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3:15:22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제1호 ~ 제100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100호 101~200호 201~300호 301~400호 401~500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501~600호 601~700호 701~800호 801~821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지정번호제 폐지 이후
폐지 이후 목록 }}}}}}}}}


1. 개요2. 제1호 ~ 제10호3. 제11호 ~ 제20호4. 제21호 ~ 제30호5. 제31호 ~ 제40호6. 제41호 ~ 제50호7. 제51호 ~ 제60호8. 제61호 ~ 제70호9. 제71호 ~ 제80호10. 제81호 ~ 제90호11. 제91호 ~ 제100호

1. 개요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제1호부터 제100호까지의 목록이다.

2. 제1호 ~ 제10호

3. 제11호 ~ 제20호

파일:과기대 다산관.jpg 파일:DASAN_HALL_STELA.jp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산관 전경 다산관의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표지석
파일:CHANGHAK_HALL.jpg 파일:CHANGHAK_HALL_SIGNBOARD.jp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창학관 전경 창학관의 등록문화재 현판
파일:external/architecture.kunsan.ac.kr/1032527094.jpg
과거 도청 시절의 전라남도청 본관
  • 제17호 광주 서석초등학교 본관, 체육관, 별관
    광주에서 1896년에 개교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초등학교 건물이다. 체육관은 1930년에, 본관은 1935년, 별관은 1943년에 건립되었다. 원래는 별관과 같은 시기에 지은 건물이 2동 더 있었으나, 도심 공동화 현상[10]으로 학생이 줄어들자 2001년에 철거되었다.
  • 제18호 대전 충청남도청 구 본관
    한국 전쟁 중에는 임시 육군본부 건물로 사용되기도 했다. 도청이라 해서 이래저래 많이 뜯어 고친 거 같지만, 3층 증축부(1960년대 증축)을 제외하면 그리 손을 대지 않았다고 한다. 2012년 충청남도청이 충남 홍성군 예산군 일대 내포신도시로 이전을 하고, 현재는 1층에는 대전근현대사전시관이 들어서 있고, 2층과 3층은 대전시 내 기관들이 입주해 있는 상황.
  • 제19호 구 산업은행 대전지점: 현재 다비치안경 대전역지점으로 사용되고 있다.
  • 제20호 조흥은행 대전지점: 현재는 신한은행 대전역지점이다. 위의 구 산업은행 대전지점과 멀지 않은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 건물을 포함한 일대가 대전 중앙시장이다.

4. 제21호 ~ 제30호

  • 제21호 철암역 구내 선탄 시설: 연탄을 제조하던 곳이며, 아직도 사용 중이다. 영화 인정사정 볼 것 없다에서 박중훈 안성기의 결투 씬이 이 곳에서 벌어졌으며, 현재는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으로 인해 사양길에 접어들고 있다. 군대예능 더솔져스의 마지막 미션 지역으로도 사용되었다.
  • 제22호 철원 노동당사: 한국 전쟁 중에 파괴되어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서태지와 아이들의 음악 중 발해를 꿈꾸며의 뮤직비디오 촬영장소로 알려져 있으며, 지붕이 없는 2층 건물 구조로 되어 있는데, 철원군에서 운영하는 안보견학 관광 코스 중 유일하게 민간인 통제선 밖에 있다. 백마고지역 - 동송터미널 간을 운행하는 농어촌버스를 타면 지나가다가 보인다.[11]
  • 제23호 구 철원 감리교회: 한국전쟁 중에 대부분 파괴되어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위의 노동당사처럼 민통선 밖에 있어서 방문이 가능하다.
  • 제24호 철원 얼음창고: 한국전쟁 중에 파괴되어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곳곳에 커다란 총포 자국이 뚫려 있으며 지붕이 없다. 민간인 통제선 안에 있기 때문에 민간인의 출입이 불가능하므로, 이 곳에 가려면 철원군 안보관광 견학코스를 이용해서 가는 방법이 유일하다. 늦어도 약 1주일 전에 한탄강관광사업소(철원군 동송읍 소재)에 전화하여 인적 사항을 통보하고 마지막에 나올 때 이 곳에 들러야 한다. 안보관광 견학 마지막 코스인 도로 주변에 있어 주행 중인 견학 버스를 탄 채로 볼 수는 있다.
  • 제25호 철원 농산물 검사소: 한국전쟁 중에 파괴되어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이 곳도 민간인 통제선 안에 있기 때문에 민간인의 출입은 불가능하다. 이곳도 안보관광 견학코스 마지막 도로 주변에 있어 스쳐가는 식으로 볼 수는 있다.
  • 제26호 철원 승일교: 구소련식 건축 기법으로 건설됨. 혹자는 '당시 남한의 대통령 이승만과 북한의 주석 김일성의 이름을 각각 따서 승일교라고 이름 지었다.' 혹은 ' 박승일이라는 군인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는 설이 있으나, 현재는 후자의 설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12] # 노후화로 현재에는 도보와 자전거만 통행 가능하며 차량은 1999년 8월 11일에 준공된 바로 옆의 한탄대교로 건넌다.
  • 제27호 화천 구 인민군사령부 막사: 분단의 상징을 말해주는 건물.
  • 제28호 전북 진안군 진안성당 어은 공소( 천주교 전주교구)
  • 제29호 구 호남은행 목포지점: 신한은행 지점으로 사용 중이다가 현재는 목포문화원 건물로 쓰고 있다.
  • 제30호 구 목포공립심상소학교(현 유달초등학교) 체육관

5. 제31호 ~ 제40호

6. 제41호 ~ 제50호

파일:attachment/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제1호 ~ 제100호/imshi.jpg
파일:연천역급수탑1.png 파일:연천역 급수탑_1.jpg
  • 제46호 도계역 급수탑: 1940년에 건립된 원통형 급수탑으로 다른 급수탑에 비해 높이가 상당히 낮고 역하고도 위치가 떨어져 있다. 산악 지대에 건설된 특성을 살린 급수탑.
  • 제47호 추풍령역 급수탑: 1939년에 건립된 사각형 급수탑. 급수탑 뿐만 아니라 펌프와 물을 끌어들이는 연못 등의 부수 시설도 원형 그대로 남아 있다.
  • 제48호 연산역 급수탑: 1911년에 건립된 원통형 급수탑으로, 국내에 현존하는 급수탑 중 가장 오래되었다. 콘크리트가 아닌 화강암 석재를 쌓아올려 만든 특이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상단 물탱크 부분은 철제로 되어 있다.
  • 제49호 안동역 급수탑: 1940년에 건립된 12각형의 특이한 급수탑. 외관이 하얗게 칠해져 있다.
  • 제50호 영천역 급수탑: 1937년에 건립된 원통형 급수탑이다. 출입문 등의 시설도 잘 보존된 편. 최근에 영천시에서 야간 조명을 설치해서 밤에는 밝게 빛난다.

7. 제51호 ~ 제60호

  • 제51호 삼랑진역 급수탑: 1923년에 건립된 원통형 급수탑으로, 하부는 화강암 석재, 상부는 콘크리트로 되어 있다. 석조 급수탑에서 콘크리트 급수탑으로 넘어가는 중간 과도기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외관이 담쟁이덩굴로 둘러싸여 있다.
  • 제52호 서울시청 본관: 서울특별시청 항목 참조. 껍데기만 남기고 새로 지어 서울도서관으로 쓰고 있다.
  • 제53호 건국대학교 구 서북학회 회관: 원래는 종로구 낙원동에 있었으나 1985년에 해체한 후, 건국대학교 광진캠퍼스 교정 내에 복원. 건국대학교 박물관 건물로 사용되고 있다.
  • 제54호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 천주교 춘천교구)
  • 제55호 충청북도청 본관: 상술했던 전남, 충남, 경남도청과 비슷한 시기에 지어졌는데, 다른 해서 원래의 건물들은 다른 용도로 쓰고 있는 반면, 이 청사는 아직도 현역이다!
  • 제56호 대한통운 제천영업소: 제천역 앞 버스 차고지 부근에 있으며 내벽을 허물고 새 벽을 세워 원래 구조와는 달라졌으나, 파사드와 골조는 완공 당시의 모습을 많이 간직하고 있다. 다만 지금은 식당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좀...
  • 제57호 옥천 죽향초등학교 구 교사: 원래 57호는 제천역 구내 기관차 검수고였으나 지정되기 전에 헐려버린 바람에 이 문화재로 교체했다고 한다. 해당 학교는 향수의 저자인 시인 정지용 육영수 여사가 다녔던 옥천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이다.
  • 제58호 진천 덕산양조장: 한때 경영난을 겪으면서 폐업 위기를 겪었지만, 다행히 위기를 딛고 현재도 막걸리를 생산하고 있다.
  • 제59호 영동 노근리 쌍굴다리: 그 유명한 노근리 양민 학살 사건이 벌어졌던 곳으로 민간인을 상대로 미군의 무자비한 학살이 바로 여기서 벌어졌다. 이 다리는 지금도 경부선 철도 교량으로 쓰인다. 개근천 위에 축조된 아치형 쌍굴 철도 교각이다. 또한 해당 다리 옆에는 노근리 평화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 제60호 강경중앙초등학교 강당

8. 제61호 ~ 제70호

  • 제61호 김제 죽산리 구 일본인 농장 사무소: 원래는 '김제 농업기반공사 동진지부 죽산지소'로 등록했지만, 이후 소유권이 시로 이전되었고, 기관 명칭 변경('농업기반공사' → ' 한국농어촌공사'), 그리고 문화재의 역사성과 건물의 특성 및 건립 당시의 학술적,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목적 등의 이유로 2010년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했다.
  • 제62호 목포 정명여자중학교 구 선교사 사택
  • 제63호 함평 구 학교역 급수탑: 석조로 된 원형 급수탑으로 연산역 급수탑과 비슷한 모양새를 하고 있다. 상단부의 철제 물탱크는 없다. 2001년 호남선 복선전철화로 인하여 이 구간 철도가 이설되었고, 역이 1번 국도변의 현재의 함평역으로 옮겨가면서 급수탑을 제외한 나머지 역 시설들은 모두 철거된 상태이다. 현재 주변은 공원화되어 있지만, 급수탑을 전후로 옛 호남선 철길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 제64호 군산 동국사 대웅전: 국내에 현존하는 일본 사찰 건물들 중 하나로, 물론 현재는 한국식 사찰이다. 1913년에 지어졌으며, 자재는 모두 일본에서 들어왔다고 한다. 경사가 심한 지붕이 인상적. 자세한 내용은 동국사 항목 참조.
  • 제65호 제천 엽연초생산조합 구 사옥: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다.
  • 제66호 구 소록도갱생원 검시실
  • 제67호 구 소록도갱생원 감금실
  • 제68호 구 소록도갱생원 사무본관 및 강당
  • 제69호 구 소록도갱생원 만령당
  • 제70호 구 소록도갱생원 식량창고

9. 제71호 ~ 제80호

  • 제71호 구 소록도갱생원 신사. 대한민국에 유일하게 살아남아 있는 일본식 신사이다.
  • 제72호 구 소록도갱생원 등대
  • 제73호 소록도 구 녹산초등학교 교사
  • 제74호 소록도 구 성실중고등성경학교 교사
  • 제75호 구 소록도갱생원 원장 관사
제66호부터 제75호까지는 과거 한센병환자들의 수용소로 사용되면서 관련된 시설들이었다. 소록도 섬 곳곳에 흩어져 있다. 자세한 건 소록도 문서 참조.
  • 제76호 파주 구 장단면사무소: 과거 장단군의 중심이던 장단면의 면사무소로 사용했지만, 한국 전쟁으로 인해 폐허가 된 후, 현재 비무장지대에 방치된 채 있다.
  • 제77호 경의선 장단역지: 2002년 말, 경의선 남북 철도 복원사업 도중에 발견되었으며, 비무장지대 내에 있다. 78호로 지정된 증기기관차 화통도 있었지만 임진각으로 옮겨가고 현재는 승강장만 남아 있다. 안보관광 코스도 없으므로 일반인이 관람하기에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 제78호 경의선 장단역 증기기관차 화통: 과거 포스코 광고에도 나왔던 옛 기관차로 원래 장단역에 있었다가, 보존 작업을 거쳐 현재 임진강역 인근의 임진각으로 옮겨져 전시되고 있다. 일반인도 보러 갈 수 있다.
  • 제79호 경의선 장단역 죽음의 다리: 경의선 철도 위에 있는 작은 다리로, 장단역을 동서로 연결하던 다리였다. 한국전쟁 때의 격전지였다. 수많은 미군 병사와 남한 병사들이 죽은 이후 이런 이름이 붙었다. 죽은 자는 말이 없다는 말로 인하여, 침묵의 다리라고도 불린다.
  • 제80호 덕수궁 석조전 동관 (2008. 6. 23일 문화재 지위 박탈, 사적 124호로 통합)

10. 제81호 ~ 제90호

덕수궁 내에 있는 이 3개의 등록문화재는 덕수궁 전체가 사적 124호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중복 등록 논란이 있었고, 결국 등록문화재에서 해제하고 사적으로 통합 관리하기로 했다.
  • 제83호 창경궁 대온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
  • 제84호 원서동 고희동 가옥
  • 제85호 계동 배렴 가옥
  • 제86호 누상동 이중섭 가옥 (2008. 8. 11일 문화재 지위 박탈): 추가조사 결과 이중섭과 관련없는 것으로 밝혀져서 해제되었다.
  • 제87호 홍지동 이광수 별장 터: 현재 그 위치에 세워진 한옥은 70년대에 지어진 것이라 터만 문화재로 등록한 것.
  • 제88호 통인동 이상 가옥 (2008. 6. 23일 문화재 지위 박탈): 추가조사 결과 이상의 집이 1943년 헐린 뒤 그자리에 다시 지어진 건물로 밝혀져 해제되었다.
  • 제89호 평창동 박종화 가옥
  • 제90호 홍파동 홍난파 가옥

11. 제91호 ~ 제100호


[1] 구 청주상업고등학교 [2] 굵은 글씨가 들어간 이유는 국가문화유산포털에 적혀 있는 주소지는 존재하지 않다는 것! [3] 이 외에도 초기에 지정되었던 상당수의 국가등록문화재의 명칭들이 많이 바뀌었다. [4] 현재 문화재 명칭은 '강경 구 연수당 건재 약방' [5] 해당 건물 역시 야인시대에서 많이 등장하는 장소이긴 하지만, 해당 드라마의 주 무대로 우리들이 잘 아는 우미관하고는 다르다. [6] 서울시민회관 별관 시절 옆에 위치한 본관에서 1972년 화재가 발생,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낸 참사로도 악명이 높았다. [7] 여담으로 과거(적어도 1970년대 이전) 사진과 현재의 모습이 다름을 알 수 있는데 건물 앞의 태평로(현 세종대로)의 확장으로 인해 일부 부분이 철거되었다고... [8] 국가문화유산포털에서 철거 전후 모습을 볼 수 있다. [9] 자세한 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서의 2.1문단 참조. [10] 학교가 서 있는 위치가 상술한 옛 전남도청 본관 길 건너편으로 학교 바로 옆에는 지금은 주차장이지만, 2010년 이전에는 광주여자고등학교(현재는 서구 화정동)가 자리했었다. [11] 다만, 현재 백마고지역 경원선 개량 및 전철화 사업 등의 이유로 임시 운영 중단 상태이기 때문이므로, 방문을 하려면, 동송시외버스공용터미널을 이용해서 와야 할 것이다. [12] 육군사관학교1기 생으로 졸업 하였으며 당시 국군 7사단 5연대 연대장이 였다. 1950년 덕천전투에서 포로로 잡혔다. 같은 수용소에서 있던 사람의 증언에 따르면 수용소 경비들이 그를 수용소에 수감 되어 있던 국군 고급 장교들을 소달구지에 함께 실려간 이후엔 행방이 묘연하다고 한다. 슬하엔 1남이 있다고 전해진다. [13] 다만 해당 문서 2번 항목에 나와있다시피 중앙정보부의 해외 파트 청사로 사용되면서 엄청나게 훼손이 되었다. 1995년에 현재의 내곡동으로 이전할 때까지. [14] 의릉 주 능선(홍살문~정자각~능침)에서 한참 벗어난 곳에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