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ece5b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ece5b6 {{{#!folding [ 위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ece5b6 |
1·2·3권 「무제기(武帝紀)」 | 4·5·6·7·8권 「문제기(文帝紀)」 | 9·10권 「명제기(明帝紀)」 | |||
조조 | 조비 | 조예 | ||||
9권 「폐제소제기(廢帝少帝紀)」 | 10권 「원제기·후비전(元帝紀·后妃傳)」 | |||||
조방 · 조모 | 조환 · 무선황후 · 문소황후 · 문덕황후 · 명원황후 | |||||
11·12·13·14·15·16·17권 「조식전(曹植傳)」 | 20권 「조전(曹傳)」 | 21권 「하후전(夏侯傳)」 | ||||
조식 | 조곤 · 조홍 · 조경 · 조상 · 조희 · 조언 | 하후돈 · 하후혜 · 하후현 · 하후헌 | ||||
22권 「화왕전(華王傳)」 | 23권 「왕숙전(王肅傳)」 | |||||
화흠 · 왕랑 | 왕숙 | |||||
24권 「가병관환종전(賈邴管桓鍾傳)」 | 25권 「종왕동조전(鍾王董趙傳)」 | 26권 「한단진전손동한사마전(邯鄲陳田孫董韓司馬傳)」 | ||||
가후 · 병원 · 관녕 · 환계 · 종요 · 종육 | 종회 · 종옹 · 왕릉 · 왕광 · 동소 · 조엄 | 한단순 · 진군 · 전예 · 손염 · 동우 · 한기 · 사마지 | ||||
27권 「유만곽하양신고손전(劉滿郭何楊辛高孫傳)」 | 28권 「위기전(衛覬傳)」 | 29권 「포전우설유소동최배진전(任田于薛劉蘇董崔裴棧傳)」 | ||||
유엽 · 만총 · 곽회 · 하기 · 양부 · 신비 · 고유 · 손례 | 위기 | 포훈 · 전경 · 우달숙 · 설하 · 유약 · 소림 · 동파 · 최림 · 배잠 · 잔잠 | ||||
30권 「응오변전(應吳卞傳)」 | 31권 「고당륭전(高堂隆傳)」 | |||||
응거 · 응원 · 오질 · 변란 | 고당륭 | |||||
32권 「유손위전(劉孫韋傳)」 | 33권 「장제전(蔣濟傳)」 | |||||
유소 · 유방 · 손자 · 위탄 | 장제 | |||||
34권 「유이전(劉廙傳)」 | 35권 「부노임악진전(傅盧任樂陳傳)」 | 36권 「위이허서손왕유학전(和常楊杜趙裴傳)」 | ||||
유이 | 부손 · 부하 · 노육 · 임하 · 악상 · 진교 | 위진 · 이복 · 허지 · 서악 · 손흠 · 왕걸 · 유보 · 왕관 · 왕창 · 왕담 · 학소 | ||||
37권 「환범전(桓範傳)」 | 38권 「무설순강왕전(繆薛荀江王傳)」 | 39권 「장맹이전필전(張孟李程畢何傳)」 | ||||
환범 | 무습 · 설정 · 순굉 · 강위 · 왕기 · 왕상 | 장취 · 장기 · 맹강 · 이은 · 정효 · 필궤 · 하안 | ||||
40권 「정소동전(鄭小同傳)」 | 41·42권 「두문설양은정장전(杜文薛楊隱丁杜張杜傳)」 | |||||
정소동 · 장읍 · 손해 · 제갈탄 · 관구검 · 진정 · 설제 · 조이 · 좌연녕 · 화흡 · 조자 · 정희 · 장무 | 두지 · 문흠 · 설서 · 양기 · 은번 · 정밀 · 두보 · 장부 · 두서 | |||||
43권 「이강전(李康傳)」 | 44·45·46권 「조공요전(趙孔曜傳)」 | |||||
이강 · 동심 · 어환 · 은포 · 황관 · 우송 · 주탄 · 유조 · 주유 · 견의 · 방연 · 이승 | 조공요 · 도구 · 공안 · 등애 · 왕필 · 무신 · 완무 · 완적 | |||||
47·48·49·50·51·52권 「혜강전(嵇康傳)」 | 53권 「복의전(伏義傳)」 | |||||
혜강 | 복의 · 혜숙량 · 여안 · 주황 · 왕준 · 양원봉 · 곽익 · 유휘 · 가대 | |||||
54권 「공손연전(公孫淵傳)」 | 55·56권 「궐명전(闕名傳)」 | |||||
공손연 · 곽흔 · 유포 · 고유처 | 궐명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ece5b6 {{{#!folding [ 촉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ece5b6 |
57권 「선주·후주기(先主後主紀)」 | |||||
유비 · 유선 | ||||||
60권 「허정등전(許靖等傳)」 | ||||||
허정 · 장비 · 마초 · 조운 · 법정 · 내민 · 유표 · 유파 | ||||||
61권 「진밀등전(秦宓等傳)」 | ||||||
진밀 · 마량 · 마속 · 진진 · 맹달 · 팽양 · 정기 · 이엄 · 이막 · 유염 · 상랑 · 장예 | ||||||
62권 「양의등전(楊儀等傳)」 | ||||||
양의 · 장완 · 장빈 · 비시 · 여개 · 비의 · 장억 · 강유 · 포원 · 양희 · 옹개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ece5b6 {{{#!folding [ 오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ece5b6 |
63·64권 「오본기(吳本紀)」 | ||||
손책 · 손권 · 손량 · 손휴 · 손호 | ||||||
65권 「손등등전(孫登等傳)」 | ||||||
손등 · 손교 · 손침 · 장소 · 장승(張承) · 제갈근 · 제갈각 | ||||||
66권 「황개등전(黃蓋等傳)」 | ||||||
황개 · 보즐 · 감택 · 설종 · 장온 · 글염 · 사승 · 주방 | ||||||
67권 「낙통등전(駱統等傳)」 | 68권 「우번등전(虞翻等傳)」 | |||||
낙통 · 전종 · 반준 · 고담 · 호종 · 시의 | 우번 · 주치 · 주연 · 주적 · 오찬 · 육적 · 육손 | |||||
69권 「육모등전(陸瑁等傳)」 | 70권 「육경등전(陸景等傳)」 | |||||
육모 · 육개 · 육항 | 육경 · 주거 | |||||
71권 「복야존등전(僕射存等傳)」 | 72권 「왕번등전(王蕃等傳)」 | |||||
복야존 · 양도 · 은례 · 요신 · 주소 · 위소 | 왕번 · 하소 · 장유 | |||||
73권 「장순등전(張純等傳)」 | ||||||
장순 · 주이 · 장엄 · 맹종 · 이형 · 장승(張勝) · 유 · 섭우 · 장균 · 서정 · 사자 · 기즐 | ||||||
74권 「화핵등전(華覈等傳)」 | 75권 「양천등전(楊泉等傳)」 | |||||
화핵 · 황상 · 소주 · 만진 · 오언 · 손흠 · 민홍 | 양천 · 엄은 · 손중기 · 지겸 · 강승회 · 갈현 |
}}}}}} {{{#!wiki style="margin: -35px -0px -10px" |
}}} }}}}}}}}}}}} |
曁艶[1]
(?~224)
삼국시대 오나라의 신하이며 자는 자휴(子休)로 양주 오군 출신. 장온의 수하로 부친과 형은 손권 입장에서는 흉악한 역적에 기대었다고 한다.
인물 품평에 탁월하면서 성격은 정직하고 엄했으며, 맑은 의론을 발표하기 좋아했다. 먼저 주치에게 임명되고 장온이 그를 불러 수하로 삼으니 손권이 선조랑으로 임명했다가 후에 선조상서까지 승진한다.
222년에 당시 낭관의 관소가 혼탁하고 마구 뒤섞여 있어 대부분의 관원들이 알맞게 인선되지 못한 것에 한탄해 착한 자와 사악한 자를 구별하고 어진 자와 어리석은 자를 구별하면서 사용하려는 생각을 해 여론을 조장했다. 육손은 재앙이 있을 것이라고 경고했고 주거는 그들을 한꺼 번에 보충하기는 어려우니 일단은 공으로 허물을 덮은 다음 서서히 능력있는 자들을 뽑아 그들을 대신해야 한다고 말했으나[2] 글염은 자신의 생각을 그대로 실행에 옮긴다.
행동에 들어간 글염은 백관들을 탄핵하고 삼서의 관리를 엄밀하게 선발해 대부분 높은 지위에 있는 자들을 폄하해 낮은 지위로 강등시켰는데, 한 번에 몇 등급씩 강등되기도 하니 옛날 지위를 지키고 있는 자는 10명 가운데 1명도 안 될 정도였다.[3] 그러나 자신과 같은 일당인 장온 일당은 건드리지 않으니 이런 그의 행동에 육모는 편지를 보내 공자의 사랑과 곽태의 구제를 본받으라고 했지만 불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에 그 말대로 실행하지 않았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관직에 있으면서 탐욕스럽고 비루하면서 뜻이나 절개가 오염되고, 낮은 자들이 모두 군영의 막부에 배치되어 병사들을 다스리게 된 것이 문제였다. 이로 인해 원한과 분노의 소리는 쌓여 점점 참언이 일어나자 글염과 선조랑 서표는 전적으로 사사로운 감정을 사용해 사랑하고 미워하는 것이 공평한 이치에서 나오지 않고 있다고 다투어 말하니 결국 글염과 서표는 자살해 의도만 좋았던 그의 개혁은 끝났다.
백성들이 글염을 좋아해 그와 친하게 지냈는데, 글염의 죄가 인정되자 그와 친하게 지내던 선비들이 모두 자신을 변명하기 바쁠 때 오직 진표만이 그러지 않았다고 한다. 이 때 장온은 평소에 촉나라의 정치를 칭찬하던 것 때문에 손권에게 미움을 받던 상황으로 손권은 장온이 추천한 글염이 죄를 저질렀다는 핑계를 대 장온을 투옥했으며, 낙통이 그를 변호할 때의 설명에는 장온은 글염과 앞이 아니고 뒤로 친했다고 한다.[4]
[1]
曁 자는 '기' 또는 '글'로 읽을 수 있는데, '글'로 발음했음을 알 수 있는 일화가 있다. 그의 후손 중에 글도(曁陶)라는 사람이 있는데, 시험관이 '기도'라고 불러도 대답이 없자 '글도'라고 불렀더니 대답했더라 하는 얘기다. 자세히는
曁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2]
반대로 주거의 말을 따라서 실행하는데 성공한 사람은
고유다.
[3]
하정이나
여일과는 달리 피해를 입은 사람은
손소 1명 밖에 나오지 않는다. 장온과 글염이 손소에 대해 상소를 올리니 손소는 스스로 위계를 사임하고 죄를 청했으나 복직되었다고 한다.
[4]
공적이 아닌 사적으로 친했다는 뜻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