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회열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정회열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반지 |
|||||||||||||||||||||||||||||||||||||||||||||||||||||||||||||||||||||||||||||||||||||||||||||||||||
1991 | 1993 | 1996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코치 |
2011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a0029> |
KIA 타이거즈 2군 역대 감독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정유복 (1988~1991) |
방수원 (1992~1994) |
김성근 (1995) |
신용균 (1996~1998) |
김봉연 (1999~2000) |
|
<rowcolor=#fff>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서정환 (2001) |
서정환 (2003) |
김종윤 (2003) |
유남호 (2004) |
서정환 (2004~2005) |
|
<rowcolor=#fff>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1] | |
장채근 (2005) |
차영화 (2006~2007) |
박승호 (2007) |
차영화 (2008~2009) |
김대진 (2010~2011) |
|
<rowcolor=#fff> 16대 [1] | 17대 [1] | 18대 [1] | 19대 | 20대 | |
박철우 (2012) |
한대화 (2013) |
김용달 (2014) |
정회열 (2015~2017) |
박흥식 (2018~2019) |
|
<rowcolor=#fff> 21대 [1] | 22대 | 23대 [1] | 24대 | 25대 | |
장태수 (2019) |
박흥식 (2020) |
이범호 (2021) |
정명원 (2022) |
손승락 (2023~2024) |
|
<rowcolor=#fff> 26대 | |||||
진갑용 (2024~) |
|||||
[1]: '총괄 코치'라는 명칭을 사용한 경우 ※ 2002년은 공석 |
{{{#fff [[해태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25번}}} | ||||
김무종 (1983~1988) |
→ |
정회열 (1990~1997) |
→ |
박지영 (1998)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46번 | ||||
홍광천 (1986) |
→ |
정회열 (1998) |
→ |
김현욱 (1999~2005)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25번 | ||||
양용모 (1997~1998) |
→ |
정회열 (1999) |
→ |
배영수 (2000~2014) |
SK 와이번스 등번호 74번 | ||||
김충 (2000) |
→ |
정회열 (2001~2002) |
→ |
성준 (2003~2006) |
한화 이글스 등번호 80번 | ||||
강병철 (1994~1998) |
→ |
정회열 (2003) |
→ |
한대화 (2010~2012) |
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79번 | ||||
유남호 (2001~2003) |
→ |
정회열 (2006~2011) |
→ |
황병일 (2012) |
KIA 타이거즈 등번호 81번 | ||||
김대진 (2010~2011) |
→ |
정회열 (2012~2013) |
→ | 결번 |
결번 | → |
정회열 (2015~2018) |
→ |
윤해진 (2020~) |
}}} ||
|
|
정회열 鄭會烈 | Jung Hei-yeol |
|
출생 | 1968년 10월 9일 ([age(1968-10-09)]세) |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금산리 화산마을[1] | |
출신 | 광주광역시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광주중앙초등학교 (졸업) 광주충장중학교 (졸업)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응용통계학 / 학사) |
신체 | 178cm, 82kg, 270mm # |
포지션 | 포수, 우익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1990년 1차 지명 ( 해태) |
소속팀 |
해태 타이거즈 (1990~1997) 삼성 라이온즈 (1998~1999) |
지도자 |
SK 와이번스 1군 배터리코치 (2001~2002) 한화 이글스 2군 배터리코치 (2003)[2] 한화 이글스 1군 배터리코치 (2003)[3] KIA 타이거즈 1군 배터리코치 (2004) 삼성 라이온즈 2군 배터리코치 (2006~2009) 삼성 라이온즈 1군 배터리코치 (2010~2011) KIA 타이거즈 1군 배터리코치 (2012~2013)[4] KIA 타이거즈 2군 배터리코치 (2013)[5] KIA 타이거즈 2군 감독 (2015~2017) KIA 타이거즈 1군 수석코치 (2018) 동원대학교 야구부 감독 (2022~ ) |
프런트 |
KIA 타이거즈 전력분석원 (2005) KIA 타이거즈 스카우트 팀장 (2014) KIA 타이거즈 2군 전력분석원 (2019) |
본관 | 하동 정씨[6] |
종교 | 개신교[7] |
가족 |
아내 국현주[8] 장남 정동근( 1997년 7월 19일생)[9], 차남 정해영 |
[clearfix]
1. 개요
前 해태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의 야구 선수.90년대 타이거즈에서 활약했던 선수로 타이거즈 역대 최고 승률을 기록했던 1993 시즌에 주전 포수로 뛰며 1993년 한국시리즈 우승 포수였다. 유격수 이종범이 땅볼을 잡아 1루수 김성한에게 송구하며 마지막 아웃카운트를 잡고 선동렬이 마운드에 무릎을 꿇으며 두 팔을 벌릴 때 달려간 포수다. 김무종- 장채근- 정회열- 최해식으로 이어지는 해태 타이거즈 프랜차이즈 포수 계보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최원준, 이의리, 김도영 등과 함께 차기 프랜차이즈 스타로 꼽히는 정해영의 아버지로 KIA 타이거즈 팬들 사이에서 정후 아빠 못지 않은 이야깃거리로 통한다.[10]
2. 선수 경력
광주제일고등학교, 연세대학교 야구부(응용통계학과, 1986학번)를 졸업하고 1990년 해태 타이거즈에 1차 1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했다.[11] 당시 해태에는 장채근이 주전으로 버티고 있어서 주로 백업으로 활약했으며, 가끔 우익수 대수비로도 나갔다. 특히 92 포스트시즌 대 롯데전 플레이오프에서는 이선수가 포수인지 우익수인지 구분이 안 되었다.[12] 과거에는 양용모같이 대놓고 도루하면서 포수를 안 하는 게 나았을 선수도 있었지만, 최근에는 프로 1군에서 포수를 보는 선수 중에 기타 포지션으로 나가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포수 치고는 주력도 나쁘지 않고 나름 야구 센스가 뛰어났던 선수였다.1993년에는 .275를 기록하면서 규정 타석을 충족한 해태 타자들 중에서는 이종범 다음으로 높은 팀 내 2위를 기록하기도 했다.[13] 이러한 활약을 발판으로 장채근의 뒤를 이어 주전 포수로 자리잡는 듯 했지만, 다음 해 시즌 막판 새끼손가락 부상을 당해 전력에서 제외되는 신세가 되었다. 이 때문에 1995년에는 8경기 밖에 뛰지 못했고, 그 공백은 1994년 시즌 중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이적한 최해식이 지켰다.[14]
1996년에는 어느 정도 부상에서 회복되며 최해식의 백업으로 역할을 톡톡히 했으나,[15] 그 해 초 하와이 전지훈련 때 송유석, 이순철, 조계현, 이건열 등과 해태 타이거즈 하와이 항명사건의 주범[16]으로 찍혀 다음 해인 1997년에는 고작 11경기밖에 출전하지 못했다.[17]
이처럼 오랜 시간 동안 인상적인 성적을 내지 못한 끝에 1997년 시즌을 마치고 해태에서 방출되었고, 이듬해 삼성 라이온즈에 이적했다. 그러나 당시 삼성 구단은 김영진의 스트라이크 낫아웃 사건 때문에 그 대체 요원를 찾기 위해 여기저기서 포수를 영입하면서 포수 자원이 차고 넘쳤다. 때문에 삼성에서도 주전을 차지하지 못했고[18] 결국 1999년에 은퇴했다. 다만 1998년 후반기부터 진갑용 영입직전까진 오히려 주전이었다. 김영진이 재앙급 개노답인 점이 한몫했기 때문이다.
참고로 전설적인 1999년 플레이오프의 마지막 타자로,[19] 롯데의 마무리 투수인 주형광에게 삼진당한 주인공이다. 그래서 명승부 관련 영상에서 수없이 삼진을 당하며 덕아웃으로 돌아간다. 그리고 1991년 한국시리즈 3차전에서 송진우의 퍼펙트 게임을 막은 당사자이기도 하다.[20]
현역 시절에는 사직 야구장에서 매우 강했다. 1993년 연타석 홈런을 치는가 하면, 1999년 생애 프로 마지막 홈런도 여기서 뽑아낸다.
3. 지도자 경력 1기
은퇴 후 선동열과 유소년 야구교실을 운영했으며, 선동열이 이상국 위원에게 추천하여 2001년부터 2004년까지 SK 와이번스, 한화 이글스, KIA 타이거즈의 배터리코치를 역임했고 2005년에는 KIA의 전력분석원으로 있다가 이듬해 2006년부터는 선동열 감독의 부름을 받아 삼성의 2군 배터리코치로 부임하였다. 2009년 말 기존 1군 배터리코치였던 강성우가 한화 감독으로 임명된 한대화를 따라 이적하면서 1군 배터리코치로 승격되었다. 1군 배터리코치가 된 후, 삼성 포수들의 주자견제와 도루저지는 보다 나아졌다. 그러나 다년 간 삼성에 있었음에도 백업 포수를 키우지 못해 진갑용과 현재윤이 부상을 당했을 때 심광호나 채상병 등 외부에서 포수를 영입해야 했기에, 삼팬들에게는 그리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2011 시즌 종료 후, 선동열이 KIA 타이거즈의 신임감독으로 부임하면서 김평호 코치와 함께 KIA로 이적하였다. 그러나 2013 시즌 중인 8월 17일 분위기 쇄신 차원에서 김용달, 조규제와 2군으로 내려갔다. 2013 시즌 후 스카우트 팀장으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2014 시즌 후에는 2군 감독으로 보직이 변경되었다.
4. 스카우트 경력
2015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10명 중 7명을 대졸로 뽑는 등, 지나치게 대졸 일색으로 지명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라운드에 상관없이 꽂히는 선수가 있으면 무자비하게 바로 지명했던 권윤민과 달리, 이번에는 라운드에 맞는 적절한 픽을 했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 때문에 최소 권윤민보다는 낫다는 의견. 무엇보다도 스카우트 팀에 재직했던 2015년 신인드래프트 10라운드 픽이었던 김호령이 2016년 포텐이 터지며 어느 정도 좋은 평을 받았다. 참고로 이 해에 뽑은 11명 중 황대인, 문경찬, 이종석, 이준영, 박정수, 김명찬, 김호령까지 무려 7명이 군경팀에서 군 복무를 끝냈거나 복무 중에 있다. 군경팀 합격 여부가 코어 유망주와 그렇지 않은 유망주를 나누는 필요조건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7명이나 군경팀에 합격한 것은 상당히 인상적인 수치라고 할 수 있다. 망 드랲으로 취급받는 2013, 2014 드래프트를 거치며 황폐화된 유망주 팜을 15픽들이 그나마 먹여살리는 중.여기에 팔꿈치 수술을 받고 사회복무요원 입대가 확정된 투수 박지훈에게 본가 대신 함평으로 주소를 옮겨서 복무하는 것을 권한 것도 정회열 스카우트였다. 함평에 있는 2군 클럽하우스에서 출퇴근하면서 복무하고, 쉬는 시간이나 주말을 이용해서 몸을 만들 수 있도록 배려한 것.[21]
5. 지도자 경력 2기
5.1. KIA 타이거즈 2군 감독 시절
김용달 2군 감독이 2014 시즌이 끝나고 계약기간 만료로 물러나자 새 2군 감독이 되었다.부임 후에는 육성 기조에 맞게 당장의 퓨처스리그 성적보다 각 개인의 기량을 점검하고 향상하고, 2군으로 내려간 선수들의 컨디션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후배이자 1군 감독인 김기태 감독과 소통을 하면서 2군 현황을 알려 주고, 필요에 따라 눈에 띄는 선수를 1군으로 올려보내면서 KIA 전력 강화의 숨은 공신이 되고 있다.
백용환, 이정훈, 신범수, 한준수 등 유례없이 2군 포수 자원이 많아져 김상훈 코치와 포수들을 가르치는데 주력하고 있다.
2017 퓨처스 올스타전에서 팀이 1위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소회를 담담하게 담은 인터뷰가 올라왔다. 이 영상을 본 KIA 팬은 흔한 타이거즈 팬 아재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고.
5.2. 수석코치 승격
2017년 12월 7일 조계현 코치가 단장으로 승진 임명 되면서 후임 수석코치로 승격되었다.6월 3일 선수들에게 허용됐던 반바지 복장을 분위기 쇄신을 이유로 금지했다. 팬들은 꼰대같다고 매우 깠다. 다만 LG 트윈스 감독시절부터 작년까지 반바지를 금지했던 게 김기태이기 때문에 팬들의 여론이 안 좋아지자 정회열에게 반바지 금지 인터뷰하라고 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10월 4일 의문의 말소를 당했다.
10월 15일 미디어데이 이후 발표된 와일드카드 결정전 엔트리에서도 코치 명단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10월 19일 선수 및 코치진 정리기사에 명단이 포함되어 방출되었다. 김기태 감독과 모종의 갈등이 있지 않았나 추정된다. 당장 단순 갈등이었다면 프런트 직으로 돌려도 되었을 사람을[22] 이런식으로 내보낸다는 것 자체가 의심스러운 일이다. 구단에서 김기태의 파워가 강력해 이러한 전횡을 막을 수 없다는 것을 고려해보면 추정의 신빙성은 더더욱 심화된다.
6. 복귀, 전력분석원으로
그 후 행방이 묘연하여 야구계를 아예 떠난 것 아니냐는 추측이 가득했는데, 2019년 3월 14일 아들 정해영과의 인터뷰에서 2019년 1월부터 2군 전력분석원으로 합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0월 24일 기사에선 코치진 개편으로 물러난다고 한다. 또다시 행방이 묘연해질듯.
이후 U+ 프로야구 KIA 편파 해설을 맡는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22년 2월 15일, 동원대학교 야구부 감독을 맡았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7. 여담
- 프로필에서도 보듯 원래는 염경엽 LG트윈스 감독과 같은 또래이고, 같은 해 충장중학교에 입학했으나, 프로 입단은 염경엽보다 1년 빨랐다. 이는 염경엽이 중학생 시절 유급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대학도 정회열은 연세대, 염경엽은 라이벌인 고려대를 다녔다.
- 2군 코치 시절 당시 경희대학교 야구부 투수 인스트럭터에게 KIA 입단을 제안했는데, 이 선수가 바로 최영필이다.
- 차남 정해영이 광주일고에서 2017~2019년에 활약했다. 포지션은 투수, 3루수, 1루수이다. 동성중학교 시절 대통령기 전국중학야구대회 우승을 이끈 에이스 투수이자 중심타자로 활약했었다. 2018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3학년 에이스 조준혁과 함께 마운드를 지키며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 이후 정해영 군이 2020년 드래프트에서 1차 지명을 받으며서 부자가 한 팀의 1차 지명을 받고 입단한 KBO 리그 최초의 사례로 기록되었다.[23]
- 박명환야구TV에서 정수근이 밝힌 일화로, 9회말 2사에서 정회열의 중견수 플라이성 타구를 정수근이 잡으면 쓰리아웃과 함께 1-0으로 경기를 이기고 마무리하는 것이었으나 일부러 펜스 뒤로 공을 넘겨버려서 끝내기 역전 투런 홈런으로 둔갑했다고 한다. 자세한 일화는 이명수 문서 참조.
- 아들이 데뷔 시즌에 자신의 고향팀에서 마무리로 활약하니, 기분좋은 술안주거리가 생겼다.
- 상무지구에서 고기집 춘부집을 운영했다.
- 2021년 전설의 타이거즈에 송유석과 같이 출연하였다. 5.18 민주화운동당시 자기 집이 금남로쪽이어서 사건의 진행을 가까이서 볼수 있던 입장이었다고 한다.
- 송유석과 불로동에서 동업을 했으며, 같은 아파트단지(운암동 미라보아파트)에 살았을 정도로 친분이 두텁다.
- 그의 야구 인생에서의 일등공신은 단연 선동열. 은퇴 이후 선동열과 유소년 야구교실을 했고, 정회열이 배터리 코치로 오게 된 계기도 선동열이 이상국 단장에게 요청해서 다리를 놔줬다. 삼성에 있을때는 선동열, 기아 2기때는 김기태 감독과 궁합이 잘 맞았었다.
- 2024년 기아 타이거즈가 한국시리즈에서 12번째 우승을 차지했는데, 아들 정해영이 마무리 투수로 올라와 마지막 아웃카운트를 잡아냈다. 이로써 정회열-정해영 부자는 KBO리그 최초로 부자가 한 팀에서 선수 우승을 경험[24]한 진기한 기록을 세웠다. 게다가 우승 인터뷰도 같이 했다. 이를 축하하듯 정해영이 자신의 인스타그램 게시물로 포수 아버지와 투수 아들이 한국시리즈 마지막 아웃카운트를 잡고 환호하는 사진을 올리며 기념했다.
8.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90 | 해태 타이거즈 | 74 | 202 | 0.257 | 52 | 10 | 1 | 3 | 26 | 19 | 1 | 13 | .361 | .300 |
1991 | 89 | 193 | 0.238 | 46 | 6 | 1 | 6 | 26 | 24 | 2 | 25 | .373 | .324 | |
1992 | 97 | 214 | 0.276 | 59 | 10 | 1 | 7 | 46 | 28 | 3 | 19 | .430 | .331 | |
1993 | 117 | 345 | 0.275 | 95 | 14 | 1 | 7 | 35 | 33 | 0 | 21 | .383 | .316 | |
1994 | 80 | 271 | 0.236 | 64 | 8 | 0 | 8 | 34 | 22 | 0 | 13 | .354 | .266 | |
1995 | 8 | 14 | 0.143 | 2 | 1 | 0 | 0 | 0 | 0 | 0 | 0 | .214 | .143 | |
1996 | 59 | 103 | 0.184 | 19 | 4 | 0 | 3 | 11 | 12 | 0 | 19 | .311 | .307 | |
1997 | 11 | 9 | 0.000 | 0 | 0 | 0 | 0 | 0 | 0 | 0 | 1 | .000 | .100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4사구 | 장타율 | 출루율 |
1998 | 삼성 라이온즈 | 39 | 61 | 0.262 | 16 | 2 | 0 | 0 | 8 | 2 | 0 | 6 | .295 | .319 |
1999 | 47 | 89 | 0.180 | 16 | 3 | 0 | 2 | 14 | 6 | 1 | 7 | .281 | .235 | |
<rowcolor=#373a3c>
KBO 리그 통산 (10시즌) |
621 | 1501 | 0.246 | 369 | 58 | 4 | 36 | 200 | 146 | 7 | 124 | .362 | .300 |
9. 관련 문서
[1]
하동 정씨 집성촌이다.
[2]
~7월 14일
[3]
7월 15일~
[4]
~8월 16일
[5]
8월 17일~
[6]
30세손 회(會) 종(鍾) 항렬
[7]
#
[8]
2024 한국시리즈에서 우승하고 찍은 가족 단체사진을 보면 정회열과도 키 차이가 별로 나지 않을 정도의 장신이다. 참고로 170cm만 넘어도 한국 여성 신장 상위 5% 수준이니, 거의 상위 1%급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운동선수 출신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9]
동생과는 다르게 야구를 하지 않는 일반인이다. 현재는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 내의
인크커피 매장에서 직원으로 일하고 있다.
장남의 생년월일이 나온 신문기사.
[10]
공교롭게도 두 부자 모두 1차 지명자다.
[11]
고교 - 대학 동기인
이호성도 같이 2순위 지명받아 입단했다.
[12]
프로야구 매니저에서는 수비S랭크까지는 못찍지만 외야 수비가 가능하다.
[13]
1993 시즌은 KBO 역사상 손꼽히는
투고타저 시즌이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14]
최해식이
전설의 타이거즈에서 술회한 바에 따르면 동기생 정회열을 비롯한 해태 포수들이 매번 도루를 허용하는 모습을 보고 '왜 도루를 못 잡냐'는 생각이 들었고 본인이 이적 후 도루저지하는 모습을 보여주자 해태 코칭스태프들의 입이 딱 벌어졌다고 한다.
[15]
1996년 한국시리즈 6차전에서 주심의 볼 판정에 거칠게 항의하다 퇴장당한 최해식 대신 우승 헹가레 포수가 되었다.
[16]
이순철, 이건열은 팀내 최고참이었으며 막내 코치였던
장채근보다 선배(이순철)이거나 동기생(이건열)이었으며 송유석은 선수단 상조회 총무, 정회열은 이순철의 룸메이트이자 전령 역할이라 앞에서 나설 수 밖에 없었다.
[17]
더군다나
1996년 한국시리즈 2차전 때 번트 실패로
김응용 감독한테 호되게 야단을 맞았다.
[18]
김영진,
김지훈, 정회열,
김광현이 주전 포수 경쟁을 했으나, 1999시즌 중 트레이드로 영입한
진갑용이 주전 포수가 되었다.
[19]
빌리 홀의 대타로 나왔다.
[20]
당시 송진우가 8회 2사까지 퍼펙트 게임을 기록하고 있었지만 대타 정회열의 쉬운 파울 타구를 우익수 이중화가 놓친 이후 볼넷을 허용하는 바람에 깨졌다. 그 이후 송진우는 심리적으로 흔들리면서 홍현우에게 좌전안타를 맞고
노히트 노런 실패, 장채근에게 2루타를 맞고 동점 허용, 윤재호에게 3루타를 맞고 3실점째. 강판 후 구원 투수인 장정순이 이건열한테 안타를 맞으며 윤재호마저 홈으로 들어오면서 4실점. 결국 송진우는 패전 투수가 됐고 팀도 반전의 기회를 잡지 못하면서 4전 전패로 준우승을 하고 만다. 여담으로 정회열에게 볼넷을 허용하기 직전 회심의 1구가 스트라이크로 판정되지 않아 송진우가 매우 아쉬워했다. 당시 포수였던 유승안이 이규석 구심에게 질문하자 '볼'이라고 했으며 이규석 구심은 은퇴 후 이 장면에 대해 술회하면서 '볼'이 맞다고 했다. 이규석 심판은 KBO 심판중에서도 판정 실력이 좋기로 손 꼽히는 심판이다.
[21]
부상으로 인해 사회복무요원 대상자 처분을 받고 재활하는 선수들 중 본가와 소속팀의 거리가 먼 선수들의 경우, 구단에서 이런 식으로 많이들 권유한다. 소속팀의 클럽하우스로 주소지를 옮겨 낮에는 병역의무를 이행하고, 퇴근 후 저녁과 휴일에는 재활에 전념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선수 입장에서도 구단 입장에서도 서로가 편하고 좋다.
[22]
당장 스카우터로서의 능력은 제대로 보여주었기 때문에 스카우터로 돌렸으면 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크다. 15 16 드래프트 픽도 그렇고 2014시즌 시작 전 최영필을 데려온 것만 하더라도 스카우터로서의 능력은 이미 충분히 증명된 인물이다.
[23]
KBO 리그 사상 최초 부자(父子) 1차 지명은
이종범(해태)-
이정후(넥센)의 사례다. 최초로 부자가 같은 구단에 1차 지명을 받은 경우는
삼성 라이온즈의 원민구-
원태인의 경우가 있지만 원민구 감독은
84년,
85년 두 번 1차지명을 받았지만 삼성에 입단하지 않았다. 당시에는 지명권이 오래가지 않아 입단하지 않은 선수는 다시 지명해야 했고 실업야구에 있던 선수 중에서는 입단하지 않은 경우도 많았다.
[24]
한 팀에서의 우승은
2016년 한국시리즈에서
박철우 당시 코치와
박세혁 당시 선수가 동시에 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