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6 00:16:25

정명원

정명원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1.svg 파일:현대 유니콘스 우승 엠블럼 V2.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1998 2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02561> 파일:KBO 골든글러브 시상식 로고.svg KBO 골든글러브
투수 부문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82132,#DDD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000,#E5E5E5
1982 1983 1984 1985 1986
황태환
OB 베어스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1992 1993 1994 1995 1996
염종석
롯데 자이언츠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정명원
태평양 돌핀스
이상훈
LG 트윈스
구대성
한화 이글스
1997 1998 1999 2000 2001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임선동
현대 유니콘스
신윤호
LG 트윈스
2002 2003 2004 2005 2006
송진우
한화 이글스
정민태
현대 유니콘스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손민한
롯데 자이언츠
류현진
한화 이글스
2007 2008 2009 2010 2011
리오스
두산 베어스
김광현
SK 와이번스
로페즈
KIA 타이거즈
류현진
한화 이글스
윤석민
KIA 타이거즈
2012 2013 2014 2015 2016
장원삼
삼성 라이온즈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밴헤켄
넥센 히어로즈
해커
NC 다이노스
니퍼트
두산 베어스
2017 2018 2019 2020 2021
양현종
KIA 타이거즈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알칸타라
두산 베어스
미란다
두산 베어스
2022 2023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페디
NC 다이노스
}}}}}}}}}}}}}}} ||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1998 KBO 리그 최우수 평균자책점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1994 KBO 리그 구원왕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KBO 올스타전
역대 미스터 올스타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김용희
롯데 / 동군
신경식
OB / 동군
김용희
롯데 / 동군
김시진
삼성 / 동군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김무종
해태 / 서군
김종모
해태 / 서군
한대화
해태 / 서군
허규옥
롯데 / 동군
김민호
롯데 / 동군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김응국
롯데 / 동군
김성한
해태 / 서군
이강돈
빙그레 / 서군
정명원
태평양 / 서군
정경훈
한화 / 서군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김광림
쌍방울 / 동군
유지현
LG / 서군
박정태
롯데 / 동군
박정태
롯데 / 드림
송지만
한화 / 매직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타이론 우즈
두산 / 동군
박재홍
현대 / 서군
이종범
KIA / 서군
정수근
롯데 / 동군
이대호
롯데 / 동군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홍성흔
두산 베어스 / 동군
정수근
롯데 / 동군
이대호
롯데 / 동군
안치홍
KIA / 웨스턴
홍성흔
롯데 / 이스턴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이병규
LG / 웨스턴
황재균
롯데 / 이스턴
전준우
롯데 / 이스턴
박병호
넥센 / 웨스턴
강민호
롯데 / 드림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민병헌
두산 / 드림
최정
SK / 드림
김하성
넥센 / 나눔
한동민
SK / 드림
양의지
NC / 나눔
2022년 2023년
정은원
한화 / 나눔
채은성
한화 / 나눔
}}}}}}}}}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투수 마일스톤 기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0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시진
(1983~1992)
1987년 / 124승
최동원
(1983~1990)
1990년 / 103승
선동열
(1985~1995)
1990년 / 146승
장호연
(1983~1995)
1993년 / 109승
윤학길
(1986~1997)
1994년 / 117승
정삼흠
(1985~1996)
1996년 / 106승
이강철
(1989~2005)
1996년 / 152승
조계현
(1989~2001)
1996년 / 126승
송진우
(1989~2009)
1997년 / 210승
김용수
(1985~2000)
1998년 / 126승
정민철
(1992~2009)
1999년 / 161승
김상진
(1989~2003)
1999년 / 122승
이상군
(1986~2001)
2000년 / 100승
한용덕
(1987~2004)
2000년 / 120승
정민태
(1992~2008)
2000년 / 124승
김원형
(1991~2011)
2005년 / 134승
임창용
(1995~2018)
2007년 / 130승
김수경
(1998~2012)
2007년 / 112승
이상목
(1990~2009)
2008년 / 100승
손민한
(1997~2015)
2009년 / 123승
이대진
(1993~2012)
2009년 / 100승
박명환
(1996~2015)
2010년 / 103승
배영수
(2000~2019)
2012년 / 138승
장원삼
(2006~2020)
2015년 / 121승
윤성환
(2004~2020)
2016년 / 135승
김광현
(2007~)
2016년 / 158승
장원준
(2004~2023)
2016년 / 132승
양현종
(2007~)
2017년 / 168승
송승준
(2007~2021)
2017년 / 109승
니퍼트
(2011~2018)
2018년 / 102승
차우찬
(2006~2023)
2019년 / 112승
유희관
(2009~2021)
2021년 / 101승
}}}}}}}}} ||
300세이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오승환
(2005~)
2021년 / 400세이브
}}}}}}}}} ||
2000탈삼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송진우
(1989~2009)
2008년 / 2048탈삼진
}}}}}}}}} ||
같이 보기: KBO 리그 타자 마일스톤 기록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border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KBO 리그
역대 연봉 1위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82132,#ddd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e5e5e5
1982 1983 1984 1985 1986
박철순
OB / 2400만원
장명부
삼미 / 1억 8000만원 (1)
장명부
삼미 / 2500만엔
장명부
삼미 / 1억 400만원
최동원
롯데 / 5800만원
1987 1988 1989 1990 1991
최동원
롯데 / 8910만원
최동원
롯데 / 8910만원 (2)
최동원
삼성 / 9000만원 (3)
선동열
해태 / 9000만원
선동열
해태 / 1억 500만원
1992 1993 1994 1995 1996
선동열
해태 / 1억 2000만원
선동열
해태 / 1억원
선동열
해태 / 1억 3000만원
선동열
해태 / 1억 3000만원
김용수
LG / 1억 1000만원
1997 1998 1999 2000 2001
김용수
LG / 1억 2200만원
양준혁
삼성 / 1억 4000만원
정명원
현대 / 1억 5400만원
이승엽
삼성 / 3억원
이승엽
삼성 / 3억원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종범
KIA / 4억 3000만원
이승엽
삼성 / 6억 3000만원
정민태
현대 / 7억 4000만원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2007 2008 2009 2010 2011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심정수
삼성 / 7억 5000만원
김동주
두산 / 7억원
김동주
두산 / 7억원
김동주
두산 / 7억원
2012 2013 2014 2015 2016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5억원
김태균
한화 / 16억원
2017 2018 2019 2020 2021
이대호
롯데 / 25억원
이대호
롯데 / 25억원
이대호
롯데 / 25억원
이대호
롯데 / 25억원
추신수
SSG / 27억원
2022 2023
김광현
SSG / 81억원
구자욱
삼성 / 20억원
(1) 당시 언론에 발표된 금액은 계약금 4000만원, 연봉 4000만원을 합쳐 총 8000만원이었다.
실제로는 계약금 1500만엔(약 4500만원), 연봉 2500만엔(약 7500만원), 부대 비용 6000만원을 합쳐 총 1억 8000만원이었다.
(2) 실제 연봉 계약은 시즌 중이었던 6월 29일에 이루어져서 실수령액은 35,862,750원이다. 최동원 90만원 사건 참조.
(3) 실제 연봉 계약은 시즌 중이었던 6월 23일에 이루어져서 실수령액은 47,400,000원이다. 항목 참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2군
역대 감독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정유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1991)
방수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1994)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
신용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1998)
김봉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0)
<rowcolor=#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1)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김종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유남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서정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rowcolor=#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1]
장채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차영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7)
박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차영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2009)
김대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11)
<rowcolor=#fff> 16대 [1] 17대 [1] 18대 [1] 19대 20대
박철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한대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김용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정회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2017)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rowcolor=#fff> 21대 [1] 22대 23대 [1] 24대 25대
장태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박흥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이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정명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손승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1]: '총괄 코치'라는 명칭을 사용한 경우
※ 2002년은 공석
}}}}}}}}} ||

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28번
오덕환
(1988)
정명원
(1989~2000)
결번
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77번
김일권
(1998)
정명원
(2001~2007)
팀 해체
{{{#fff [[우리 히어로즈|우리]]/[[서울 히어로즈|서울]]/[[넥센 히어로즈|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74번}}}
팀 창단 <colcolor=#fff> 정명원
(2008~2011)
최상덕
(2012~2016)
두산 베어스 등번호 74번
김경문
(1998~2011)
정명원
(2012~2013)
유지훤
(2014~2020)
kt wiz 등번호 74번
팀 창단 정명원
(2014~2020)
홍성용
(2021~)
KIA 타이거즈 등번호 73번
박흥식
(2015~2020)
정명원
(2021~2023)
정재훈
(2024~)
}}} ||
파일:2023 KIA 프로필 정명원.png
정명원
鄭明源 | Chung Myeongwon
출생 1966년 6월 14일 ([age(1966-06-14)]세)
전라북도 군산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군산남초 - 군산남중 - 군산상고 - 원광대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89년 2차 2라운드 ( 태평양)
소속팀 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 (1989~2000)
지도자 요미우리 자이언츠 연수코치 (2001)
현대 유니콘스 2군 투수코치 (2002~2004)
현대 유니콘스 1군 불펜코치 (2005~2006)
현대 유니콘스 1군 투수코치 (2007)
우리- 서울 히어로즈 1군 투수코치 (2008)
서울 히어로즈 2군 재활코치 (2009)
넥센 히어로즈 2군 투수코치 (2010~2011)
두산 베어스 1군 투수코치 (2012~2013)
kt wiz 투수코치 (2014)
kt wiz 1군 투수코치 (2015~2018)[1]
kt wiz 2군 투수코치 (2018)[2]
kt wiz 잔류군 투수코치 (2019~2020)
KIA 타이거즈 1군 투수코치 (2021)
KIA 타이거즈 2군 감독 (2022)
KIA 타이거즈 1군 투수코치 (2023)[3]
KIA 타이거즈 잔류군 투수코치 (2023)[4]
가족 동생 정학원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수상 내역5. 연도별 성적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 소속 우완 투수, KIA 타이거즈 2군 감독. 선수 시절 등번호는 28번.[5][6]

정민태, 박재홍 이전 김동기, 김경기와 함께 삼청태현을 상징했던 선수로서 인천 연고팀 사상 최초의 전문 마무리 투수이자 KBO 리그 최초 단일 시즌 40세이브 기록 달성자이기도 하다.[7]

은퇴 후에는 현대 유니콘스, 넥센 히어로즈, 두산 베어스에서 1군과 2군을 오가며 투수코치를 역임했고 2014년부터 kt wiz의 투수코치를 맡았다.[8]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정명원/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1982~2012).svg
아마추어 시절 현대 시절

3. 지도자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정명원/지도자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수상 내역

수상 한국시리즈 우승 2회 (1998, 2000)
투수 부문 골든글러브 (1994)
평균자책점 1위 (1998)
세이브 1위 (1994)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rowcolor=#fab93d> 연도 소속팀 경기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사사구 탈삼진 WHIP
1989 태평양- 현대 38
(5위)
139⅓ 11 4 6
(5위)
- 2.45
(4위)
126 4 49 68 1.23
1990 15 27⅓ 2 4 2 - 7.57 44 3 16 11 2.09
1991 49
(2위)
132 12 6 14
(3위)
- 2.25
(4위)
103 3 40 60 1.05
1992 7 38⅓ 3 1 0 - 3.52 38 4 14 20 1.36
1993 2 6 0 1 2 - 1.50 4 0 1 3 0.83
1994 50
(2위)
105⅔ 4 2 40[9]
(1위)
- 1.36 77 2 22 74 0.94
1995 52
(1위)
103 9 7 19[10]
(4위)
- 1.75 68 1 26 59 0.88
1996 53
(3위)
97 8 5 26[11]
(1위)[12]
- 1.58 64 3 45 59 1.07
1997 55 115⅔ 2 10 28
(2위)
- 3.50 101 11 26 71 1.05
1998 28 184
(3위)
14
(5위)
8 0 - 1.86
(1위)
141 7 65 123 1.09
1999 30 84⅓ 5 4 7 - 4.06 92 11 36 52 1.49
2000 16 61 5 2 0 - 3.98 75 2 25 34 1.57
KBO 통산
(12시즌)
395 1093⅔ 75 54 142 - 2.56
(3위)[13]
933 51 365 634 1.16

6. 여담

파일:정명원형제.jpg
* 두 살 아래 동생인 정학원도 야구 선수로 두 형제 선수 모두 고교,대학을 나온 형제로 활동한 적이 있다. 이쪽은 내야수로, 1991년 쌍방울 레이더스의 특별 우선 지명을 받아 입단하여 1995년까지 활동했으며 형제가 1995년 9월 5일 전주야구장(舊)에서 열린 경기에서 투타 맞대결을 펼쳤는데 동생인 정학원이 대타로 나와서 유격수 땅볼로 물러났다. 이후 형제 투타 맞대결은 무려 25년이 지나서야 유원상 유민상의 맞대결로 나왔다.
파일:/image/241/2015/03/07/htm_2015030617462961006120_99_20150307080102.jpg
* 그가 한국시리즈에서 노히트 노런을 한 1996년에 태어난 차남 정동규가 상당히 미남이다. 위의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모델이며, 모델 에이전시인 에스팀 소속. 온스타일의 서바이벌 리얼리티 프로그램 '도전 수퍼모델 코리아 시즌 5'에 참가했다. 현재는 배우가 되기 위해 배우 수업을 받고 있다고 한다. 아빠와 아들의 인터뷰
  • 전형적인 상남자 스타일에 터프가이이며, 의리와 인정을 중요시하는 이미지로 각인되어 있다. 특히 1998년 한국시리즈 우승 당시 마운드에서 어깨를 축 늘어뜨리고 엉엉 울던 정민태를 부둥켜 안고 대성통곡하던 장면이나 언론 인터뷰에서 우승의 기쁨 대신 어려운 태평양 돌핀스 시절부터 오랜 시간 친형제처럼 동고동락하던 태평양 삼총사 박정현, 최창호와 함께하지 못한 안타까움을 뜨거운 눈물로 표현한 것이 임팩트가 컸다.
  • 반면에 마운드 밖에서의 실제 성격은 차분하고 약간 소심한 성격이어서, 입단 당시 태평양 돌핀스 감독이었던 김성근의 조련으로 마운드에선 거침없는 모습을 보여줬다. 판정이 이상하게 되면 표정이 어두워지는 것을 팬들은 그 표정을 알 수 있다는 설이 있다.
  • 김시진 감독의 경우는 그의 차분하고 소심하며 예민한 성격을 감안하여 밤에 몰래 어깨를 주물러 주는 등 마음을 다독여 주는 데 집중했고, 그것이 잘 먹혀들어가 그가 현대 시절 좋은 성적을 올리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7. 관련 문서


[1] ~6월 17일 [2] 6월 18일~ [3] ~6월 28일 [4] 6월 29일~ [5] 은퇴 이후 그가 달았던 28번은 사실상 영구결번급으로 대우받았으며, 히어로즈로 재창단되기까지 단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6] 이후 히어로즈에서 28번을 단 선수가 그나마 현대 시절 불펜 에이스로 군림하던 신철인이었는데, 그 뒤로 달은 선수가 다름 아닌 배힘찬이여서 팬들의 반발이 심했다. 사실 배힘찬은 현대에서 지명했을 때 김시진도, 정명원도 굉장히 기대한 유망주였지만 결국 포텐이 터지질 못했다. 배힘찬이 2차 드래프트로 이적한 2016년부터는 김해수가 28번을 받았다가 오래 있지 못하고 방출. 2019년에는 박주성이 달았다가 1년만에 바꿨고 2020년부터는 김재웅이 달고 있다. 다만 히어로즈는 삼청태현를 정식 계승하진 않으며,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한지도 10년이 넘었기에 그 의미가 퇴색된진 꽤 되었다. [7] 통산 75승 54패 142세이브 ERA 2.56의 성적을 올렸다. 공식 분류기준인 1000이닝 이상 투구한 투수 중 그보다 통산 평균자책점이 낮은 선수는 국보급 투수 선동열과 무쇠팔 최동원밖에 없다. 선발로 나서건 마무리로 나서건 항상 든든한 선수였으나, 대개 마무리로 많이 언급된다. LG 트윈스의 김용수와 오버랩되는 점이 많은데, 둘 다 원 클럽 맨이며 친정팀의 코치 생활을 했고 나란히 지도자로서의 평가가 좋지 않기 때문이다. 전체 선수 통산 기록에서도 선발보다 마무리 쪽이 더 월등히 높다. [8] 넥센에서는 2008~2011년 동안 재활코치로 활동한 적도 있었다. 2019~2020년 역시 재활코치를 역임하였다. [9] 4(구원승) + 40(세이브)(1위) = 44SP(세이브포인트) [10] 9(구원승) + 19(세이브)(4위) = 28SP(세이브포인트) [11] 8(구원승) + 26(세이브)(1위) = 34SP(세이브포인트) [12] 세이브 충족 요건 하나만 보면 1위는 맞으나 구원 2위로 밀려있다. 이유는 구대성이 구원승으로 가져간 것이 많기 때문이다. [13] 통산 투구이닝 1,000이닝 이상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