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4, 지구 5, 자치주 5 |
현급행정구 시할구 13, 현급시 28, 현 60, 자치현 6 |
|
우루무치시 성도 乌鲁木齐市
|
|||
카라마이시 克拉玛依市 |
|||
투르판시 吐鲁番市 |
|||
하미시 哈密市 |
|||
아크수지구 阿克苏地区 |
|||
카슈가르지구 喀什地区 |
수푸현 疏附县 수러현 疏勒县 잉지사현 英吉沙县 쩌푸현 泽普县 예청현 叶城县 마이가이티현 麦盖提县 웨푸후현 岳普湖县 가스현 伽师县 바추현 巴楚县 |
||
호탄지구 和田地区 |
|||
창지 후이족 자치주 昌吉回族自治州 |
|||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博尔塔拉 蒙古自治州 |
보러시 博乐市 아라산커우시 阿拉山口市 징허현 精河县 원취안현 温泉县 |
||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巴音郭楞 蒙古自治州 |
|||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克孜勒苏 柯尔克孜自治州 |
아르투슈시 阿图什市 아커타오현 阿克陶县 아허치현 阿合奇县 우차현 乌恰县 |
||
일리 카자흐 자치주 伊犁 哈萨克自治州 |
|||
타청지구 塔城地区 |
|||
알타이지구 阿勒泰地区 |
알타이시 阿勒泰市 부얼진현 布尔津县 푸윈현 富蕴县 푸하이현 福海县 하바허현 哈巴河县 칭허현 青河县 지무나이현 吉木乃县 |
||
자치구직할 현급행정구★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255, 0, 0, .2)"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d91e31> 민족 | |||
산융·동호† | <colcolor=#000,#fff> 산융† | 동호† | |||
선비&오환·거란† | 선비( 모용부 | 단부 | 우문부 | 탁발부 | 독발부 | 걸복부 | 하란부 | 철불부 | 독고부 | 유연)† | 오환족† | 해족† | 습족† | 오락후† | 거란† | |||
몽골족 | 실위 (여러 부족들)† | 모골 | 둥샹족 | 다고르족 | 오이라트( 준가르 | 칼미크 | 상몽골인) | 부랴트 | 몽구오르인 | 몽골인( 차하르 | 할하) | |||
국가 및 지역 | ||||
독립국 | 몽골 | |||
자치지역 및 다수 거주지 |
내몽골 자치구 | 중가리아(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 |||
부랴티야 공화국 | 칼미키야 공화국 | ||||
해당 지리적 인종 | 동아시아인 | 시베리아 원주민 | |||
문화 및 언어 | ||||
신화 | 텡그리 신앙, 거란 신화, 몽골 신화, 부랴트 신화 | |||
언어 | 몽골어족 | }}}}}}}}} |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구 | |||||
[ruby(博尔塔拉, ruby=Bó'ěrtǎlā)][ruby(蒙古, ruby=Měnggǔ)][ruby(自治州, ruby=Zìzhìzhōu)] ᠪᠣᠷᠣᠲᠠᠯᠠ ᠮᠣᠩᠭᠣᠯ ᠥᠪᠡᠷᠲᠡᠭᠡᠨ ᠵᠠᠰᠠᠬᠤ ᠵᠧᠦ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Bortala Mongol Autonomous Prefecture |
|||||
주정부 소재지 |
신장 위구르 자치구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보러시 칭더리다제201호 新疆维吾尔自治区博尔塔拉蒙古自治州 博乐市青得里大街201号 |
||||
지역 | 시베이 | ||||
면적 | 24,934.33km² | ||||
하위 행정구역 | 2현급시 2현 | ||||
시간대 | UTC+8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인구 | 488,198명 (2020) | |||
인구밀도 | 20명/km² | ||||
민족 구성 |
한족 64.96% |
위구르족 13.32% 카자흐족 10.01% | 몽골족 5.66% |
||||
서기 | 허융후이(何永慧) | ||||
주장 | 바잉허시그(巴音克西)( 몽골족) | ||||
GRDP | 전체 | $51억 3,600만 (2019) | |||
1인당 | $10,767 (2019) | ||||
상징 | 구화 | 없음 | |||
구목 | 없음 | ||||
차량번호 | 新E | ||||
행정구역 약칭 | 博州 | ||||
행정구역코드 | 652700 | ||||
지역전화번호 | 009 | ||||
우편번호 | 833400 | ||||
ISO 3166-2 | CN-XJ-27 | }}}}}}}}} |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자치주. 몽골 자치주이지만 몽골인 비중은 5.6%정도로 매우 적고 인구의 과반은 한족이다. 보얼타라는 몽골어 보르탈라의 음차로, 해석하면 '은회색의 초원'이라는 뜻이다.동쪽으로 타청지구, 서쪽으로 카자흐스탄 남쪽으로 일리 카자흐 자치주와 접하며 동시에 남쪽으로 톈산 산맥이 지나간다.
2. 역사
과거 소그드인이 거주하였던 지역으로, 한나라 대에 중국이 점령하여 서역도호부(西域都护府)가 이 지역을 관할하기도 하였다.한나라로부터 벗어난 후 돌궐 제국이 통치하다가 당나라에게 점령되어 요지도독부(瑶池都督府)가 설치되었으며 658년, 이 지역에 쌍하도독부(双河都督府)가 설치되고 이후 702년에 북정대도호부(北庭大都护府) 소속으로 개편된다.
이후 서요의 통치를 거쳐 몽골 제국이 점령하였고, 차가타이 칸국이 이 지역을 다스린다. 몽골제국의 붕괴 이후에는 모굴리스탄 칸국이 건국되어 이 지역을 다스렸으며 이후 준가르의 통치를 거쳐 청나라에 편입된다.
중화민국은 이 지역을 통치하던 차하르영대대신직을 폐지시키고 보러현(博乐县)을 설치하였으며 1942년에는 원취안현(温泉县)을 추가로 설치한다.
1954년, 이 지역에 보얼타라 몽골 자치구(博尔塔拉蒙古族自治区)가 설치되었으며 1955년 자치주로 변경된다.
3. 교통
관내에 보얼타라 아라산커우 공항(博乐阿拉山口机场)이 있으며 국내선 전용이다.철도의 경우 관내에 보러역(博乐站), 보러둥역(博乐东)이 존재하고 둘 다 베이장철도(北疆铁路)가 지나가지만 보러역의 경우 베이장철도 본선이 아닌 보저우 지선철도(博州支线铁路)가 지나간다. 본래 보러역은 보얼타라역이라는 이름이었고 보러둥역이 보러역이었지만 현재는 명칭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또, 아라산커우시에 위치한 아라산커우역은 카자흐스탄으로 가는 국제열차역으로, 국제열차 자체는 중국 내륙까지 들어가지만 아라산커우역에서 출입국 심사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