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13:22:27

수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암석에 대한 내용은 수석(암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1000001482.jpg
2004년 주요 국가시험 수석합격자
파일:1000001480.png
2021년 서울대학교 단과대학별 수석졸업자


[clearfix]

1. 개요



특정 집단 내에서, 등수나 직위 등에서 제일 윗자리이다. 쉽게 말해 그 집단의 1등. 비슷한 용법으로 2등은 차석이라고 하며, 3등부터는 특별한 호칭이 없다. 간혹 3등을 삼석 또는 차차석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인 용례는 아니다.

대통령비서실에는 각 분야를 담당하는 수석비서관이 있다. 줄여서 OO수석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수석비서관 문서로.[1]

기업마다 다를 순 있으나, 대체로 기업 연구소에서 가장 높은 연구원 직위를 수석(연구원)이라 한다. 일반적인 직위로 비교하면 부장 고참 정도이며, 이 위로는 이사급인 연구소장이기 때문에 수석이라는 말 그대로 연구원의 최고봉을 의미한다.

2. 학교

중고생들 사이에서는 수석보다는 전교 1등이라는 표현을 쓰고, 대학교에 입학하면 (학과 내에 한정해서) 과탑으로 불린다. 물론 과탑도 은어에 불과하며 본래 '수석, 차석' 등이 올바른 표현이다.

정확히는 수석이나 차석 등은 특정 집단에서 어떤 업무나 일이 시작될때나, 완전히 끝날 때 보통 쓰이는 단어이며 유일성대표성을 내포하기에 그렇다. 입학 시험 수석은 원칙상 1명이다. 그래서 수석 입학, 수석 졸업은 있지만, 중간 고사 수석, 2학기 수석, 2학년 수석 등의 용례로는 쓰이지 않는 것이다. 중간고사 전교 1등, 2학년 1등 등의 개념은 확정적인 것이 아니며, 가변적이고, 계속 바뀐다.

미국에 많은 사립대학의 학부나 전문대학원을 졸업할 때 수석을 발레딕토리안(Valedictorian), 최우수 졸업을 숨마 쿰 라우데(Summa cum laude), 준최우수 졸업을 마그나 쿰 라우데(Magna cum laude), 우수 졸업을 쿰 라우데(Cum laude)로 칭한다. 발레딕토리안은 라틴어에서 기원한 영어고 나머지는 라틴어 단어들이다. 따라서 그것들을 라틴어 영예(Latin honors)라고 부른다. 공립 대학에서는 영어 high distinction, distinction 등을 쓴다. 미국도 20세기 초반까지만해도 한국처럼 1등부터 몇등까지 줄세우기를 했으나 현재는 거의 모든 기관들이 수석 혹은 차석은 발레딕토리안, 골드 메달, 실버 메달 등으로 따로 영예를 주나 나머지는 크게 그룹으로 묶어서 영예를 수상한다.

2.1. 초중고 수석입학 · 졸업자

2.2. 대학교 수석입학 · 졸업자

3. 시험

3.1. 대입시험 수석자

3.1.1. 예비고사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tablebgcolor=#ffffff,#1f2023> 학년도 || 성명 || 점수 || 출신 고교 || 진학 대학 || 약력 ||
1969 이윤섭 311 (360점 만점)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화학과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포스텍 석학교수
최왕욱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Hantronix, Inc. 대표
1970 임지순 274 (300점 만점)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서울대학교 교수
1971 오세정 274 (300점 만점)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서울대학교 교수, 총장
1972 한태숙 273 (300점 만점)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 한국과학기술원 교수
1973 허익렬 297 (330점 만점) 경기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학과 김앤장 변호사
1974 오내원 325 (350점 만점) 광주제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본부장
1975 송기호 312 (340점 만점) 대전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서울대학교 교수
1976 임희근 310 (340점 만점) 경기여자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출판기획번역 네트워크 '사이에' 대표이사
1977 신상훈 322 (340점 만점) 보성고등학교 불명[3]
1978 박석원 316 (340점 만점) 서울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LG전자 부사장, (주)테크로스 대표이사
1979 김용재 324 (340점 만점) 대전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신문학과 법무법인 정세 변호사
1980 김기영 334 (340점 만점) 해동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학과 김앤장 변호사
1981 오관석 330 (340점 만점) 부산진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학과 엘프스 법률사무소 변호사

흔히 예비고사 수석 근황이라고 검색되는 자료에는 예비고사 수석과 서울대 수석 입학이 혼재되어 있다. 81학년도를 제외하고는 본고사가 치러졌기 때문에 예비고사 수석과 서울대 수석입학은 엄연히 다르다. 이를 구분하지 않고 '수석' 타이틀로만 분류했기 때문에 생긴 혼동이다. 본고사가 존재했던 시기의 예비고사 수석들 중 서울대 수석입학 타이틀도 거머쥔 수험생은 70학년도 임지순, 71학년도 오세정, 72학년도 한태숙 등 3명 뿐이었다.

81학년도에는 본고사를 치르지 않았기 때문에 오관석은 서울대에 수석입학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1.2. 학력고사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tablebgcolor=#ffffff,#1f2023> 학년도 || 성명 || 점수 || 출신 고교 || 진학 대학 || 비고 ||
1982 원희룡 332 제주제일고등학교 서울대 법학과 사법시험 수석, 검사, 국회의원, 제주지사, 국토교통부 장관
1983 홍승면 339 고려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서울대 법학과 사법연수원 수석졸업.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
1984 황덕순 332 경성고등학교 서울대 경제학과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대통령비서실 일자리 수석비서관
장순욱 영신고등학교 서울대 법학과 서울행정법원 부장판사, 법무법인 LKB 변호사
송병호 김천고등학교 서울대 의예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강남 미래 이비인후과 원장[4]
1985 이미령 336 미림여자고등학교 서울대 물리학과 휴스턴 대학교 교수
1986 이준걸 332 경성고등학교 서울대 물리학과 홍익대학교 교수
오석태 숭실고등학교 서울대 경제학과 한국SG증권 이코노미스트
1987 김영용 332 동래고등학교 서울대 전자공학과 연세대학교 교수
김동균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서울대 물리학과
1988 정성태 331 충렬고등학교 서울대 물리학과 삼성전자 재직
이일완 서초고등학교 서울대 전자공학과 GCT Semiconductor 재직
1989 이종진 325 대신고등학교 서울대 화학공학과 S-OIL 재직
1990 양신호 333 대구고등학교 서울대 경제학과 ING 수석운용역
1991 한확 325 목포덕인고등학교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Ayla Networks 재직
1992 이학호 336 양정고등학교 서울대 물리학과 하버드 대학교 메사추세츠병원 교수
1993 민세훈 339 가락고등학교 서울대 법학과 딜로이트 컨설팅 파트너컨설턴트

  • 이들은 모두 서울대에 수석입학했다. 본고사를 치르던 예비고사 시절에는 예비고사 수석과 서울대 수석입학이 다른 경우가 많았으나, 학력고사 시절에는 내신 1등급의 범위가 넓어 최상위권은 다 1등급을 받았고 체력장 역시 대부분 만점이었으며, 1986~1987학년도 치러진 논술[5] 역시 변별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 자연계 수석이 의대에 진학하는 경우가 드물었는데 당시에는 의대의 인기가 요즘 같지 않았다. 수석들이 진학한 과를 보면 알겠지만 서울대 자연계 최상위과는 물리학과와 전자공학과였고, 의대는 중상위 정도에 불과했다. 물론 서울대 한정. 연고대부터는 의대가 최상위였다.
  • 어렵다 보니 만점이 없다. 이는 예비고사도 마찬가지. 대입 시험 최초의 만점자는 199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등장했다.
  • 여성 수석합격자는 1985학년도 이미령씨가 유일하다. 참고 기사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0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0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1.3. 대학수학능력시험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tablebgcolor=#ffffff,#1f2023> 학년도 || 성명 || 점수 || 출신 고교 || 진학 대학 || 비고 ||
1994-1차 배호필 198 (200점 만점) 성광고 서울대 전기·전자·제어공학과군 스탠퍼드대 박사. 애플 재직
1994-2차 윤건수 191 (200점 만점) 서울과학고 포항공대 물리학과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박사, 포스텍 교수
1995 정성택 194 (200점 만점) 부산과학고 서울대 전기공학부 삼성전자 부사장[6]
1996 이정원 188.6 (200점 만점) 서울과학고 서울대 전기공학부 삼성전자 부사장[7]
1997 서준호 373.3 (400점 만점) 대기고 서울대 물리학과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박사, 포항공과대학교 교수
1998 한상형 398.5 (400점 만점) 서울과학고 서울대 산업공학과 제주지검 부부장검사[8]
1999 오승은 400 (400점 만점) 한성과학고 서울대 물리학과 최초 국가대입시험 만점. UC 샌디에이고 교수
2000 박혜진 400 (400점 만점) 대원외고 서울대 법학과 만점. 김앤장 변호사
2001 만점자 66명 공동 수석
2002 박기범 394 (400점 만점) 덕원고 서울대 의예과
2003 윤재희 394.2 (400점 만점) 서현고 서울대 경영학과 삼성전자 재직
2004 채희동 393 (400점 만점) 청석고 서울대 의예과 서울대 전기전자공학부 재학 중 재응시


2005학년도부터 7차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전면 선택형 수능으로 전환되어 원점수가 사라지면서 단일 수석이란 말은 사라졌다. 하지만 여전히 입시 업체에서는 표준점수에서 원점수를 추정하여 최고득점자를 찾아 발표하고는 있다. 다만 원점수가 낮아도 표준점수가 더 높은 소위 '표점수석'도 있어 만점이 아닌데 만점자보다 더 높은 표준점수를 받는 경우도 있다. # 따라서 수석의 기준이 원점수냐 표준점수냐 명확치 않고 공식 발표가 아닌 추정이므로 공인된 수석 개념은 아니다.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는 제2외국어를 제외한 전 영역에서 선택과목 전면 폐지가 예고됨에 따라, 공식적인 단일 수석이라는 개념이 부활할 것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2. 국가시험 수석합격자

3.2.1. 법조

3.2.1.1. 사법시험
출신 대학란에 괄호로 전공을 병기하지 않은 경우 법과대학 출신이다.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tablebgcolor=#ffffff,#1f2023> 연도 || 회차 || 성명 || 출신 대학 || 비고 ||
1963 1회 서성 서울대 대법관
2회 정명택 서울대
1964 3회 김병헌 연세대
4회 송재헌 서울대
1965 5회 배기원 영남대 대법관
1966 6회 이건웅 서울대
1967 7회 김진세 서울대
8회 신명균 서울대
1968 9회 신승남 서울대 검찰총장
1969 10회 신정치 고려대
1970 11회 김승묵 서울대
12회 이진록 서울대 (사범대)
1971 13회 이영애 서울대 여성으로서는 최초의 수석합격자. 국회의원
1972 14회 양삼승 서울대
1973 15회 윤재기 서울대 강용석의 장인. 국회의원
1974 16회 박주선 서울대 국회의원
1975 17회 유성수 서울대 (공대)
1976 18회 강지원 서울대 김영란 대법관의 남편
1977 19회 권오곤 서울대 양창수 대법관의 처남.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 부소장
1978 20회 정해원 서울대
1979 21회 최동식 서울대
1980 22회 조재연 성균관대 대법관
1981 23회[9] 백창훈 서울대
1982 24회 임준호 서울대
1983 25회 김광태 서울대 서울고등법원장
1984 26회 서동우 서울대
1985 27회 김선수 서울대 대법관
1986 28회 한이봉 서울대
1987 29회 김소영 서울대 대법관
1988 30회 이용 서울대
1989 31회 이선애 서울대 헌법재판소 재판관
1990 32회 이영진 성균관대 헌법재판소 재판관
1991 33회 김은미 이화여대
1992 34회 원희룡 서울대 국회의원,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장관
1993 35회 권영준 서울대 대법관
1994 36회 김진오 서울대 김앤장 근무
1995 37회 정계선 서울대 이명박 1심 재판의 재판장
1996 38회 황승화 서울대
1997 39회 이시열 서울대[10]
1998 40회 정진아 서울대 (사회학과)
1999 41회 윤재남 연세대
2000 42회 정수진 고려대
2001 43회 박종우 서울대
2002 44회 이미선 서울대
2003 45회 차진석 경희대
2004 46회 홍진영 서울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2005 47회 최은경 서울대 (영문학과)
2006 48회 박정은 서울대
2007 49회 김기용 서울대 (경제학부)
2008 50회 이승일 서울대 (경영학과)
2009 51회 전재현 서울대
2010 52회 장민하 서울대
2011 53회 김수민 경북대
2012 54회 이호영 서울대 (경제학부)
2013 55회 신지원 이화여대
2014 56회 김신호 경찰대
2015 57회 천재필 한양대
2016 58회 정세영 카이스트 (전기및전자공학과)
2017 59회 이혜경 단국대
사법시험 폐지, 변호사시험으로 대체.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2.1.2. 변호사시험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tablebgcolor=#ffffff,#1f2023><rowcolor=#fff> 연도 || 회차 || 성명 || 출신 학부 || 출신 로스쿨 ||
2022 11회 조현 서울대 사회 성균관대
2023 12회 박용휘 고려대 자유전공 중앙대
2024 13회 최영준 연세대 철학 연세대

3.2.2. 행정

3.2.2.1. 행정고등고시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tablebgcolor=#ffffff,#1f2023> 연도 || 회차 || 성명 || 직류 || 출신 대학 ||
3급 공개경쟁채용시험
1963 1회 허만일[통합수석] - 경북대 일반사회교육
1964 2회 신만교[통합수석] - 서울대 법학
1965 3회 박삼규 행정 경북대 법학
김종남 재정 서울대 무역
1966 4회 최인기 행정 서울대 행정
박인주 재정 조선대 법학
1967 5회 전용태 행정 서울대 법학
김태연 재정 서울대 경제
1968 6회 김종민 행정 영남대 철학
이헌재 재정 서울대 법학
3급 을류 공개경쟁채용시험
1969 7회 조일호 행정 명지대 행정
성운기 재정 서울대 경영
1970 8회 오형환 행정 서울대 법학
이계식 재정 서울대 경제
9회 양승만 행정 중앙대 법학
류철 재정 서울대 경제
강영주 재정 서울대 경제
1971 10회 윤증현[통합수석] - 서울대 법학
1972 11회 김광식[통합수석] - 서울대 사회교육
12회 이희범[통합수석] - 서울대 전자공학
행정고등고시(3급 을류)
1973 13회 이윤호[통합수석] - 연세대 정치외교
14회 김우석[통합수석] - 건국대 무역
1974 15회 김영룡[통합수석] - 고려대 경영
1975 16회 박명재[통합수석] - 연세대 행정
17회 정병석[통합수석] - 서울대 무역
1976 18회 김대유[통합수석] - 서울대 무역
19회 변양호[통합수석] - 서울대 무역
1977 20회 권선택[통합수석] - 성균관대 경영
21회 정만원[통합수석] - 연세대 경영
1978 22회 신동식[통합수석] - 서울대 원자력공학
1979 23회 고승덕[통합수석] - 서울대 법학
1980 24회 신제윤[통합수석] - 서울대 경제
행정고등고시(5급)
1981 25회 엄종식[통합수석] - 연세대 행정
2010 54회
행정고등고시 폐지,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으로 개편.

3.2.2.2. 5급 공개경쟁채용시험 행정직군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tablebgcolor=#ffffff,#1f2023> 연도 || 회차 || 성명 || 직류 || 출신 대학 ||
2011 55회

3.2.3. 외교

3.2.3.1. 외무고등고시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tablebgcolor=#ffffff,#1f2023> 연도 || 회차 || 성명 || 출신 대학 ||
1968 1회 김삼훈 서울대 법대
1969 2회 홍정표 서울대 법대
1970 3회 최성홍 서울대 법대
1971 4회 한태규 서울대 법대
1971 5회 장기호 서울대 외교
1972 6회 최병효 서울대 외교
1973 7회 유병화 고려대 법대
1974 8회 이호진 서울대 법대
1975 9회 권영국 서울대 법대
1976 10회 홍훈 연세대 경제
1977 11회 정진민 서울대 외교
1978 12회 김상근 서울대 언어
1979 13회 권태면 한국외대 영어
1980 14회 한경구 서울대 인류
1981 15회 박원섭 한국외대 영어
1982 16회 설경훈 서울대 경제
1983 17회 권해룡 한국외대 독어
1984 18회 김홍균 서울대 영문
1985 19회 박은하[29] 연세대 사학
1986 20회 민경호 서울대 법대
1987 21회 이희섭 연세대 정치외교
1988 22회 이태로 한국외대 정치외교
1989 23회 박흥경 서강대 정치외교
1990 24회 김용현 서울대 외교
1991 25회 김선표 고려대 정치외교
1992 26회 김용길 한국외대 정치외교
1993 27회 황남기 동국대 인도철학
1994 28회 박수덕 성균관대 무역
1995 29회 윤지환 서울대 정치
임갑수 서울대 정치
1996 30회 이문희 고려대 영문
1997 31회 황성연 한국외대 불어
1998 32회 권성환 연세대 경영
1999 33회 이성환 서울대 외교
2000 34회 장부승 서울대 정치
2001 35회 박은주 연세대 인문
2002 36회 홍승태 서울대 경제
2003 37회 박준연 서울대 정치
2004 38회 김면선 서울대 생명
2005 39회 장혜정 서울대 영교
2006 40회 김제중 고려대 영문
2007 41회 안혜신 서울대 영문
2008 42회 박꽃님 연세대 경제
2009 43회 최종윤 서강대 영문
2010 44회 김현주 서울대 외교
2011 45회 정형권 서울대 외교
2012 46회 나근왕 서울대 외교
2013 47회 이종찬 서울대 경제
외무고시 폐지,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으로 대체.

3.2.3.2.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tablebgcolor=#ffffff,#1f2023> 연도 || 회차 || 성명 || 출신 대학 ||
2013 1회 홍다혜 서울대 외교
2014 2회 김미연 서울대 경제
2015 3회 박정훈 서울대 외교
2016 4회 김예지 서울대 외교

3.2.4. 자격증

3.2.4.1. 변리사시험
연도 회차 성명 출신 대학
2023 60회 박준우 서울대 화학
3.2.4.2. 세무사시험
연도 회차 성명 출신 대학
2009 35회 정정운 전남대 경영
3.2.4.3. 공인회계사시험
||<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tablebgcolor=#ffffff,#1f2023> 연도 || 회차 || 성명 || 출신 대학 ||
2001 36회 서원일 서울대 대학원
2002 37회 김형주 연세대 응용통계
2003 38회 이상은 서강대 경제
2004 39회 강은경 고려대
2005 40회 배상인 고려대
2006 41회 이선혜 경북대 경영
2007 42회 우현철 서울대
2008 43회 김종호 서울대
2009 44회 강병하 서울대 경제
2010 45회 이지선 연세대 수학
2011 46회 박성민 성균관대 경영
2012 47회 박동선 창원대 세무
2013 48회 오현지 서울대 경영
2014 49회 김선영 성균관대 경제
2015 50회 조원호 성균관대 영어영문
2016 51회 이샛별 이화여대 경영
2017 52회 주나현 서울대 경영
2018 53회 김용재 연세대 경영
2019 54회 남동신 서울시립대 세무
2020 55회 오준성 고려대 경제
2021 56회 김민지 서울대 정치외교
2022 57회 조길환 한양대 경영
2023 58회 문관우 연세대 경영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7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7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2.5. 기타



[1] 예를 들자면 정무수석비서관을 정무수석이라고 말한다. [2] 중학교 3년동안 모든 시험에서 만점을 받았다. [3] 당시 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서울대 의대를 지망한다고 밝혔으나 서울대 의대 졸업자 명단에 없다. 1992년 졸업한 국립암센터 신상훈 교수는 이름의 한자도 다르고 입학 시기도 맞지 않아 다른 사람이다. 서울대의 다른 학과 졸업생 중에 같은 이름이 몇 명 있으나 입학시기와 거리가 멀어 동일인이라 볼 수 없다. 따라서 입학 후 어떤 사정으로 중퇴했거나 아니면 처음부터 다른 대학으로 진학한 듯하다. [4] 탤런트 송윤아의 큰 오빠이기도 하다. [5] 서울대 논술 제목은 1986학년도 '현대인과 일의 보람', 1987학년도 '독서가 우리에게 주는 혜택'이었다. [6] 서울대 전기공학부 수석 졸업. 스탠퍼드 대학교 석·박사. 퀄컴, 도이치텔레콤, 맥킨지앤드컴퍼니 근무, 모보탭( 돌핀 브라우저 개발사) 총괄사장 역임 # [7] 스탠퍼드 대학교 석·박사. 삼성전자 DS부문 S.LSI사업부 모뎀개발팀장 역임. [8] 서울대 산업공학과를 자퇴하고 다시 서울대 법학부에 입학했다. [9] 1970년대까지는 고정된 합격자 수를 보장하지 않고 평균 60점 이상을 획득해야 제2차 시험에 합격할 수 있어 한 자리 수의 합격자만을 내는 경우도 있었고, 합격자 전원이 판사, 검사로 임용될 수 있었으나, 1981년 제23회 사법시험 때부터 300명으로 합격 정원이 증원되었고, 제38회 사법시험에서는 500명을 선발한 이후 매년 100명씩 증원되어 제43회 이후부터는 1,000명 내외를 선발하고 있다. [10] 이시열 변호사는 서울대 물리학과를 나와 이학석사학위를 취득한 후에 법대에 다시 들어갔다.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통합수석] [29] 여성 최초 수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5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5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