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상수 Mathematical Constant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math(0)] (덧셈의 항등원) |
[math(1)] (곱셈의 항등원) |
[math(sqrt{2})] (최초로 증명된 무리수)[math(^\ast)] |
[math(495)], [math(6174)] ( 카프리카 상수) |
[math(0)],
[math(1)], [math(3435)], [math(438579088)] ( 뮌하우젠 수) |
[math(pi)] (원주율)[math(^{\ast\ast})] |
[math(tau)] (새 원주율)[math(^{\ast\ast})] |
[math(e)] (자연로그의 밑)[math(^{\ast\ast})] |
[math(varphi)] (황금비)[math(^\ast)] |
[math(i)] (허수단위) |
|
[math(G)] (카탈랑 상수)[math(^{\ast?})] |
[math(zeta(3))] (아페리 상수)[math(^{\ast\ast?})] |
[math({rm Si}(pi))] (윌브레이엄-기브스 상수)[math(^{\ast?})] |
[math(gamma)]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math(^{\ast?})] |
[math(gamma_n)] (스틸체스 상수)[math(^{\ast?})] |
|
[math(Omega)] (오메가 상수)[math(^{\ast\ast})] |
[math(2^{sqrt{2}})] (겔폰트-슈나이더 상수)[math(^{\ast\ast})] |
[math(C_n,)] (챔퍼나운 상수)[math(^{\ast\ast})] |
[math(A,)] (글레이셔-킨켈린 상수)[math(^{\ast?})] |
[math(A_k,)] (벤더스키-아담칙 상수)[math(^{\ast?})] |
|
[math(-e, {rm Ei}(-1))] (곰페르츠 상수)[math(^{\ast?})] |
[math(mu)] (라마누잔-졸트너 상수)[math(^{\ast?})] |
[math(B_{2})], [math(B_{4})] (브룬 상수)[math(^{\ast?})] |
[math(rho)] (플라스틱 상수)[math(^\ast)] |
[math(delta)], [math(alpha)] (파이겐바움 상수)[math(^{\ast?})] |
|
[math(G)] (란다우 상수)[math(^{\ast?})] |
[math(C_A)] (아르틴 상수)[math(^{\ast?})] |
||||
[math(^{\ast?})]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 밝혀지지 않음 |
1. 개요
(독일어)Münc(h)hausen-Zahl[1] / 뮌하우젠 數 / Münc(h)hausen number음이 아닌 정수 [math(n)]과 [math(i)], [math(0\leq a_i\leq 9)]인 정수 [math(a_i)]에 대하여
[math(n=\displaystyle\sum_{i=0}^{\lfloor{\log n}\rfloor} 10^i a_i=\displaystyle\sum_{i=0}^{\lfloor{\log n}\rfloor} {a_i}^{a_i}\left(=\sum_{i=0}^{\lfloor{\log n}\rfloor} a_i \uparrow\uparrow 2\right))]
[2]를 만족시키는 [math(n)]을 뮌하우젠 수라고 한다. 이때 [math(\log)]는 상용로그이다. 쉽게 말해 십진법으로 나타낸 음이 아닌 정수에 대하여, 각 자리를 그 자릿값만큼 거듭제곱한 결과를 모두 더하면 자기 자신이 되는 정수가 뮌하우젠 수라는 뜻이다. 본래 [math(0^0)]은 정의되지 않지만, 뮌하우젠 수에서는 [math(0^0=0)]으로 정의하여, 숫자 0을 포함하는 수도 뮌하우젠 수가 되도록 한다.
2. 찾는 과정
정수 [math(n=\displaystyle\sum_{i=0}^{\lfloor{\rm{log}\;n}\rfloor} 10^i a_i)]에 대하여 [math(S(n)=\displaystyle\sum_{i=0}^{\lfloor{\rm{log}\;n}\rfloor} {a_i}^{a_i})]으로 놓으면, [math(m=\lfloor{\rm{log}\;n}\rfloor+1)]에 대하여 [math(S(n))]의 최댓값은 다음과 같다.[math({\rm{max}}_n\{S(n)\}=S(10^m-1)=9^9m)]
곧, [math(n)]이 [math(m)]자리 수일 때, [math(S(n))]이 최대한 커지려면 [math(m)]자리 정수 [math(n)]의 모든 자릿수가 [math(9)]여야 하기에 [math(S(n))]의 최댓값은 [math(9^9m)]이라는 말이다.
이때 자연수 [math(m)]에 관한 지수 방정식 [math(9^9m<10^{m-1}-1)]의 해는 [math(m\geq 11)]이다( 풀이).
이는 11자리 이상의 양의 정수는 무조건 [math(S(n)<n)]이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서 [math(n\geq 10^{10})]인 정수 [math(n)]은 [math(S(n)=n)]이 될 여지가 없으므로 뮌하우젠 수가 아니다.
한편 [math(S(n))]은 [math(0)] 또는 양수의 양수 거듭제곱들의 합이므로 음수가 될 수 없다.[3] 따라서 음수는 뮌하우젠 수가 될 수 없다.
음수와 11자리 이상의 정수가 뮌하우젠 수가 아니라는 사실은 뮌하우젠 수의 개수가 유한함을 함의한다. 따라서 [math(10^{10}-1)] 이하의 음이 아닌 정수 [math(n)]에 대해서만 계산을 실행해 보면 모든 뮌하우젠 수를 찾아낼 수 있는 셈이다.
3. 목록
원칙적으로 뮌하우젠 수는 [math(1)]과 [math(3435)]밖에 없어야 한다.[math(1=1^1,\;3435=3^3+4^4+3^3+5^5)]
그러나 원래는 정의되지 않는 [math(0^0)]의 값을 [math(0)]으로 정의한다면 [math(0)]과 [math(438579088)]도 뮌하우젠 수가 된다.
[math(\begin{aligned}0&=0^0\\438579088&=4^4+3^3+8^8+5^5\\&+\;\!7^7+9^9+0^0+8^8+8^8\end{aligned})]
최종적으로, 뮌하우젠 수는 [math(0)], [math(1)], [math(3435)], [math(438579088)] 딱 네 개밖에 없다.
3.1. 아깝게 뮌하우젠 수가 되지 않는 수
여기에서는 딱 한 자리의 값이 달라서 뮌하우젠 수가 되지 않는 수를 적는다. 단, 다음을 주의한다.[math(a_n=10^n+32)]([math(n\geq 2)])라 하면 [math(a_2=132, a_3=1032, a_4=10032,\cdots)]가 된다. 그러면
[math(n)] | [math(a_n)] | [math(S(a_n))] | [math(a_n-S(a_n))] |
[math(2)] | [math(132)] | [math(32)] | [math(100=10^2)] |
[math(3)] | [math(1032)] | [math(32)] | [math(1000=10^3)] |
[math(4)] | [math(10032)] | [math(32)] | [math(10000=10^4)] |
⋮ | ⋮ | ⋮ | ⋮ |
[math(k)] | [math(1\overbrace{00\cdots00}^{0\textsf 이\;(k-2)\textsf 개}32)] | [math(32)] | [math(1\overbrace{00\cdots00}^{0\textsf 이\;k\textsf 개}=10^k)] |
한편, 이런 수들 중에서는 [math(18574367)]과 [math(18577465)]처럼 자리의 값이 서로 유사한 수들이 많다.
3.1.1. 일의 자리
- [math(3\color{red}2)]
[math(3437833\color{red}8)]
[math(3^3+4^4+3^3+7^7+8^8+3^3+3^3+8^8=3437833\color{red}9)]
[math(43858908\color{red}7)]
[math(4^4+3^3+8^8+5^5+8^8+9^9+0^0+8^8+7^7=43858908\color{red}8)]
3.1.2. 십의 자리
- [math(168244\color{red}3\color{black}3)]
- [math(176508\color{red}3\color{black}4)]
3.1.3. 백의 자리
- [math(16824\color{red}3\color{black}43)]
- [math(18477\color{red}5\color{black}65)]
3.1.4. 천의 자리
- [math(1682\color{red}3\color{black}443)]
- [math(1847\color{red}5\color{black}367)]
3.1.5. 만의 자리
- [math(11798\color{red}9\color{black}2492)]
- [math(11799\color{red}9\color{black}8665)]
3.1.6. 십만의 자리
- [math(1\color{red}7\color{black}50217)]
- [math(1\color{red}7\color{black}50472)]
- [math(18\color{red}5\color{black}74367)]
- [math(18\color{red}5\color{black}77465)]
- [math(18\color{red}6\color{black}17617)]
3.1.7. 천만의 자리
- [math(\color{red}2\color{black}6824423)]
[1]
h를 한 번 쓰기도 하고 두 번 쓰기도 한다. 이에 따라 뮌하우젠 수를 '뮌히하우젠 수'라고도 한다.
[2]
를 여러 개 사용하여 [math(n)]차 연산을 표현하는 방식을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이라고 하며, 그 중 윗화살표를 두 번 쓰는 연산을 4차 연산, 즉
테트레이션이라고 한다.
[3]
(음수)(음수)는
정수가 아닌 유리수(음의 정수) 혹은
허수(정수가 아닌 음수)이다. (예) [math((-2)^{-2} = \dfrac14 ,\, \left(-\dfrac12 \right)^{-\frac12} = -\sqrt{2}i)]) 유일한 예외로, [math(-1)]의 자기제곱은 자기 자신이 된다([math((-1)^{-1} = \dfrac{1}{-1}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