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22:17:45

견마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 7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82647 3%, #31b675 3%, #31b675 6%, #89236a 6%, #89236a 9%, #f9d537 9%, #f9d537 12%, #db4e9c 12%, #db4e9c 15%, #026892 15%, #026892 18%, #e7e6d2 18%, #e7e6d2 21%, #b82647 21%, #b82647 24%, #f8e77f 24%, #f8e77f 76%, #b82647 76%, #b82647 79%, #e7e6d2 79%, #e7e6d2 82%, #026892 82%, #026892 85%, #db4e9c 85%, #db4e9c 88%, #f9d537 88%, #f9d537 91%, #89236a 91%, #89236a 94%, #31b675 94%, #31b675 97%, #b82647 97%)"
한복의 종류{{{#!wiki style="margin-top: 7px; padding-top: 5px; border-top: solid 1px; border-color: #683235; color:#683235; min-height: calc(1.5em +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남녀공용
상의 저고리 · 덧저고리 · 배냇저고리 · 색동저고리 · · 적삼 · 마고자
하의 바지
겉옷 반비 · 배자 · 장옷
신발 목화 · 꽃신 · 갖신 · 짚신 · 미투리 · 나막신
기타 무복 · 버선 · 상복
남성용
평복 상의 사규삼
하의 잠방이
겉옷 · 백저포 · 도포 · 두루마기 · 창의 · 대창의 · 학창의 · 소창의 · 심의 · 중치막 · 쾌자 · 답호
예복 및 관복 단령 · 곤룡포 · 곤복 · 조복
융복 구군복 · 철릭
모자 갈모 · 감투 · ( 흑립 · 주립 · 백립 · 초립 · 전립) · 금관 · 망건 · 면류관 · 문라건 · 복건 · 사모 · 삿갓 · 원유관 · 익선관 · 정자관 · 조우관 · 탕건 · 패랭이 · 휘항
전통장식 동곳 · 흉배
여성용
평복 하의 치마
겉옷 쓰개치마 · 머리처네
속옷 가슴가리개
예복 상의 당의 · 견마기
하의 스란치마 · 대란치마
겉옷 노의 · 원삼 · 활옷
모자 틀:전통여성모자
전통장식 가체 · 노리개 · 떨잠 · 비녀 }}}}}}}}}}}}
파일:견마기(해평윤씨견마기)_석주선기념박물관.jpg
이형보의 부인 해평 윤씨 견마기

[clearfix]
1. 개요2. 상세

1. 개요

조선 여성의 예복용 저고리. 곁마기는 문헌에 겹격음(殎隔音), 견마기(肩亇只), 액마기(腋亇只) 등의 이름으로 나타난다. 이 중 '겹격음'은 옆이 막혔다는 '겹막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견마기'도 견(肩)은 '곁', 마기(亇只)는 '막이'로 이두식 한자 차용으로 '옆이 막힌 저고리'를 뜻한다.[1]

그동안 견마기(肩亇只)는 흔히 저고리의 겨드랑이 부분(腋間: 액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본래 예복용 저고리의 한 종류로, 당의보다는 격이 낮다.

2. 상세

조선 전기의 저고리는 길이에 따라 세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길이 70~80cm 정도의 옆이 트인 장저고리가 있는데, 장저고리는 17세기 이후에 당의로 변화한다. 둘째, 저고리 길이 60~70cm의 옆트임이 없는 저고리는 중저고리로, 특히 직금단 같은 고급 옷감을 사용한 것은 견마기(肩莫只)로 분류한다. 셋째, 50cm 정도의 옆트임이 없는 저고리는 단저고리이다.

조선의 여성들은 옷을 3, 4겹씩 겹겹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저고리는 각각 입는 것이 아니라 같이 입는 한 벌이다. 이를 가리켜 저고리 일작(一昨), 또는 저고리 삼작(三作)이라는 표현을 쓴다.[2]
초록색의 복숭아와 석류 문양 당저고리, 노란 송화색 포도 문양 저고리, 보라색의 복숭아와 석류 문양 저고리 각 한 작과 진홍 호롱박 문양 치마와 저주적삼모시를 섞어서 짠 거친 비단의 홑저고리이라.
《한중록》

한중록》에서 삼간택 전에 궁중에서 궁녀들이 나와 혜경궁 홍씨의 옷을 짓는 이야기가 나온다. 혜경궁 홍씨는 이때 새로 지은 옷으로 보라빛 속저고리, 연노랑 저고리, 초록 당의가 저고리 일작(一昨)을 이룬다고 썼다. 《 정미가례시일기》에서도 분홍 저고리, 송화색 저고리, 초록 당의를 일작으로 표기하고 있다. 즉, 속저고리·저고리·당의가 한 세트를 이루는 것이다.

17세기 이후에는 저고리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견마기도 짧아져서 덕온공주의 견마기처럼 짧은 견마기가 나오게 된다.
파일:견마기(덕온공주견마기)_석주선기념박물관.jpg
덕온공주 견마기

[1] 출처: 박성실·조효숙·이은주,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5. [2] 다만, 연구자에 따라 저고리 삼작(三作)은 셋이 모여 하나를 이루는 세트로서의 개념과 서로 다른 셋이 모이는 개념을 혼동하면서 나타나는 표현으로 본다. 출처: 김소현.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服飾 59.3 (2009): 96-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