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46:42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조지 커스터에서 넘어옴
조지 암스트롱 커스터
George Armstrong Custer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7px-G_a_custer.jpg
출생 1839년 11월 11일
미국 오하이오 주 뉴럼리
사망 1876년 6월 25일 (향년 36세)
미국 몬태나 주 리틀 빅혼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복무 미합중국 육군
복무 기간 1861 ~ 1876
최종 계급 중령
주요 참전 남북 전쟁
인디언 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정보 더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근무 미시간 여단
제3기병사단
제2기병사단
제7기병대
지휘 제7기병대
배우자 엘리자베스 베이컨 커스터
1842년 4월 8일 ~ 1933년 4월 4일
친척 토머스 커스터
1845년 3월 15일 ~ 1876년 6월 25일
보스턴 커스터
1848년 7월 31일 ~ 1876년 6월 25일
제임스 칼훈
1845년 3월 24일 ~ 1876년 6월 25일
}}}}}}}}}

1. 개요2. 생애3. 커스터 신화와 재평가4. 미디어에서

[clearfix]

1. 개요

미국 군인. 남북 전쟁 당시 크게 활약하다가 인디언 전쟁에서 전사했으며 미국 확장주의와 오랜 아메리카 원주민과의 분쟁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2. 생애

파일:s6c6g8U.jpg
1862년, 조지 커스터와 그의 동료들. 흑백 사진에 색을 입혀 칼라로 복원한 것이다.
오른쪽 밑의 와 함께 반쯤 누워 있는 남자가 커스터.

아버지인 이매뉴얼은 독일계 미국인이며 어머니인 메리는 스코틀랜드계와 아일랜드계 혈통이 반씩 섞였다. 젊은 시절에는 그저 그런 육사 생도였다. 성적은 34명 중 최하위였으며[1] 4년간 사관학교에서 무려 벌점 726점을 받는 기염을 토했다. 결국 당직 근무 중 싸움을 말리지 못했다는 이유로 군사재판에 회부되지만 남북 전쟁이 발발하자 풀려나와 미합중국 육군 기병 장교로 근무하게 되었다.

신통찮은 생도였지만 전장에서의 그는 매우 유능하고 용감한 장교였다. 최연소 장군으로서 그가 속한 기병대 게티즈버그 전투 당시 그 젭 스튜어트를 상대로 대등히 싸우는 등 로버트 E. 리 장군의 남부연합군을 패퇴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남북 전쟁에서 세운 공으로 순식간에 소장 계급까지 달았는데 이 장군 계급은 어디까지나 전시 중의 임시 계급이었고 종전과 함께 원래 계급인 중령으로 환원되었다.[2]

종전 후 1874년 제7기병대를 거느리고 인디언 전쟁에 종사하던 그는 대규모 탐험대를 이끌고 다코타 지방으로 파견되었다. 탐험대는 이 지방에 있는 수우 족의 성지인 블랙힐스에 엄청난 금광이 있음을 보고했고 백인들이 금을 노리고 대거 다코타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이 곳에 살고 있던 수우 족은 백인들에게 저항하기 시작했고 분쟁은 1876년 리틀 빅혼 전투로 절정을 이루었다. 그는 결국 이 전투에서 수우 족의 전사이자 추장이었던 성난 말과 동맹으로 도와준 웅크린 황소와 함께 3,000명이나 되는 원주민들에게 포위되어 부하인 265명의 미 육군 기병들과 함께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3. 커스터 신화와 재평가

파일:attachment/custerslaststand.jpg
커스터의 마지막 저항(Custer's Last Stand), 쿠르츠 & 알리슨社, 1899년 작.

오랫동안 그는 위 그림처럼 야만스런 인디언에 맞선 백인 영웅의 이미지로 포장되고 찬양받았으나 오늘날 들어 원주민들의 권리가 신장되고 학자들에 의해 리틀 빅혼의 전투가 체계적으로 연구되자 영웅은커녕 리틀 빅혼 전투에서 결정적인 삽질을 했다는 것이 밝혀져 오히려 졸장으로 평가받는 경우가 많아졌다. 중립적으로 전쟁사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남북 전쟁에서의 공훈은 인정하되 인디언 전쟁에서의 무능과 잔혹성은 철저하게 비판한다.

미 육군 군가 육군가(The Army Song)의 가사에서는 커스터 중령이 조지 패튼 장군 같은 영웅들과 함께 가사에 들어 있듯이 아직 약간의 자취는 남아있으나 대다수의 대중매체는 커스터 중령을 그리 좋게 생각하지 않는다. 소설 《 제로니모》등 커스터 중령의 원주민 학살을 고발하는 아메리카 원주민 문학이 어필한 것도 크다. 수우 족은 긴 금발을 휘날리는 헤어스타일 때문에 그를 긴 머리칼(Long Hair)이라고 불렀다.

실제로는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인권이 상승하고 인디언 전쟁에서 무능과 잔혹성이 부각된 후에 제기된 비판이고 현재에도 북부, 특히 미시간이나 오하이오의 시골 깡촌 백인들 사이에서는 그는 여전히 존경받는 인물인데 이는 그가 원주민들을 내쫓고 백인들의 국가를 건설한 미국 중서부의 개척자들이자 민주당을 지지하던 과거 북부 백인들을 상징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는 노예제에 대해서 별 생각은 없거나 오히려 노예제에 우호적이었으나 정부 방침이 노예제 해체로 정해지자 최선을 다했고[3] 흑인을 경멸하는 인종차별주의자이자 수정헌법 14조를 반대하는 등 흑인들의 권리 증진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으나[4] 공화당의 방침이 그러하니 순순히 따랐는데 이게 꼭 그만 이런 건 아니고 대부분의 중서부 개척지 출신 백인들의 사고였다. 즉, 그는 이들을 대표하는 인물이기 때문에 아직도 회자되는 것이다.

4. 미디어에서

그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거의 모든 영상에서 영웅적인 모습으로 묘사된다. 1936년 제작된 연속영화《Custer's Last Stand》는 물론이고 1941년 영화인《 그들은 군화를 신은 채 죽었다(They Died with Their Boots On)》에서는 남북전쟁 시기부터를 다뤘는데 에롤 플린이 연기했으며 유능하고 영웅적인데다 원주민과의 화합을 위해 노력하는 지휘관으로 나오나 땅 투기꾼에게 속아 어쩔 수 없이 원주민들과 전쟁을 하는 것으로 미화되었다.

그러나 1960 ~ 70년대부터 그의 평가가 변화된 후에 개봉된 영화에서는 좀 더 복합적인 인물로 그려지는데 대표적인 경우가 1967년작 《서부의 커스터(Custer Of The West)》. 로버트 쇼가 분했으며 카리스마 있고 솔선수범하지만 전투광인 천생 군인으로 등장하며 계속 전방에 남아 지휘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개척이 진행되면서 점점 기병대의 시대가 끝나고 철도와 강철의 시대가 오면서 적응을 못하고 왠지 죽을 자리를 찾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 원주민 지역을 침범하는 일에 관련해서는 딱히 마뜩치는 않으나 선거 등의 정치적 이유에 따른 필립 셰리든 장군의 압박이나 계속되는 광부 러쉬 등에 등 떠밀리는 분위기로 진행되며 무능함보다는 중과부적인 가운데에서도 끝까지 싸우다 죽었다는 부분을 좀 더 부각시켰다. 그나마 이 영화에서는 미국이 을 위해 조약이란 조약은 다 어기고 원주민을 학살하는 악역이란 점이 적나라하게 묘사되기는 한다.

더스틴 호프먼 주연의《 작은 거인》에서도 악역으로 등장한다.

1991년 미국 ABC에서 방영한 2부작 미국 TV 드라마인 《Son Of The Morning Star》에서는 가정적으로 좋게 나오는데 군인으로서는 유능하지만 고집이 센 존재로 나와 원주민을 차별하고 미국 원주민들을 분노하게 만드는 삽질을 하여 리틀 빅혼 전투에서 죽어가던 부하들에게도 멍청이라고 욕먹는다. 《 풍운아 카스터》라는 제목으로 KBS1에서 1992년 11월 12 ~ 14일까지 밤 10시 55분에 1 ~ 3부가 더빙 방영하고 11월 20일에 마지막 4부가 방영했다. 여기선 죽은 다음 원주민들이 커스터의 귀를 칼로 찢어 크게 상처를 내서 "귀를 크게 넓혀서 소리를 잘 듣게 했으니 제발 남이 하는 말 좀 들어라, 이 멍청아!!"라고 깠다는 후일담이 나온 바 있다.[5]


AVGN이 극딜했던 아타리 포르노 주역이기도 하다. 조잡한 도트 그래픽의 커스터 중령을 주인공으로 하여 화살의 방해를 뚫고 원주민 여성을 강간하는 내용으로, 제목은 《 커스터의 복수(Custer's Revenge)》. 시기도 시기지만 그래픽이 조악해서 아이가 '이게 무엇이냐'고 물어봤을 때 어른은 '커스터 장군이 춤을 춘다'고 변명해야 했는데 게임 매뉴얼의 뒷면의 주의문에 그렇게 하라고 적혀 있다. P.S. If the kids catch you and should ask, tell them Custer and the maiden are just dancing.(추신: 만약 아이가 당신이 이 게임을 하고 있는 것을 볼 경우, 커스터와 여자가 춤을 추고 있다고 말하면 됩니다.) 실존했던 역사적 인물, 그것도 인디언 전쟁 내내 이어진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전쟁범죄에 관련된 인물을 가지고 포르노 게임을 만들어 인종차별 고인드립까지 친 에 AVGN뿐만 아니라 출시 당시(1980년대)에도 미국 사회에서 큰 물의를 일으켜 원주민 단체 및 여성 단체로부터 엄청나게 비판을 당해 판매 금지 소송에 걸린 바 있다. 오늘날 미국 대학의 게임 관련 과목에서도 다룬다.

남북 전쟁 대체역사물에서 북부의 전쟁광으로 자주 출연하는 편이다. 미국의 전직 하원의장이자 우파 정치인이던 뉴트 깅리치가 쓴 소설 《 게티즈버그》에서는 전쟁광이지만 폭풍간지를 보여준다.

타임라인-191 시리즈》에서는 처음부터 나와서 상당히 장수하는 인물로 나온다. 2차 멕시코 전쟁 때 동생을 잃고 절치부심하여 제1차 세계 대전 때까지 살아서 북부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한다. 말년에는 전차 매니아가 되어 전격전 전략을 수립하는 광기 어린 모습이 일품이다.

시간탐험대》에서는 무턱대고 총이나 쏴대는 바보 중의 바보로 나와 뻘짓이나 하는데 원주민들이 친절하고 착하게 나오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주인공 스카이 일행에게도 총을 쏘며 닥치고 돌격하다가 축구공에 맞고 팔푼이같이 뻗는다.

박물관이 살아있다 2》에선 빌 헤이더가 분했다. 여기선 돌격밖에 모르는 바보지만 결정적인 순간에는 숨어서 질질대는 찌질이로 나온다. 빅 혼 전투에서 전멸한걸 가지고 자신이 패배자라고 자조하며 자신은 자신의 실패로만 알려질거라고 말한다. 그래도 주인공 레리가 "과거는 과거일뿐. 현재에 뭘 하느냐로 알려지게 될거다."라고 용기를 북돋아 주자 용기를 내곤 다시 싸움에 참전한다.

브레이킹 배드》 시즌5 3화에서 월터 화이트와 제시 핑크맨이 공장을 알아보던 중 마이크가 '커스터의 최후 항전지(custer's last stand)'라는 말로 언급된다.

일본 애니메이션 투사 고디안》11화에서 미 육군 기병대 차림으로 나오는 지구방위군 7연대[6]가 꽤 멋지게 나오지만 적의 함정에 걸려서 전멸당하는 연대장 생김새도 진짜 커스터를 모델로 했고 아예 이름도 카스타 대령이다.[7] 맨 처음에 주인공이 속한 18연대장 벨리 대령을 우습게 보며 등장하는데 용맹함으로 알아주긴 한다. 오죽하면 적군인 마드쿠타군이 전투 전에 7연대에 대한 정보를 보고 "호오? 용맹하지만 무조건 닥돌하는 게 버릇이군. 그럼 끌어들여서 처리하면 쉽겠어."라고 대놓고 비꼴 정도였다. 결국 적군 함정에 걸려 고전하던 터에 부하 장교인 헨리[8]에게 후회하지만 늦은 다음이었다. 결국 7연대는 연대장 커스터는 두 눈 뜨고 선채로 죽어있으며 연대원 모두 전멸당하고 헨리도 눈을 뜬채 죽어 있었다. 주인공 다이고가 속한 군기 빠진[9] 당나라 군대 18연대[10]는 멋지게 활약하고 전 대원이 생환하여 좋은 대조를 이뤘다.

베트남 전쟁을 다룬 영화 《 위 워 솔저스》에서는 할 무어 육군 기병 중령과 플럼리 육군 기병 주임원사[11] 사이의 이야기에서 언급된다. 베트남 인민육군과 전투를 치른 지 이틀째 되는 날에 무어 중령이 "커스터의 심정은 이랬을까?"라는 말을 하자 플럼리 주임원사는 "커스터는 겁쟁이(pussy)였습니다. 하지만 중령님은 아닙니다."라고 대답하며 마지막 전투가 끝나고 무어 중령에게 "그때 커스터의 심정을 물으셨죠? 적장에게 물어보세요."라고 말한다. 이게 단순한 감정 이입이 아니라 무어 중령이 지휘하던 부대가 바로 제7기병연대였다. 커스터가 마지막으로 지휘하다가 전멸한 그 부대와 이름이 같은 데다 상황도 리틀 빅혼 전투처럼 절망적인 포위전을 치렀으니 커스터를 떠올리지 않을 수가 없다. 미 육군에서 진짜 말 타는 기병은 제2차 세계 대전 전후로 폐지되고 헬리콥터를 타는 공중 강습 부대나 기갑 부대 등으로 개편됐지만 이전에 기병이었던 부대들 중 상당수가 전통 유지 차원에서 부대 명칭에 기병이란 표기를 계속 쓰고 전투병과 인원들이 기병 병과 휘장을 다는 등을 지속하고 있다.

영화 《 라스트 사무라이》에서는 미국인인 알그렌 대위는 커스터를 경멸하고 일본인이자 사무라이인 카스모토 장군은 커스터를 존경하는 내용의 대화가 나온다.

FPS 《 다크스트 오브 데이즈》에서는 프롤로그에 해당하는 리틀 빅혼 전투 미션 다 끝나갈 때쯤에 역사대로 화살을 맞고 전사[12]한다. 역사적인 인물이라고 잘 보면 몸에 황금빛 오오라가 보인다.[13]

4.1.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대전사에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캠페인 등장인물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3 대전사 아시아 왕조
액트1. 피 액트2. 얼음 액트3. 강철 액트1. 불 액트2. 그림자 액트1. 일본 액트2. 중국 액트3. 인도
<colbgcolor=#8fbc8f,#427042> 주인공 모건 블랙 존 블랙 아멜리아 블랙 <colbgcolor=#fae7a6,#594604> 나다니엘 블랙 <colbgcolor=#fae7a6,#594604> 체이튼 블랙 <colbgcolor=#ffcc97> 사쿠마 키치로 <colbgcolor=#ffcc97> 지안 후앙 <colbgcolor=#ffcc97> 나니브 사히르
서브
영웅
엘리자벳 램지 카넨케 조지 워싱턴 성난 말/프랭크 삼촌 토리이 모토타다 라오 첸 프라바르 파텔
사힌 노나키 쿠퍼 소령 카넨케 도쿠가와 이에야스
알레인 매그넌 워릭 피에르 보몽 스벤 쿠첼러 윌리암 홈 이시다 미츠나리 왕 진하이 조지 에드워드슨
델가도 #s-4.1
NPC 칠체 스튜어트 블랙 시몬 볼리바르 노나키 아멜리아 블랙 - - 바하두르 샤 2세
조지 워싱턴 칠체
}}}}}}}}} ||
파일:attachment/screen38.jpg 파일:attachment/custar_color.jpg
왼쪽의 푸른 군복을 입은 남자. 오른쪽은 체이튼 블랙. 컨셉 아트.
성우 김수중. 게임에서는 쿠스터로 표기돼서 나온다. 2장 6번째 미션인 믿음에서 원주민들을 진압하기 위해 나타난다. 체이튼 블랙 윌리암 홈을 데려올테니 사실을 확인해보라며 전투를 막으려고 하지만 윌리엄 홈은 사살되고 쿠스터는 사건 경과가 어떻든 처음부터 원주민들을 쓸어버릴 작정인지라 결국 전투가 벌어지게 된다.

마지막 미션인 리틀 빅혼 전투에서 플레이어 부대가 미군 진영 유닛과 건물을 모두 제거하면 본대와 함께 나타난다. 플레이어 부대가 미군 진영 건물을 파괴할때마다 당시 부관이던 벤틴과 리노에게 병력이 어디있냐며 부하들을 닥달하는게 포인트. 처치할 시 "벤틴! 어서! 서둘러라!"라는 유언과 함께 죽는다.[14][15]

게임상 능력은 알레인 매그넌과 동일하지만 체력이 5000이다. 쿠스터를 죽이려면 대기병 보너스 달린 경기병, 중보병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성난 말[16]이 많은 부대를 이끌고 오니까 걱정할 필요없이 쿠스터만 집중공격해서 죽이면 된다.


[1] 원래는 79명이었지만 23명은 학업적인 이유로, 22명은 남부연방으로 전향하기 위해 자퇴했다. [2] 미국은 예전부터 전시에 급격히 군이 팽창하면 일단 현역 장교들에게 임시 계급을 주어 고위직을 맡겼다가 전쟁이 끝나고 군 규모가 다시 줄어들면 원래 계급으로 환원시켜 계급 인플레 문제를 방지하곤 했다. [3] 이 점에서 커스터의 은사인 매클레런과 다르고 오히려 같은 오하이오 출신인 셔먼과 비슷하다. 그랜트는 애초에 기독교를 바탕으로 열렬히 노예제를 반대했던 집안의 출신이었기 때문에 노예제에 적극적으로 반대는 안 해도 고용한 백인과 흑인 노동자들에게 같은 월급을 주는 등 사상 자체가 에이브러햄 링컨에 가까웠기 때문에 전쟁이 끝난 후에 전우였던 셔먼이나 셰리든과 다르게 아주 적극적으로 흑인들의 권리 증진에 앞장섰다. [4] 커스터는 당시 USCT, 즉 흑인 부대 지휘관이 미군의 엘리트 코스인데도 이걸 거절했다. [5] 여담으로 이 드라마에서 커스터 역을 처음으로 제의 받은 사람이 다름 아닌 케빈 코스트너였다. 그러나 코스트너는 당시 《 늑대와 춤을》을 찍고 있어서 거절하였고 결국 '게리 콜'이라는 배우가 맡았다. [6] 깃발부터 7이라고 숫자가 크게 새겨져있다. [7] 커스터를 일본어로 발음하면 카스타. [8] 주인공 다이고와 친하게 지냈다. [9] 연대원들이 출격하는데 졸면서 가거나, 만화책 보거나, 이닦지 않나, 면도하거나, 머리카락 빗질하거나 주인공 다이고는 사과를 먹으며 먼저 출격한 7연대를 보며 개폼 잡는다고 옆 동료랑 비아냥거리다가 사령관 출격 명령에 먹던 사과 내던지고 출격하고 이렇게 개별 전투 머신에 타고 각자 출격하는 꼴을 본 사령관은 한탄하면서 울먹였다. 참고로 7연대는 멋지게 출격하여 사령관이 "과연 군인이라면 저래야지..." 이렇게 칭찬했다. [10] 물론 여기도 18이라고 새겨진 큰 깃발을 들고 출격한다. [11] 참고로 플럼리 역을 맡은 배우는 '샘 앨리어트'로, 1년 후인 2003년에 개봉한 《 헐크》에서 썬더볼트 로스 장군 역을 맡는다. [12] 실제로는 총에 맞았다. [13] 다른 중요한 역사 속 인물들 오오라는 하늘색이다. [14] 벤틴과 리노는 커스터가 전사한 뒤 휘하 병력과 함께 철수해서 살아남았다. [15] 실제로 전황이 점점 악화되자 커스터가 원군과 보급품을 요청하기 위해 보낸 "Benteen. Be quick..."로 시작하는 메모에서 비롯된 일종의 고증이라 하겠다. 해당 메모를 소지한 전령은 벤틴에게 가는 도중 수우 족에게 사살당했기 때문에 이 메시지는 결국 벤틴에게 전해지지 않았고 전투가 끝난 후 전쟁터의 시신을 수습하는 미군들에 의해 전령의 수중에서 발견되었다. [16] 결정판에선 '프랭크 삼촌'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2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