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09:23:56

엠 카운트다운

엠카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0px"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colcolor=#000000,#fff>월 22:00 <colcolor=#000000,#fff> 가요무대 ( KBS 1TV)
목·금 00:00 KBS 중계석 (KBS 1TV)
목 16:30 누가 누가 잘하나 ( KBS 2TV)
금 17:05 뮤직뱅크 (KBS 2TV)
금 20:30 이십세기 힛-트쏭 ( KBS joy)
금 22:00 더 시즌즈 (KBS 2TV)
토 12:10 국악한마당 (KBS 1TV)
토 18:05 불후의 명곡 (KBS 2TV)
토 22:40 나라는 가수 인 스페인 (KBS 2TV)
일 12:10 전국노래자랑 (KBS 1TV)
일 17:40 열린음악회 (KBS 1TV)
파일:MBC 로고.svg 파일:MBC 로고 화이트.svg
수 17:00 쇼챔피언 ( MBC M, MBC every1)
목 20:00 트롯챔피언 ( MBC ON)
토 15:15 쇼! 음악중심
일 18:05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파일:SBS 로고.svg 파일:SBS 로고 화이트.svg
월 20:00 더트롯쇼 ( SBS M)
화 18:00 더 쇼 (SBS M)
금 00:20 문화가중계
금 17:50 열린예술무대 뒤란 ( 울산방송)
금 23:20 더 리슨: 우리 함께 다시
토 11:00 전국 TOP 10 가요쇼 ( 청주방송)
일 15:20 SBS 인기가요
종합편성채널
화 22:00 한일톱텐쇼 ( MBN)
수 22:00 미스쓰리랑 ( TV CHOSUN)
일 15:20 노래하는 대한민국 (TV CHOSUN)
일반 케이블 자체 제작 편성
수 13:00 I'm Live ( Arirang TV)
목 18:00 엠 카운트다운 ( 엠넷)
금 13:00 Simply K-Pop CON-TOUR (Arirang TV)
매월 둘째 주 금 18:30 ENA 케이팝업 차트쇼 ( ENA)
토 20:00 위문열차 ( KFN TV) }}}}}}}}}


{{{#fff {{{+2 }}} 카운트다운
M Countdown}}}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4.png
<colbgcolor=#007FFF><colcolor=#fff> '''[[영상물 등급 제도|시청 등급]]''' 파일:Mnet 15 2019.png 15세 이상 시청가 (폭력성, 선정성, 주제, 언어, 모방위험)
채널 Mnet, Mnet USA[1], Mnet Japan[2]
[ 이전 채널 펼치기 · 접기 ]
Mwave, KMTV
방송 기간 2004년 7월 29일 ~
ON AIR
방송 시간 목요일 저녁 6시
MC 명재현, 성한빈, 소희
제작진 <colbgcolor=#007FFF><colcolor=#ffffff> 연출 조혜미, 유준상
조연출 이승희, 이정민
작가 장선화, 이슬아, 차은주, 이승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3]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1. 개요2. 구성3. 순위 집계 방식4. 방송사고5. 논란
5.1. 1위 공정성 논란5.2. 순위 반영 기준 논란5.3. 1위 차트 집계 오류 및 정정5.4. 기타
6. 소속사들과의 갈등
6.1. SHOWKING m, 쇼! 뮤직탱크와 함께 방영되던 시절6.2. 엠 카운트다운 이후
6.2.1. 과거 SM엔터테인먼트와의 갈등6.2.2. 기타 소속사들과의 갈등6.2.3. 최초공개 집착
7. 차트8. MC
8.1. 정식 MC 목록8.2. 인턴 MC 목록8.3. 스페셜 MC 목록8.4. 글로벌 MC 크루 목록
9. 역대 로고10. 여담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World NO.1 K-POP Chart Show
2004년 7월 29일부터 방송되고 있는 엠넷의 음악 방송으로 매주[4] 목요일 저녁 6시부터 생방송한다.[5] 공개 생방송은 2010년 이전까지는 등촌동 구. 88 체육관(현. KBS아레나)에서 진행되었으며 2009년 상암동 누리꿈스퀘어를 거쳐 2010년부터는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CJ E&M 센터 2층 스튜디오에서 하고 있다.

2009년 후반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 이전에 방송을 중단했다가 2010년 상반기에 방송을 재개한 바 있으며 이 때 방송 재개와 함께 프로그램의 HD 제작 및 송출이 시작되었다.[6]

한국 이외에도 일본, 중국, 베트남,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동시 생방송한다.[7]

2. 구성

케이블방송 특성상 심의규제가 지상파에 비하면 매우 너그러다.[8] 이 때문에 지상파 음악프로에서 나오지 못하거나 수정된 부분을 엠카에서는 규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9][10] 또한 지상파 음악방송에 비해 독특한 편집을 하기도 한다.[11] 그리고 지상파 음악 프로그램과는 달리 별도의 코너(MCD News, MCD 파파라치 등등.)를 준비하는 등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독특한 시도를 하려는 모습이 보이는데, 2010년 상반기에 방송을 재개한 이후 ' 방시혁의 B'shop'라는 코너가 생기면서 기존 곡들에 대한 다양한 편곡으로 다른 음악 프로그램들과의 차별성을 꾀했으나, 여러 시행착오로 인해 슬그머니 사라졌다.[12]

2012년 8월 30일부터 FT아일랜드 이홍기가 MC를 맡고 있었다가 FT아일랜드의 스케줄 문제로 인해 이홍기는 4개월만인 2012년 12월 13일 하차하였다. 이후에는 지속적으로 스페셜 MC제로 운영하고 있다. 그 뒤 2013년 8월 15일 부로 김우빈으로 정식 MC가 확정됐고 김우빈은 2014년 2월 13일까지 MC를 맡았었다. 그 후 2014년 2월 27일부터 안재현 정준영이 진행했으며, 이 둘은 같은 해 11월 20일까지 진행했다.[13] 2015년 3월 19일부터 씨엔블루 이정신 SHINee Key가 MC를 맡았으며, 2016년 9월 8일을 끝으로 이정신이 하차하고 2017년 4월 13일을 끝으로 Key가 하차하면서 다시 스페셜 MC제로 진행되고 있다.

2013년에는 가수들의 컴백 무대 끝에 대담 느낌의 꼭지를 집어넣은 적이 있었으며[14] 반응이 안 좋았는지 금방 접었다.

컴백 무대를 선보이는 가수들 중 일부는 무대를 보여주기 전에 팬들을 모아두고 활동곡을 간단히 미리 보여주는 미니팬미팅을 진행한다.

2012년부터는 " KCON"이라는 이름의 해외 콘서트를 진행 중이다.[15] 주로 로스앤젤레스에서 진행되어 왔는데, 맨 처음에는 하루만 하던 것이 2014년부터 이틀로 늘더니 2015년부터는 -미-일로 넓어져서 1년에 3번 진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미국 공연은 이제 뉴욕에서도 진행된다.

그러다 2016년 3월에는 아부다비까지 진출했다! 동년 4월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6월에는 프랑스 파리와 미국 뉴욕에서, 7월 미국 LA에서도 진행되었다. 참고로 2016년 KCON의 경우 아부다비편은 M슈퍼콘서트로 방송되었고, 일본과 뉴욕편은 목요일 본방시간에 프랑스와 LA편은 화요일에 방송되었다. 2017년에는 멕시코에서도 진행되었으며, 일본에서는 3일 진행되었다. 미국의 뉴욕과 LA에서도 각각 2일, 3일 진행될 예정에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도 예정되어 있다고 한다.

매번 개편한답시고 3~4주 넘게 날려먹을 때가 있다. 현행 체제가 2009년 후반에 방송 중단 - 2010년 초에 방송 재개 후 확립되었듯이, 적절한 예로는 2014년 11월 넷째주부터 갑자기 MAMA를 핑계로 딱 한 주를 빼고 계속 결방했다가 해를 넘겨 2015년 1월 셋째주까지 와서야 결방이 끝난 걸 들 수 있다.[16] 참고로 결방하던 이유에는 '개편 준비'도 있었으나, 정작 진짜 개편은 3월 중순에 이루어졌다. 2015년에도 무려 5주 연속 결방되었으며 다행히 2014년보다는 빠른 12월 셋째주에 방송이 재개되었다.

내레이션은 임희택[17]이 맡고 있다.

513회(2017년 3월 2일 방영)부터 노래 가사의 파트를 보여주고 있다. (단, 솔로 제외)[18] 5명 이상의 다인 그룹이 보편화되면서 멤버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보이며 548회(2017년 11월 9일 방영)부터 색감이 왔다갔다 하는 편이다. 11월 9일 방영분은 보정을 넣은 것처럼 하얗게 뜬 모습을 볼 수 있는데, 2018년 1월 11일 방영분에는 원상복구 되었다가 그 다음주인 18일부터 다시 하얗게 뜬 색감으로 방영 되었다. 그러다가 2018년 2월 22일 방영분에 다시 원상복구 되었는데 2018년 3월 1일에 다시 하얗게 뜬 색감으로 방송 되었다. 마지막으로 2018년 3월 8일에 원상복구가 되었고 15일 부터 현재까지는 적당히 보정을 넣은 듯한 색감으로 방영중이다. 정말 색감 조정을 해서 방영하는지는 알 수 없지만, 2017년 11월 9일 이전 방영분에 비하면 색감이 떡져보이는 편이다.

568회(2018년 4월 26일 방영)부터 글로벌 트렌드를 놓치지 않는 K-POP 차트쇼를 표방하면서 글로벌 MC 크루제를 도입하고, SNS와 글로벌 팬 투표 점수가 상향 조정되는 등 집계 방식 등이 개편되었다. 또한 국내 소셜미디어 상의 화제성 등을 고려하여 국내 음악 팬들이 가장 사랑하는 음악을 뽑는 '오늘의 노래 주간 차트'를 신설하였다.

대부분의 가수들은 컴백하면 대부분 첫 음방을 여기서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19]

2019년 1월 3일 방송을 통해 600회를 맞았으며, 4월 4일부터 최대 120분까지 확대 편성된다.

2019년 4월 개편 이후부터 몇몇 그룹의 컴백 무대에는 기존의 최초공개가 아닌 MCD COMEBACK SPECIAL이라는 타이틀을 붙이기 시작했다. 보통 이 타이틀이 붙는 그룹은 컴백 시 2~3곡을 완곡으로 다 한다고 보면 된다. 다만 2020년 하반기부턴 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아래는 MCD COMEBACK SPECIAL로 컴백한 그룹들이다.
[ 펼치기 · 접기 ]

3. 순위 집계 방식

748회(2022년 4월 14일)부터 산정 방식 기준.
  • 음원 점수: 50% - 써클 글로벌 차트 참조
  • 음반 점수: 15% - 써클 앨범 차트 판매량 데이터를 근거로 이번 주의 주간판매량(순위)을 반영
  • 글로벌 소셜 미디어 점수: 10% - 유튜브 공식 MV 점수 반영
  • 글로벌 팬 투표 점수: 15% - 엠카운트다운 홈페이지(커뮤니티)에서 사전 온라인 투표 반영.
  • 방송 점수: 10% - Mnet 채널 방송 점수 (MV/방송 등)
  • 생방송 실시간 투표 점수: 10% - 엠카운트다운 홈페이지(커뮤니티)에서 실시간 투표 반영. 총점: 11,000점

2014년 2월 20일로 순위가 변경되었는데, 음원 50%, 음반 10%, 방송점수 10%는 그대로지만 선호도는 10%로 내려갔는데 여기에 과거에 있었던 글로벌 음악팬 투표도 포함되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점수, 즉 유튜브 공식 뮤직비디오와 SNS지수의 통합점수가 10%로 추가되었으며, 생방송 문자투표도 10%로 이전보다 5% 더 늘어났다. 즉 이전보다 오히려 팬덤 많은 가수들이 유리해지는 차트가 되었는데, 어떻게 보면 쇼 음악중심과 비슷한데 방송점수가 따로 들어간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고 보면 될 것 같다. 문자투표는 TOP10 중 1명을 투표하는 방식[22]이었으나 2014년 8월부턴 유력 1위 후보라는게 생겨서 좀 바뀌었고, 2014년 12월 말부터는 다시 개편 이전의 방식인 1위 후보 2명 중 1명을 투표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23]

2015년 6월 11일 방송부터 차트가 개편되었는데 음반 점수와 SNS 점수의 비율이 5%씩 늘어나면서 만점이 11000점으로 상승했다. 뭔가 뮤직뱅크와 인기가요를 반반 섞어놓은듯한 느낌. 그리고 결국 늘어난 음반 점수의 영향으로 팬 화력이 강한 보이밴드들에게 유리한 구조가 되었다. 아무리 음원이나 SNS 점수에서 밀려도 음반 점수+사전투표+문자투표에서 모두 만점을 얻으면 충분히 극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24]

2018년 4월 마지막 주 방송부터 글로벌 팬들이 공감할 수 있는 K-POP 차트를 만든다는 명목으로 글로벌 팬 투표 점수와 소셜미디어 점수를 상향 조정하였다.

2020년 5월 28일 방송부터 SNS 점수의 비율이 20%에서 15%로 줄어들고 글로벌 팬 투표 점수의 비율이 10%에서 15%로 늘어났다. 이후 2020년 9월 10일 방송부터 음원 점수 집계 대상에서 벅스가 제외되고 FLO가 포함되었다.

SBS 인기가요와 마찬가지로 3주 연속 1위를 하면 트리플 크라운으로 다음 주부터 후보에서 제외된다. 또한 같은 앨범 내 더블 타이틀곡과 후속곡은 음반 점수를 주지 않으며, OST의 경우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

점수는 1위 후보 2팀만 공개된다.[25]

차트 인과 차트 아웃의 기준이 다른 음방과 비교했을 때 심히 이해하기 어려웠다. 방송 무대를 가지지 않은 곡[26]과 더블 타이틀곡이라도 성적이 더 좋은 곡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활동곡을 기준으로 잡는다. 또한 공식적으로 음방 활동이 끝난 곡은 차트에서 빠진다.[27] 그리고 2020년 9월 차트 개편과 함께 활동 종료 주의 차주까지 집계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이는 홈페이지에 전혀 명시되어 있지 않아 자세히 문의하면 알 수 없는 사항이었는데, iKON의 <취향저격>이 차트에 들지 않아 논란이 되자 그제서야 세부 사항이 알려졌다.[28]

이후 2022년 4월부터 차트 산정 방식 변경과 함께 차트 집계 기간 기준이 활동 기간에 관계없이 발매 후 1개월(5주)[29]로 변경되어 음방 미활동곡이나 활동 기간이 짧은 곡들이 수혜를 받았다. 실제로 집계 기준 변경 이후 음방 미활동곡이었던 BIGBANG의 < 봄여름가을겨울>이나 1주 활동곡이었던 방탄소년단의 < Yet To Come>은 차트인 직후 3주 연속 1위로 트리플 크라운을 차지했다.[30] 다만 5주 활동을 한 LE SSERAFIM의 < FEARLESS>는 5주차까지 엠카 차트 상위권을 유지했지만, 활동 종료 차주인 6주차에 다른 음방 차트에서 상위권 성적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엠카 차트에서 제외되었다.

2016년 들어서는 결방 대신 하이라이트 방송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그럴 때마다 1위 수상도 꼬박꼬박 하고 있다. KCON의 경우 일본편과 뉴욕편만 본방시간에 방송을 했는데 이 때도 1위는 줬고, 프랑스편과 LA편의 경우에는 화요일로 옮겨서 방송했다. 다만 화요일로 옮겨서 방송 할 때도 엠카운트다운으로 방송되기 때문에 회차에는 추가가 된다. 즉, KCON이 화요일에 방송되고 목요일에 생방이 방송되면 1주에 회차가 2개 올라가는 셈.

하지만 2016년 11월 셋째 주부터 MAMA 준비를 이유로 하이라이트 방송으로 2주를 대체를 하고 이후에는 2주간 결방을 했는데 이 때는 순위발표를 하지 않아서 TWICE의 TT의 3주 연속 1위가 막히기도 했다. 총 5주간 순위제를 진행하지 않았는데 꽤나 긴 시간을 하지 않은 셈이다. 2018년 현재는 MAMA 준비로 한달가량 생방송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 MAMA 전주 2회는 하이라이트 방송으로 편성되고 1위 수상을 해주며 MAMA 당일에는 결방하고 1위 수상을 해주지 않는다.

이전에는 결방 주에도 순위를 집계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2022년 현재는 결방 주의 순위 집계는 없는 상태이다. 2017년 당시 하이라이트 편성 시에는 1위 후보의 실시간 문자 투표가 진행되었으며, KCON이 편성될 때에는 실시간 문자 투표가 진행되지 않았다. 2018년 2월 현재 기준으로 하이라이트 편성하는 주와 KCON 편성 시에는 1위 후보의 실시간 문자 투표가 진행되지 않는다. 다만 2017년 마지막회 광주에서 진행한 엠카운트다운에서 생방송 문자투표를 다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총점을 공개하지 않은 채 1위 발표를 한 적이 있어서 소소한 논란이 되기도 했다.[31]

4. 방송사고

  • 2021년 8월 27일, CL SPICY 무대에서 같은 장면이 두번 나갔다. 사전녹화 분을 잘못 합치면서 싱크가 어긋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유튜브 채널에는 수정되어 업로드됐다.
  • 2024년 5월 16일 오전에 해당 프로그램이 촬영되는 서울 상암 CJ ENM 센터 촬영 스튜디오에서 갑자기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가 발생했을 당시 촬영 스튜디오에는 aespa Supernova 컴백 무대가 사전 녹화 중이었다. 멤버들과 스태프들은 급히 대피해서 큰 화를 면했지만 이 화재로 인해 멤버 전원이 컨디션 난조를 호소했고 결국 이들의 컴백 무대 사전 녹화는 취소되었다. 화재 원인은 촬영용 세트에서 불이 붙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5. 논란

5.1. 1위 공정성 논란

지상파든 타 케이블이든 항상 1위 논란이 있기 마련이지만, 엠카 1위는 다른 곳보다 더 공정성 논란이 자주 벌어진다. 신인 아이돌은 아무리 엠카에서 1위를 하더라도 지상파에서 1위를 해야 비로소 인정을 받는 정도. 이게 심해서 한때는 아예 엠카 1위는 인정을 하지 않았다.[32]

특히 아래에도 나와있지만 사이가 안 좋은 소속사 가수들에겐 절대 1위를 주지 않는다.[33] 그 예로 인기가요 트리플 크라운, 뮤직뱅크 9주 연속 1위를 기록했던 2009년 대히트곡 소녀시대의 Gee나, 타 음방에서 1위 싹쓸이한 비스트의 good luck, 12시 30분이 있는데 전자는 투표 때문에 몇점 차이로, 후자는 항상 문자투표는 팬덤의 힘으로 만점을 받는데도 방송점수 때문에 몇백점 차이로 번번히 2위를 안겨주어 팬들에게 많은 비난을 받았다. 그나마 비스트의 good luck은 딱 1번 1위를 한적이 있지만 그날 결방을 해버렸다.

마찬가지로 2014년 12월 모든 음악방송을 휩쓴 Apink의 LUV 경우, 원래 결방을 하더라도 차트 집계는 하는데도 첫째주와 둘째주는 아예 미집계로 넘어가 비스트의 선례를 본 팬들은 기대를 저버렸으나, 버틸 수가 없었던지 결국 셋째주와 넷째주 1위를 안겨주어 놀라움을 안겨준 바 있다.[34]

현재는 한때[35] 사이가 나쁜 YG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에게 1위를 주는 것을 보아 이런 논란은 많이 사라졌다. 대표적으로 2018년엔 아이콘 사랑을 했다와 블랙핑크 뚜두뚜두가 트리플 크라운을 받아갔다. 물론 WINNER BLACKPINK등 YG가수들의 방송점수에 0점 테러를 하기는 한다. 다만 YG 가수에게도 기준이 이상하게 적용된다. 이렇게 엠카는 기준이 이상할 때가 있다.

5.2. 순위 반영 기준 논란

활동을 중단하게 되면 순위에서 제외시킨다. 문제는 이 활동 중단 이후 순위 제외의 기준이 자기 멋대로라는 점에 있다. 어떤 때에는 굿바이 무대를 가진 주의 순위는 그대로 유지시키는 경우가 있지만, 어떤 때는 얄짤없이 순위를 제외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 음방 활동을 하지 않는 곡은 아예 차트에 들어가지 못한다.

2017년 들어서 논란이 거세진 편인데, 그 대표적 예가 바로 TWICE다. TWICE의 경우 Knock Knock 활동 때에는 활동이 끝난 후에도 순위가 반영이 되어서 1위를 했던 경험이 있다. 그런데 SIGNAL 활동 때는 활동이 끝나자마자 바로 순위에서 제외되면서 트리플 크라운의 기회를 놓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팬들의 불만이 하늘을 찔렀다. 문제는 먼저 활동을 마친 어반자카파 싸이의 곡은 차트에 있는데 TWICE 씨스타만 활동 종료를 이유로 차트에서 제외시켰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인지 2020년 9월 차트 개편에 따라 활동 종료 주의 차주까지 집계 대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36][37] 2022년 4월 차트 개편에서 활동 기간에 관계없이 발매 1개월 안의 곡만 집계 대상에 포함되도록 변경하여 기준이 한결 명확해졌다.

5.3. 1위 차트 집계 오류 및 정정

2019년 5월 16일, 엠카운트다운 619회 차트 집계에서 논란이 있었다. 뉴이스트와 오마이걸이 1위를 경합을 해서 뉴이스트가 1위를 했다. 그런데 직전 주까지 2000점 만점으로 부여되었던 소셜미디어 점수가 오마이걸에게는 1500점 만점으로 부여되었고, 뉴이스트에게는 2000점 만점 기준으로 점수가 부여되었기 때문에 점수 조작 논란이 일었다. 관련 기사

당연히 오마이걸 팬덤에선 분노하여 비난이 폭주했고, 여타 커뮤니티에서도 논란이 커져 엠카운트다운 게시판으로 많은 항의가 빗발쳤다. 심지어 이 과정에서 애먼 뉴이스트에게 비방을 가하는 네티즌들까지 생겨났을 정도. 결국 몇 시간 뒤 당일 오후 11시 53분에 엠카운트다운 측에서 공식 트위터를 통해 담당자의 실수로 소셜미디어 점수 입력 실수로 인해서 점수 계산이 잘못된 것을 인정하면서, 오마이걸이 1위로 정정되었다. 관련 공식 트위터 공지. 네이버TV 엠카운트다운 채널에서 뉴이스트의 1위 발표 및 앵콜 영상은 삭제되었고, 오마이걸 무대 영상 제목 앞에 1위를 붙이는 촌극이 벌어졌다. 석연치 않은 실수로 두 아티스트와 팬들에겐 상처를 남겼지만 그나마 빠르게 실수를 인정하고 정정했기 때문에 더 이상 일이 커지지 않고 마무리되었던 것.

결국 1주일 뒤 방송된 엠 카운트다운 620회에서 아예 무대를 따로 마련해놓고 수상 실수에 대한 사과와 함께 오마이걸에게 1위 트로피를 수여했다. #

5.4. 기타

2010년 천안함 피격 사건 당시 지상파 음악 프로그램들이 결방을 이어가고 있을 때 '가수들의 홍보 무대가 필요하다'는 명분으로 결방 없이 매주 계속해서 내보내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비판을 의식했는지 영결식 당일 생방송은 공연 없이 무대 비하인드 영상 편집 위주로 구성하고 MC 멘트와 실시간 1위 투표만 생방송으로 진행했으며 이후 2014년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때는 결방에 동참했고 세월호 1주기 때도 방송 일정을 16일에서 17일로 변경했다.

다른 음악 방송에서는 1위를 한 적 없이 오직 엠카운트다운에서만 1위를 한 가수로는 전소미 최예나가 있다.

6. 소속사들과의 갈등

유독 지상파나 다른 케이블에선 잘만 나오는 가수들이 엠카운트다운에만 안 나오는 일이 종종 발생하고 있는데, 바로 엠넷과 소속사의 갈등 때문. 물론 지상파에서도 KBS YG엔터테인먼트의 갈등이나 MBC SM엔터테인먼트, HYBE의 갈등 같은 여러 사례가 있긴 하지만, 엠카는 2020년 현재까지도 한 소속사와도 아니고 다양한 소속사들과 갈등이 빈번하게 일어나서 문제.

6.1. SHOWKING m, 쇼! 뮤직탱크와 함께 방영되던 시절

SHOWKING m과 함께 방영되던 시절에도 뉴스에서 전쟁이라 표현할 정도로 발생한 적이 있었다. 사건은 2002년, 엠넷과 같은 CJ그룹 계열사의 지역SO였던[38] 서울 양천SO, 경남 마산SO, 창원SO가 KMTV의 송출을 중단시켰는데 이에 KMTV 측이 CJ가 압력을 넣어 의도적으로 송출을 방해하고 있다고 항의한 것.

KMTV는 당시 엠넷과 양대산맥을 이룰 정도로 치열한 라이벌 관계를 이룬 채널이었는데, 이 때문에 각각 1대와 2대 주주였던 대영AV와 예당엔터테인먼트를 비롯해 나머지 주주들인 아이스타뮤직, GM기획 등에다, 여기에 주주사도 아닌 SM엔터테인먼트도 뒤늦게 출연거부에 합세하면서 총 15개의 음반제작사들이 들고 일어나 그해 2월부터, SM은 4월부터 엠넷에 출연시키지 않겠다고 결정하면서 사건이 커지게 된다. 당연히 엠넷 측은 당시 SO가 결정한 건 자신들과 아무 상관 없다고 강하게 부인했다.

이 때문에 신승훈, 엄정화, 이정현, 클릭비, 핑클, S.E.S., 신화, 강타, 문희준 등까지 인기 가수 60여명이 엠넷에 출연하지 않는 바람에, SHOWKING m이 섭외에 큰 타격을 입으면서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가수들로 채워진 반면 KMTV는 쇼! 뮤직탱크를 통해 신승훈의 특집 무대를 30분씩이나 방영하면서 엠넷에게 제대로 엿을 먹였다. 물론 자존심 때문인지 대놓고 서로간 디스는 자제하고 출연거부란 단어는 언급도 거의 하지 않았다.

이를 말려야 할 (舊) 방송위원회는 법적으로 문제되지 않는다며 강건너 불구경 하듯 바라봤고, 케이블 TV협회에서도 당시 마땅한 규제방안이 없어 중재할 수도 없다는 입장을 밝혀 사태는 장기화될 것처럼 보였으나, 다행히도 그해 말 송출을 중단한 지역 SO가 다시 KMTV를 넣으면서 사태는 일단락되고 그해 MAMA의 전전신인 MMF에서 하하다시는 출연 거부 없길이란 말로 간접적으로 언급되며 마무리되었다.

그 뒤 2005년 SHOWKING m이 종영, 2008년 쇼! 뮤직탱크가 종영되면서 엠카운트다운만 남게 되었다.

6.2. 엠 카운트다운 이후

6.2.1. 과거 SM엔터테인먼트와의 갈등

2000년대 후반, 엠넷의 모기업 CJ그룹은 어마어마한 자본을 바탕으로 연예기획사들을 모조리 통합하고 가요계 시장까지 장악하기 시작하고 이에 SM이 반발하며 갈등이 벌어진다.

때문에 소녀시대는 소원을 말해봐, Oh!, Run Devil Run 등의 곡들을 계속해서 히트 치고도 엠 카운트다운에선 단 한 번도 1위를 하지 못했었다.

SM은 MKMF의 후신인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드도 당연히 보이콧하기 시작했는데, 이에 CJ는 SM의 전속계약에 대한 불만으로 SM에게 전속계약 효력정지 확인 소송을 걸고 SM과 결별했던 김재중, 박유천, 김준수를 초청해 베스트 아시안 스타상을 수상하게 만들면서 제대로 엿을 먹였으며 #, 그 보복 조치로 2010년 3월부터 SM은 엠넷닷컴에 음원 유통을 끊게 된다. 방송에서도 SM엔터테인먼트 소속 가수들이 없는 존재로 취급되는 등 두 회사 간의 사이는 완전히 돌아서기에 이르게 된다.

게다가 CJ에 위협을 느낀 지상파가 나는 가수다 등으로 대대적인 공격을 펼치며 아이돌 시장 전체가 부진에 빠져[39] 엠넷 자체가 큰 타격을 입게 되었고, 결국 SM과 전쟁을 주도했던 인물들을 해고 시키고 SM과 화해하며 장장 2년 여 간의 갈등에 종지부를 찍게 된다. 이로 인해 2011년 1월 20일 동방신기의 엠카 출연을 시작으로 여러 엠넷 프로그램에서 SM 소속 가수들을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하나 고위간부들이 대거 교체된 2018년 중반부터 다시 갈등이 시작되는 조짐이 보이기 시작했고, 그 해 8월 컴백한 Red Velvet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SM 아티스트들은 엠 카운트다운, 마마 어워즈, MGMA, KCON 등 엠넷의 모든 컨텐츠들에 출연하지 않고 있었다.[40]

이후 2020년 여름, CJ ENM에서 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정창환이 퇴사했음이 확인되면서 다시금 변화의 기류가 예상됐으나, 10월 NCT WORLD 2.0의 엠넷 방영이 확정되면서 다시 서로 화해의 관계에 들어서게 된다. 거기에 10월 8일에는 새 앨범으로 돌아오는 NCT U가 10월 15일, 엠 카운트다운에 출연했고. 또한 2020 MAMA에 보아, 태민, NCT가 출연하게 되면서 SM과 화해가 완전히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유노윤호 역시 2021년 2월 4일 엠 카운트다운에 출연했고 이후 SHINee와 SUPER JUNIOR도 출연하면서 별탈없이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중이다.

6.2.2. 기타 소속사들과의 갈등

2009년 SM이 보이콧을 선언하며 중소 기획사인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도 합세해 출연거부를 했는데[41] 엠넷은 이에 전혀 개의치 않았고 오히려 당시 데뷔한지 1년도 안된 애프터스쿨의 활동에 직격타를 가하게 된다. 결국 2년 뒤인 2011년 10월 오렌지캬라멜의 샹하이 로맨스 컴백을 시작으로 화해했다.

2014년 7월부터 2015년 상반기까진 큐브엔터테인먼트 계열과도 사이가 좋지 않았다. 4가지쇼 비스트 용준형편의 방송 취소[42]에다, 1위 기록 누락[43] 등 여러건으로 인해 비스트가 10월에 '12시 30분'으로 활동할 당시 엠카에는 한번도 출연하지 않았고, 트로피도 타 방송사에선 다 탔지만 엠카만 에픽하이의 헤픈엔딩에 트리플 크라운을 안겨주며 한번도 주지 않았다.[44] 플랜에이엔터테인먼트 소속인 Apink도 여러 모종의 사정[45]으로 역시 엠카엔 출연하지 못했지만,[46] 그 다음해 2월에 4minute이 출연한걸 시작으로 CLC도 방송 데뷔를 여기서 했고, 7월에 컴백한 Apink 비스트가 근 1년 만에 출연하는게 확정되어서 일단은 성공적으로 화해한듯 하다. Apink의 경우엔 정은지가 솔로 데뷔 첫 무대를 엠카에서 가지면서 완벽하게 갈등 해소되었다.

2017년 들어서는 KBS처럼 YG엔터테인먼트와의 관계가 나빠진 편이다. 2017년 들어서 엠넷에 YG가수는 한 번도 출연을 하지 않았을 정도다. 물론 큐브엔터테인먼트와 달리 1위는 계속 주고 있지만, 아무래도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는 점에서 확실히 사이가 틀어졌다는 것이 드러났다. 대체적으로 예상하기에는 2015 MAMA 이후로 사이가 멀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2017년 7월에도 블랙핑크에게 한번도 1위를 주지 않아서 사이가 틀어졌다는 것이 기정사실화되었다. 2018년 3월 현재 iKON 사랑을 했다로 트리플 크라운을 기록한 상태이나 YG 소속 가수의 출연은 2018년 2월 1일 셀럽파이브로 출연한 안영미를 제외하면 없는 상태. 2017년부터 YG엔터테인먼트 가수들의 방송점수가 두자릿수를 거의 넘지 못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다 2019년 6월 YG 소속인[47] 전소미가 엠카에 출연을 했다. 프로듀스 101 출신이라 보낸거일수도 있으니 앞으로의 상황을 더 지켜봐야할 듯 하다. 다만 AKMU WINNER, BLACKPINK는 이후에도 음악중심과 인기가요에만 나오는 것으로 보아 사이가 아직 좋아지지 않은것으로 보인다. 그러다가 2020 MAMA에 YG 소속 가수인 트레저가 출연을 확정지으면서 아주 조금이나마 YG 소속 가수들이 엠카에 출연할 가능성이 보이긴 하다. 1개월 후인 1월 14일 TREASURE가 첫 정규앨범을 발매하고 엠카에도 처음으로 출연했다. 마마에도 유일하게 나왔던 그룹이기에 아직 타 그룹의 출연 여부는 알 수 없으나, 확실히 긍정적 시그널인건 분명하다. 그리고 BOBBY도 새 앨범의 첫 무대를 엠카에서 갖는게 확정되었다. 화해가 된 것으로 보여 YG 소속 타 가수 역시 엠카에서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블랙핑크의 로제 또한 출연했다.

2021년부터는 스타쉽엔터테인먼트와의 관계가 경색되었다. 구정모가 조작으로 프로듀스 X 101에서 탈락했다는 사실이 드러나고, 결정적으로 몬스타엑스 킹덤 출연 고사로 스타쉽 소속 모든 가수들이 또한 엠넷 방송 출연에 제약이 생겼다. 2022년 우주소녀의 유닛그룹 우주소녀 쪼꼬미의 엠 카운트다운 출연이 확정되었고 실제로 출연하면서 사실상 화해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48]

2023년부터는 전년도 MAMA AWARDS에서 당한 차별 대우로 인해서인지 NewJeans가 엠카를 비롯한 엠넷 프로그램들에 출연하지 않고 있다.

6.2.3. 최초공개 집착

최초공개라는 타이틀에 자부심을 가지고 굉장히 집착했는데, 후발주자인 쇼챔피언이 엠카보다 하루 더 빠른 수요일에 방송하면서 쇼챔으로 컴백하는 가수들이 생겨나자 두 프로그램 사이에서 "컴백 첫 방송"을 두고 전쟁이 시작되었다. 거기다가 쇼챔피언의 PD를 비롯한 제작진 대부분이 엠넷의 모회사인 CJ ENM에서 건너간 인물들인 것도 한몫했다.

쇼챔은 엠카로 먼저 컴백했다고 해서 출연에 불이익을 주진 않지만, 엠카는 쇼챔으로 먼저 컴백한 가수들의 출연을 막아서 문제가 발생했다. 쇼챔에서 컴백을 마치면 그 주에 출연할 수 없다고 통보하는데, 여러 이유를 들어 이번에는 인연이 아니다란 식으로 에둘러서 말했다. 게다가 그 주뿐만 아니라 활동 내내 차트엔 오르지 못하며 다음 활동때 엠카에서 컴백하지 않을 때까진 완전히 찬밥 신세였다.

실제로 B1A4 Who Am I 당시 이 이유로 엠카에서 한번도 출연하지 못한걸 시작으로 걸스데이, B.A.P도 갑질을 겪었으며 VIXX는 소속사가 CJ E&M 산하 레이블인데다 2013년 VOODOO 활동이나 2014년 Error 활동 때 쇼챔에서 먼저 컴백했는데도 아무 탈 없이 출연했는데, 2015년 Boys' Record 활동이 엠넷의 갑질에 당하고 만다.

2007년 9월 KBS 2TV 뮤직뱅크가 일요일 낮 녹화방송에서 금요일 저녁 생방송으로 편성을 변경한 후 목요일부터 일요일까지 하루 하나씩 생방송 음악 방송이 편성되면서 목요일에 방송되는 엠 카운트다운이 그 주의 첫 음악 방송으로 자리잡게 되자 자연스레 엠카로 컴백하는 것으로 바뀌어 관례화된 뒤 이러한 갑질이 생겨났다.

반면 대형 기획사 가수들은 쇼챔으로 컴백했어도 엠카에 잘만 나왔는데, 엠넷 측도 대형 기획사 가수들이 안 나오면 손해보는 걸 알기에 허용해줬기 때문이다.

기사가 나온 이후 많이 관대해진 게 보인다. 예시에 나온 팀들을 예로 들자면 B1A4는 SOLO DAY, 걸스데이는 민아 I am a Woman too, VIXX는 KCON USA에 이어 빅스LR 유닛, 마지막으로 B.A.P까지.

7. 차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엠 카운트다운/차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MC

8.1. 정식 MC 목록

대수 진행 기간 진행자
1대 2004년 7월 29일 ~ 2004년 8월 26일 유노윤호 ( 동방신기), 박유천[49]
2대 2004년 9월 2일 ~ 2005년 5월 26일 이휘재
3대 2005년 6월 2일 ~ 2005년 10월 27일 신동엽, 김아중
4대 2005년 11월 10일 ~ 2007년 6월 21일 이특 ( SUPER JUNIOR), 강인[50], 신동 ( SUPER JUNIOR)
5대 2007년 7월 5일 ~ 2008년 3월 27일 이특 ( SUPER JUNIOR), 신동 ( SUPER JUNIOR), 은혁 ( SUPER JUNIOR)
6대 2008년 4월 10일 ~ 2008년 5월 29일 SS501
7대 2008년 6월 12일 ~ 2008년 12월 4일 채연, 알렉스 ( 클래지콰이 프로젝트)
8대 2009년 3월 12일 ~ 2009년 7월 9일 이기상
9대 2009년 7월 23일 ~ 2009년 11월 채연
10대 2010년 2월 ~ 2010년 8월 MCD GUYZ
11대 2011년 3월 ~ 2011년 9월 8일 토니 안 ( H.O.T.), 신소율
12대 2011년 9월 15일 ~ 2012년 8월 23일 토니 안 ( H.O.T.)
13대 2012년 8월 30일 ~ 2012년 12월 20일 이홍기 ( FTISLAND)
14대 2013년 8월 15일 ~ 2014년 2월 13일 김우빈
15대 2014년 2월 27일 ~ 2014년 11월 20일 정준영, 안재현
16대 2015년 3월 19일 ~ 2016년 9월 8일 key ( SHINee), 이정신 ( CNBLUE)
17대 2016년 9월 22일 ~ 2017년 4월 13일 key ( SHINee)
18대 2019년 4월 4일 ~ 2021년 2월 4일 이대휘 ( AB6IX), 한현민
19대 2021년 2월 18일 ~ 2023년 1월 19일 미연 ( (여자)아이들), 남윤수
20대 2023년 2월 23일 ~ 2023년 7월 20일 미연 ( (여자)아이들), 주헌 ( 몬스타엑스)
21대 2023년 9월 7일 ~ 2023년 11월 16일 미연 ( (여자)아이들), 성한빈 ( ZEROBASEONE)
22대 2024년 1월 11일 ~ 명재현 ( BOYNEXTDOOR), 성한빈 ( ZEROBASEONE), 소희 ( RIIZE)

이홍기가 하차한 뒤 김우빈이 MC로 발탁되는 데까지는 무려 7개월 2주가 걸렸고, 김우빈이 하차한 뒤 정준영, 안재현이 MC가 되기까지는 1주일, 그 다음 key, 이정신이 MC가 되기까지는 2개월이 걸렸다.

2017년 4월 13일 키가 하차한 이후로는 2019년 4월까지 1년 넘게 정식 MC가 없는 상황이었다. 2009년~2011년엔 2년 반이 넘도록 스페셜 MC만 돌려썼다. 2017년 5월 27일 KCON 특집에서는 19명의 아이돌과 배우를 스페셜 MC로 세우기도 했다.

2019년 4월 4일부터 2021년 2월 4일 까지 AB6IX 이대휘, 모델 한현민이 정식MC를 맡았고, 이후 2월 18일 방송 부터는 (여자)아이들 미연과 배우 남윤수가 정식 MC 자리를 이어 받았다. 그리고 스페셜 스테이지에서 수지와 백현의 Dream을 불렀다.[51]

2023년 1월 19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배우 남윤수가 하차하면서 몬스타엑스 주헌이 MC를 맡게 되었다. 이후 주헌은 MC를 맡게 된 지 5개월만에 군 복무로 인하여 하차했다.[52] 이후 9월 7일부터 ZEROBASEONE 성한빈이 MC로 합류했다.

약 2년 9개월(1,002일)간 MC자리를 지킨 미연은 2023년 11월 16일 방송을 마지막으로 최장수 MC라는 자리를 내려놓게 되었다. 그리고 스페셜 스테이지에서 자신의 드라마 OST인 마음이 닿는 법을 불렀다.

이후 2024년 1월 11일부터 성한빈과 함께 스페셜 MC로 섰던 BOYNEXTDOOR 명재현 RIIZE 소희가 MC로 발탁되었다.[53]

8.2. 인턴 MC 목록

진행 기간 진행자
2015년 3월 19일 ~ 2016년 3월 3일 GOT7 진영, 뱀뱀
2016년 3월 17일 ~ 2016년 4월 7일 TWICE
2016년 5월 5일 ~ 2016년 7월 21일 세븐틴 정한, 민규
2016년 7월 28일 ~ 2016년 9월 22일 NCT

8.3. 스페셜 MC 목록

진행 날짜 진행자 비고
2011년 9월 22일 카라 박규리, 강지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1년 9월 29일 카라 한승연, 강지영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12년 9월 13일 리지( 애프터스쿨, 유닛 오렌지캬라멜)
2012년 11월 15일 수지( 미쓰에이)
2013년 1월 3일 소녀시대 유리, 효연
2013년 1월 10일 소유( 씨스타), 보이프렌드
2013년 1월 17일 권소현( 포미닛), 존박
2013년 1월 24일 인피니트 이성열, 이성종
2013년 1월 31일 제국의아이들 박형식, 김동준
2013년 2월 7일 씨스타 소유, 다솜
2013년 2월 14일 애프터스쿨, 유닛 오렌지캬라멜 레이나, 나나
2013년 2월 21일 레인보우 김재경, 고우리, 김지숙
2013년 2월 28일 SHINee
2013년 3월 7일 틴탑 천지, 엘조[前][55], 니엘
2013년 3월 14일 걸스데이 소진, 민아, 혜리
2013년 3월 21일 다비치
2013년 3월 28일 인피니트 호야[前][57], 이성열, 이성종
2013년 4월 4일 김우빈, 조보아
2013년 4월 11일
2013년 4월 18일 제국의아이들 임시완, 박형식, 김동준
2013년 4월 25일 토니 안( H.O.T.), 온유( SHINee)
2013년 5월 2일 SHINee
2013년 5월 9일 시크릿 전효성, 송지은
2013년 5월 16일 B1A4 진영[前], 바로[前][60]
2013년 5월 23일 신화 이민우, 신혜성, 전진
2013년 5월 30일 신화 이민우, 전진
2013년 6월 13일 엠블랙 이준[前], 천둥[前]
2013년 6월 20일 리지( 애프터스쿨,유닛 오렌지캬라멜), 가은( 애프터스쿨)
2013년 6월 27일 레인보우 고우리, 김재경
2013년 7월 4일 포미닛 허가윤, 김현아, 권소현
2013년 7월 11일 씨스타 보라, 소유
2013년 7월 25일 걸스데이
2013년 8월 1일 설리( f(x))[前], 찬열( EXO)
2013년 8월 8일 브라운아이드걸스 미료, 나르샤
2013년 9월 5일 틴탑 천지, 니엘
2013년 9월 12일 제국의아이들 임시완, 김동준
2014년 7월 25일 손호영( god)
2015년 4월 23일 인피니트 남우현, , 류수정( 러블리즈) [64]
2015년 6월 4일 수호( EXO)
2016년 1월 7일 TWICE 나연, 지효*
2016년 1월 28일
2016년 3월 10일 AOA CREAM*
2016년 4월 14일 한승연( 카라), 윤학( 초신성[65]), 2PM 우영, 택연, 설현( AOA) [66]
2016년 9월 1일 전소미, 최유정( 위키미키)*[67]
2016년 9월 29일 Red Velvet 슬기, 조이
2016년 10월 27일 김세정*[68]
2016년 11월 3일 TWICE 지효, 미나, 다현*
2016년 11월 10일 김도연( 위키미키), 임나영*[69]
2016년 12월 15일 진예( 라붐), 문빈( ASTRO)
2017년 2월 23일 TWICE 미나, 채영
2017년 3월 2일 세정, 미나[70]
2017년 3월 9일 육성재( 비투비)*
2017년 3월 16일 GOT7 JAY B, 마크*
2017년 3월 23일 하이라이트 이기광, 손동운
2017년 3월 30일 정화( EXID), 에릭남, Red Velvet 아이린, 슬기, 웬디 [71]
2017년 4월 6일 GOT7 영재, 유겸*
2017년 4월 13일 이정신( CNBLUE)* [72]
2017년 4월 20일 하니( EXID), 나영, 주결경[73]
2017년 4월 27일 니엘( 틴탑), 오마이걸 효정, 지호[前]
2017년 5월 4일
2017년 5월 11일 트리플 H[75]
2017년 5월 18일 VIXX, 홍빈[前],
2017년 5월 25일 남궁민, 비투비 이창섭, 육성재, 박초롱( 에이핑크), 이태환, 진영( GOT7), 은하( VIVIZ), 유주 ( 여자친구), 몬스타엑스 민혁, 기현, 형원, 세븐틴 에스쿱스, 원우, 민규, 우주소녀 보나, 루다, 은서, PRISTIN 나영, 로아[77][78] [79]
2017년 6월 1일 DAY6 Young K, 원필, TWICE 지효, 채영
2017년 6월 8일 이홍기( FTISLAND), 우주소녀 설아, 은서
2017년 6월 15일 원필( DAY6), 재현( NCT, NCT 127), 이나은( APRIL)
2017년 6월 22일 경리( 나인뮤지스), 몬스타엑스 기현, 형원
2017년 6월 29일
2017년 7월 13일 태용( NCT, NCT 127)
2017년 7월 20일 Red Velvet 슬기, 웬디
2017년 7월 27일 우주소녀 보나, 성소[前], 은서
2017년 8월 10일 위키미키 김도연, 최유정
2017년 8월 17일 Wanna One 옹성우, 황민현
2017년 9월 7일 해찬( NCT, NCT 127, NCT DREAM), 제노( NCT, NCT DREAM)
2017년 9월 28일 방탄소년단, 제이홉, 지민
2017년 11월 2일 TWICE 지효, 미나, 채영
2017년 11월 9일 TWICE 나연, 모모, 다현
2018년 1월 11일 인피니트 김성규, 남우현
2018년 1월 18일 인피니트 김성규, 장동우
2018년 1월 25일 오마이걸 효정, 지호[前], 아린
2018년 2월 1일 Red Velvet 슬기, 웬디
2018년 2월 8일 세븐틴 정한, 호시, 원우
2018년 2월 15일 세븐틴 우지, 민규, 승관
2018년 2월 22일 NCT, NCT 127 태용, 도영
2018년 3월 1일 NCT, NCT 127 태용, 재현
2018년 3월 8일 로운( SF9), 김도연( 위키미키)
2018년 3월 15일 GOT7 마크, 진영, 뱀뱀, 유겸
2018년 3월 22일 부석순 [82]
2018년 3월 29일 NCT, NCT 127 도영, 재현
2018년 4월 5일 몬스타엑스 셔누 기현, 원호
2018년 4월 12일 TWICE 나연, 채영, 쯔위
2020년 1월 30일 예린( 여자친구), 로운( SF9)
2020년 7월 9일 조승연[83], 김동현( AB6IX)
2020년 8월 20일 ITZY 예지, 유나
2020년 9월 17일 프로미스나인 장규리[前], 송하영
2020년 9월 24일 더보이즈 현재,
2022년 7월 21일~
8월 18일
최병찬( VICTON)
2023년 2월 2일 우기( (여자)아이들)
2023년 2월 9일 휴닝카이( 투모로우바이투게더)
2023년 2월 16일 최예나
2023년 3월 2일 재윤( 8TURN)
2023년 4월 13일 민재( xikers)
2023년 5월 4일 새나[前]( FIFTY FIFTY)
2023년 6월 1일 연수( ADYA), 최한빈( 더윈드)
2023년 7월 13일 BOYNEXTDOOR 명재현, 성호
2023년 8월 3일 ZEROBASEONE 성한빈[86], 김지웅, 장하오
2023년 8월 10일 ITZY 채령, 류진
2023년 8월 24일 STAYC 시은, 아이사
2023년 8월 31일 NCT, NCT 127 쟈니
2023년 9월 14일 명재현( BOYNEXTDOOR), 소희( RIIZE) [87]
2023년 9월 21일
2024년 2월 22일 ZEROBASEONE 박건욱, 한유진 [88]
2024년 7월 18일 안재현, 동방신기 유노윤호 [89]
2024년 10월 17일 BOYNEXTDOOR 리우 [90]

8.4. 글로벌 MC 크루 목록

엠카운트다운 개편 후 2018년 4월 26일 첫 방영분부터 외국어에 능통한 인기 아이돌 멤버로 구성된 글로벌 MC 크루 방식을 통해 다양한 언어로 진행을 하게 된다.
진행 날짜 진행자
2018년 4월 26일 사나( TWICE), 청하, 이대휘( AB6IX)[91]
2018년 5월 3일 문빈( ASTRO), 쟈니( NCT), 엄지( VIVIZ)
2018년 5월 10일 오마이걸 효정, 비니, 이대휘( AB6IX)
2018년 5월 24일 NCT 유타, 재현, 도영
2018년 5월 31일 NCT 도영, 해찬
2018년 6월 7일 황민현( 뉴이스트), 이대휘( AB6IX)
2018년 6월 14일 찬미( AOA), 지민, 이대휘( AB6IX)
2018년 6월 21일 이창섭( 비투비), 정일훈
2018년 6월 28일 뉴이스트 JR,
2018년 7월 19일 세븐틴 에스쿱스, 호시, 원우
2018년 7월 26일 세븐틴 정한, 승관, 디노
2018년 8월 2일 세븐틴 에스쿱스, 정한, 호시
2018년 8월 9일 솔빈( 라붐), 문빈( ASTRO) 인성( SF9)
2018년 8월 23일 소유
2018년 8월 30일 ASTRO 문빈, 윤산하
2018년 9월 6일
2018년 9월 13일 앤디( 신화)
2018년 9월 20일 GOT7 진영, 뱀뱀
2018년 10월 4일 GOT7 마크, 잭슨, 유겸
2018년 10월 18일 보나( 우주소녀), 김도연( 위키미키), 장규리
2018년 10월 25일 몬스타엑스 셔누, 민혁, 기현
2018년 11월 1일
2018년 11월 8일 TWICE 나연, 사나, 채영
2018년 11월 15일 TWICE 정연, 지효, 쯔위
2019년 1월 3일 안재현
2019년 1월 10일 VIXX 라비,
2019년 1월 17일 문빈( ASTRO), 신비( VIVIZ)[92]
2019년 1월 24일 VIVIZ 은하, 엄지
2019년 1월 31일 세븐틴 에스쿱스, 정한, 조슈아
2019년 2월 14일 우주소녀 설아, 보나, 은서
2019년 2월 21일 몬스타엑스 셔누, 기현, 형원
2019년 2월 28일 예지( ITZY), 이대휘( AB6IX)
2019년 3월 7일 몬스타엑스 주헌, 민혁, 아이엠
2019년 3월 14일 SF9 인성, 다원, 로운
2019년 3월 21일 라비( VIXX),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연준, 수빈
2019년 3월 28일 주이( 모모랜드), Stray Kids 승민, 필릭스
2020년 8월 6일 (여자)아이들 민니, 우기

9. 역대 로고

<rowcolor=#ffffff> 사용 기간 로고
2010. 02. ~ 2011. 02.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0.png
2011. 03. ~ 2012. 08.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1.png
2012. 08. ~ 2014. 02.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2.svg
2014. 02. ~ 2015. 03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4.svg
2015. 03. ~ 2016. 03.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5.svg
2016. 03 ~ 2017. 04.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6.svg
2017. 04. ~ 2018. 04.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7.svg
2018. 04. ~ 2019. 03.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8.svg
2019. 04. ~ 2021. 02.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19.svg
2021. 02. ~ 2023. 11.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1.svg
2024. 01. ~ 파일:엠 카운트다운 로고 2024.png

10. 여담

  • 전체적인 디자인 글꼴은 ' HG 꼬딕씨'를 사용하고 있으며, 가사 글꼴은 '윤고딕 300번대'에 장평 90% 정도로 사용하고 있다. 타 음악 방송사(뮤직뱅크, 음악중심, 쇼 챔피언)도 이 폰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 가사를 재현한 영상이 있다. 마찬가지.
  • 해외 가수들도 종종 출연하는데, 보통 공연을 위해 내한한 가수들이 홍보 겸으로 출연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레이디 가가, 에이머리 등 유명 팝스타들도 엠카에서 공연했으며, 영국밴드 뉴 호프 클럽도 엠카에 나왔다.[93] 일본 가수들도 1년에 한번씩 드물게 나와서 J-POP 덕후들에게 간혹 기대를 받는다. KAT-TUN이나 야마시타 토모히사나 걸그룹 베리즈코보, 재일교포 가수인 소닌, 쿠라키 마이도 나왔었고 은혼 엔딩인 사무라이 하트(Some like it hot!)를 부른 SPYAIR도 나와서 "오오 방송에서 일본 애니 노래가 나올 줄이야!"라며 전율한 덕후들도 있었다는 듯. 그 뒤로는 한 동안 잠잠하더니 SEKAI NO OWARI의 출연이 확정되었다. 이후 코로나 시국이 지나간 이후 2023년, YOASOBI가 출연했다. 심지어 2018년 7월에 대만 타이베이에서 방송하면서 현지 밴드 오월천(五月天)이 한국방송에 출연하고 나서 9월에 내한해 중음 덕후들이 놀라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KPOP 음악방송 6개중 네이버TV캐스트에 가장 먼저 채널을 개설했다. 개설일은 2012년 7월 3일로 네이버TV캐스트가 베타서비스 중이었다. 그리고 같이 베타서비스 중에 개설된 채널은 쇼챔피언으로 2012년 10월 18일에 개설되었다. 그리고 2014년 6월 12일에 뮤직뱅크가 개설하였으며 국내 유튜브 다시보기가 중단된 2014년 11월에는 4일에 쇼 음악중심이, 11일에 SBS 인기가요 채널이 개설되었다. 가장 마지막으로 2015년 2월 10일에 더 쇼 채널이 개설되었다.
  • 2014년 유튜브 M2 채널에 직캠 서비스를 최초로 실시했다.[94] 2017년 5월부터 국내에서는 각 가수 활동곡 별 최초공개 무대 직캠만 유튜브에 공개되며 2주차 무대 직캠부터는 국내 차단이 걸리고 네이버TV에 별도로 신설된 MPD직캠 채널에서 감상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구분없이 올라오고 있다.[95] 2019년 현재는 컴백무대가 진행되면 전 멤버의 4K 직캠이 방송 직후 올라온다. 당연히 무대 직캠은 활동이 끝날때까지 올라오고 '입덕직캠'이라는 얼굴 위주의 가로직캠도 가끔 올라온다. 물론 어디까지나 인지도 좀 있는 그룹 한정.
  • PPL의 경우 520회(2017년 4월 20일 방영)부터 619회(2019년 5월 16일 방영)까지는 노래 소개 시 엠넷닷컴의 가상광고가 삽입되었으며, 620회(2019년 5월 23일 방영)부터는 지니뮤직의 가상광고가 삽입되고 있는데 735회(2022년 1월 13일 방영)부터 738회(2022년 2월 2일 방영)까지는 자체 PPL을 사용하였다.
  • 비하인드 영상들로 구성된 "M COUNTDOWN 백 스테이지"라는 프로그램이 일본 채널인 Mnet Japan에서 편성, 방송되고 있다. 홈페이지
  • 사전녹화 시간이 매우 이른 편이다. 사전녹화가 정말 빠른 가수의 경우 무려 수요일 저녁에 사전녹화를 한다. 즉, 엠 카운트다운은 방송 전날부터 무대를 설치하고 사전녹화를 한다는 것. 물론 다른 음악방송도 새벽 시간대 녹화가 있는 경우가 있지만[96] SBS 인기가요처럼 새벽에 사전녹화를 하는 경우가 대다수며, 아침 시간대에 하더라도 사전녹화 인원체크 시간 때문에 엠 카운트다운을 가는 팬들은 대부분 근처에서 밤샘을 하는 경우가 많다.[97] 당연히 엠 카운트다운 스태프들도 이로 인해 밤샘을 한다.
  • 지상파 3사 음악방송과는 달리 1위 발표 시에 터트리는 꽃가루 에어샷이 금색, 은색 사각형 반짝이가 아닌 길다란 은색 릴테이프를 사용한다.[98]
  • 2022년 5월부터 엠넷의 온라인 콘텐츠 ROAD TO MAX 투표를 통해 엠카 스페셜 스테이지에 출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M COUNTDOWN 1위 경험이 없는 신인/경력/솔로/그룹 모든 아티스트들이 대상이 된다.[99]
  • 2023년 8월 3일분 예고편에서 맨체스터 시티 케빈 데 브라위너가 직접 출연하였다. 이에 축구 팬들은 "아니? 덕배가 왜 거기서 나와?" 같은 반응을 보였다. #
  • 2023년부터 &TEAM, KATSEYE, JO1, INI, ME:I 등 해외 현지화 아이돌이 국내 음방에 출연하는 경우가 늘어났는데 엠카의 경우 파트별 자막에서 멤버의 활동명을 표기할때 영어 표기를 사용한다.[100] 쇼챔피언, 인기가요 또한 영어 표기를 사용하며, 뮤직뱅크의 경우 한글 표기를 사용한다.[101] 한편, 직캠 썸네일과 제목의 경우 모든 음악방송이 한글 예명 표기를 사용한다.

11. 둘러보기

K-POP 관련 문서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bebeb><colcolor=#000> 일반 K-POP ( 역사 · 해외 · 평가) · 한류 음악산업 통계 · 한국 음원시장
아티스트 분류 한국 가수 · 한국 아이돌 ( 목록 · 역사) · 다국적 아이돌 그룹 · 현지화 아이돌 그룹
걸그룹 ( 목록 · 역사 · 포지션) · 보이그룹 ( 목록 · 역사 · 포지션) · 혼성그룹 · 아이돌 밴드
유닛 · 남성 솔로 · 여성 솔로
인원 ( 2인조 · 3인조 · 4인조 · 5인조 · 6인조 · 7인조 · 8인조 · 9인조 · 10인조 이상)
그룹이 변경된 아이돌 · 연기돌 · 형제 그룹 (자매 그룹)
매니지먼트 및
프로듀싱
연예 기획사 · 대형 기획사 ( 4대 기획사: SM · JYP · YG · HYBE) · 프로듀서 · 매니저 · 연습생 · 오디션 · 서바이벌 프로그램
팬 문화 팬덤 ( 목록 ( 아이돌 그룹)) · 응원도구 · 응원문구 · 굿즈 ( 그룹별) · 삼촌팬 · 유사 연애 · 홈페이지 마스터 · 총공
직캠 · 안무 영상 · 팬송 · 오프 ( 팬사인회 · 팬미팅 · 위문공연) · 소속사 안티 · MR 제거 · 리액션 비디오 · 커버 · 교차편집 · 엔딩요정 · 군통령 · 군백기 · 팬튜브 · 랜덤 플레이 댄스
각종 기록 및
순위
써클차트 ( 1억 스밍 · 2억 스밍 · 250만 다운 · 500만 다운 / 주간 1위 · 월간 1위 · 연간 1위) · 멜론 차트 ( 주간 1위 · 월간 1위 · 연간 1위 ) · 지니차트 · 벅스차트 · 한터차트 · 아이차트
초동 기록 ( 걸그룹 · 보이그룹 · 솔로 가수 · 한국 가수) · 총판 기록 ( 걸그룹 · 보이그룹 · 솔로 가수 · 한국 가수)
유튜브 조회수 순위 ( 최초 24시간 · 1억 달성 시간) · 유튜브 좋아요 순위 · 유튜브 구독자 순위
케이팝 레이더 · 빌보드 차트 한국 가수 기록 · 컴백 기록 · 역대 지상파 음악방송 1위 기록 · 역대 음악 방송 트리플 크라운 달성 앨범
대중음악 시상식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 '98, '07, '18) · 멜론 선정 K-POP 명곡100 · 멜론의 전당 · 멜론 선정 명반 · 스페이스 공감 선정 2000년대 한국대중음악 명반 100
활동 플랫폼 콘서트 ( 공연장, MC) · 유튜브 채널 · K-POP 플랫폼
음악 방송 · 뮤직뱅크 ( 차트 · 순위) · 쇼! 음악중심 ( 차트 · 순위) · SBS 인기가요 ( 차트 · 순위) · 엠 카운트다운 ( 순위) · 쇼챔피언 ( 순위) · 더 쇼 ( 순위) · Simply K-Pop · MC
논란 및 문제점 한국 아이돌/비판 및 문제점 · 음원 사재기 · 음반 사재기 · 아이돌 7년 징크스 · 악성 개인팬 · 사생팬 · 극성팬 · 까빠 · 외퀴
}}}}}}}}} ||



[1] 현재는 CJ ENM 아메리카 측에서 Mnet 사업을 철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편성표 정보에는 아직 포함되어 있다. [2] 전 세계 13개국 방송 [3] 557회까지는 일부 무대만 올라왔으며 559회부터는 모든 무대를 올려준다. [4] 2008년 6월까지는 매주가 아닌 격주로 방송했다. 다만 약간 마이너리그 음방 취급을 받던 2004~2008년 연간이라 그런지, 격주가 칼같이 지켜진게 아니고 대략 한달에 2번 하는 선에서 들쭉날쭉했다. 심지어는 한달에 1번 방송하고 다음달은 연속3주 방송하는 등 평균 월2회 방송만 맞춘다면 내키는대로였던 셈. 현재도 연말 시즌인 12월이 되면 아예 한달째로 휴방을 해버리곤 한다. [5] 원래는 KM에도 동시방영되었으나 2015년부터는 엠넷에서만 본방송이 나가고 있고, 6월 이후 KM은 더 이상 CJ E&M의 계열도 아니게 되었다. 아주 드물지만 tvN에서도 동시편성된 적이 있다. [6] 다만 HD 제작 자체는 그 이전부터 시범적으로 진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예로 2009년 6월 18일에 방송된 엠 카운트다운 158회의 2NE1 - Fire 무대는 HD로 제작되었으나 방송 당시에는 SD해상도로 송출되었으며, 2020년 4월 16일 661회(스페셜 방송)에서 HD 영상이 공개되었다. [7] 홍콩도 있지만 홍콩같은 경우엔 중문자막을 넣는 등 여러 사정으로 인해 한국 본방과의 방송차도 2~3주나 난다. [8] 가장 심한 예를 들자면 나르샤의 전신망사사건이 바로 여기서 나왔다. 이런 게 지상파였다면 바로 금지크리. [9] 대표적으로 지상파에는 방송금지 처분을 받은 GD& TOP의 '뻑이가요'는 여기서는 전파를 그대로 탄다. 레인보우의 배꼽춤이나 미료의 'DIRTY'의 가사도 그대로 방송된다. [10] 다만 요새는 자체 심의에 의해서인지 AOA의 짧은 치마와 스텔라의 마리오네트처럼 케이블에도 불구하고 지상파와 거의 비슷하게 수정된 것도 있다. [11] 곡의 설정에 맞춘 편집이나 한 무대 상에서의 화면 전환 편집에서 드러난다. [12] 카라 국카스텐의 '달빛의 노래' 무대가 이 코너에서 나왔다. [13] 여담으로 이 두 MC는 평이 굉장히 좋지 않았다. 흔히 말하는 영혼없는 진행을 보여줘 음방중계를 하는 깊갤에선 이 MC들을 성토하는 글이 한페이지를 넘어갈 정도였다. [14] 유튜브에서 SHINee의 'Dream Girl', 인피니트의 'Man In Love', f(x)의 '첫 사랑니' 컴백 무대를 찾아보면 뭔지 감이 팍 올 것이다. [15] 2012~13년경에는 이와 별개로 "ONE ASIA TOUR"라는 이름의 해외 콘서트도 진행했었고, 14년 4월에도 일본 공연이 또 있었다. 추후 KCON JAPAN으로 계승. [16] 다만 이땐 어른의 사정이 크게 작용했다는 의견이 많다. 아래 '기타 소속사들과의 갈등' 문단을 참조. [17] 가수 임성훈의 아들. 그룹 side-b에서 테이크라는 예명으로 활동 중이다. [18] 기존에 방송되었던 기록들도 하이라이트 방송 및 스페셜 무대를 할 경우 소급 적용하며, KCON은 2018년부터 적용되었다. [19] 다만 요즘은 미국 시장을 노리는 아이돌이 많아지면서 여기서 첫 음방을 하지 않고 뮤직뱅크에서 첫 음방을 하는 가수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대표적으로 TWICE, ITZY와 하이브 소속 가수들이다. [20] MCD PREMIERE SHOWCASE [21] MCD HOT DEBUT SPECIAL [22] 자세히는 사전 점수와 실시간 문자투표 점수를 합산하여 생방송 중 최종 순위를 결정하고 1위 후보 2명이 선정되는 방식이었다. [23] 윤신혜 CP는 2월에 개편을 하면서 "최근의 음악 시장을 보면 대중들의 음원 소비 행태가 빠른 변화를 거듭하고 있어 순위 선정 방식에 변화를 주게 됐다. 같은 맥락에서 TOP 10의 조명 역시 의미 있는 일이라는 판단에 프로그램 구성에도 대대적인 개편을 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이게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기에 의미가 없어진 것이다. [24] 이를 증명하듯 소녀시대는 자신들보다 팬덤이 더 약한 걸스데이를 이기고 난 다음에 거짓말같이 인피니트에게 밀렸다. [25] 2012년 상반기 쯤에는 TOP10의 점수가 방송에서 모두 공개된 적이 있다. [26] 대표적으로 임창정의 <또 다시 사랑>이 뮤직뱅크에서 무대를 갖기 전까지는 차트에 없다가 그 무대 다음 주부터는 차트에 들어간 것이 그 예. [27] 더 쇼처럼 출연하지 않았다고 차트에 못올라가는게 아니고 출연하지 않아도 다른 방송에서 활동하고 있으면 차트에 올라간다. [28] 이 때문에 iKON은 몇 개월 동안 엠카에 출연하지 않았다가 12월에 MAMA에 출연한 걸 계기로 삼아 본격적으로 출연할 수 있었다. [29] 차트 진입이 안 되는 1주차를 제외하면, 최대 4주까지 차트에 진입할 수 있는 것. [30] 집계 기준 변경 전 음방 미활동곡은 차트에 아예 들 수 없었고, 1주 활동곡은 활동 차주에만 차트에 들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집계 기준 변경 전 음방 미활동곡이었던 방탄소년단의 < Dynamite>는 뮤직뱅크에서 통산 16주 1위를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음방 활동 기록이 없는 탓에 엠 카운트다운 1위 수상 기록이 없고, 1주 활동곡이었던 태연의 < INVU>는 쇼! 음악중심이나 인기가요에서 트리플 크라운을 차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엠 카운트다운에서는 활동 종료 차주인 2주차에 1위를 차지한 뒤 3주차부터 차트에서 제외되었다. [31] 당시 생방송 문자투표 점수를 제외한 사전 점수를 볼 때 1위를 수상한 TWICE의 점수가 2위 소유의 점수와 많은 차이가 있어서 실시간 문자 투표 점수를 제외하더라도 충분히 1위를 수상할 수 있는 상태였으며, 생방송 문자투표 점수를 포함한 합산 점수는 방송에 나오지 않았다. [32] 그래서 소녀시대의 "다시 만난 세계"는 1위를 했음에도 그 사실을 모르는 사람도 상당하다. 물론 이 곡은 지상파에서 1위를 한 적은 없다. [33] 뮤직뱅크도 마찬가지로 방송점수를 이용하여 원수지간 소속사 가수들에게 1위를 주지 않는 편이다. [34] 다만 트리플 크라운은 주기 싫었는지 2015년 첫째주는 다시 미집계했다. [35] 2021년 이후부터 YG쪽이 다시 엠카에 출연을 하기 시작했다. [36] 다만, 이 과정에서 의도치 않은 희생양(?)이 생겨났는데, 바로 오마이걸 유아. 기존의 집계 방식에선 음원 점수와 소셜 미디어 점수에서 만점을 받아 1위가 유력한 상황이었지만, 컴백 바로 직전에 집계 기간에 대한 규정이 변경되어 ITZY가 예정보다 한 주 더 후보에 들었다. 원래 별다른 방송 일정의 변동이 없는 한 ITZY는 유아가 컴백하는 주에 트리플 크라운을 차지할 가능성이 높았지만, 하필이면 ITZY 컴백 바로 다음 주에 결방이 생기고, 추가로 집계 기간 기준이 변경되면서 음원 점수 집계 사이트가 멜론+지니+벅스에서 멜론+지니+플로로 변경되면서 유아의 음원점수가 상대적으로 깎이게 되었다. 참고로 이 중 한 가지만 없었어도 그녀가 1위를 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37] 더군다나 이 날은 유아의 생일이었다. [38] 지금의 CJ헬로비전. [39] 특히 나가수는 프로그램 자체도 파급력도 있었지만, 이를 둘러싼 연예 기획사들의 부정적 태도와 그로 인한 대중적 반감 조장도 크게 작용했다. 나는 가수다가 방영될 당시 연예 기획사들은 단체로 "과거 재조명에 신곡이 묻히니 나가수는 방송만 하고 음원은 내지 마라"는 황당하기 짝이 없는 성명문을 냈는데, 이에 대해 공감은커녕 오히려 10여년 전 기획사들이 떼거지로 벌였던 병크가 재조명되는 등 제대로 분노를 샀다. 게다가 이게 계기가 되어 아이돌들의 형편없는 라이브 사례가 대거 발굴되며 아이돌 가수들까지 '너네가 가수냐', '너희들도 공범이다'라며 비난받는 등 반(反) 아이돌 정서만 부추기는 역효과만 내고 말았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2년 뒤 무한도전 자유로 가요제 때도 '시장교란' 등의 프레임을 씌우며 공격해 댄 결과 유재석과 제작진들이 기자 간담회에서 사과를 하는 어이없는 사태가 터지며 대중들이 또 뒷목을 잡게 만들었다. [40] 단, 이와 별개로 일반 예능에 가까운 너의 목소리가 보여 시리즈에는 이특이 계속 MC로 나왔고, GOOD GIRL : 누가 방송국을 털었나 효연이 출연하기도 했다. [41] 기획사간 관계를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뜬금없이 보일 수 있으나 플레디스 대표 한성수는 보아의 매니지먼트를 맡았던 SM 출신 인물이다. 일종의 연대행동으로 볼 수 있는 셈이었다. [42] 7월 15일 방영 예정이었으나 하루 전 7월 14일, 아티스트의 사정으로 연기되고 방영되지 않았다. [43] 2014년 6월 26일, 당시 상반기 결산이라 홈페이지에만 1위 발표를 했었는데 이후 랭킹이 사라져 팬들의 항의로 달랑 6줄 공지 하나 올리고 복구시킨 바 있다. [44] 그래도 1위 후보에 들었다고 팬덤이 열렬히 문자투표를 해서 항상 문투는 만점을 받았으나, KBS가 YG에 써먹는 방식대로 방송 점수를 아예 주지 않는 등 사전 개입을 한 탓인지 몇백점 차이로 2위에 머물러 1위 수상은 한번도 못하고 실패. [45] Apink's 쇼타임이 엠카와 동시간에 방송되었는데, 엠카가 Apink's 쇼타임에 시청률이 밀린 나머지 엠카가 LUV 활동 당시에 아예 섭외를 않는걸로 보복했다는 소문도 있다. [46] 그래도 Apink는 상황이 나아서 12월 셋째주와 넷째주 1위 트로피를 받았다. 비스트의 전례때문에 기대도 안 했던 팬들은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47] 정확히는 YG엔테테인먼트 자회사 더 블랙 레이블 소속. [48] 우주소녀의 퀸덤 출연으로 인해 화해가 이루어진 것으로 본다. [49] MC 활동 당시 동방신기 멤버였다. [50] MC 활동 당시 SUPER JUNIOR 멤버였다. [51] 미연은 2008년 채연 이후 13년 만에 여자 진행자 자리를 맡았다. 그리고 엠카운트다운은 더 쇼 김민규의 하차로 한동안 MC진에 아이돌만을 쓰지 않는 유일한 음악방송이었다. [52] 주헌이 하차하고 7월 27일부터 8월 31일까지 한 달여 동안 미연 홀로 MC 자리를 지켰다. [53] 성한빛나(Shine), 재현, 에서 따서 샤인멍또캣이라고 불린다. [前] 탈퇴 멤버 [55] 탈퇴 후 병헌으로 예명을 변경했다. [前] 탈퇴 멤버 [57] 탈퇴 후 본명인 이호원으로 예명을 변경했다. [前] 탈퇴 멤버 [前] 탈퇴 멤버 [60] 탈퇴 후 차선우로 활동명을 변경했다. [前] 탈퇴 멤버 [前] 탈퇴 멤버 [前] 탈퇴 멤버 [64] KCON JAPAN 특집. [65] 당시 그룹명은 초신성이었고 2018년 6월 소속사 이적 후 슈퍼노바로 변경했다. [66] KCON JAPAN 특집 [67] 두 명 모두 당시 프로듀스 101에서 발탁된 프로젝트 그룹 아이오아이로 활동했다. [68] 당시 프로듀스 101에서 발탁된 프로젝트 그룹 아이오아이로 활동했고, 젤리피쉬 소속 아이돌 그룹 구구단으로 활동했다. [69] 두 명 모두 프로듀스 101에서 발탁된 프로젝트 그룹 아이오아이 멤버로 활동했고, 임나영은 활동 종료 후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 소속의 프리스틴으로 재데뷔해 활동했다. [70] 두 명 모두 프로듀스 101에서 발탁된 프로젝트 그룹 아이오아이로 활동했고, 젤리피쉬엔터테인먼트 소속의 구구단으로 활동했다. [71] KCON MEXICO 특집. [72] Key( SHINee)의 마지막 MC 방송. 이전에 함께 MC를 맡았던 이정신이 스페셜 MC로 출연했으며, 미니 팬미팅 코너를 통해 작별 인사를 했다. [73] 임나영과 주결경은 당시 프리스틴으로 활동했다. [前] 탈퇴 멤버 [75] 현아, 후이, 이던으로 이루어진 유닛이다. [前] 탈퇴 멤버 [77] 당시 은하 여자친구로 활동했고, 나영, 로아 프리스틴으로 활동했다. [78] 로아 프리스틴 해체 후 예명을 민경으로 변경했다. [79] KCON JAPAN 특집 [前] 탈퇴 멤버 [前] 탈퇴 멤버 [82] 세븐틴 유닛 ( 승관, 도겸, 호시) [83] UNIQ의 멤버이자 프로듀스 X 101에서 발탁된 프로젝트 그룹 X1의 멤버로 활동했다. [前] 탈퇴 멤버 [前] 탈퇴 멤버 [86] 동년 9월 7일부터 정식 MC로 발탁되었다. [87] 이듬해 1월 11일 정식 MC로 승격하기 직전인 9월 14일과 9월 21일에 성한빈과 함께 스페셜 MC 자격으로 진행했다. [88] 같은 그룹이자 고정 MC인 성한빈과 함께 진행했다. [89] 고정 MC인 성한빈, 명재현, 소희와 함께 진행했다. [90] 같은 그룹이자 고정 MC인 명재현과 함께 진행했다. [91] 세 명 전원이 JYP엔터테인먼트에서 같은 시기에 연습생 생활을 하던 사이이다. [92] 두 사람은 어렸을 때 부터 같은 동네 친구였다. [93] 심지어 이분들은 아이돌 라디오나 엄마가 잠든 후에 등 한국에서 활동을 많이 했다. [94] 2016년 초까지는 방송사가 무대 직캠을 올려주는 유일한 프로그램이었으나 2016년 중반부터 MBC 예능연구소 채널에도 쇼 음악중심 무대 직캠을 올려주며 2017년 중반부터 ALL THE K-POP 채널에 쇼챔피언 직캠이 올라오고 2018년 중반부터 Studio K 채널에도 뮤직뱅크에도 직캠을 올라오고 올려주고 그리고 2019년 중반부터 SBS K-Pop 채널에도 SBS 인기가요 무대 직캠을 올려주며 The K-Pop by SBS Plus 채널에 THE SHOW 직캠이 올라오고. 엠카가 가장 먼저 직캠을 올리기 시작했기 때문에 초반에는 화제성이 가장 좋았지만 오히려 그뒤로 발전이 없어서 화질이 다른 방송사의 직캠보다 상당히 안좋은 편이다.하지만 유튜브에 화질이 1440p이상인 영상을 올릴 수 있게 되면서 다시 화질이 좋아졌다. 현재는 인기가요와 함께 화질 투톱. [95] KCON과 특집 야외 방송은 직캠이 올라오지 않는다. [96] 다만 뮤직뱅크는 대개 오전 늦게 사녹을 하며, 음악중심도 최근 들어서는 근처 지하철역인 DMC역이나 수색역의 첫차 시간대 이후로 사녹을 잡는다. [97] N72번 심야버스가 방송국 바로 앞을 지나가지만 이 경우도 N72번 연선에 있는 팬들 한정이며, 그렇지 않은 팬들은 그냥 막차시간대에 맞춰 미리 와서 밤샘을 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다만 주위에 24시간 밤샘을 할 공간이 많은 SBS공개홀 주변과 달리 DMC에는 딱히 24시간 밤샘을 할 곳이 마땅치 않은 편. [98] 이 때문에 1위 발표 때 무대 위에 올라온 가수들이 이걸 갖고 장난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99] 추후 우승자들끼리 투표를 거쳐 KCON, 마마 어워즈에 출연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 [100] 예를 들어 &TEAM의 멤버 의주는 자막에 'EJ' 라는 자막이 사용된다. [101] NiziU, NCT WISH, NEXZ 처럼 한국에서 음반을 발매하고 데뷔한 그룹의 경우, 한글 표기를 사용한다. NiziU의 경우 정식으로 한국에 데뷔하기 전에는 활동명의 영어 표기가 사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