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 CITY Double Decker |
현대 일렉시티 이층버스 홈페이지 |
1. 개요
현대자동차에서 개발한 2층 전기 저상버스이자 대한민국 자동차 역사상 최초이자 유일한 한국산 2층버스이다.2. 상세
2.1. 개발
2017년부터 2019년 6월 26일까지 진행된 한국형 대용량 2층 전기버스 선행차량 개발 사업을 통해 개발되었다.[1] 보고서를 보면 국내에 시판 중인 2종의 2층버스 뿐만 아니라 차체 프레임 벤치마킹을 위해 VDL의 FDD2 모델을 벤치마킹하여 개발했다.2층 전기버스는 2019년 5월 29일에 2019 국토교통기술대전에서 첫 번째로 등장했고, 2019년 8월에는 현대 버스&트럭 비즈니스 페어에서 두 번째로 등장했다.[2]
2023년에 '한국형 대용량 2층 수소버스 기술개발 기획' 과제가 정보공개포털에 비공개 공문으로 뜬 것으로 보아 순수 전기버스에 그치지 않고 일렉시티 이층버스의 수소전기버스 모델도 국책 과제로 개발 중인 것 으로 추정된다. #
2.2. 생산 방식
일렉시티 이층버스는 한국형 2층버스 개발 사업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3] 두 가지 방식으로 생산 및 판매가 가능하다.- 완성차: 현대자동차가 구동계부터 차체 및 내장까지 모든 부분을 자체 개발하는 방식. 기존의 국내 버스들은 이 방식으로만 제작 및 판매되었다.
- 베어 섀시: 현대가 구동계와 프레임, 배터리 등을 포함한 베어섀시를 제공하면 바디빌더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설계한 차체와 내장을 제작해 판매하는 방식.[4] 해외에서는 일반적인 버스 생산 방식으로, 이리사르가 이러한 방식으로 버스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바디빌더 업체다.[5] 볼보 B8R 와 같이 해외 주요 제조사들은 이러한 방식의 베어 섀시를 흔히 판매한다.
2.2.1. 베어 섀시
▲ 현대 전기 이층버스의 베어 섀시.
베어 섀시에는 프레임, 배터리, 조향 및 현가 시스템, 모터와 같이 차량 구동에 필요한 요소들이 전부 포함되어 있으며, 바디 빌더 업체들은 이를 구입해 자신들이 원하는 대로 자체적인 차체와 내장을[6] 올린 독자 모델을 개발해 판매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단순히 새로운 디자인을 적용하거나 주문자 요구에 따라 다른 좌석 배치를 적용하는 수준을 넘어서, 오픈탑 시티투어 버스, 캠핑카, 리무진, 이동식 사무공간 등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시도할 수도 있다. 다만 기본적으로 2층 구성을 염두에 둔 저상 섀시로만 나오고, 내연기관 섀시와 달리 배터리의 존재로 인해 섀시 후부의 자체 높이도 높은 편이기 때문에 볼보 B8R처럼 단층 로우엔트리/하이데커 버스로 구성하기는 어렵고 2층 형태로만 구성할 수 있다.[7][8]
해당 연구 과제에서는 베어섀시를 개발해 해외 바디빌더 업체로의 수출을 노리며 동시에 국내 중소 바디빌더(특장차 업체) 육성을 제시했기에, 향후 수출 실적과 국내 기업 역량 육성 진척도에 따라 조만간 국내외의 다른 바디 제작 업체들에서 해당 베어 섀시를 사용해 제작한 자체 모델들이 생겨날 것으로 보인다.
2.2.2. 완성차 모델
위 베어 섀시를 가지고 현대에서 자체 개발한 차체와 내장을 적용한 차량으로 본 문서 상단 사진에 나온 차량이다. 차명은 ' 유니버스 일렉트릭 더블데커(UNIVERSE ELECTRIC DOUBLE DECKER)'로 공개됐지만 추후 차량이 정식 출고됐을 때는 '일렉시티 이층버스(ELEC CITY DOUBLE DECKER)'로 변경됐다.[9][10]현대자동차의 상용차 중 전주공장에서 생산하지 않는 차종으로 완성차 개발과 부품 등의 설계는 모두 현대자동차에서 담당했지만 전술한 베어섀시 제공 - 외부 바디빌더 업체측 차체 생산 방식을 겸사겸사 실증하기 위해 차체는 화성시에 위치한 현대자동차의 협력업체인 창림모아츠에서 제작한 후 전주공장에서 제조한 부품들을 받아 조립해서 차량 생산을 완료한 뒤 탁송한다.[11]
창림모아츠에서 바디를 올려 현대에서 판매하는 모델은 일렉시티의 플랫폼에 유니버스의 부품을 일부 적용하고 전후방 상단 마커램프 등은 그랜버드의 것을 사용한다.
이 차량의 출시로 기존 외국산 2층버스들의 단점이었던 부품 조달 문제, A/S 문제, 연료가 디젤로 한정되는 등의 문제를 보완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12][13]
인천선진교통의 M6450번에 2대가 최초로 투입되었다.
2.2.2.1. 가격 및 사양
가격은 8억 8천만 원으로 환경부(친환경차)와 국토부(2층버스, 저상버스), 지자체의 지원분을 반영하면 운수 업체는 약 2억 원에 버스 1대를 구입할 수 있다.2층 전기버스의 제원으로는 전장 12,990mm[14], 전고 3,995mm[15], 전폭 2,490mm[16]의 크기를 갖췄다. 운전자를 제외하고 70명(1층 11석·2층 59석)의 승객이 탑승할 수 있다.[17]
384kWh의 고용량·고효율 수랭식 리튬폴리머 배터리를 장착해 1회 충전으로 환경부 인증 기준 약 447km[18]를 주행할 수 있다. 알려진 스펙대로라면 광역버스용으로 제작됐으므로 단거리로는 잘 다닐 수 있겠지만 그 이상으로는 되지 않는 정도다. 애초에 볼보 9700 더블데커 같은 장거리용 2층버스와 비교하면 목적이 다르니 사양이 그렇게 좋지는 않다. 그렇다 보니 1층 뒤쪽에 화물칸이[19] 1층 중문 쪽에 화장실이 그리고 운전석 뒤에 승무원용 침실이 없다.[20]
안전 보조장치로는 운전자가 의도한 운전 방향을 파악하고 차량 제어력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차체자세제어(VDC)’, 전방에 충돌 위험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에게 이를 알리고 필요 시 차량 속도를 줄여 사고를 방지하는 ‘전방 충돌방지 보조(FCA)’, ‘차로 이탈 경고(LDW)’, 사각지대를 줄여 주는 어라운드 뷰를 탑재했고, ECAS, EBS(전자 제어 에어 서스펜션,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를 적용해 노면 상황에 따라 차고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주행 중 차체 자세를 감지하면서 자동으로 엔진/브레이크를 제어한다.
전륜에 독립현가식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을 채택했다. 현대의 대형버스에는[21] 2002년까지 에어로버스에 전륜 독립현가 서스펜션 옵션이 적용되다가 사라졌는데, 이 차량 덕분에 19년 만에 다시 등장하게 되었다.[22] 그리고 대형 트럭에서나 볼 법한 6x2*4 섀시 구조[23]를 갖고 있으며, 3축이 보조조향축인 덕분에[24] 승차감 및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창원에서 일렉시티 EV 차량의 화재 발생 이후 현대차는 2층 전기버스도 배터리 교체 여부 검토[25]에 들어간 것으로 밝혀져 출시일이 늦어졌지만 일렉시티 2층 전기버스의 배터리는 LG에너지솔루션의 개선품(2020년형 이후)을 적용했고 EV, FCEV 모델과 달리 인휠모터가 계속 탑재된다.[26]
출입문은 앞문은 글라이딩 도어, 뒷문은 트윈 스윙 도어를 채택했고 외부에 비상밸브가 장착되어 있다.[27]
부저음은 초기형의 경우 앞문 개폐시에만 울리고 뒷문은 부저음이 없다가 2024년형부터 추가됐고,[28] 열리고 닫힌 후에도 공기 소리가 짧게 한번 난다. 사이드미러도 일반 EV, FCEV 모델과 달리 유럽형 사이드미러가 기본이다.
휠체어 리프트는 수동 리프트가 적용된 기존 외국산 2층버스와는 달리 황성공업제 자동 리프트가 적용됐다. 단, M6450번에서 운행중인 차량과 시제차량은 오텍제 자동 리프트가 달려있다.
2022년식부터 후미등이 기존 3구에서 4구로 변경됐다. 헤드램프도 LED로 변경됐고 사이드미러는 전동식으로 바뀌는 등 소소하게 개선했다. 동년 11월부터 시트가 유니버스 수소전기버스에 들어가는 시트로 변경됐다.[29]
2023년형부터 시트 리클라이닝 기능이 추가됐고 스티어링 휠 재질이 우레탄에서 가죽으로 바뀜과 동시에 열선 기능이 추가됐다. 동년 9월 출고분부터 방향지시등 점등시 사이드마커 조명이 같이 점등된다. 동시에 CDP도 삭제돼 멀티미디어 연결은 블루투스 스트리밍, USB, AUX로만 가능하며 2023년 후기형부터 방향지시등 소리가 전자음으로 변경됐다.
3. 문제점
이하의 문제점은 현대차 자체 완성차 모델에 한한 문제점을 다룬다.-
좋지 않은 승객석의 편의성
초기 출고분의 경우 승객석 시트가 리클라이닝이 되지 않았었고,[30] 시트가 얇고 딱딱해서 불편하다는 평이 많다.
-
악평받는 도어스위치
원래 현대버스 도어스위치는 위로 올리면 열리고, 아래로 내리면 닫히는 구조였지만 이 버스는 위로 한번 올리면 도어스위치가 아래로 되돌아 오면서 열리고, 다시 올리면 아래로 되돌아 오며 닫히는 구조였기에 버스 기사들에게 악평을 많이 받은 도어스위치다.사실 일렉시티도 2022년 6월~12월까지 잠깐 이 도어스위치를 썼다가 악평을 받아 현대차에서 기존 도어스위치로 바꿔준 사례가 있다.
4. 결함
2023년 하반기에 고양시의 명성(버스회사)에서 3대,[31] 수원시와 화성시의 대원고속에서 5대[32]를 출고한 후 처음 운행을 하자마자 인수분 8대 중 7대에서 배터리 방전 후 시동 꺼짐 등 초기 결함 문제가 발생한 적이 있다. 이로 인해 운행 하루 만에 생산 공장으로 입고된 바가 있어 경기도와 해당 운수업체들이 현대자동차에 강력히 항의했고, 납품 예정 차량에 대해 철저한 검수를 요청해 출고가 늦어지고 있다.현대자동차 조사 결과 DLDC(Dual low DC to DC Converter)의 용량 초과로 인해 전류가 제한되면서 출력 제한을 받아 시동이 꺼진 것으로 파악했다. 그리고 해당 설비의 용량 증대, 전원 배분 재정립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다고 한다.
수리 이후에는 현재 위에서 언급한 운수업체들의 차량들 모두 큰 문제 없이 잘 다니고 있다. 국산버스라 A/S가 꽤 빨라 수리가 빨리 된 것도 있다.
5. 투입 노선
- 대전 버스 B1: 2대[33]
- 고양 버스 1000: 5대
- 김포 버스 6601: 4대[B]
- 김포 버스 6701: 2대[B]
- 김포 버스 8600: 4대
- 수원 버스 3008: 4대[A]
- 수원 버스 7770: 6대
- 수원 버스 7780: 7대
- 수원 버스 7800: 8대
- 수원 버스 G5100: 5대[A]
- 오산 버스 1311: 2대
- 오산 버스 5300: 3대
- 안산 버스 5609: 4대
- 안성 버스 4401: 1대
- 용인 버스 5001: 1대 (1대 추가 도입 예정)
- 용인 버스 5002: 11대
- 용인 버스 5003: 1대 (8대 추가 도입 예정)
- 용인 버스 5006: 1대 (2대 추가 도입 예정)
- 용인 버스 5500-2: 2대 (3대 추가 도입 예정)
- 의정부 버스 G6000: 2대
- 의정부 버스 G6100: 1대
- 포천 버스 3006: 3대
- 평택 버스 5401: 1대
- 화성 버스 1006: 4대[A]
- 화성 버스 1009: 2대 (6대 추가 도입 예정)
- 화성 버스 3102: 2대
- 화성 버스 7790: 12대[A]
- 광역급행버스 M2323: 2대
- 광역급행버스 M2352: 2대
- 광역급행버스 M4101: 3대
- 광역급행버스 M4108: 5대
- 광역급행버스 M4403: 5대
- 광역급행버스 M6427: 6대
- 광역급행버스 M6450: 2대
- {{{#!folding [ 투입 예정 노선 펼치기 · 접기 ]
- 수원 버스 3000: 2대
- 수원 버스 7001: 1대
- 시흥 버스 3200: 2대
- 용인 버스 5000: 5대
- 화성 버스 6003: 2대
- 파주 버스 9710-1:1대
- 광역급행버스 M4130: 3대
- 광역급행버스 M4137: 3대
- 광역급행버스 M4434: 2대
- 광역급행버스 M4448: 2대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2c5f><colcolor=#fff>세단 | <colbgcolor=#002c5f><colcolor=#fff>준중형 | 아반떼 ( N) |
중형 | 쏘나타 · 아이오닉 6 | ||
준대형 | 그랜저 | ||
SUV | 경형 | 캐스퍼 | |
소형 | 캐스퍼 일렉트릭 · 베뉴 · 코나 | ||
준중형 | 투싼 · 아이오닉 5 ( N) | ||
중형 | 싼타페 · 넥쏘 | ||
준대형 | 팰리세이드 · 아이오닉 9예정 | ||
MPV | 스타리아 ( 전기차) | ||
버스 | 소형 | 쏠라티 | |
준중형 | 카운티 ( 일렉트릭) | ||
중형 | 일렉시티 타운 | ||
준대형 | 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
대형 | 유니버스 ( 수소전기버스 · 모바일 오피스)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굴절형) | ||
트럭 | 소형 | 포터 ( 일렉트릭) · ST1 | |
준중형 | 마이티 | ||
중형 | 파비스 | ||
준대형 | 뉴파워트럭 | ||
대형 | 엑시언트 ( 수소전기트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회색 글씨: 단종 차량 | |||||||
<colbgcolor=#002c5f><colcolor=#fff><rowcolor=#fff> | 승용 · SUV · RV · 승합 | 버스 | 트럭 | |||||
1960년대
|
코티나 · 포드 20M | R버스 | - | |||||
1970년대
|
포니 · 그라나다 · HD1000승합 |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HD버스 · RB버스 · D버스 · DK버스 | HD1000트럭 · 바이슨 · 대형트럭 | |||||
1980년대
|
프레스토 · 포니엑셀 · 엑셀 · 스텔라 · 쏘나타 · 그랜저 · 그레이스 · 미쓰비시 프레시스 | 코러스 · FB버스 · 에어로버스 | 포터 · 마이티 | |||||
1990년대
|
아토스/쌍트로( 1세대) · 아토스 프라임 · 엑센트/ 베르나 · 엘란트라/아반떼( 1세대) · 마르샤 · 다이너스티 · 에쿠스 · 스쿠프 · 티뷰론 · 갤로퍼 · 싼타모 · 트라제 XG · 스타렉스 | 카운티 · 에어로타운 · 에어로시티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
2000년대
|
i10 · 클릭 · i20 · i30 · 링샹 · 투스카니 · 제네시스 · 제네시스 쿠페 · 라비타 · 투싼( ix35) · 싼타페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앙트라지 · 닷지 브리사 · 쏘나타 모인카 · 기아 천리마 | 슈퍼 에어로시티 · 그린시티(구 글로벌900) · 유니버스 | 리베로 · 메가트럭 · 뉴파워트럭 · 트라고 | |||||
2010년대
|
이온 · 블루온 · HB20 · XCENT · 위에둥 · 아이오닉 · i40 · 미스트라 · 아슬란 · 벨로스터 · 아반떼 쿠페 · ix20 · 크레타 · 맥스크루즈 · 쏠라티 · 코나 · 레이나 · 넥쏘 · 라페스타 · 팰리세이드 · 베뉴 | 블루시티 · 유니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 엑시언트 · H350 · 루이웨/홍투 · 파비스 | |||||
2020년대
|
아우라 · 포레스트 · 쿠스토 · 베이온 · 아이오닉 5 · 스타리아 · 알카자르 · 싼타크루즈 · 캐스퍼/ 인스터 · 스타게이저 · 아이오닉 6 · 무파사 · 엑스터 · 아이오닉 9예정 | 모던 PUV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타운 | ST1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002c5f><rowcolor=#fff><colcolor=#fff>차급 | 생산 차량 | 단종 차량 | |
승용차 | ||||||||
경차 | i10 · 아우라 | 아토스 · 블루온 · 이온 · 쌍트로 · XCENT | ||||||
소형차 | 엑센트 · i20 · HB20 | 포니 · 엑셀 · 프레스토 · 클릭 · 베르나 · 닷지 브리사/ 기아 천리마 · 미쓰비시 프레시스 · 레이나 · 닷지 애티튜드 | ||||||
준중형차 | 아반떼 · i30 · 라페스타 | 포드 코티나 · 엘란트라 · 아반떼 쿠페 · 벨로스터 · 위에둥/ 셀레스타 | ||||||
중형차 | 쏘나타 · 아이오닉 6 | 포드 코티나 · 스텔라 · 마르샤 · i40 · 링샹 · 쏘나타 모인카 · 미스트라 | ||||||
준대형차 | 그랜저 | 포드 20M · 그라나다 · 아슬란 · 다이너스티 · 제네시스 | ||||||
대형차 | - | 에쿠스 | ||||||
스포츠카 | - | 스쿠프 · 티뷰론 · 투스카니 · 제네시스 쿠페 | ||||||
SUV | ||||||||
경형 SUV | 캐스퍼 · 엑스터 | - | ||||||
소형 SUV | 베뉴 · 코나 · 크레타 · 알카자르 · 베이온 · 인스터 | - | ||||||
준중형 SUV | 투싼 · 아이오닉 5 · 무파사 | - | ||||||
중형 SUV | 싼타페 · 넥쏘 | 갤로퍼 | ||||||
준대형 SUV | 팰리세이드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맥스크루즈 | ||||||
픽업트럭 | ||||||||
소형 픽업트럭 | 싼타크루즈 | 픽업 · 포드 코티나 픽업 | ||||||
MPV | ||||||||
소형 MPV | - | 라비타 · ix20 | ||||||
준중형 MPV | 스타게이저 | 싼타모 | ||||||
중형 MPV | 쿠스토 | 트라제 XG | ||||||
준대형 MPV | - | 앙트라지 | ||||||
대형 MPV | 스타리아 | 스타렉스 | ||||||
캠핑카 | - | 포레스트 | ||||||
상용차 | ||||||||
소형버스 | 쏠라티 | 그레이스 · HD1000 | ||||||
준중형버스 | 카운티 · 모던 PUV | D버스 · 코러스 | ||||||
중형버스 | 일렉시티 타운 | 에어로타운 · 그린시티 | ||||||
준대형버스 | 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 | R버스 · DK버스 · RB버스 · HD버스 · FB버스 · 에어로시티 · 블루시티 · 유니시티 | ||||||
대형버스 | 유니버스 · 유니버스 FCEV · 일렉시티 이층버스 | 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에어로버스 | ||||||
소형트럭 | 포터 · H350 · ST1 | HD1000 · 리베로 | ||||||
준중형트럭 | 마이티 | - | ||||||
중형트럭 | 루이웨/홍투 · 파비스 | 바이슨 · 대형트럭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메가트럭 | ||||||
준대형트럭 | 뉴파워트럭 | - | ||||||
대형트럭 | 엑시언트 | 마루 · 트라고 |
}}}}}}}}} }}} |
|||||
· · 콘셉트 카 |
대한민국 판매 전기버스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국산 | |
<colbgcolor=#7883a3,#1f2b4b> 현대자동차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굴절버스) · 일렉시티 타운 · 카운티 일렉트릭 | |
KGM커머셜 | 스마트 110 · 스마트 110E · C090 | |
우진산전 | 아폴로 1100 · 아폴로 900 | |
반조립 | ||
범한자동차 | E-STAR 12i · E-STAR 11 · E-STAR 8 | |
우진산전 | 아폴로 1200 · 아폴로 700(예정) | |
중국산 | ||
BLK | 일레누스 TS1100 · 일레누스 TS900 | |
BYD |
eBus11 ·
eBus9 ·
eBus7 eBus-12 · eBus-7 |
|
CHTC | 에픽시티 · 에픽타운 | |
CRRC | 그린웨이1100A · 그린웨이720 | |
골든드래곤 | GD11N | |
스카이웰 | 리오네 · 아이즘 · 네오포스 · 엘페 | |
우진산전 | 아폴로 1200 | |
중원자동차 | EV J1 | |
중통버스 | E-scape | |
포톤 | 그린타운 400 | |
킹롱 | 시티라이트 II · 시티라이트 9 | |
하이거 |
하이퍼스 프라임 ·
하이퍼스HP 하이퍼스1611 시리즈 · 하이퍼스1609 시리즈 |
|
황해자동차 | E-SKY 11 · E-SKY 9 |
[1]
이로 인해 한동안 2층버스 시험 차량이
화성시(동탄) 지역에서 시운전하는 모습이 목격됐다.
오산에서도 시험적으로 운행하여
오산역환승센터에 들어온 적도 있다.
[2]
이 당시에는 뒷 창문이 유니버스의 것과 똑같았고 후미등은 기존 일렉시티의 부품을 그대로 썼다.
[3]
"경제적 파급효과: 1. 베어샤시 및 완성차 두가지 형태의 개발을 통해 다양한 수요에 양산화 모델 제공 가능: 베어샤시 형태의 수출, 국내 중소기업(바디빌더)과 연계를 통한 완성차 제공; 2. 중소기업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베어샤시 개발을 통해 향후 중소기업의 기술력 향상 및 새로운 수익창출 모델 제공", "...국내 중소 바디빌더 업체와 연계성 제고; 완성차 개발 : 베어샤시 제공(현대자동차) + 완성차 조립 (전문 바디빌더 업체) ... (중략) ... 향후 수출을 고려한 사업화 모델 제시 - 해외 바디빌더 업체와 연계"
[4]
엄밀히 말해 베어섀시만 제공하는 건 아니고, 베어섀시를 제공하는 측에서 주행에 필요한 각종 소프트웨어적 요소들 - 안전사양 및 주행 지원 시스템 등 - 도 같이 제공한다. 기본적으로 차량 주행에 필요한 기술적 사양 외에는 바디빌더 측에서 자유롭게 커스텀을 한다고 보면 된다.
[5]
일례로
멕시코에서 굴러다니는
메르세데스-벤츠,
스카니아 및
MAN 대형버스 중 완성차는 단 한 대도 없다. 모두
이리사르나
마르코폴루 SA 등에서 바디를 올려 완성한 것들이다.
[6]
좌석, 기사석 등의 내장재 뿐만 아니라 공조, 출입문, 계단, 인포테인먼트 등을 전부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순수하게 주행 자체와 관련 없는 요소는 전부 업체 자율로 제작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7]
바디빌더의 자율성이 높기 때문에 굳이 단층 버스를 만든다면 이론상 불가능한 건 아닌데, 이러면 그냥 1층 공간만 반쪽난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저상버스가 된다. 단층형 전기버스 섀시는
BYD의 예시처럼 배터리가 천장에 들어간다. 바디빌더의 명가인
이리사르는 2층 버스를 만들지 않기 때문에 기껏해야 2층버스를 생산중인 브라질의
마르코폴루 SA나 Ayats 같은 몇몇 스페인 업체 정도나 가능할 것이다.
[8]
일렉시티 단층버스의 경우
인도네시아의 바디 빌더인 Laksana가 2024년에
현대자동차 섀시에 기반한 12m 급 전기버스를 제작한 바 있다. 모델명 E-Cityline 3 Low Entry.
인도네시아 버스월드 2024 영상 (1분 40초부터) 단층 섀시 또한 현대 측에서 각종 바디빌더들에 납품이 이루어지고 있다.
#
[9]
유니버스로 공개된 이유는 위층 프레임이 유니버스의 것을 돌려쓰기 때문이다.
[10]
차량 측면 엠블럼은 ELEC CITY DOUBLE DECKER이며 후면에도 ELEC CITY 엠블럼이 부착됐다.
[11]
현대자동차 특장차 협력업체이다. 스타리아, 유니버스, 그랜버드, 카니발, 레이 등을 개조해 장애인 복지차량(휠체어슬로프, 리프트 등)을 생산하는 곳이다. 일렉시티 굴절버스도 이곳에서 생산한다.
[12]
이전엔 한국에 수입되는 다수의 2층버스가 시외버스 섀시를 기반으로 국내에 판매된 모든 2층버스는 전부 경유를 연료로 사용했으며, 장거리 시외버스로 사용하려면 특성상 디젤로 뽑아야 할 것이다. 원래대로라면 좌석 수를 줄여서 좌석 간격을 넓히거나 우등고속 좌석을 박은 뒤 중/단거리 시외버스로 운행하기에 적합한 차량들이다.
[13]
기존 2층버스 모델인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나
볼보 B8R은 디젤 엔진이었고 잔고장이 자주 나서 A/S 센터에 자주 들어갔고 수리가 오래 걸리기까지 해서 일렉시티 이층버스로 조기대차 시키는 회사가 점점 늘고 있다.
[14]
단일 차량 길이제한인 13m에서 단 1cm 미달되는 길이로 법령이 바뀌지 않는 한 앞으로도 계속 국내 최장 버스일 것으로 보인다.
[15]
일반도로 높이제한인 4m보다 5mm 낮다.
[16]
일반도로 너비제한인 2.5m보다 1cm 작다. 다만 2층버스는 특례를 적용받아 전폭 2.75m까지 허용된다.
[17]
1층의 11석 중 3석은 접이식 좌석이다. 휠체어 탑승 시 자리를 접고 휠체어 이용자가 뒷문으로 탑승할 수 있고 안전벨트가 달려 있어 평시에는 좌석벨트로 쓰다가 휠체어 탑승 시 이 벨트로 고정시킨다.
[18]
이론상으로는 부산 ~ 여수 정도 되는 시외버스까지 왕복으로 운행할 수 있지만 예비연료 등을 감안한다면 부산 ~ 하동 정도를 왕복 운행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편도 운행이면 부산 ~ 용인, 부산 ~ 강릉 정도로 보면 된다.
[19]
대신 이 공간에는 배터리가 들어간다.
[20]
장거리 버스의 특징으로 화물차의 슬리퍼(Sleeper)와 같은 역할을 한다.
[21]
소형버스의 경우, 2012년부터
카운티에 적용됐다.
[22]
워낙 옵션 가격이 비쌌고 그만큼 옵션 선택률이 매우 저조했기 때문이다. 에어로버스 외에도 일명 '땅콩버스'로 유명한
프리머스 초기형에 독립현가 서스펜션이 적용된 적이 있었다.
[23]
전체 바퀴 6개, 구동 바퀴 2개, 조향 바퀴 4개.
[24]
단, 1축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25]
기존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에서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로 교체할 것으로 보였다.
[26]
인휠모터가 구동계로 동력을 바로 전달하기 때문에 효율도 좋고 고속주행에 유리한데 일렉시티 이층버스는 광역버스 노선에 주로 투입되며 투입 노선들은 무정차 구간이 길거나 고속도로/자동차전용도로를 경유하는 노선들이 대부분이다. 때문에 모터에 무리가 덜 간다고 한다. 다만, 전비 문제와 2층버스라는 특성상 무겁고 제동 거리가 길기 때문에 제조사 순정 속도제한은 90km/h이다.
[27]
전문에 비상밸브와 똑같이 생긴 밸브가 있는데, 밸브는 외부 비상밸브의 작동 여부를 조절하는 것이다.
[28]
비록 문짝은 다르지만 개폐장치는 기존 에어로시티 계열 저상 모델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29]
해당 사양은
경진여객이 최초로 출고했다.
[30]
이후 2023년 출고분부터는 리클라이닝을 지원한다.
[31]
모두
1000번 투입분이다.
[32]
3대는
M4108번과
M4403번 투입분, 2대는
1009번 투입분이다.
[33]
2024년 현재 비수도권에서 운행중인 유일한 전기 2층버스다.
[B]
현재는 선개통으로 인한 전 차량 일렉시티 이층버스로 운행중이다.
[B]
[A]
이 노선은 전 차량 일렉시티 이층버스로 운행중이다.
[A]
[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