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00:13:33

망원정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성동동 전랑지
용강동 원지 유적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안학궁 정원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향원정
창덕궁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경복궁 북원
창덕궁 비원
경희궁 후원
인경궁
자수궁
화계 花階 경복궁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용양봉저정
낙천정
탕춘대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강선루
육승정
칠보정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옥호정 ·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
다산초당 · 함안 무진정 · 남간정사
원림 苑林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압구정 ·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 위양지 완재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
방해정 · 쌍산재 · 진주 용호정원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수선사 정원 ·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 통도사 구룡지 · 봉선사 화계 · 봉정사 영산암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
발리정원 · 섬이정원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생각하는 정원 · 남이섬 · 원생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8호 9호 10호
양천향교 터 망원정 터 보신각 터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9호
망원정지
望遠亭址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로8안길 23
( 합정동 457-1)
분류 자연유산 / 명승 / 문화경관 / 건물지
수량 / 면적 토지 1,427㎡
지정연도 1990년 6월 18일
시대 조선 시대
관리자
(관리단체)
마포구
파일:mojnk123.jpg
망원정
파일:망원정_터_7_(촬영년도___2015년).jpg
측면에서 바라본 망원정[1]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에 위치한 정자.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9호이다.

2. 상세

파일:망원정_터_2_(촬영년도___2015년).jpg
망원정에 걸려있는 희우정 현판[2]
망원정(望遠亭)은 양화도(楊花渡) 동쪽 언덕에 있던 정자로, 동호(東湖)의 제천정(濟川亭)[3] 위치는 과 함께 외국 사신을 위한 연회를 베풀던 곳으로 유명했다. 1424년(세종 6년)에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이 건립했고 원래 이름은 1425년(세종 7년)에 왕이 농사 형편을 살피러 이 곳에 거둥했다가 새 정자에 올랐을 때 때마침 기다리던 비가 내려 온 들판을 흡족하게 적시므로, 세종이 매우 기뻐하여 정자의 이름을 '희우정(喜雨亭)'이라 지어 내렸다.

1484년(성종 15년)에 성종의 친형인 월산대군이 효령대군에게서 이 정자를 물려받아 고쳐 지었는데, 성종이 '망원정(望遠亭)'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망원정 시(詩)와 서(序)를 친히 지어 월산대군에게 내리기도 했다. 성종은 세종 때의 예에 의하여 매년 봄 가을 이 곳에 나와 농사 형편을 시찰하고 또 수전 연습을 관람했으며, 문인 명사들과 시주(詩酒)를 즐기기도 했는데, 월산대군은 특히 이곳의 경치를 좋아하여 자주 찾았고, 눈 덮인 양화벌의 겨울 경치를 "양화답설(楊花踏雪)"이라고 하여, "한성십영(漢城十詠: 한성을 대표하는 열 가지 볼거리)"의 하나로 손꼽기도 했다. 그 뒤 월산대군이 죽자 성종은 두 번 다시 망원정을 다시 찾지 않았다고 한다.

그후 1506년(연산군 12년)에는 연산군이 자신의 향락 행위를 위하여 망원정을 크게 확장할 것을 명했다. 이때 지붕은 초가로 하고 건물은 1,000여 명이 앉을 만큼 크게 하며, 정자 위에서 바라다 보이는 건물은 모두 철거하도록 하고, 이름도 '수려정(秀麗亭)'으로 고쳤다. 그러나 이해 9월 중종반정으로 모든 공사를 중지하고 철거함에 따라 망원정도 다시 옛 모습으로 돌아가 명사들이 즐기는 명소가 되었다. 이 곳은 경치가 매우 좋아 명나라 사신을 접대하던 연회장으로도 사용되었으며, 잠두봉(蠶頭峰)과 가깝기 때문에 잠두봉을 찾는 길에 이 곳에 들르는 사신도 있었다고 한다.

이후 망원정은 1925년 대홍수 때에 유실되어 마포구 망원동 동명에서만 그 자취를 찾을 수 있었다. 약 60여 년 뒤인 서울특별시에서 1986년에 한강변 문화유적 복원계획의 일환으로 문헌 고증과 현지 발굴조사를 통해 망원정을 복원하기로 하여, 원래 위치에서 약간 벗어나 마포구 동교로8안길 23 (합정동)에 대지 341.5평,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2층 팔작기와집 누각으로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현재 망원정 터는 솟을대문, 건물 뒤 동쪽 아래의 협문 모두 출입 가능하다.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3] 제천정은 소실되어 현재의 한남동에 터만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