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26 12:48:18

아랍에미리트/외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랍에미리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외교 관련 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장.svg
[ 펼치기 · 접기 ]
서아시아 외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1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1: 미승인국가
동아시아 · 동남아시아 · 서아시아 ·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 · 캅카스
동유럽 · 중부유럽 · 서유럽 · 남유럽 · 북유럽
북아메리카 · 중앙아메리카 · 카리브 · 남아메리카
동아프리카 · 서아프리카 · 중앙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 북아프리카
오스트랄라시아 · 멜라네시아 · 미크로네시아 · 폴리네시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프리카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20%,transparent 20%), linear-gradient(to bottom, #00732b 13%, #FFF 13%, #FFF 87%, #000 87%)"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ff0000>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트루셜 스테이트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알나얀 왕조 · 아랍에미리트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국방 아랍에미리트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부다비 그랑프리 · 아랍에미리트/관광 · 아랍에미리트 영화 · 아랍어
인물 자이드 빈 술탄 알나얀 ·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얀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지리 아부다비 · 두바이 · 무산담 반도
민족 걸프 아랍인( 방글라데시계 · 아르메니아계)
}}}}}}}}} ||
1. 개요2. 아시아
2.1. 예멘과의 관계2.2. 오만과의 관계2.3. 카타르와의 관계2.4.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2.5. 대한민국과의 관계2.6. 북한과의 관계2.7. 중국과의 관계2.8. 일본과의 관계2.9. 인도와의 관계2.10. 파키스탄과의 관계2.11. 이스라엘과의 관계2.12. 아프가니스탄과의 관계2.13. 시리아와의 관계2.14. 이란과의 관계
3. 유럽
3.1. 러시아와의 관계3.2. 영국과의 관계3.3. 프랑스와의 관계3.4. 튀르키예와의 관계3.5. 우크라이나와의 관계3.6. 아르메니아와의 관계
4. 아메리카
4.1. 미국과의 관계
5. 아프리카
5.1. 이집트과의 관계
6. 오세아니아
6.1. 호주와의 관계
7. 지역별 관계8. 관련 문서

1. 개요

아랍에미리트의 외교에 관한 문서.

사우디아라비아와 마찬가지로 아직까지는 넓은 범위의 친서방, 친미국가로 분류된다. 하지만 2020년대 초반 들어서는 소위 "무 문제(zero-problem)"[1] 외교 정책을 공식화함으로써 전통적인 친서방, 친미국가에서 탈피하고 있다. 때문에 미국 등 서방측과의 트러블도 증가하는 편. 혹자는 아랍에미리트의 외교 모델을 싱가포르로 꼽기도 한다. #

현재는 미국, EU와 교류 및 협력을 많이 하고 있다. 예전에 영국의 지배를 받았지만, 대체로 우호적인 편이다. 미국은 방공망을 강화하기 위해 사우디와 아랍에미리트에 미군을 추가배치한다고 밝혔다. # 영연방에는 1997년 에딘버러 선언에 의해 가입자격을 얻었다.

이웃 중동 국가들인 오만,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등과는 영토, 국경 분쟁으로 갈등이 있다. 이란과는 아부무사와 툰브 제도 등 몆몆 페르시아 만의 섬들을 두고 영유권 분쟁을 빚는 데다 같은 이슬람 문화권 국가이지만 아랍 에미리트는 아랍인, 이란은 페르시아 인으로 민족, 언어적으로도 다르고, 아랍 에미리트는 수니파 이슬람교, 이란은 시아파 이슬람교를 믿는 등 서로 갈등이 크다. 실제로 아랍 에미리트는 영토 분쟁뿐만 아니라 이란과 앙숙 관계에 있는 다른 아랍권 나라인 이라크와 이란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다 싶으면[2] 이라크를 대놓고 지지하며 이란의 심기를 더욱 돋우기도 한다. 적의 적은 나의 친구.

아랍에미리트 외교부가 여권 파워에 힘을 많이 쏟아붓는 편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판데믹 와중에도 아랍에미리트 여권 2021년에 160점 1위로 2위와의 차를 8점 벌리면서 차지했는데 아랍에미리트는 특히 무비자에 인색한 서아프리카와 북아프리카, 중앙아프리카 국가들과도 사증면제 협정을 체결했고 이들은 감염증을 명분으로 사증정책을 변경하지 않았거나 곧바로 회복했기 때문이다. 2022년 기준 미국 호주 무비자는 빠져있지만 괄목할만한 성과다.

2. 아시아

2.1. 예멘과의 관계

소코트라 섬 영유권 분쟁으로 오래전 부터 대립이 자자 했다.

2.2. 오만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만-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카타르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카타르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카타르와는 카타르의 친이란적인 모습으로 인해 아랍에미리트는 카타르와 갈등을 빚고 있다.

2017년 6월 5일, 국제 사회의 이란 적대 정책을 비판하고 "테러리즘 지원"을 한 카타르 국교 단절을 선언했다.

2021년 1월초에 카타르와 아랍권 4개국간의 단교조치가 풀리면서 아랍에미리트는 카타르와의 육로, 해상 국경을 다시 개방한다고 밝혔다. #

2.4.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같은 아랍어권, 수니파 이슬람 국가에 수니파 이슬람권의 맹주인 사우디아라비아와도 샤이바 유전 지대 등 아랍 에미리트와 가까운 아라비아 반도 일대 영토들을 두고 국경 분쟁으로 갈등을 빚고 있다. # 다만 사우디하고는 공동의 적인 이란을 두고있다보니 협력하는 모습도 보이는편이다.

2.5. 대한민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과 아랍에미리트는 20세기에 외교관계를 맺은 이후, 교류와 협력이 많아지고 있다. 아랍에미리트는 한국을 중요한 경제 파트너로 여기고 있다. 그리고 아랍에미리트내에도 한국 기업들이 많이 진출했다.

2.6. 북한과의 관계

대한민국과 외교 관계 수립 이후 뒤늦게 2007년 9월 북한과도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UAE-북한간 대사급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으나 북한의 국제적 위상 및 행동을 감안하고 있기에, 아랍에미리트 정부는 북한의 상주 공관 개설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로 2017년 대북제재에 동참했으며 그 결과 북한식당이 철수했고 북한과의 관계도 단절했다. # #

2020년 7월 16일에 미국 정부는 북한에 담배필터를 판매한 혐의로 아랍에미리트의 영국계 기업을 제재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2.7. 중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국-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국과는 대체로 협력적인 편이다. 물론 현지인들은 적국 이란을 감싸는 중국에 내심 못 마땅해하긴 하지만 두바이에 투자한 중국 자본이 도움이 되기도 한다. 2009년 모라토리움 크리를 맞은 두바이 경제 회생의 일등공신도 중국 자본의 투자였다.

어느 나라가 안 그렇겠냐만 아랍에미리트 내에 중국인 공동체가 형성되어 있다.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 마카오와 교류도 많은지라 홍콩 국제공항에서는 캐세이퍼시픽항공이 두바이로 직항을 굴리며 에미레이트 항공도 직항 및 방콕 경유편으로 홍콩을 오간다. 홍콩에서 중동/아프리카를 갈 때 가장 최우선으로 고려되는 옵션이 두바이를 거치는 것이다. 그 만큼 두바이의 항공교통이 발달했다는 얘기다. 심지어 홍콩에서 러시아나 중앙아시아 등 구소련 국가를 갈 때도 두바이를 거치는 경우가 많다.

2.8. 일본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일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일본과도 대체로 협력적인 편이다. 석유 한방울 안 나는 일본에게 꼭 필요한 석유 수입선이 아랍에미리트이며 이 덕분에 독립하면서부터 일본과 아랍에미리트는 쭉 우호관계였다. 양 측은 모두 왕가가 있는 군주국으로 양측 왕실의 교류도 활발한 편에 속한다. 그리고 일본인들의 두바이 방문 수요도 많은데 항공권 가격 상 인천국제공항, 홍콩 국제공항, 싱가포르 창이 공항,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 등을 많이 거친다. 한국은 에미레이트 항공 직항을 주로 이용하지만 일본은 홍콩, 싱가포르, 대만을 거쳐 들어오는 사람들이 더 많다.

2020년 1월 13일에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사우디에 이어 아랍에미리트를 방문해 셰이크 무함마드 빈 자예드 알나흐얀 왕세제와 회담을 갖고 중동 정세와 관련해 의견을 교환했다. #

2.9. 인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랍에미리트와 인도는 매우 서로 협력적인 편이다. 양국간에 교류가 활발한 편이고 인도인들도 아랍에미리트에 거주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내 인도인들을 중심으로 힌디어, 우르두어가 널리 쓰이고 있다. 아랍에미리트가 종교의 자유를 인정하고 있어서 아랍에미리트에도 힌두교 사원이 존재한다.

2.10. 파키스탄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키스탄-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1. 이스라엘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이스라엘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여느 중동 국가들이 대체적으로 그렇듯이 아랍에미리트 역시 이스라엘과 심하게 적대적이어서 옛날에는 외교관계를 맺지 않았으며, 심지어는 이스라엘에 입국한 사람들의 아랍에미리트 입국을 막았을 정도였다. 하지만 양국은 2020년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주선하에 공식 수교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은 수교 이후 관계가 개선됐다.

2.12. 아프가니스탄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아프가니스탄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 시리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리아-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4. 이란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에미리트-이란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유럽

3.1. 러시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시아-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웃 국가 사우디아라비아가 1940년대부터 90년대 초까지 강경 반소/반공 외교 정책을 편 것과 반대로 아랍에미리트는 독립 이래 소련과 우호적으로 교류하였다. 미국의 동맹국이라고는 하지만 그때 그 시절엔 아랍에미리트 이웃의 이란도 친미국가로 아랍에미리트에 우호적이었고 이란이 완충지 역할을 했다. 그렇다고 소련이 굳이 걸프 연안 중동까지 쳐들어 와봐야 이익볼 것도 없는 판이었다. 소련 입장에선 자신들의 우방국 남예멘의 아덴항이나 시리아의 라타키아를 중동 쪽 항구로 쓰면 그만이었으며 굳이 딴 곳을 점령할 이유도 필요도 없는 판이라 오히려 무역으로 이익을 봤다. 그래서 아랍에미리트는 친미 친서방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서방과 적대관계인 소련과도 우호관계를 유지했고 그것이 소련이 무너지고 독립한 러시아 연방과도 이어지는 것이다.

아랍에미리트는 러시아로부터 무기를 많이 수입하고 있는 편이다. 물론 주력은 미국제 무기들이지만 러시아제도 조금씩 들어가 있다.

2018년에 러시아와 아랍에미리트는 카잔에서 무비자협정을 체결했다. #(러시아어 원문) 거기에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시당국에서는 아랍에미리트 유학생들에게 러시아어 수업도 제공하고 있다. #(러시아어 원문)

2007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 공식방문이 있자 성대한 환영식을 열었다. #

러시아와 아랍에미리트 간 경제관계도 밀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 반대급부로 미국 등 서방과의 관계는 점차 소원해지는 편

3.2. 영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국-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랍에미리트는 19세기에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가 20세기에 독립했다. 그리고 아랍에미리트는 영국과는 매우 협력적인 편이며 교류와 협력을 하고 있다. 또한, 이란의 위협에 맞서기 위해 아랍에미리트는 영국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3.3. 프랑스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프랑스와는 대체로 협력적인 편이다. 양국은 독립 이후, 공식수교했고 현재에도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그리고 아랍에미리트는 프랑스와 자주 협력하고 있다보니 프랑코포니에 가입했다.

3.4. 튀르키예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튀르키예-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랍에미리트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다가 20세기에 영국의 보호령이 된 적이 있었다. 영국에서 독립한 이후에 터키와 수교했다.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의 회원국들이지만, 역사적인 이유로 인해 갈등이 존재한다.

3.5. 우크라이나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우크라이나-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우크라이나와는 소련 해체 이후에 수교했다. 양국의 교류는 2000년대 이후부터 늘어나고 있다.

3.6. 아르메니아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르메니아-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랍에미리트와 튀르키예의 사이가 좋지 않기 때문에 아랍에미리트는 아르메니아와 사이좋게 지내려고 한다.

4. 아메리카

4.1. 미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국-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국과는 한때 매우 협력적이었다. 양국은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 또한, 미국인 관광객들도 아랍에미리트에 자주 오고 있다. 아랍에미리트는 이란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과 군사 협력도 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내에는 미군이 주둔하고 있다. 아랍에미리트는 미국산 무기들을 수입하고 있다.

2020년에 양국은 UAE 연방창립일인 12월 2일에 맞춰 F-35 매매협상을 합의하는 것을 목표로 협상을 진행 중이었으나 # 중국 화웨이 통신망을 쓰지말라는 미국측 요청을 UAE가 거절함으로써 끝내 양자간 협상을 결렬되었다.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사태에서는 용병집단 바그너 그룹 러시아 자본을 위한 제재 도피처를 제공하여 미국의 경고를 계속 받고 있다.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대항 활동 당시에는 양자간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서로 긴밀히 협력하던 사이였으나 이후에는 양자간 이해관계가 심각히 불일치함에 따라 사우디 아라비아와 더불어 미국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는 중동국가가 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

5. 아프리카

5.1. 이집트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집트-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오세아니아

6.1. 호주와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호주-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지역별 관계

8. 관련 문서



[1] 아무 국가와도 문제를 만들지 말고 실익을 챙기자는 일종의 중립외교, 균형외교론으로서 원래 사이가 나쁘지 않았던 중국 러시아. 인도과는 사이가 더 좋아졌으며 과거 적성국가였던 터키, 카타르, 이란과도 관계회복을 추진하고 있다. # # [2] 실제로 이라크와 이란은 1980년대에 전쟁을 벌일 정도로 앙숙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7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7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