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4:28:06

원유관

🎩 모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eee,#000> 각모 · 갈모 · 감투 · · 개리슨 모 · 군용 베레모 · 군모 · 굴레
나이트캡 · 남바위 · 너울 · 뉴스보이 캡
도깨비 감투 · 두건 · 듀렉
로가티프카
마녀 모자 · 맥주 모자 · 문라건 · 미니햇 · 밀짚모자
바이저 마스크 · 바이콘 · 버킷햇 · 베레모 · 보닛 · 보터햇 · 볼러 · 부니햇 · 비니 · 비레타 · 빵모자 · 버즈비 · 복건 · 베어스킨 햇
사모 · 삿갓 · 샤워캡 · 샤코 · 샴푸캡 · 선 바이저 · 솜브레로 · 스냅백 · 상모
아얌 · 야구 모자 · 오스트리아식 야전모 · 와룡관 · 우샨카 · 움직이는 토끼모자 · 은박 모자
전모 · 전역모 · 전투모 · 정모 · 정자관 · 제모 · 조우관 · 족두리 · 전립
초립 · 초선관
칸무리 · 키파 · 케피 · 케피예 · 코이프 · 캠페인 햇 · 카우보이 모자
탕건 · 터번 · 트리코른 · 탑햇 · 트릴비 햇
팔각모 · 패랭이 · 패트롤캡 · 페도라 · 페즈 · 프리기아 캡 · 플랫 캡 · 포크 파이 햇
학사모 · 학생모 · 헤어밴드 · 화관 · 휘항 · 흑립 · 홈버그 햇
왕관 교황 삼층관 · 금관 · 네메스 · 러시아 제국 황제관 · 롬바르디아 철관 · 면류관 · 성 에드워드 왕관 · 성 이슈트반 왕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영국 제국관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월계관 · 익선관 · 원유관(통천관) · 티아라
헬멧 M1 철모 · 6B47 헬멧 · 90식 철모 · PASGT 헬멧 · SSh-68 · 검투사 헬멧 · 공사장 헬멧 · 그레이트 헬름 · 면갑 · 방석모 · 방탄모 · 슈탈헬름 · 야구 헬멧 · 오토바이 헬멧 · 자전거/헬멧 · 조종사 헬멧 · 철모 · 투구 · 풋볼 헬멧 · 프로텍 헬멧 · 피스 헬멧 · 피켈하우베 · 핫부리 · 헤드기어 · 아밍 캡 · 쿠스토디안 헬멧 · 간주형 투구 · 첨주형 투구 · 원주형 투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의 종류{{{#!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남녀공용
상의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 적삼 · 마고자
하의 바지
겉옷 반비 · 배자 · 장옷
신발 목화 · 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기타 무복 · 버선 · 상복
남성용
평복 상의 사규삼
하의 잠방이
겉옷 · 백저포 · 도포 · 두루마기 · 창의 · 대창의 · 학창의 · 소창의 · 심의 · 중치막 · 쾌자 · 답호
예복 및 관복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융복 구군복 · 철릭
모자 갈모 · 감투 · ( 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금관 · 망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삿갓 · 원유관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탕건 · 패랭이 · 휘항
전통장식 동곳 · 흉배
여성용
평복 하의 치마
겉옷 쓰개치마 · 머리처네
속옷 가슴가리개
예복 상의 당의 · 견마기
하의 스란치마 · 대란치마
겉옷 노의 · 원삼 · 활옷
모자 틀:전통여성모자
전통장식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파일:원유관.png

1. 개요2. 역사
2.1. 고려2.2. 조선 & 대한제국2.3. 류큐 왕국
3. 매체에서

1. 개요

동아시아의 주요 왕관 중의 하나. 중국의 피변관에서 유래했다.

황제는 상면 돌출부(梁)가 12줄기인 통천관(通天冠)을, 황태자, 친왕과 칭제 전 조선 국왕은 9줄기, 조선 왕세자는 8줄기, 군왕 류큐 왕국 초기~중기( 명청교체기~ 삼번의 난 이전까지)의 왕들은 7줄기인 원유관(遠遊冠)을 착용했다. 대월에서는 쓰이지 않았다.

원유관이나 통천관을 착용할 때는 강사포라는 옷에 맞춰 썼다. 강사포는 곤복과 디자인은 같으나 색이 붉은색 단색이고 곤복에 있는 그림들인 장(章)이 없는 모습이었다.

2. 역사

2.1. 고려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12032304247a010a011.jpg
고려 태조 청동상의 머리 부분
현릉 외곽에서 출토된 태조 왕건의 청동상에 통천관이 묘사되어, 당시 고려 국왕의 복식 제도를 엿볼 수 있다.

2.2. 조선 & 대한제국

파일:external/file2.instiz.net/c0b85c9c05a140efd75df1def489950d.png
통천관과 강사포를 착용한 고종 황제 어진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이나 가례 등 중요한 의례를 할 때만 썼다. 원래는 원유관을 쓰다가 대한제국 수립과 함께 통천관을 썼으며, 원유관은 황태자가 착용했다. 사실은 피변관으로 불러야 옳지만 명나라가 멸망한지 수백년 되었고 한족의 의복제도도 많이 소실된지라 황제의 통천관도 없어져 그냥 피변관(원유관)의 줄 갯수를 9개에서 12개로 늘려놓고 통천관이라고 부른 것이다.

파일:159789425670m0.jpg
1902년 고종 황제 어극 40주년 기념 우표 도안으로 등장하기도 했다.[1]

파일:황사손통천관복.jpg
종묘제례 행사에서 통천관, 강사포를 착용한 황사손 이원.

2.3. 류큐 왕국

파일:external/bt.suitenrou.com/2.jpg
류큐 쇼신 왕의 어진
류큐 국왕 역시 조선과 마찬가지로 명나라에서 관복을 하사받았는데, 조선 보다는 낮은 군왕급의 대우를 받았다. 이렇게 7줄 원유관을 하사 받은 것을 시작으로 자체 제작해 쓰다가 명나라 멸망 후 12류 통천관을 썼다. 외왕내제?[2]

3. 매체에서

Why? 한국사 시리즈에선 고려 왕들이 쓴 왕관으로 계속 나온다.


[1] 서양 군주국에서 발행하는 우표에 왕관이 등장하는 것을 본떠 만든 듯 하다. [2] 사실상 중화질서 국력 최하위였던 류큐가 유일하게 자주성(?)을 보인 부분이지만 통천관 도입 당시 사츠마 번에 의해 사실상 반복속 당한 상태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