의 포르피라(Porphyra)라는 황후 전용의 산실에서 태어난(Genitus) 아이들을 의미하여, 동로마 제국의 제위 계승권이 있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국내에선 영문 표기를 직역해 자줏빛 혈통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영어로는 'Born in the Purple'이다.

찬탈이 빈번했던 제국에서 그나마 안정적인 세습을 위한 장치이자 계승의 중간 과정의 역할을 수행했다. 찬탈을 통해 제위에 오른 황제이더라도 재위 중에 자식을 보면 이들은 포르피로예니토스로 인정받았고, 아버지와는 달리 찬탈과 그 과정에서 수반한 행위에 대한 도덕적·윤리적 채무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다.[2] 또한 아버지가 훌륭한 통치를 했을 경우 그 덕을 보기도 쉬웠다. 특히 왕조의 지속 기간에 비해 찬탈 위협이 많았던 마케도니아 왕조의 황자들과 황녀들이 덕을 상당히 보았다.

포르피로예니티인 황녀의 경우 다른 나라에 시집 가는 것이 지양되었지만, 바실리오스 2세의 경우 누이 안나를 처음으로 키예프 루스의 대공 블라디미르 1세에게 시집 보내 많은 외교적·군사적 이득을 보았다. 물론 제국의 상황이 악화되는 말기에는 그런거 없다가 되어 그냥 시집 보내졌다(...).

포르피로예니토스인 것이 전가의 보도는 아닌지라 권력 기반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이것 하나만으로 버티기는 어려웠다. 알렉시오스 2세가 좋은 예인데, 명군 마누일 1세의 적자였지만 당숙 안드로니코스 1세에게 선임 황제 자리를 내주고 나중엔 살해당했다. 물론 마누일의 치세를 기억하는 사람들은 이 폭거를 듣자마자 반란을 일으켰다.

이름의 기원이 된 포르피라가 있던 대궁전과 13~ 14세기에 이름을 따서 세워진 포르피로예니토스 궁전은 모두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는 과정에서 파괴되어 유적지로 남은 상태이다.

2. 기원

이견이 많긴 하지만, 대체로 콘스탄티노스 5세 하자르족 출신 이리니와의 사이에서 본 레온 4세를 시초로 본다. 레온 4세는 콘스탄티노플 동남부의 마르마라 해가 보이는, 대황궁 옆 부콜레온 궁의 보라색[3]으로 둘러싸인 포르피라(Porphyra)라는 방[4]에서 태어났고 이후 이것이 전통이 되고 의미가 덧붙여지면서 특별해졌다.

후대의 본격적인 동로마 시절과 달리 제대로 정립되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이지만, 5세기 후반 레오 1세의 황녀인 레온티아 포르피로예니타 플라비우스 마르키아누스 부부는, 레온티아가 비록 언니 아리아드네 황후보다 동생이지만 언니와 달리 아버지 레오가 황제일 때(457년으로 딱 즉위년도) 태어났으므로 계승권상 아리아드네- 제노 부부보다 앞선다고 주장하며 반란을 일으켰었다. 즉 후대의 포르피로예니토스 개념의 효시는 벌써 5세기부터 엿보이고 있는 것이다.[5]

보라색과 로마 제국의 이미지가 덧씌워져서 그렇지, 왕과 왕비의 적장자, 그중에서도 부모가 이미 왕위에 오르거나 왕위계승자이던 시기에 태어난 자식이 비범한 혈통적 정통성을 가졌다고 여겨졌던 것 자체는 특별한 일이 아니었다. 당장 조선 왕조의 경우를 보더라도, 성종의 경우 연산군이 태어나자 임사홍을 비롯한 신하들이 "지금까지 세자 저하들[6]이 모두 사저에서 태어나 이런 경사가 없었습니다"라고 경하를 올렸을 정도. 그리고 아버지 문종이 세자였던 시기에 태어난 단종에 대한 설명에서도 '사실상 조선의 역대 국왕 중 가장 강력한 정통성을 가졌던 인물'이라는 평가가 빠지지 않는 것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왕의 적장자 중에서도 왕이 이미 즉위한 상태 또는 확고한 계승자로 여겨지던 상태[7]에서 태어난 사례의 경우 더욱 특별하게 여겨졌던 것. 이외에도 사산 왕조 샤푸르 2세 같은 경우도 '태어나면서부터 황제'였다는 점에서 특별한 정통성을 가졌다고 여겨진 사례가 있다. 이는 말하자면 왕조 국가에서 정통성의 가장 중요한 기반 중 하나는 혈통이고, 혈통이란 후천적인 노력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인 만큼 태어나면서부터 잠정적 왕위(제위) 계승자로 여겨진 인물이 왕위 계승자로 여겨지지 않다가 그 자리에 오른 인물보다 더 비범한 혈통적 권위를 가진 인물로 여겨진 사례들이라 해야 할 것이다.

3. 유명한 사례

이 중 유명한 것은 레온 6세의 아들인 콘스탄티노스 7세 콘스탄티노스 8세의 딸들인 조이, 테오도라 그리고 알렉시오스 1세의 장녀 안나 콤니니이다.

뛰어난 행정가이자 입법가였던 레온 6세는 오랫동안 적자를 못 봤다. 첫째 아내와의 사이에서는 자식이 없었고, 둘째 아내와의 사이에서는 딸 하나만을 보았다. 삼혼을 위해 교회법에서 요구하는 고된 참회 끝에 결혼한 셋째 아내는 출산 중에 죽었다. 결국 레온 6세는 애인을 들여서 임신시켰는데, 이에 교회 측에서는 '사혼(四婚)은 짐승들이나 할 짓'이라며 네 번째 결혼에 대해 경고했다. 결국 동거 상태를 유지하던 아내를 출산 후에 수녀원으로 보내는 대신 아들의 세례성사 견진성사를 받고 적자로 인정받기로 했는데, 레온 6세는 포르피라에서 태어난 아들이 성사를 받자마자 아내를 다시 황궁으로 불러들여 황후로 맞아들였다. 이에 세계 총대주교는 길길이 날뛰어 황제를 파문하는 등 갈등을 벌였고, 결국 파문을 거두는 대신 사혼불가에 대한 법을 명문화 시키는 것으로 아이를 적자로 인정했다. 하지만 이러한 레온 6세의 진땀나는 고생은 헛되지 않아서[8] 콘스탄티노스 7세가 장인 로마노스 1세와 그 아들들에게 찬탈 압박을 받는 와중에도 버티는 원동력 중 하나가 되었고, 그의 조부와 아버지의 치세를 기억하는 사람들의 지지를 기반으로 제위를 되찾게 해주었다. 이렇게 말많은 출생부터 탈 많은 황제까지의 길에 우여곡절이 많았기 때문인지는 몰라도 콘스탄티노스 7세는 자신의 저서 '궁중 예법(Περὶ τῆς Βασιλείου Τάξεως))'에 포르피로게니토스에 대해 따로 기술하였고, 그렇게 '보라색 방에서 태어난 자'들 중 가장 유명한 이가 되었다.

특히 콘스탄티노스 8세는 명목상 공동황제지만 사실상 황태제 신분일 때 딸들을 보았는데, 그 딸들이 확고하게 포르피로게니티로 인정받았던 것을 보면 공동황제 상태였어도 부콜레온 궁의 자줏빛 산실을 사용하는 데에는 무리가 없었던 모양이다. 그의 형인 불가르인의 학살자 바실리오스 2세가 집권 황제였고, 본인은 형과 동시에 제위에 올랐지만 통치는 형이 혼자 했다. 즉, 사실상 (미혼인 형의) 황태제였음에도 그 딸들은 포르피로게니티였던 것이다. 조이 테오도라 여제의 경우 마케도니아 왕조의 마지막 남은 후예이자 포르피로게니티였기에 미하일 5세를 몰아내고 다시 권력을 찾을 수 있었다. 물론 콘스탄티노스 7세의 경우처럼 전임자들에 대한 좋은 기억 - 특히 백부 바실리오스 2세라던가 - 도 그러한 요인들 중에 하나였겠지만 말이다.

안나 콤니니의 경우는 위의 두 사례들과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가진다. 어쨌든 아버지가 찬탈자 황제였고, 전 황실이었던 두카스 가문 출신 황후와의 사이에서 난 첫 아이였으며 동시에 두카스 가문 출신 황태자의 약혼녀로서 두 가문의 결합과 황실의 정통성을 상징했기에 여러가지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다.[9] 그래서인지 남동생 요안니스 2세 대신에 남편을 통해 차기 제위를 노리기도 했고, 이후에 알렉시아스를 집필해 포르피로게니토스에 대해 기술하기도 했다.

4. 그 외

  • 크루세이더 킹즈 2에서는 이를 구현하여 현직 황제의 자식이 태어나면 이벤트 창이 따로 뜨며, 자식은 전용 특성(Trait)을 가지게 된다. 이 특성은 매달 명성(Prestige)이 0.50씩 증가하고, 봉신과의 관계도가 +5가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위 계승에 있어서 제국 전용 선거제 내에서 조금 더 가산점을 받는 등의 효과가 있기도 하다. 다만 현직 동로마 황제의 손자는 황제의 후계자가 공동 황제인데도 포르피로예니토스가 못 되는 시스템상의 미구현점이 있다. 물론 해결하는 모드도 있다.
  • 크루세이더 킹즈 3에서는 현직 황제의 자식이 태어나면 고귀한 태생이라는 트레잇을 특별히 부여하며, 황제가 되기 이전의 자녀보다 우선한 계승권을 갖는다. 프로피로예니토스/프로피로예니타임을 암시하는 자줏빛 색상으로 이를 구현하였다. 전작과 비슷하게 공동황제를 만들어주는 모드가 있는데, 같은 모더가 만들었다.

[1] 단, 계승 예정자인 황태자도 대체로 공동 황제이기에 그 자식(원손이나 군주(郡主)들)도 포르피로게니토스로 인정받았다. [2] 찬탈자가 아들과 함께 공동 황제로 오르는 경우가 있었기에, 최소한 손자나 증손자 정도부터는 확실한 포르피로예니토스가 나타났다. [3] 19세기까지도 보라색은 그 색을 내는 데 막대한 비용을 필요로 해 중세 당시에는 매우 높은 지위의 명사들만 사용할 수 있는 색이었다. 보라색 문서의 '고귀한 색' 부분을 참조하자. [4] 보라빛을 띄는 이집트산 반암석으로 건축한 방에 보라색 비단을 둘렀다. [5] 영어 위키백과 Leontia Porphyrogenita 중 'Ousted from both thrones, Marcianus and Leontia plotted a revolt against Zeno, in 479, which was based on Leontia's right of precedence over her sister as porphyrogenita; the revolt was however quelled.' [6] 태조, 정종, 태종이야 고려시대에 출생했고, 세종대왕은 1397년에는 아버지 태종이 일개 왕자 정안공 시절이었으며, 문종은 1414년생인데 그 때에는 아버지 세종대왕 또한 일개 왕자 충녕대군 시절이었다. 단종은 문종이 세자 시절에 세손으로 태어났으나 퇴위당했고, 당시(1476)는 계유정난(1453)에서 20여년밖에 안 지나서 철저한 왕실의 금기였다. 세조야 알다시피 차남으로 장손을 제끼고 찬탈했고, 예종 또한 태어났을 때에는(1450, 세종대왕 승하 이전) 왕의 차남의 차남이었다. [7] 로마 제국의 경우 복수 황제 전통이 있어 공동 황제로 임명받는 것이 왕위 계승자의 자격을 입증하는 과정이었던 것. 공동 황제 전통이 없던 조선 왕조의 경우라면 '왕세자 책봉' 정도가 이와 비슷한 의미를 가진다고 봐야 할 것이다. [8] 황후가 아닌 아내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교회법의 인정을 받지 못한 혼인 관계에서 태어난 아들은 정통성에 흠결이 있으리라 생각했을 것이다... 정도가 아니라 애시당초 크리스트교에서 사생아는 왕위 계승권을 받는 것 자체가 불가능했다. 당연히 이 아들도 레온 6세의 아들로 인정만 받을 뿐 왕위에 오를 수는 없었던 것. 그래서 이렇게 무리를 해서라도 정부를 아내로 인정받으려고 애쓴 것이다. 총대주교 역시 길길히 날뛰긴 했지만 역시나 현실을 무시할 수 없었고. [9] 다만 이후에 두카스 황실의 황태자 콘스탄티노스 두카스와의 약혼은 파기된다. [10] 게임 시스템 상 한계이니 어쩔 수 없다. 한국 삼국시대는 너무한 거 아니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