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2-23 10:36:29

연광정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평양시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평양성 (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대성구역 고구려 고분군 (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력포구역 고구려 고분군 (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만경대구역 법운암
모란봉구역 룡화사 · 평양성 (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강동군 단군릉
개성시
전체 개성역사유적지구 (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전체 고구려 고분군 ( 강서삼묘 (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전체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전체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전체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전체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함경남도
전체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전체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전체 고구려 고분군 (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전체 성불사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 성동동 전랑지 · 용강동 원지 유적 · 구황동 원지 유적 · 부여 궁남지 ·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 안학궁 정원 · 경회루 · 향원정 ·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 경복궁 북원 · 창덕궁 비원 · 경희궁 후원 · 인경궁 · 자수궁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 용양봉저정 · 낙천정 · 탕춘대
기타 경복궁 아미산 · 창덕궁 낙선재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 영보정 · 방화수류정 · 연광정 · 통군정 · 인풍루 ·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 환아정 · 영남루 · 군자정 · 한벽루 · 지수당 · 죽서루 · 백상루 · 강선루 · 육승정 · 칠보정 ·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 부용당 ·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 항미정 · 채미정 · 망양정 · 월송정 · 쌍수정 · 경포대 · 청간정 · 총석정 · 부벽루 · 칠성정 · 풍패루 ·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옥호정 ·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원림 苑林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압구정 ·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자강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지역별 팔경
관서 · 관동
}}}}}}}}} ||



파일:43_big.jpg
練光亭[1]
연광정
1. 개요2. 상세

1. 개요

평양성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 평양시 중구역 대동문동.[2]

2. 상세

원래 이름은 산수정(山水亭)이었다가 만화정(萬花亭)으로 고쳤고, 나중에 다시 고친 이름이 연광정이다.

강에 바짝 붙게 지으면서 동쪽으로는 굵은 기둥, 서쪽으로는 사각 돌기둥을 받쳐서 수평을 잡고 계자각난간(닭다리 모양의 난간)을 둘렀다. 원래는 정면 3칸에 측면 3칸으로 30평 남짓한 정자를 강과 마주보게 지었는데, 1573년에 옆으로 20평 남짓한 긴 네모꼴 정자 한 채를 또 기역 자로 모서리를 맞춰서 잇대어 지었다고. 연광정 본채의 기둥 11개는 모두 흘림기둥인데 새로 잇대어 지은 정자 경우는 네모꼴이다. 유홍준은 이 건축 배치를 설명하고 "외형적으로 멋을 더하게 되고 공간 쓰임새가 효율적으로 되며, 건물은 더욱 운치를 갖게 되고, 사용자는 저마다의 공간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3]

임진왜란 때 명나라의 심유경이 일본의 고니시 유키나가와 회담한 곳이 바로 이곳이다.

파일:연광정 현판.jpg
연광정의 현판에 대해 이중환의 택리지에는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선조 때 명나라의 사신으로 명필로 유명했던 주지번이 이곳에 들렀다가 연광정의 경치를 보고 '천하제일강산'이라 칭찬하면서 직접 현판 글씨를 써서 붙였는데, 병자호란 터지고 인조의 항복을 받고 돌아가던 청태종이 연광정에 들렀다가 이 현판을 보고는 "중국에도 명승지 많은데 왜 여기가 건방지게 천하제일이라고 써붙였냐"고 현판을 부숴버리려다 글씨가 그리고 경치가 마음에 들었는지 천하 두 글자만 톱질해 없애고 '제일강산'이라고 남겨두게 했다고. 유홍준이 갔을 때는 다시 '천하제일강산'이라고 써붙여져 있었단다.

조선 후기의 화가 겸재(謙齋) 정선(鄭敾, 1676-1759과 그의 손자인 손암(巽庵) 정황(鄭榥, 1735- ? )이 연광정을 소재로 그린 그림이 유명하다. 미술사 속 숨은 이야기
[1] 북한에서는 두음법칙을 적용하지 않기 때문에 '련광정'이라고 읽는다. [2] 대동문 바로 옆에 있는데 거리가 5분도 안 된다. [3] 출처: 유홍준 나의 북한문화유산 답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