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좌명공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401년 1월 15일 태종에 의해 책록 | |||||||||||||||||||||||||||||||||||||||||||||||||||||||||||
진충좌명공신 (1등) | ||||||||||||||||||||||||||||||||||||||||||||||||||||||||||||
|
|
신극례 |
|
이무3 | ||||||||||||||||||||||||||||||||||||||||||||||||||||||||
|
이애 | 조영무 | 하륜 | |||||||||||||||||||||||||||||||||||||||||||||||||||||||||
익대좌명공신 (2등) | ||||||||||||||||||||||||||||||||||||||||||||||||||||||||||||
이래 | 이천우 | 이화 | ||||||||||||||||||||||||||||||||||||||||||||||||||||||||||
익대좌명공신 (3등) | ||||||||||||||||||||||||||||||||||||||||||||||||||||||||||||
김영렬 | 류기 | 마천목 | 박석명 | |||||||||||||||||||||||||||||||||||||||||||||||||||||||||
박은 | 성석린 | 윤곤 | 윤저 | |||||||||||||||||||||||||||||||||||||||||||||||||||||||||
이숙 | 이지란 | 조희민 |
|
|||||||||||||||||||||||||||||||||||||||||||||||||||||||||
익대좌명공신 (4등) | ||||||||||||||||||||||||||||||||||||||||||||||||||||||||||||
권근 | 김승주 | 김우 | 김정경 | |||||||||||||||||||||||||||||||||||||||||||||||||||||||||
류량 | 문빈 | 서유 | 서익 | |||||||||||||||||||||||||||||||||||||||||||||||||||||||||
송거신 | 심구령 | 연사종 | 윤목 | |||||||||||||||||||||||||||||||||||||||||||||||||||||||||
윤자당 | 이승상 | 이원6 | 이응 | |||||||||||||||||||||||||||||||||||||||||||||||||||||||||
이종무 | 이직7 | 조경 |
|
|||||||||||||||||||||||||||||||||||||||||||||||||||||||||
조온 | 한규 | 홍서 | ||||||||||||||||||||||||||||||||||||||||||||||||||||||||||
1
1407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2 1404년 태종의 왕자들을 죽이고 상왕 정종을 섬기려 한 혐의로 제명 3 1409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후에 신원 4 1416년 불충, 불경죄로 인한 제명 5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임 혐의로 인한 제명 6 1426년 노비 불법 모집 혐의로 인한 제명, 1456년 세조 때 복권 7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8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직접적으로 언급된 인물/단체 | |||
단군 | ||||
동명성왕 | 온조왕 | |||
이사부 | 백결선생 | 의자왕 | 계백 | |
김관창 | 김유신 | 문무왕 | 원효 | |
혜초 | 장보고 | 고왕 | 강감찬 | |
서희 | 정중부 | 최무선 | 죽림고회 | |
김부식 | 지눌 | 의천 | 이종무 | |
정몽주 | 문익점 | 최충 | 일연 | |
최영 | 황희 | 맹사성 | 장영실 | |
신숙주 | 한명회 | 이이 | 이황 | |
신사임당 | 곽재우 | 조헌 | 김시민 | |
이순신 | 태조 | 정종 | 태종 |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
사육신 | 생육신 | 논개 | 권율 | |
홍길동 | 임꺽정 | 삼학사 | 박문수 | |
한석봉 | 김홍도 | 김병연 | 김정호 | |
영조 | 정조 | 정약용 | 전봉준 | |
황진이 | 홍경래 | 김옥균 | ||
안중근 | 이완용 | 윤동주 | 지석영 | |
손병희 | 유관순 | 안창호 | 방정환 | |
김두한 | 이상 | 이중섭 | ||
간접적으로 언급된 인물/단체 | ||||
민족대표 33인 | 김좌진 | |||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1] | ||||
기울임체 는 부정적으로 언급된 인물이다. [1] 실제 홍길동을 언급한 건지 후대 인물 허균이 창작한 의적 홍길동을 언급한 건지 논란이 있지만 간접적인 언급으로 소설 홍길동전에서 대중화된 의적 이미지를 노래 가사로 사용했으므로 저자 허균을 생각하고 언급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
}}}}}}}}} |
<colbgcolor=#b82642><colcolor=#fff> ''' 조선 삼군도체찰사 '''
장천부원군(長川府院君) 이종무 李從茂 |
|
출생 | 1360년( 공민왕 9년) |
사망 | 1425년 7월 3일[1] (향년 65세) |
봉호 | 장천부원군(長川府院君) |
시호 | 양후공(襄厚公) |
본관 | 장수 이씨 |
자 | 돈문(敦文) |
공훈 | 좌명공신 4등 |
부모 |
부친 - 이을진(李乙珍) 모친 - 홍천 용씨 용지우(龍之雨)의 딸 |
형제 | 형 정언공(正言公) 이종화(李從華) |
부인 | 평양 조씨 - 조화(趙禾)의 딸 |
자녀 |
장남 장천군(長川君) 이승평 (李昇平,1393 ~ 1460) 차남 이덕평(李德平,1395 ~ 1446) 3남 충정공(忠定公) 이사평(李士平,1398 ~ ?) 4남 장의공(壯毅公) 이후평(李厚平,1404 ~ 1480) 장녀 고택군부인 장수 이씨[2] |
[clearfix]
1. 개요
조선 시대의 장군.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돈문(敦文).대마도를 정벌하였고 이 공적으로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에도 들어가 있다. 다만, 실제로 명장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출신지 역시 불분명하다.
2. 생애
1360년(공민왕 9)에 이을진(李乙珍)의 아들로 태어났고, 기록에 따르면 어려서부터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했다고 한다. 우왕 때 벼슬을 하여 창왕, 공양왕까지 고려 마지막 4명의 왕을 경험하였다. 1392년 조선 건국 후에도 태조, 정종, 태종, 세종에 걸쳐 조선 초기 4대왕을 모셨다.[3] 1400년 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이방원의 편에 가담하여 이방간의 군사를 전멸시켰다.1419년 세종 대에 상왕인 태종의 명을 받아 김종서 등과 대마도 정벌에 나서게 되는데 패전이나 무승부에 가깝다는 견해도 있으나 조선군은 어느 정도 세력을 보존하면서 왜구 세력 약화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으니 승리라고 볼 수도 있다. 1만 7천을 끌고가서 180명 죽은걸 일시적으로 전투에서 패배했다고 볼 수는 있어도 패배한 원정이라고 하는데는 비약이 심하다. 100여 명을 죽이고 민가 2천여 채를 불사르고 포로로 잡혀있던 중국인과 조선인들을 구출하는데 남은 왜구들은 모두 섬 깊숙한 곳으로 도주한다. 사실 이 때 동원한 병력이 많기는 했는데 공식적으로 200척이 넘는 배에 1만 7천여 명의 병사를 이끌고 간 것이다.
<colcolor=#ffd400> 쓰시마정벌 | |
시기 |
제3차
대마도 정벌 1419년 6월 19일(음력) |
장소 |
일본 대마도 전역 |
원인 | 일본 왜구의 조선반도 침입 |
결과 | 왜적선 129척을 소각, 왜구 가호 1,940여 호를 소각 |
이종무 등이 배를 두지포(豆知浦)에 머무르게 하고 날마다 편장(褊將)을 보내어 육지에 내려 수색하여 잡고, 다시 그 가옥 68호와 배 15척을 불사르고, 도적 9급(級)을 베고, 중국인 남녀 15명과 본국인 8명을 얻었다. 적이 밤낮으로 우리 군사 막기를 생각하므로, 26일에 종무가 전진하여, 이로군(尼老郡)에 이르러 3군에 명령하여, 길을 나누어 육지에 내려, 한 번 싸우고자 좌우 군사들을 독려하여 먼저 하륙케 하니, 좌군 절제사 박실(朴實)이 적과 서로 만났다. 적이 험한 곳에 모여 복병하고 기다렸다가, 실이 군사를 거느리고 높은 곳에 올라 싸우려 할 그 순간에, 졸지에 복병이 일어나 앞으로 돌격해 와서, 우리 군사가 패전하여, 편장 박홍신(朴弘信)·박무양(朴茂陽)·김해(金該)·김희(金熹)들이 전사하였으므로, 실이 군사를 거두어 다시 배에 오르니, 적이 추격하여 왔다. 우리 군사 중에 전사하거나 언덕에서 떨어져 죽은 자가 백 수십 인이나 되었다. 우군 절제사 이순몽(李順蒙)과 병마사 김효성(金孝誠)들이 또한 적을 만나 힘껏 싸워 막으니, 적이 그제야 물러갔고, 중군은 마침내 하륙하지 아니하였다. 도도웅와는 우리 군사가 오래 머물까 두려워서 글을 받들고 군사를 물려 수호(修好)하기를 빌면서 말하기를,
"7월 사이에는 항상 풍파의 변이 있으니, 오래 머무름이 옳지 않습니다."
하였다.
이로군의 접전에서 박실이 많은 군사를 잃었으나 마침내 적이 물러나 수호를 빌다
"7월 사이에는 항상 풍파의 변이 있으니, 오래 머무름이 옳지 않습니다."
하였다.
이로군의 접전에서 박실이 많은 군사를 잃었으나 마침내 적이 물러나 수호를 빌다
문제는 버티고만 있어도 이기는 국면을 괜히 대마도 깊숙히 들어갔다가 백 수십여 명의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이는 모두 박실의 책임이 되었고 이종무는 이후에도 대마도 인근 왜구 토벌로 불려 다녔고 태종의 칭찬도 들었다. 이 일로 이종무는 정승 후보군인 찬성 직까지 승진하지만 여기서 반전이 일어나는데 모든 책임을 뒤집어 썼던 박실을 심문하니 박실이 "책임이 모두 이종무 때문이다"라고 고발한 것이다.
의금부 제조
변계량 등이
수강궁에 가서 아뢰기를,
"어제 명령을 듣고 박실의 패군한 죄를 국문하오니, 실이 공술하기를, ‘이종무가 처음에는 삼군 삼절제사에게 명령하여, 다 육지에 내려서 싸우라고 하더니, 뒤에 명령을 변경하여, 삼군 절제사 각 한 사람만이 육지에 내리라고 하여서, 실이 제비를 뽑게 되어서 내렸던 바, 적은 강하고 우리는 약하여서, 두 번이나 보고하여 구원하기를 청하였으나, 종무가 들어 주지 아니하고, 유습과 박초 등도 역시 내려와 구원하지 아니하였으므로, 패전하게 되었다.’ 하오니, 신들의 생각에는 특별히 박실의 죄뿐이 아니고, (이)종무와 (유)습과 (박)초도 다 유죄하오니, 모두 국문함이 옳은가 합니다."
하니, 상왕이 말하기를,
"박실의 패군한 죄는 모두 다 아는 바이지만, 만약 법대로 논한다면, 유정현이 도통사가 되어서 즉시로 실을 구속하고 벌을 줄 것을 청하지 아니하였으니, 그것은 역시 죄되는 일이므로, 이제 장온을 무고죄로 벌주고, 여러 장수들을 상주었다가, 또 다시 정현과 종무를 옥에 하옥한다면, 나라 사람들에게 부끄러움이 있지 않겠는가. 하물며 동정할 때에는 승리가 많았고 패전은 적지 않았는가. 뒷날의 일도 역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니, 만약 대거(大擧)할 계획을 한다면, 또한 권도(權道)를 써야 할 것이나, 내 어찌 그런 일로 하여, 끝까지 그 죄를 치죄하지 않을 수야 있겠는가. 이제 실은 공신의 자식이라 하여, 면죄시키게 하라."
하였다.
의금부에서 박실의 패군 원인이 이종무 등에게도 있음을 아뢰니 무난히 처리케 하다
"어제 명령을 듣고 박실의 패군한 죄를 국문하오니, 실이 공술하기를, ‘이종무가 처음에는 삼군 삼절제사에게 명령하여, 다 육지에 내려서 싸우라고 하더니, 뒤에 명령을 변경하여, 삼군 절제사 각 한 사람만이 육지에 내리라고 하여서, 실이 제비를 뽑게 되어서 내렸던 바, 적은 강하고 우리는 약하여서, 두 번이나 보고하여 구원하기를 청하였으나, 종무가 들어 주지 아니하고, 유습과 박초 등도 역시 내려와 구원하지 아니하였으므로, 패전하게 되었다.’ 하오니, 신들의 생각에는 특별히 박실의 죄뿐이 아니고, (이)종무와 (유)습과 (박)초도 다 유죄하오니, 모두 국문함이 옳은가 합니다."
하니, 상왕이 말하기를,
"박실의 패군한 죄는 모두 다 아는 바이지만, 만약 법대로 논한다면, 유정현이 도통사가 되어서 즉시로 실을 구속하고 벌을 줄 것을 청하지 아니하였으니, 그것은 역시 죄되는 일이므로, 이제 장온을 무고죄로 벌주고, 여러 장수들을 상주었다가, 또 다시 정현과 종무를 옥에 하옥한다면, 나라 사람들에게 부끄러움이 있지 않겠는가. 하물며 동정할 때에는 승리가 많았고 패전은 적지 않았는가. 뒷날의 일도 역시 생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니, 만약 대거(大擧)할 계획을 한다면, 또한 권도(權道)를 써야 할 것이나, 내 어찌 그런 일로 하여, 끝까지 그 죄를 치죄하지 않을 수야 있겠는가. 이제 실은 공신의 자식이라 하여, 면죄시키게 하라."
하였다.
의금부에서 박실의 패군 원인이 이종무 등에게도 있음을 아뢰니 무난히 처리케 하다
문제는 대마도(쓰시마섬)에 상륙한 병력을 제비뽑기로 선출했다는 것인데 이 때 공격에 나가게 된 것이 박실이었다. 이 때문에 운 나빠서 상륙대가 된 병사들의 사기가 좋을 리가 없어서 180명이나 되는 군사들을 잃었다. 그동안 나머지 병력들은 박실이 2번이나 구원 요청을 했음에도 모두 무시하고 그대로 배 안에서 대기하다가 패전이 확인된 뒤에 그대로 귀국했던 것이다. 이 한심한 제비뽑기 사건 등이 알려지면서 상황이 완전히 반전되지만 이종무를 대마도 정벌 패전 책임으로 처벌할 수는 없었다. 대마도 정벌은 세종 대에 있었지만 실제로는 여전히 병권을 쥐고 있었던 태종의 명령으로 일어난 일이었으며 태종은 대마도 정벌의 성공을 대대적으로 홍보한 뒤였다. 이 때문에 다른 핑계를 찾아낸다. 김훈이라는 인물이 죄를 지었다 풀려났는데 이 사람을 허락도 받지 않고 대마도 정벌에 종군시킨 것이 잘못이라는 궁색한 논리였다. 이것이 왜 궁색하냐면 조선왕조실록에도 있는 이 장계에 상왕이 그대로 따랐다는 내용이 있기 때문이다. 결국 이종무는 작전 착오가 아니라 인사 책임으로 귀양을 가는데 이후 이종무를 죽이라는 상소가 빗발쳤으나 넘어갔고 뒤에 관직에 복귀하게 된다. 복귀한 이후에 명나라 사신을 따라갔으며 그 때 사신에 포함되어 있던 도총제 권희달이 사고를 치는데 이 때문에 다시 삭탈관직되었다가 다시 복귀해 이듬해인 1425년 죽었다.
장천 부원군(長川府院君) 이종무(李從茂)가 졸하였다. 종무는 전라도 장수현 사람으로 젊어서부터 활을 잘쏘고 말을 잘 달렸다. 신유년에 아버지를 따라 강원도에서 바다의 도적을 토벌하여 공이 있으므로, 돌아와 정용 호군(精勇護軍)에 임명되고, 정축년에 옹진 만호(甕津萬戶)가 되었는데, 마침 왜구(倭寇)가 갑자기 들어와서 성을 포위하므로, 종무가 막아 싸웠으며, 첨절제사(僉節制使)로 승진되었다가 들어와서 상장군(上將軍)이 되었다. 경진년에 익대 좌명 공신(翊戴佐命功臣)의 호를 받고 통원군(通原君)에 책봉되었고, 의주(義州) 등지의 병마 절제사로 승진되었다. 영락(永樂) 병술년에 장천군(長川君)을 봉하고 우군 총제를 겸하였으며, 신묘년에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갔었고, 정유년에 의정부 참찬(議政府參贊)으로 판우군 도총제 부사가 되었고, 기해년에 대마도를 정벌할 때에 종무(從茂)로 삼군 도체찰사(三軍都體察使)를 삼아 주사(舟師)를 거느리고 가서 토죄(討罪)하고 돌아오니, 의정부 찬성사를 제수하였다. 얼마 후에 상원(祥原)으로 좌천되었다가, 경자년에 불리어 돌아와서 장천군(長川君)이 되었고, 이듬해에 부원군으로 승진되었고, 계묘년 가을에 사은사(謝恩使)로 북경에 갔다가 돌아와서 과천으로 좌천되고, 을사년에 다시 장천 부원군이 되었다가 이때에 이르러 죽으니 향년 66세이다. 부고가 올라가니 내관을 시켜 조상하고, 또 부의를 하사하고 조회를 3일간 정지하였다. 시호를 양후(襄厚)라 하였으니, 갑주(甲胄)로 공로가 있음이 양(襄)이요, 생각함이 어둡지 아니함이 후(厚)이다. 성질이 순박하고 진실하였으며, 아들은 이승평(李昇平)·이덕평(李德平)·이사평(李士平) 셋이 있다.
장천 부원군 이종무의 졸기
장천 부원군 이종무의 졸기
|
3. 기타
- 대마도 정벌은 사실 명나라의 일본 침공을 막기 위해 벌인 일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한다. 실제로도 정벌 당시에는 일본과의 사이가 그리 나쁘지 않았다고 한다. 다만 대마도 원정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고 3번째 원정이었다.
- 한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2절에서 "대마도 정벌 이종무"로 이름이 오른다.
4. 대중매체
[1]
음력
6월 9일
[2]
정종의 10남
덕천군의 부인
[3]
일생 동안 총 8명의 왕을 거친 셈이다. 다만 창왕과 공양왕 시기는
여말선초의 혼란 속에 초고속으로 지나갔고 정종 재위 기간도 고작 2년이라는 점은 감안.
[4]
현재
한화오션
[5]
2000년작
KBS 드라마 <
태조 왕건>에서는
은부 역.
[6]
2002년작
SBS 드라마 <
야인시대>에서는
김천호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