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09da5><colcolor=#ffffff> 철도 |
<colbgcolor=#009da5><colcolor=#ffffff>
고속 철도 |
평택지제역 | |||
일반 철도 |
경부선 | 평택역, 서정리역 | ||||
서해선 평택선
|
안중역
|
|||||
도시 철도 |
평택역, 평택지제역, 서정리역, 송탄역, 진위역 | |||||
도로 |
고속 도로 |
경부선, 서해안선, 평택제천선, 평택파주선 · 익산평택선, 평택시흥선 | ||||
국도 | 1번 국도, 38번 국도, 39번 국도, 43번 국도, 45번 국도, 77번 국도, 82번 국도 | |||||
버스 |
시내 버스 |
평택시 버스 목록 | ||||
시외 버스 |
평택공용버스터미널, 송탄시외버스터미널, 안중버스터미널 | |||||
시외버스 노선 | ||||||
항만 | 평택·당진항 | |||||
경기도의 교통 |
1. 개관
경기도에서 충청남도로 넘어가는 길목이라 교통이 좋은 편이다. 철도, 고속철도, 전철, 고속버스, 광역급행버스, 직행좌석버스, 고속도로 등 공항을 제외한 웬만한 교통 인프라는 갖추어져 있다. 일차적으로 동부 한정으로 철도 강세 지역이며 고속도로도 5개, 국도도 7개나 뚫려 있어서 도로 교통도 이에 못지않게 좋다.다만 최근 여러 지역에서 펼쳐지는 개발들로 인해 도로 정체는 꽤나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구시가지는 도로들이 확장이 되지 않은 채 이전 모습 그대로를 유지하고 있으며, 새롭게 개발된 지역들은 도로를 전혀 정리하지 않고 여러갈래로 복잡하게 내는 바람에 한쪽에서 병목현상이 생기면 그게 거의 도시 전체로 퍼져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수도권과 충청·호남권을 오갈 때 거치는 길목이라는 특성상 주말, 휴가철, 연휴 등에 고속도로 및 주요 국도들은 극심한 정체를 빚는다.
특히 출퇴근시간대에는 평택시내 도로는 그야말로 전쟁터를 방불케 할 정도로 엄청나게 막힌다. 한동안 인구가 정체상태였기 때문에 우회도로 건설의 시급성이 거의 없었던 것이 이러한 점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겠다.[1]
평택시 2030 계획에 따르면, 1번 국도, 38번 국도 대체도로가 신설될 예정이라 정체도 나중이 되면 완화될 수 있을 것 같다.
과거에 택시 기사들은 손님을 찾기 위해 사방 팔방 돌아다녔는데, 콜택시가 활성화된 후 콜(call)만을 기다리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처음부터 택시의 불을 끄고 콜만 찾아다니기도 한다.
2023년에 평택시의 택시는 4,800원으로 시작하며 오후 11시~오전 4시가 할증 시간이다.
2. 철도
- 수서평택고속선
- 경부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 급행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한다.
- 서해선
- 평택선
2.1. 일반철도 및 고속철도
철도의 경우 경부선이 시 동부를 종축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경부선 상의 모든 역에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영업하고 있다. 다만 1호선 전철은 병점역 이남 구간이라 배차 간격이 길 땐 15분, 급행 열차는 30분에서 1시간에 달하므로, 시간이 맞지 않으면 근거리 이동은 시내버스, 중장거리 이동은 기차 및 시외버스가 나을 수도 있다.평택역은 이 중에서 급행열차가 정차할 뿐만 아니라 모든 무궁화호, 누리로가 정차하며 일부 새마을호, ITX-새마을도 이 역에 정차할 정도로 중요하고 큰 역이며, 경부선 외에도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충북선에서 합류하거나 분기하려는 열차가 모여서 서울역( 용산역)에서 오고가는 기차가 많기에 서울 도심이나 근교 수도권 접근성은 좋다.
평택지제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 외에도 수서평택고속선 상의 고속철도 SRT가 선택정차하는 역으로, 동탄역 무정차 기준으로 강남에 있는 수서역까지 19분, 부산역까지 약 2시간 15~20분 만에 도달한다. 또한 지제연결선 개통시 수원발 KTX가 평택지제역에 추가정차할 예정이다. 자세한 내용은 평택지제역을 참고하자.
그 외에도 서정리역에 급행 열차와 일부 무궁화호, 누리로가 정차하며, 송탄역과 진위역에는 1호선 전철 완행만이 정차한다.
안중역은 ITX-마음 열차가 다니는 역이고,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다니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 서해선은 화성시 서화성역이 종점이며 그 이남(서화성~홍성 구간)은 2024년 11월 개통되어 ITX-마음 열차가 운행하고 있다.[2] 또한 원래 신안산선 등과 홍성에서 올라오는 KTX를 직결하여 서울까지 운행할 계획이었으나 시화호를 횡단하는 다리, 신안산선 착공이 늦어지는 등의 이유로 엎어지고, 일단 2026년 전까지는 ITX-마음을 타고 서화성역까지만 갈 수 있다. 이미 신안산선 직결계획은 엎어짐에 따라 추후 다른 노선과 직결하여 서울이나 다른 곳으로 향할 방안들이 계획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서해선 참고하자.
결국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발표되며 청북읍 동쪽 부근에 연결선을 놓아 서해선-경부고속선간 직결운행을 하게 하도록 반영되었다. 안중역에서는 KTX-이음을 타고 서울역까지 30분이 걸릴 예정이다.
2.2. 광역철도
최근 정장선 평택시장이 신안산선을 안중역을 지나 포승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건의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동두천시, 오산시, 화성시와 연합하여 GTX C선을 병점역, 오산역, 평택지제역 까지 연장하는 방안도 건의하고 있다. 그 외 GTX A 노선의 연장도 국토교통부 차원에서 타당성 조사를 하고 있어 만약 연장이 실현된다면 평택지제역 은 무려 5개 노선이 지나게 된다.정장선 평택시장이 2023년 7월 언론인과의 간담회에서 2024년부터 평택역에서 안중읍의 안중역까지 평택선을 통해 전철이 다닌다고 밝혔다. 출처
2024년 3월, 경기도 철도기본계획(2026~2035)에서 신안산선 안중역 연장이 본사업으로 추가되었다. https://www.p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9968
서울과 멀리 떨어진 지역이라 서울방면 전철 이용률이 높지 않을 것 같지만 경기도교통DB에서 제공하는 통계를 보면 예상외로 서울-평택간 대중교통 수송분담률 1위가 전철(24.0%)이다. 또한 전철 수송분담률이 시외버스(7.8%)와 일반열차(14.1%)를 합친 것보다 높기까지 하다.
아무래도 북부 송탄 지역은 서울 방면 고속도로 접근성이 좋지 않고, 서정리역이 일반 열차 선택정차역이라 일반 열차 이용도 불편하기에 서울까지의 교통편 대부분을 전철에 의지하는 듯하다. 초월적으로 저렴한 가격은 덤이다.[3]
3. 도로
3.1. 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안성IC[4], 남사진위IC[5]
- 서해안고속도로 - 서평택IC, 서평택JC
- 평택제천고속도로 - 서평택JC, 청북IC, 평택JC, 평택고덕IC, 송탄IC[6]
-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화성) - 오성IC, 평택JC, 어연IC
- 평택시흥고속도로 - 서평택JC
-
익산평택고속도로 - 평택호IC, 현덕JC, 안중IC[7]
5개의 고속도로가 평택을 관통한다. 동쪽 끝으로 경부고속도로, 한가운데에 종축으로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화성), 횡축으로 평택제천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서쪽 끝으로는 평택시흥고속도로와 서해안고속도로가 지나간다. 이 중 서평택JC는 고속도로가 3개나 만나는 지점이다. 여기에 익산평택고속도로까지 개통한다면 6개의 고속도로가 지난다. 우스갯소리로 서울,경기(동부제외)[8] 수도권에서 고속도로를 이용하여 호남지역을 가는 차량은 평택을 지나지 않고는 갈 수 없다.
고속도로가 이곳저곳 많이 뚫려 있어서 평택 어느 구간이든 고속도로를 이용하기는 쉬운 편이다. 서울에서 오는 평택터미널 행 고속버스/시외버스는 주로 안성IC를 경유해서 경부고속도로를 타고 가고, 부천이나 안산, 인천에서 오는 시외버스는 청북IC를 경유해서 서평택JC를 통해 평택시흥고속도로를 타고 간다.
고속도로가 제법 많이 뚫려 있음에도 고속도로로의 진입이 꽤나 어렵다는게 지역의 특성이다. 그러다보니 매번 출퇴근시간마다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도로들에는 지속적으로 정체가 심한 편이다.
지역별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이 존재한다. 안중읍 지역에서도 서울로 가는 고속도로 나들목인 오성IC나 청북IC와는 조금 멀리 떨어져 있는 편이며, 팽성읍 주민들도 제일 이용하기 쉬운 안성IC쪽으로의 이용이 어려운 편이다. 그러나 구 송탄시 지역에서 서울 방면으로 가는 도로교통은 위의 두 지역의 불편을 훨씬 뛰어넘는다.
안중읍에서 청북IC까지 가는 39번 국도는 명절을 제외하면 거의 밀리지 않으며, 2016년 12월에 오성IC( 평택파주고속도로의 입구)로 직결되는 세종평택로의 길음IC(길음교차로)가 개통됨에 따라 안중읍에서 고속도로를 접근하는 것이 훨씬 편리해진 상황이다.[9] 또한, 팽성에서는 오성IC로 가는 도로(팽성교차로)가 새로 만들어져 예전보다는 접근성이 훨씬 좋아졌다. 하지만 송탄에서는 경부고속도로 오산IC까지 가는 거리가 상당히 먼 것은 물론, 송탄IC는 이름값을 하지 못한 채 남쪽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 서울로 갈 때는 무용지물 인지라, 우회도로 하나 없이 1번 국도 및 오산시 도심지를 경유해야 한다. 오산~송탄간의 국도 1호선이 전혀 입체화나 고속화가 되어있지 않아 신호등이 많은데다가, 러시 아워 시간엔 LG전자, 롯데제과 등 1번 국도 주변 공장으로의 출퇴근으로 인한 헬게이트 오픈! 그래서 해당 지역 주민들은 서울 방면으로 이동할때 장거리임에도 전철을 이용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다.
3.2. 국도
- 1번 국도: 천안시에서 넘어와 평택시내와 송탄을 관통한 뒤 진위면을 거쳐 오산시로 넘어간다. 경부선과 함께 두말할 필요 없는 평택 제1의 간선국도.
- 38번 국도: 아산만방조제를 타고 넘어와 해안을 끼고 포승읍, 안중읍, 오성면, 고덕면을 거쳐 평택시내를 남쪽으로 크게 우회한 뒤 안성시로 넘어간다. 평택시를 동서로 연결하는 국도로, 특히 안성을 잇기 때문에 용이동에서 안성IC를 잇는 구간은 상습정체구간이다.
- 39번 국도: 38번 국도와 함께 아산만을 넘어온 뒤 북쪽으로 향한다. 현덕면, 안중읍, 청북읍을 거쳐 화성시로 넘어가는 국도. 서해안고속도로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 43번 국도: 아산시에서 넘어와 팽성을 살짝 스쳐지나간 뒤 평택대교를 통해 안성천을 넘어 오성면까지 올라와 평택파주고속도로와 직결된다. 이 도로는 국도이지만 경부고속도로와 논산천안고속도로의 교통량을 덜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된 국도로, 선형도 괜찮고 제한속도도 높으며 고속도로와도 직결된다.
- 45번 국도: 아산시에서 넘어와 팽성읍을 거쳐 평택시내를 서쪽과 북쪽으로 우회하여 안성시 원곡면으로 넘어간다. 용인시 가는 최단거리 도로.
- 77번 국도: 아산만 방조제 구간은 38번, 39번 국도와, 포승읍 구간은 38번 국도와 중첩되며 내기삼거리에서 분기하여 포승읍 북부를 관통하여 화성시로 넘어간다.
- 82번 국도: 전 구간 77번 국도와 중첩된다.
3.3. 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 82번 지방도
- 지방도 : 302번 지방도, 306번 지방도, 309번 지방도[10], 310번 지방도, 313번 지방도, 314번 지방도, 315번 지방도, 317번 지방도
4. 버스
4.1.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9da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평택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광역급행 | M5438 | |
<colcolor=#fff> 직행좌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 ||
좌석 | 8000 | ||
일반 |
시내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똑버스 | |||
마을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자세한 내용은 평택시 버스 목록 문서 참고하십시오.
- 2022년 하반기부터 대대적인 시내버스 노선 개편을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2022년 평택 시내버스 개편 문서로.
4.2. 버스 터미널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9da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9da5>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속버스 | 시외버스 | ||
평택고속 | 평택시외 | 송탄 | 안중 |
생활권이 셋인 만큼 터미널도 평택,
5. 항구.어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ECF2FA,#2D2F34><colcolor=#000,#FFF> 무역항 | |
동해안 | 속초항 · 옥계항 · 묵호항 · 동해항 · 삼척항 · 호산항 · 포항항 · 울산항 · 울산신항 · 장생포항 | |
서해안 | 인천항 · 인천신항 · 경인항 · 서울항 · 평택·당진항 · 대산항 · 태안항 · 보령항 · 장항항 · 군산항 · 목포항 | |
남해안 | 부산항 · 부산신항 · 진해항 · 마산항 · 고현항 · 옥포항 · 장승포항 · 통영항 · 삼천포항 · 하동항 · 여수항 · 광양항 · 완도항 | |
제주도 | 제주항 · 서귀포항 | |
연안항 | ||
동해안 | 주문진항 · 울릉항 · 후포항 · 강구항 · 구룡포항 | |
서해안 | 격렬비열도항 · 용기포항 · 연평도항 · 대천항 · 마량진항 · 상왕등도항 · 송공항 · 대흑산도항 · 홍도항 · 가거향리항 | |
남해안 | 부산남항 · 중화항 · 국도항 · 거문도항 · 나로도항 · 녹동항 · 강진항 · 화흥포항 · 땅끝항 · 진도항 | |
제주도 | 추자항 · 애월항 · 한림항 · 화순항 · 성산포항 | |
항만법 제3조(항만의 구분 및 지정)와 동법 시행령 제2조(항만의 명칭 등)에 따른 구분 | }}}}}}}}} |
총 : 2개소 (경기도는 물론이고 전국에서 가장 적은 항구.어항을 가진 지자체다.)
[1]
사실 현재의 1번 국도의 선형을 보면 좌회전과 우회전을 한번씩 해야되는데, 원래 평택 시내를 우회하기 위해 이설된 것이었으나 그쪽에 소사벌지구가 개발되면서 현재는 우회도로 의미가 없어졌다.
[2]
2026년부터는
KTX-이음 열차도 운행될 예정이다.
[3]
2018년 9월부터 송탄 주요 지역을 거쳐
강남역까지 가는
M5438번이 개통됨에 따라, 평택-서울간의 수송분담률에서 전철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4]
소재지는 안성시 공도읍이지만, 서동대로를 기준으로 반대편이 바로 평택 시가지(
용이동)이다.
[5]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에 소재한 경부고속도로 남사진위IC의 구조물 일부가 진위면에 걸쳐있다.
[6]
소재지는 안성시 원곡면이지만, 이름처럼 송탄이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있다.
[7]
2024년 12월 중으로 개통 예정.
[8]
경기동부권역은 중부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호남지선-호남선을 이용하여 호남지역 진입이 가능하다
[9]
안중읍과
오성면 사이의 경계에서 170m만 이동하면 길음IC 입구가 등장한다. 출발점을 안중읍내로 설정해도 강변로를 따라서 5분 정도만 이동하면 길음IC에 진입할 수 있다.
[10]
구)312번 지방도는 309번 지방도로 통.폐합
[11]
2023년12월31일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폐업하여 2024년01월01일 이후 현재는 운영하지 않는다. 시외버스를 이용하려면 도로변 임시승강장에서 승하차 하여야 한다.
[12]
2019년도
어촌뉴딜
300사업을 유치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