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역 |
동백산 - |
도계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청량리 방면
태 백← 27.0 ㎞ |
동해 방면
동 해 36.4 ㎞ → |
|||
동대구· 영주 방면 |
영동선 무궁화호 |
동해 방면 신 기 15.3 ㎞ → |
|||
동백산 ← 18.2 ㎞ |
|||||
태백선 무궁화호 |
|||||
청량리 방면 | |||||
분천 방면 동백산 ← 18.2 ㎞ |
동해산타열차 |
강릉 방면 신 기 15.3 ㎞ → |
|||
추추스테이션 방면 흥전삭도마을 ← ?.? ㎞ |
스위치백 트레인 (전용선) |
시종착 |
역명 표기 | |||||
영동선 |
도계 Dogye 道溪 / [ruby(道渓, ruby=トゲ)] |
||||
주소 |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220-15(전두리) | |||||
역 코드 | |||||
한국철도공사 | 111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3급) ( 태백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강원본부) |
|||||
운영 기관 | |||||
영동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철암선 | 1940년 8월 1일 | |||
2023년 9월 1일 | |||||
무궁화호 | 1984년 1월 1일 | ||||
스위치백 트레인 |
2016년 1월 9일~2016년 4월[2] | ||||
2020년 7월[3] | |||||
동해산타열차 | 2020년 8월 19일 | }}}}}}}}} | |||
철도거리표 | |||||
영주 방면
솔 안 ← 8.2 ㎞ |
영동선 도 계 |
청량 방면
고사리 4.7 ㎞ → |
현 역사(1984년 준공) |
구 역사(1940년 준공, 1984년 철거) |
[clearfix]
1. 개요
<nopad> |
도계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스위치백을 형상화했다. 중간에 만년 스탬프로 바뀌어 현재는 테두리가 완전한 원형이다. |
영동선 석탄수송의 핵심역사, 서독 파견 광부들의 훈련소 역할
도계역은 1940년 8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영동선 석탄수송의 핵심역사였다. 도계역이 위치한 도계리는 세 갈래 길의 분기점에 있다 하여 길가말이라 불리던 이름이 와전되며 붙은 마을로 시외버스터미널과 철도역이 위치한 삼척의 주요마을이다. 광복 이후 대한석탄공사에 이관된 인근 탄광의 규모가 커지자 1951년 도계광업소와 장성광업소로 분리 운영되었는데, 당시 도계는 강원도 내 석탄 생산량의 32%를 차지하는 중요한 석탄 산지였으며 1975년까지 서독에 파견하는 광부들의 훈련소의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바로 이 무연탄을 묵호항과 여러 도시로 나르기 위해 만들어진 역이 도계역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영동선의 철도역.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220-15(전두리) 소재.도계역은 1940년 8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영동선 석탄수송의 핵심역사였다. 도계역이 위치한 도계리는 세 갈래 길의 분기점에 있다 하여 길가말이라 불리던 이름이 와전되며 붙은 마을로 시외버스터미널과 철도역이 위치한 삼척의 주요마을이다. 광복 이후 대한석탄공사에 이관된 인근 탄광의 규모가 커지자 1951년 도계광업소와 장성광업소로 분리 운영되었는데, 당시 도계는 강원도 내 석탄 생산량의 32%를 차지하는 중요한 석탄 산지였으며 1975년까지 서독에 파견하는 광부들의 훈련소의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바로 이 무연탄을 묵호항과 여러 도시로 나르기 위해 만들어진 역이 도계역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1940년 7월 31일 조선철도주식회사 철암선의 묵호항-도계 구간이 개통하면서 영업을 개시하였고, 1965년 10월 1일 사무관역으로 승격되었다.1984년 7월 1일 역사 신축공사가 착공되었고, 같은 해 1984년 12월 28일 현 역사가 준공되었다.
1996년 3월 28일 6급역으로 격하되었고,[4] 같은 해 8월 6일에 5급역으로 다시 승격되었다.[5]
2002년에 태풍 루사[6], 2003년 태풍 매미가 이 역의 선로를 휩쓸고 가버려서(…) 한동안 영동선의 임시 시종착역이 된 적이 있었다.
2006년 5월 1일부로 소화물취급이 중지되었고, 2007년 12월 31일부로 보조기관차 운행이 폐지되었다.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비치되어 있으며, 폐지된 나한정역, 흥전역 스탬프도 매표소 앞에 비치되어 있다. 여기서 나한정역과 흥전역 스탬프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중 크기가 가장 큰 스탬프로, 가로 10cm, 세로 6.5cm이다.[7]
2.1. 승강장
↑ 신기 | |||
| | 1 | 2 | | |
동백산 ↓ |
1 | 영동선· 태백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동해산타열차| 동해산타열차 ]]
|
동해· 정동진· 강릉 방면 |
2 | 영동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동해산타열차| 동해산타열차 ]]
|
분천· 동대구· 영주 방면 |
태백선 |
[[무궁화호| 무궁화호 ]]
|
태백· 제천· 청량리 방면 |
3. 역 주변 정보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
45호 | ← | 46호 | → | 47호 |
연천역 급수탑 | 도계역 급수탑 | 추풍령역 급수탑 |
역 바로 뒤에 가행중인 탄광인 대한석탄공사 도계광업소가 위치해 있다.
역 뒷편 저탄장에는 폐석 운반용 강삭철도가, 읍내 반대방향인 남쪽으로 가다 보면 도계전두시장 및 오십천변 까치발 건물들이 있고, 더 올라가면 비교적 최근에 폐광된 흥전갱 입구까지 갈 수 있다.
읍내쪽으로 가면 과거 광부사택이었던 장미사택 등과 천연기념물 95호 긴잎느티나무가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30e2f><bgcolor=#c30e2f> 연도 ||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c30e2f> 총합 ||<bgcolor=#c30e2f> 비고 ||2004년 | 339명 | |||
2005년 | 360명 | |||
2006년 | 347명 | |||
2007년 | 348명 | |||
2008년 | 346명 | |||
2009년 | 351명 | |||
2010년 | 390명 | |||
2011년 | 465명 | |||
2012년 | 525명 | |||
2013년 | 540명 | |||
2014년 | 531명 | |||
2015년 | 385명 | |||
2016년 | 403명 | |||
2017년 | 347명 | |||
2018년 | 339명 | |||
2019년 | 356명 | |||
2020년 | 141명 | |||
2021년 | 183명 | |||
2022년 | 265명 | |||
2023년 | 64명 | 249명 | 313명 | [8]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5. 여담
도계역은 강원도 남부 영월군, 정선군, 태백시, 삼척시가 공동으로 조성한 트래킹 코스인 운탄고도1330 중 7길 종점이자 8길 시작점이다.2010년대 중후반에는 내일로 플러스를 끊은 이용객에 한하여 도계역사 직원 숙소에서 숙박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숙소를 운영하지 않고 있으므로 숙박은 근처 모텔을 이용하여야 한다.
강원대학교 도계캠퍼스 학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일요일 기차를 타면 20대 청년들이 우르르 내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6. 둘러보기
영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북영주† -
문단† - -
거촌† -
봉성† -
법전† - -
녹동† - - - -
비동† - - - -
동점† - -
백산† - -
솔안† - - - - - -
고사리† -
하고사리† -
마차리† - -
상정† -
미로† -
도경리† - - - - -
망상† - -
옥계† - -
안인† - -
청량† - - 강릉역은 2018년 6월 28일 영동선 거리표에서 삭제되었으나 영동선 열차가 정차한다. |
}}}}}}}}} |
[1]
솔안터널로 이 네 역이 한번에 폐역되었다. 현재는 스위치백트레인이 심포리-도계 구간을 운행한다.
[2]
스위치백 트레인 도계역 운행 중지 및
나한정역으로 축소운행
[3]
스위치백 트레인 도계역 운행 재개
[4]
대한민국관보 영주지방철도청 공고 제1996-6호, 1996년 3월 28일.
[5]
대한민국관보 영주지방철도청 공고 제1996-19호, 1996년 8월 6일.
[6]
2002년 당시 영동선 철로가 엿가락처럼 늘어져 있을 정도로 지반이 문자 그대로 쓸려 내려갔다.
[7]
나한정역과 흥전역 스탬프를
우편엽서에 찍은 사진을 보면 우편엽서의 절반에 육박하는 크기를 자랑한다.
[8]
ITX-마음의 운행일은 운행 개시일인 12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1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