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 [[틀:깃발| 가말 압델 나세르[1], \ [[틀:깃발| ]][[틀:깃발| ]][[리비아| ]]의 무아마르 카다피[2]. ]][[틀:깃발| ]][[이집트| ]]의 |
왼쪽부터 \ [[틀:깃발| 하페즈 알아사드[3], \ [[틀:깃발| ]][[틀:깃발| ]][[이라크| ]]의 사담 후세인[4]. ]][[틀:깃발| ]][[시리아| ]]의 |
1. 개요
범아랍주의(Pan-Arabism)에 기반한 사회주의 이념. 아랍 사회주의자들은 아랍 지역의 주류 좌익 세력이다.[5] 20세기 중반에 아랍 지역에서 이집트가 4차 중동 전쟁에서 선전한 것과 알제리의 독립으로 절정을 이루었으나 20세기 후반 소련의 몰락과 붕괴 후 타격을 받기 시작하고 쇠퇴하면서 이슬람주의가 유행했다.
이들이 주로 내세우는 슬로건은 "단결[6], 자유, 사회주의"다.
2. 역사
아랍 사회주의는 20세기 중반 이후 크게 두 범주로 나뉘는데 정통 아랍 사회주의적 성향의 나세르주의(Nasserism) 및 나세르주의에서 갈라진 일파인 카다피주의와 개량 아랍 사회주의 성향의 바트주의(Ba'athism)가 있다.이라크 인구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수니파 아랍인과[7] 프랑스 식민지배 시절부터 권력을 잡아 종교적 소수자에서 실세로 등장한 시리아의 알라위파는 자신들의 입지를 보완, 강화하기 위한 차원에서 바트당을 중심으로 아랍 사회주의 정권을 수립, 유지했다. 바트주의는 학자에 따라 정통 사회주의가 아닌 극우 민족주의 내지 파시즘에 가깝다는 평을 받기도 한다.
수에즈 운하 문제로 영국과 갈등을 빚은 후 소련의 지원을 받은 이집트, 반미 성향이 강했던 리비아, 알제리 전쟁 당시 소련의 지원을 받은 알제리도 아랍 사회주의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3. 성향
기본적으로 세속적 내셔널리즘에 기반한 이데올로기이며 세속주의를 지향한다. 보통 아랍 지역에서 반서방 성향의 세속주의 독재정권이라고 한다면 아랍 사회주의 계열인 경우도 적지 않다.이들은 반제국주의를 추구하기 때문에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서방세계에 명백히 비우호적이지만 정작 아랍 사회주의 자체가 서구적 내셔널리즘에 기반한 이념인 데다 주 기조는 세속적이고 좌파적이라서 이슬람주의자들과도 적대적이다.
아랍 사회주의자들의 가장 큰 업적은 아랍계 기독교인의 권리를 향상 및 보장하고 여성 인권 신장에 다소 기여했다는 점이다.
아랍 사회주의 정권들은 종교적 보수주의자[10]와 친서방 자유주의의 저항에 직면한 경우가 많아 매우 권위주의적인 정부를 구성한 경우가 많다.
4. 대표적인 아랍 사회주의자
- 바트주의자
- 기타[12]
- 야세르 아라파트 - 팔레스타인의 정치인이자 PLO의 수장이기도 했다.
- 조지 하바쉬(George Habash) - 팔레스타인의 공산주의 정당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의 창시자. 사회주의는 립서비스에 가깝고 딱히 사회경제적으로 두드러지는 포지션을 표방하지 않는 아라파트, 파타와 달리 사실 하바쉬와 PFLP가 훨씬 더 팔레스타인에서 주도적인 사회주의 좌파에 가깝다. 아랍 사회주의 세력 자체가 세계적으로 떡실신한 21세기에는 남예멘과 더불어 실제 정치 세력도 어느 정도 있는 경우이기도 하다.
- 아메드 벤 벨라(Ahmed Ben Bella) - 알제리의 초대 대통령
- 우아리 부메디엔 - 알제리의 2대 대통령
- 압둘 알 카림 카심 - 이라크의 전 총리. 초반에 나세르주의의 노선을 따르던 나세르주의자였지만 집권 후 나세르주의와 결별하고 독자적 노선을 택했다가 1963년 바트당의 쿠데타로 실각했다.
- 가파르 니메이리 - 옛 수단의 사회주의자 정치인.
5. 아랍 사회주의 국가
5.1. 옛 국가
5.2. 현재 국가
- 알제리(1964~)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1973~)
- 팔레스타인(1988~)
6. 매체에서
- 미래의 아랍인이라는 만화에서는 아랍 사회주의 군부들을 비판적으로 본다.
7. 같이 보기
- 국가사회주의
- 민족해방전선
- 좌익 내셔널리즘
- 세속주의
- 권위주의
- 범국민주의
- 이슬람 사회주의
- 바트당
- 파타
- 제3의 진영 - 일부 아랍 사회주의자들은 제3의 진영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좌파
- 카다피주의
8. 둘러보기
제3의 위치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공통 | 국수주의 · 민족주의 · 황색 사회주의 · 혼합 정치 · 혁명적 내셔널리즘 · 협동조합주의 |
이념 | 국민생디칼리슴 · 나치-마오주의 · 민족 볼셰비즘 · 민족 아나키즘 · 봄바치주의 · 슈트라서주의 · 순정사회주의 · 신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아랍 사회주의( 바트주의) · 제4의 정치이론 · 좌익 파시즘 · 정통 페론주의 · 주체사상 · 팔랑헤주의 · MAGA 공산주의 | |
정당/조직 | 독일 노동당 · 레히 · 민족 볼셰비키당 · 사회대중당 · 시리아 사회민족당 · 소련 자유민주당 · 아메리카 공산당 · 우크라이나 진보사회당 · 유라시아당 · 전통주의노동자당 · 팔랑헤 · 흑색 전선 | |
인물 | 그레고어 슈트라서 · 기타 잇키 · 니콜라 봄바치 · 베니토 무솔리니 · 알렉산드르 두긴(초기) · 오토 슈트라서 · 에른스트 니키쉬 · 에른스트 윙어 · 조르주 소렐 · 찬드라 보스 · 후안 페론 | |
기타 | 대안 우파 · 보수혁명 · 파시즘 · 인종국민주의 · 적색 파시즘 · 조선민족제일주의 · 좌익 내셔널리즘일부 · 좌익 보수주의일부 · 카다피주의 · 편자이론 |
[1]
제2대 대통령 (1956년 ~ 1970년).
[2]
초대 혁명지도자 (1969년 ~ 2011년).
[3]
제5대 대통령 (1971년 ~ 2000년).
[4]
제2대 부통령 (1968년 ~ 1979년) / 제5대 대통령 (1979년 ~ 2003년).
[5]
주류 우익은 걸프
이슬람주의다.
[6]
또는 통일, 연합
[7]
시아파 아랍인은 60%에 달한다.
[8]
물론 이 나라 출신들이 다 우매한 바보라고 생각하면 곤란하다. 서민 대상 교육 수준이 개판이라서 그렇지 상류층 출신들은 교육 수준이 높다.
[9]
이는 바트당의 근간이 “아랍 민족주의”라는 데서 기인한다.
[10]
이슬람주의자도 포함
[11]
대통령 집권 후에는 아랍 사회주의적 성향이 많이 사라졌다.
[12]
기타에 서술된 인물들도 아랍 사회주의를 지향했지만 나세르주의자나 바트주의자로 완벽히 나뉘지 않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