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1) | 156 | 204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323(-1) | 349 | 356 | |
401[A] | 403 | 405 | 410(-1) | 413 | 425 | |
449 | 503 | 509 | 518 | 518-1 | 523 | |
524 | 527 | 564 | 600[A] | 609 | 618 | |
623 | 649 | 650 | 651 | 653 | 655 | |
706 | 708 | 719 | 724 | 726 | 730 | |
750 | 805 | 808 | 814 | 836 | 840 | |
849(-1)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
세진교통 차량 | 우진교통 차량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64번 | |||||
|
|||||
기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매곡리공영차고지) | 종점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범물1동행정복지센터)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05:30 |
막차 | 22:45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11분 (일 104회) |
주말배차 |
공휴일: 13분(일 93회) 토요일: 11분(일 104회) |
||
운수사명 | 세진교통, 우진교통 | 인가대수 | 20대[1][2] | ||
노선 | 매곡리공영차고지 - 대실역 - 계명대학교동문 - 성서우체국 - 대구비지니스센터 - 남대구IC - 본리네거리 - 서부정류장 - 영대병원역 - 봉덕시장 - 중동시장 - 덕화중학교 - 동아백화점 수성점 -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
중간 출발 정류소 | |
범물동 방면 | 계명대학교 동문 |
매곡 방면 | 서부정류장평일, 토요일, 봉덕시장,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토요일, 공휴일 |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매곡리공영차고지(5)에서 달서구 남대구IC(6)[3]를 거쳐 수성구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4)까지 운행하는 세진교통, 우진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47.1km. 전체 정류소 목록3. 역사
좌석버스 시절의 모습. 대일버스 차량이다.
- 1998년 5월 5일 개편으로 신설된 노선이다.[4] 당시에는 좌석버스였고, 성서아파트단지와 성서공단네거리 대신 매곡리에서 달구벌대로를 타고 계속 직진해 죽전네거리에서 우회전해 본리네거리로 내려왔다.[5] 그러다가 그 해 6월 성서 구간이 지금의 노선으로 변경되었고, 미리내맨션 방면 분리 구간이 신설됐다.
- 1999년 봉덕시장 경유 노선이 범물동 방면에 한해 중동네거리 ~ 구)정화여고[6] ~ 상동시장[7] ~ 화성요양원 ~ 수성못 구간으로 변경되었다가[8] 상동시장, 화성요양원 대신 덕화중학교를 경유해 들안길삼거리로 내려오는 것으로 변경되었으며 매곡리 방면은 따로 변경 없이 상동네거리에서 신천동로를 경유하여 중동교에서 좌회전했다.
- 2001년 범안로 개통과 대구월드컵경기장 개장에 맞추어 403번과 더불어 사월보성아파트까지 연장되었다. 당시 403번, 564번 모두 증차없이 노선만 연장해 배차간격이 늘어 크게 비판받았다.
- 2006년 2월 19일 개편 때 604번에 대구스타디움, 사월동 구간을 넘기고 범물1동으로 재단축되었다. 미리내맨션과 봉덕시장 방면 분리 구간은 봉덕시장으로 다시 재통합되었고 중동교~중동네거리~정화우방팔레스~수성초교~덕화중학교~들안길삼거리 구간을 왕복 운행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9]
- 2006년 10월 통합요금제 실시 때 일반버스로 형간 전환했다.
- 2015년 8월 1일 개편으로 운행 업체들이 세진교통과 우진교통으로 변경됐다.[10] 564번을 같이 공동 배차하던 신흥버스와 대일버스는 564번 대신 503번을 공동 배차 중이다.[11]
- 2018년 8월 중순부터 대구물류터미널 정류소에 정차한다.[12]
4. 특징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간선 노선들 가운데 중간자리 6이 들어가는 유일한 노선이다.[13]
- 지산범물지구에서 서부정류장이나 성서까지 비교적 직선으로 연결해 주는 노선이라 승객이 많으며, 이 지역 노선 중에서 지하철역( 영대병원역)으로도 가장 빨리 연계되는 노선이기도 해서 수성구 지역에서 이 노선을 타고 영대병원역에서 지하철로 환승하는 승객들도 많았으나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이 같은 수요는 다소 줄었다. 다만 3호선의 수혜를 보지 못하는 중동, 상동이나 달서구( 월배), 화원 방면으로 갈 땐 3호선보다 564번을 타고 영대병원역에서 환승하는 것이 소요시간이 더 적게 소요된다. 성서에서도 1호선까지 가장 빨리 연계해주는 노선이기도 하다.[14] 성서 주거단지에서 성서산단과 서부정류장을 가장 시원하게 이어주는 것으로 유명한데, 성서산단의 넓은 도로와 넓은 구마로를 경유한다는 점에 신속성이 더해져[15] 수성구와 성서 지역 양쪽에서 인기가 많아 배차 간격도 준수하며 감차된 적도 없다. 또한 계명대학교를 경유하는지라 남대구IC 정류장 기준으로 주요 등교 시간인 오전 7~9시 사이에는 굉장히 혼잡하다. 2015년 개편 이후 564번과 비슷한 역할을 하던 805번이 단축되는 바람에 805번을 타던 승객이 564번에 몰려서 더더욱 혼잡해졌다. 계대생이라면 해당 시간보다 일찍 나오는 것을 추천한다. 특히나 사람이 다소 많이 타는 정류장인 서부정류장을 시작으로 주거밀집 구역을 지나는 데다 중간에 성서산단을 경유하기 때문에 성서산단에 출근하는 사람이랑 합쳐져서 가축수송이 장난이 아니다. 당연히 승객 수요도 혼잡 노선일 정도로 상당하다.
- 2006년 10월에 좌석간선이 전부 일반으로 형간전환된 뒤에도 가장 마지막까지 좌석버스만 운행했던 노선이기도 하다.[16]
- 2009년 다시 범물동에서 사월동으로 재연장될 뻔했다. 정확히는 당시 사월동~설화리 구간을 운행하던 604번을 사월동 대신 가창면 대일리로 바꾸고 설화리 대신 논공읍으로 연장하려고 했는데 사월동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서 564번을 연장하려고 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바꾸면 수요가 나오지 않는다고 604번을 운행하는 세진교통의 반대로 무산되었으며 대신 604번은 2012년 2월 18일 대구스타디움~시지지구~사월동 구간 대신 대공원역~연호네거리~범안로~율하지구~ 동호공영차고지로 조정되었다.[17] 2012년 2월 18일 604번이 동호공영차고지로 변경되면서 403번이 증차 없이 사월동 구간을 단독으로 맡게 되자 564번을 다시 사월동으로 재연장시키자는 민원들이 많았지만 증편 차량 부족을 이유로 무산되었다.
- 퇴근시간인 5시 30분에서 7시 사이에는 버스는 버스대로 미어터지고, 이 시간의 남대구IC는 지옥과도 같은 러시 아워라서, 탑승객이 슬슬 타기 시작하는 성서우체국에서 주요 하차 지점인 서부정류장까지 564번을 타고 가면 40분 넘게 걸린다.[18]
- 524번과 기종점만 반대일 뿐 출발지점과 종료지점이 동일하다.
- 시내버스 탑재형 불법주정차 단속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는 노선 중 하나이다.
- 개편 전 스티커 행선판은 다사(매곡) ← 서부정류장 → 범물동, 다사 - 서부정류장 - 중동교 - 범물동 이었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64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0,992명 | - |
2015년 | 10,379명 | ▽ 613 |
2016년 | 12,044명 | △ 1,665 |
2017년 | 11,742명 | ▽ 302 |
2018년 | 11,778명 | △ 36 |
2019년 | 11,110명 | ▽ 668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8,682명 | ▽ 2,428 |
2022년 | 8,790명 | △ 108 |
2023년 | 9,284명 | △ 494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 201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805번의 성서권역 수요를 흡수하면서 해당 노선의 일평균 승차량이 증가했다.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서부정류장역, 대명역, 안지랑역, 현충로역, 영대병원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대실역, 강창역, 계명대역, 성서산업단지역[19]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수성못역[20], 지산역[21], 범물역, 용지역
6. 둘러보기
대구 성서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성주 | 250 |
대구 지산범물 연계 버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급행3 |
순환 | ||
간선 | ||
지선 | ||
출근 | 8140 |
영남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산캠퍼스 | ||||
정문 | 309 | 449 | 509[동문] | 609 | |
649 | 719 | 840 | 909 | ||
980 | |||||
100[가지1] | 109 | 399[가지2] | 803 | ||
809 | 911 | 918 | 990[가지3] | ||
991 | 경산1-1 | 경산3 | 압량1 | ||
동문 | 309 | 509 | 609 | 719 | |
980 | 991 | ||||
후문 | 509[소라] | 100 | 109 | 990 | |
경산1-1 | 경산2-1 | 남산1 | 남산2[정평역] | ||
용성1[정평역] | |||||
시외버스 | 경산 ↔ 포항 | 경산 ↔ 울산 | |||
대구캠퍼스 | |||||
대구고등학교 | 349 | 405 | 410-1 | 503 | |
649 | |||||
영대병원역 | 564 | 남구1-1 | 순환3-1 | ||
영남이공대학교 | 300 | 306 | 518 | 651 | |
달서4-1 | |||||
[동문]: 영남대 동문 방면 [가지1]: 윤성A-삼주A 가지 노선 한정 [가지2]: 자인~마곡 가지 노선 한정 [가지3]: 가일~서문시장~자인 가지 노선 한정 [소라]: 소라아파트 방면 [정평역]: 정평역 지원 운행 한정 |
계명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성서캠퍼스 | ||||
동문 | 급행1 | 급행5 | 급행7 | 405 | |
425 | 503 | 523 | 524 | ||
527 | 564 | 7250 | |||
달서1 | 달서3 | 달서5 | 성서1-1 | ||
정문 | 급행1 | 524 | 527 | 564 | |
655 | 성서2 | 250 | |||
대명캠퍼스 | |||||
정문 | 순환2-1 | 509 | 650 | 706 | |
805 | 836 | 달서4-1 | |||
후문 | 609 | 808 | 남구1-1 | ||
대명공연거리 | 300 | 306 | 518 | 609 | |
651 | 808 | 남구1-1 | 달서4-1 |
[1]
세진교통 9대 / 우진교통 11대
[2]
토요일은 19대, 공휴일은 17대로 운행
[3]
과거엔 중간 경유지의 권역번호 중복 때문이라 서술돼 있었으나, 서부정류장이 있는 성당네거리 자체가 송현동이며 성당네거리는 시내버스 권역 번호
5번, 6번, 0번이 삼중 교차하는 경계지점이다. 그러므로 확실히 0권역을 경유하는 504번을 의식해 곧바로 대체할 만한 6을 넣어 564를 완성한 것이며, 마찬가지로 156번 또한 남대구IC를 지나서 6번이 아닌 신흥버스 앞에 있는 교차로의 서쪽만 하더라도 믿기지 않겠지만 대천동, 즉 6번 권역이라 문제없이 156이 된 것이다. 물론 남대구IC 자체가 권역 번호를 나누는 기준인 건 맞다. 앞서 언급한 신흥버스 역시 5번 권역의 가장 끄트머리에 있어 번호가 부족할 경우 권역 번호 6을 쓰더라도 문제가 없다. 당장 버스 권역과 개념과 원리가 겹치는 소방 관할만 보더라도 모다아울렛이 있는 곳은 성서 지역을 관할하는 강서소방서 본서가 직접 담당하지만 모다아울렛 바로 건너편(달성습지 방향)은 강서소방서 소속임에도 6번 권역을 관할하는 대천119안전센터의 지역이다.
[4]
동시기에 폐지된 순환형 노선 101번과 111번의 일부 구간을 계승하였다. 이 101번은 현재 순환형 노선인
101(-1)번과는 전혀 다른 노선이다.
[5]
1998년 개편 전 101번 구간과 유사하며, 2015년 개편 전
805번의 경로이다.
[6]
現 정화우방팔레스
[7]
일방통행이다.
[8]
신천동로의 구조상 중동교에서 바로 상동교로 내려가는 게 불가능해 이렇게 우회해 운행했다.
[9]
대신 예전의 564번이 운행하였던 상동우체국 편도 구간은
604번에 넘겼으나, 2013년 말
604번이 더 이상 덕화중학교 구간을 운행하지 않고 상동네거리 왕복으로 변경되어 수성초교 ~ 미래아트빌 ~ 상동지구대 구간은 564번만 들어간다.
[10]
이번 개편으로
세진교통이 수성구 등 동편뿐만 아니라 성서 등 서편 여러 노선의 참여도 제법 늘었다.
[11]
503번은 신흥버스의 단독이었으나 공차거리를 줄여보고자 대일버스가 들어갔다...는 대일 기준으로도
북구 쪽 차량이 모자라서 지원하는 개념이나 다름없어서 공차거리는 조금 줄어든 정도.
[12]
신설 정류소이며 정식 정차는 8월 20일부터. 사실 이 정류소에 정차하는 건 정류소 폴대가 생기자마자 시행했다.
[13]
그 이유라면 6권역인
월배와
달성군은 외곽지고 차고지가 많아서 거의 다 이 차고지들을 기/종점으로 삼고 운행하기 때문이다.
[14]
503번은 용산동을 경유해 약간 굴곡이 있으며
안지랑역까지 가야 한다. 518번 역시
달구벌대로를 경유하며 성서를 사실상 스쳐가는 데다
본리동과
성당동 안쪽을 경유한다.
[15]
하지만
남대구IC의
헬게이트가 당첨되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6]
당시 대일버스 노선 중 좌석버스 출신 노선은 564번 하나였기 때문에 대일버스의 좌석형 차량들이 564번으로 몰빵되었기 때문이다.
[17]
정평동~대평동 구간을 경유하여 반야월역으로 가려 했으나,
경산버스에게 태클먹고 범안로로 바꾼 것이다.
[18]
성서119안전센터부터 대구비지니스센터 앞까지는 느리게라도 가지만 성서공단네거리에서 좌회전 후 서부정류장까지는 자전거가 더 빠를 만큼 엄청 막힌다. 평소에는 빠르면 20분 늦어도 30분 내로는 주파한다.
[19]
성서119안전센터 또는 성서우체국 정류장
[20]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동부사업소 정류장
[21]
동아스포츠센터(지산중학교)/동아스포츠센터(지산초교)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