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01b3ed> | }}} | ||||
[[틀:대구광역시 급행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82026; font-size: 13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01 101-1 |
156 | 204 | 234 | 240 | 300 |
304 | 306 | 309 |
323 323-1 |
349 | 356 | |
401[A] | 403 | 405 |
410 410-1 |
413 | 425 | |
449 | 503 | 509 | 518 | 518-1 | 523 | |
524 | 527 | 564 | 600[A] | 609 | 618 | |
623 | 649 | 650 | 651 | 653 | 655 | |
706 | 708 | 719 | 724 | 726 | 730 | |
750 | 805 | 808 | 814 | 836 | 840 | |
849 849-1 |
909 | 937 | 939 | 980 | ||
[a] 맞춤버스 (지원)운행 노선
|
|
|
우주교통 차량 | 우진교통 차량 |
1. 노선 정보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27번 | |||||
|
|||||
기점 |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 동명교통) | 종점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 ( 매곡리공영차고지) |
||
종점행 | 첫차 | 05:30 | 기점행 | 첫차 | [평일] 05:30 / [공휴일] 05:32 |
막차 | [평일] 22:30 / [공휴일] 22:23 | 막차 | 22:30 | ||
평일배차 |
10분 (일 116회) |
주말배차 |
11분 (일 105회) |
||
운수사명 | 우주교통, 우진교통 | 인가대수 | 25대[1][2] | ||
노선 | 매곡리공영차고지 - 대실역 - 계명대학교동문 - 조달청 - 용산2동 행정복지센터 - 용산1동 행정복지센터 - 죽전네거리 - 두류역 - 새길시장 - 원대동 행정복지센터 - 팔달시장 - 태전역 - 대구과학대학교 - 칠곡시장 - 동명교통 |
중간 출발 정류소 | |
동명 방면 | 비산지하도, 두류역, 용산2동행정복지센터, 계명대학교동문 |
다사매곡리 방면 | 죽전네거리평일, 토요일, 반고개, 원대동행정복지센터, 농수산물도매시장, 태전역평일, 토요일, 칠곡중학교(칠곡향교)공휴일 |
2. 개요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공영차고지(5)에서 서구 비산2.3동 서부시장(2)을 거쳐 경상북도 칠곡군 동명면 금암리 동명교통 차고지(7)까지 운행하는 우주교통, 우진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왕복 운행거리는 59.8km. 전체 정류소 목록3. 역사
- 1998년 5월 개편 때 527번으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고 동명 대신 학정동으로 종점을 변경하였다. 당시 이 노선은 이곡역에서 성서아파트단지로 우회전했던 다른 노선들과 달리 성서네거리( 성서산업단지역)에서 우회전했다. 칠곡에서 성서산단으로 출퇴근하는 근로자들의 편의를 위해서 이렇게 운행한 듯하다.
- 1999년 동명면 주민들의 민원 때문에 동명으로 종점을 환원했다. 이 당시는 북부정류장을 양방향 경유했지만 얼마 안 돼 직선화했다.
- 2006년 2월 개편 때 칠곡2지구 굴곡 구간이 폐지되었다.[5]
- 2006년 10월 통합요금제 실시 때 일반버스로 형간 전환했다.
- 2009년 4월 개편 때 경신교통에서 521번 차량 2대를 증차했다.
- 2012년 10월 20일 세한여객 배차분 4대가 급행4번으로 이동했다. 이를 메우기 위해 우주교통이 609번 출신 차량 4대를 527번에 투입했다. 이 때부터 우주교통이 527번 공동 배차에 참가한다.
- 2015년 8월 대구 시내버스 노선 개편 때 경신교통과 해피투게더 세한여객 대신 우진교통이 527번 배차에 참여한다. 세한여객과 우주교통은 356번과 527번 지분을 맞교환했다.
- 2022년 1월 22일에 우주교통 저상버스 1대가 칠곡1번으로 이동했고 우진교통에서 순수증차분 1대를 증차한다.
- 2022년 3월 31일 칠곡6번의 신설에 따라 우주교통 차량 4대가 감차되고 우진교통에서 4대 증차되었다. 인가대수는 변함없다.[6] 우진교통의 증차분은 655번에서 감차된 4대이다.[7]
- 2023년 2월 18일부로 중간종료가 폐지되었다.
4. 특징
- 이용객 Top 10 안에 꾸준히 드는 고수요 노선으로, 이용객 수 3위까지 차지하였을 정도다. 성서 경유 버스 중 503번의 이용객을 제친 적 있는 몇 안되는 버스다. 성서와 칠곡을 오가는 장거리 수요, 성서, 칠곡과 서구를 오가는 수요, 성서 내부 통학 수요와 번화가 상권 수요, 도시철도 환승 수요 등 여러 수요가 풍부하다. 다른 수요 상위 노선 726번, 401번, 937번, 503번과는 달리 백화점을 경유하지 않아[8] 쇼핑을 목적으로 한 수요는 별로 없고, 726번(관문시장), 401번(칠성시장)처럼 3대 재래시장을 전혀 경유하지 않고[9], 726번(서부정류장, 북부정류장,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401번(대구역, 동대구역,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937번(동대구역,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와 달리,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단 하나, 그것도 수요가 적은 곳을 경유함에도 이 정도 수요로 사실상 거주지 수요로는 1등이다.
- 2015년 8월 급행7번의 신설로 527번의 수요가 일부 분산됐다. 급행7번은 헬게이트 구간인 팔달교~ 만평역를 아예 피해 직선으로 운행하기에 서대구로가 아닌 달서로를 경유해 굴곡이 있는 527번보다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고, 계명대학교 통학 수요가 폭증하면서 급행7번이 입석을 기본으로 세워서 다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급행7번은 배차간격이 너무 길고 금호지구 굴곡이 있는 데다가 성서 중심부 택지지구를 경유하지 않고, 급행7번을 제외하면 성서, 서구, 칠곡을 잇는 사실상 유일한 노선이라 여전히 수요 순위 Top 10에 랭크되어 있는 위엄을 보여주고 있어서 수요 분산 효과가 크지 않다. 3호선이 있어도 코웃음으로 일관하다시피하는 중.
- 모든 차량의 측면 행선판 및 일부 후면 스티커형 행선판에는 여전히 경유지 중 용산역을 경유한다고 되어 있는데 용산역을 경유하긴 하나, 일부 출구와 머니 조심하자. 용산역 코앞에서 우회전해 용산1동으로 올라가 버린다. 버스운영과 공무원들은 측면 행선판에 전체 정류소를 표기하는 게 아니라 그 노선이 대략 어디쯤 지나가는지를 표기하기 때문에 노선 변경이 있을 때 바꾸겠다고 답변했지만, 527번이 용산네거리를 지난다 해도 용산역과는 도보로 차이가 꽤 많이 나며 측면 행선판에는 조달청 다음이 곧바로 용산역이라 405번, 달서5번처럼 조달청 이후 곧바로 용산역으로 내려오는 줄로 오해할 소지가 있기 때문에 매우 문제있는 발언이다.[10] 다만 2020년 11월부터 땜질처방이긴 하지만 계대동문 - 용산역 → 계대동문 - 용산네거리로 변경되어 전 차량에 부분적으로 재부착됐다. 따라서 위 문제점도 해결된 듯 하다.
- 종점인 동명교통에서 원대오거리까지의 직진 구간은 급행3번과 100% 겹친다. 427번의 폐지[11], 730번의 홈플러스 칠곡점, 근로복지공단 대구병원, 50사단 정문(호국로) 경유로 인해 칠곡중앙대로를 일직선으로 관통하는 유일한 일반버스 노선이 되어 527번은 이 구간에서 급행3번의 보조 역할을 한다.
- 승객 수가 726번, 401번, 724번, 706번, 937번 등과 함께 상당히 많은 노선이라 차량 소모를 감안해서 어느 업체가 맡든 신차가 우선 투입되거나 다른 노선에서 넘어와도 연식이 비교적 준 최신인 차량이 투입되고 있다.
- 2011년 해피투게더 세한여객에서 527번 최초로 저상버스 1대를 투입했다. 수요가 많은 401번, 706번, 726번 등의 노선에 저상버스를 투입했다가 철수시켰던 사례들이 있었지만, 527번을 운행하는 저상버스는 고장이나 사고 없이 외관상으로도 출고 직후와 거의 변화가 없을 정도로 관리를 잘 했다. 2015년 8월 개편으로 세한여객이 527번의 배차에 철수해 그 차량이 타 노선으로 이동했다. 대신 우진교통이 저상버스를 527번에 2대 투입했다.
- 장기 정차지는 동명교통 차고지다. 매곡리공영차고지에서는 10분 대기 후 출발한다.[12]
- 2015년 노선 개편 이후 노선의 혼잡도는 3호선과 급행7번으로 승객들이 분산된 덕분에 예전보다 제법 여유로워졌음에도 불구하고 버스운영과가 202(-1)번의 폐지로 인한 용산지구의 불편을 해소한다는 명분으로 칠곡1(-1)번에서 1대씩 감차하여 527번에 증차하였다.[13] 중요한 건 이렇게 기를 쓰고 527번을 증차해도 용산지구 주민들은 202(-1)번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는 것과 527번의 증차는 202(-1)번를 대체할 수 없거니와 503번의 혼잡도 완화에도 전혀 도움이 안 된다. 근거로는 202(-1)번 폐지에 반발하는 주된 이유가 용산지구에서 용산역으로의 환승이 불편해진 것뿐만 아니라 202(-1)번 노선 선상에 있던 학교로의 통학이 불편해졌고 용산지구에서 서부정류장으로 가서 시외버스를 타거나 관문시장에서 장을 보는 등 대중교통 이용을 끝내는 수요보다 서부정류장역(당시 성당못역)에서 타 노선이나 1호선의 다른 역으로 환승한다는 중간 과정이 있는데, 이게 단절되어 버린 것이다. 결과적으로 환승을 한 번만 하게 될 걸 두 차례씩이나 하게 만들었고 이용해야 할 노선의 배차간격은 긴데 같은 용산동이라도 평리로 라인은 노선이 나름 빵빵해서 큰 불편 없이도 여러 지역으로 갈 수 있지만 용산로는 사실상 527번 하나뿐이다. 527번이 용산역을 애매하게 경유하고, 죽전역 1, 2번 출구가 개통되어 죽전네거리에서 4~5분 걸으면 죽전역으로 갈 수 있으나, 노선 선형상 2호선과 편하게 환승을 하려면 감삼역이나 두류역까지 올라가야 하는 문제가 생겨 도움이 되지 못한다.
- 2015년 노선 개편 때 동명교통이 아닌 우주교통이 칠곡 구간의 종료를 맡은 건 다소 의외라는 의견이 있다. 기종점이 동명이라면 동명교통이 제격임에도, 동명교통은 724번을 배정받았고 724번의 기종점 근처인 관음공영차고지에 입주한 우주교통이 정작 동명면으로 가는 527번을 배정받았기 때문이다.[14]
- 2006년 개편 이래로 단 한번도 노선경로 변경이 되지 않은 노선 중 하나이다. 나머지는 403번과 724번이 있다.
- 동명교통 종료/매곡리 방향 중간종료 순번은 우주교통이, 매곡리 종료/동명 방향 중간종료 순번은 우진교통이 담당한다. 동명 방향 중간종료 순번은 오전에 매곡리공영차고지에서 운행을 시작하고, 매곡리 방향 중간종료 순번은 오전에 동명교통에서 운행을 시작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대구광역시 간선버스 527번 | ||
<rowcolor=#fefefe>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15,256명 | - |
2015년 | 15,101명 | ▽ 155 |
2016년 | 16,241명 | △ 1,140 |
2017년 | 15,482명 | ▽ 159 |
2018년 | 15,173명 | ▽ 309 |
2019년 | 14,718명 | ▽ 455 |
2020년 | 해당 연도 DB 미집계 | |
2021년 | 10,792명[18] | ▽ 3,926 |
2022년 | 11,880명 | △ 1,088 |
2023년 | 12,825명 | △ 945 |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 대중교통 DB
5. 연계 철도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대실역, 강창역, 계명대역, 용산역[19], 죽전역, 감삼역, 두류역, 내당역[20], 반고개역[21]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원대역, 팔달시장역, 만평역, 공단역, 팔달역[22], 매천시장역[23], 태전역
6. 둘러보기
대구 - 칠곡간 시내·농어촌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68846> 5권역 | 성서2 | 7 | 9 | 20 | 27 |
50 · 50-1星 | 250星 | |||||
7권역 | 급행3 | 급행9軍 | 급행9-1軍 | 527 | 730 | |
칠곡2 | 칠곡3龜 | 팔공3 | 38 | 200 | ||
250星 | 250-1 | 300軍 | 군위-용수 | |||
龜: 구미시 진입 노선. 軍: 군위군 진입 및 경유 노선. 星: 성주군 진입 노선. 초록색 : 칠곡군 농어촌버스. / 연두색 : 성주군 농어촌버스. |
대구 성서 연계 버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성주 | 250 |
대구 칠곡(지구) 연계 버스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칠곡 |
계명대학교 경유 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성서캠퍼스 | ||||
동문 | 급행1 | 급행5 | 급행7 | 405 | |
425 | 503 | 523 | 524 | ||
527 | 564 | 7250 | |||
달서1 | 달서3 | 달서5 | 성서1-1 | ||
정문 | 급행1 | 524 | 527 | 564 | |
655 | 성서2 | 250 | |||
대명캠퍼스 | |||||
정문 | 순환2-1 | 509 | 650 | 706 | |
805 | 836 | 달서4-1 | |||
후문 | 609 | 808 | 남구1-1 | ||
대명공연거리 | 300 | 306 | 518 | 609 | |
651 | 808 | 남구1-1 | 달서4-1 |
[1]
우주교통 12대 / 우진교통 13대
[2]
공휴일 22대 운행
[3]
1998년 5월 개편 때 신설된 일반버스 363번과 완전히 다르다. 이 일반버스 363번은 검단동~복현오거리~경대북문~공고네거리~칠성시장~경북대학교병원~청운맨션~대백프라자~현대시장~중동교~봉덕시장~
영대병원역~
현충로역~(1/2역순운행: 앞산순환도로~빨래터~장관빌라~
서부정류장~
대명역)~앞산네거리~검단동을 순환 운행했던 노선으로 신설 한 달만에 폐선되었다.
[4]
용산지구 변경 후 초기에는 1/3은 성서고교, 2/3은 성서용산시장으로 분리 운행했으나 한 달 만에 영남우방타운을 거쳐 성서용산시장 방면으로 통합되었다. 초기 계획은 용산영남우방타운에서 평화타운(현
이곡역)네거리로 나와 성서초교, 성서우체국으로 가는 것이었다. 하지만 평화타운네거리에서는 성서아파트단지로 좌회전이 금지되어 최종안은 지금 노선처럼 직진하여 동서화성타운 방향으로 가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5]
2006년 개편 이전에는 태전삼거리에서
대구운전면허시험장, 구암중학교를 경유해서
동아아울렛 강북점(칠곡네거리)으로 갔다. 칠곡중학교에서 만평네거리까지
427번과 100% 동일했다.
[6]
사실상 우주교통 차량은 칠곡6번 3대,
750번에 1대가 이동했다. 750번의 저상버스 1대가 칠곡6번으로 이동해 527번의 입석차량 1대가 이동한 것이다.
[7]
655번에서 감차된 4대는 세한여객에서 증차했다.
[8]
동아아울렛 강북점을 경유하기는 한다.
[9]
성서종합시장, 용산종합시장, 서남시장, 새길시장, 서부시장, 팔달시장, 칠곡시장 등 다양한 시장을 경유하긴 한다. 이중 서남시장과 팔달시장은 3대 재래시장 다음 가는 규모 있는 시장이다.
[10]
527번 용산역 표기와 비슷한 사례가 몇몇 있다. 예를 들면
동구4(-1)번. 측면 행선판을 보면 동구4번은 동호지구 출발, 동구4-1번은 동호지구 종착으로 표시되어 있다. 동구4번은 반야월역(4번출구)1에서 출발, 동구4-1번은 반야월역(3번출구)에서 종료한다. 그래놓고 중간 경유지에 반야월역을 표기했다.
849(-1)번과 다르게 반야월역과 동호지구를 직선으로 연결하지 않으므로 오해의 소지가 있는 부분이다.
[11]
대부분의 경로(북부정류장 ~ 경북고교)는
234번이 계승하여 운행 중이다. 다만 427번은 동산네거리를, 234번은
축구장을 경유하며, 427번은 동명 방면으로 대구맨션을 경유했지만 234번은 양방향 건들바위를 경유한다는 차이가 있다.
[12]
노선 개편 전에는 동명교통에서 단기 정차, 매곡리공영차고지에서 장기 정차를 했다.
[13]
다만 우주에서 2대 증차한 만큼 527번 우진 차량 2대를
성서1(-1)번으로 보내서 655번 우진 차량 2대 이동을 철회하자는 의견이 있었다. 이렇게 하면
240번과 655번의 감차를 최소화 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고, 당시 655번 2대가 성서1(-1)번으로 이동 예정이었다. 또한 655번의 감차분을 240번 경신교통 차량에서 매꾸었다.
[14]
이 경우는
성서2번도 마찬가지다. 종점 근처에 우진교통을 놓고도 정작
방천리공영차고지에 위치한 경신교통으로 배정받았다. 다만 성서2번은 지천면 송정리에서 공차회송으로 신리와 금호지구를 거쳐 방천리공영차고지로 간다.
[15]
큰 글씨로 리뉴얼되기 전에는 두류네거리(두류역)
[16]
또는 다사(매곡)
[17]
위에 서술하였듯이 실제로는 경유하지 않는다.
[18]
칠곡군 구간의 일평균 승차량이 누락된 수치이다.
[19]
우방죽전타운 또는 용산네거리 정류장
[20]
현대해상 또는 반고개 정류장
[21]
반고개(다사방면) 또는 새길시장(동명방면) 정류장
[22]
대백인터빌 정류장
[23]
농수산물도매시장 정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