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0 02:30:12

고령 신씨

고령신씨에서 넘어옴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colbgcolor=#ece5b6><colcolor=#000> {{{#!wiki style="margin: -15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230><tablebordercolor=#ece5b6> 파일:고령 신씨 종문.svg 高靈 申氏
고령 신씨
}}}
관향 경상북도 고령군
시조 신성용 (申成用)
집성촌 강원도 홍천군
경기도 가평군· 안성시· 평택시· 양평군
충청북도 청주시· 옥천군
전라북도 남원시· 순창군
전라남도 고흥군· 곡성군· 순천시· 여수시· 장성군
경상북도 고령군· 의성군
경상남도 진주시
황해도 평산군
함경북도 청진시
인구 129,718명(2015년)
사이트 고령신씨대종회

1. 개요2. 분파3. 항렬표4. 집성촌
4.1. 강원·경기·충청4.2. 전라·경상4.3. 북한
5. 인물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성씨 집단. 고려 23대 임금인 고종조에 문과에 급제하여 검교군기감이라는 명예벼슬을 받은 토호 출신인 신성용(申成用)을 시조로 두고 있다. 평산 신씨에서 분적한 본관이 아닌가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겠지만, 그런 가설을 뒷받침해줄 문헌이 현재는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고령 신씨는 신성용이 새롭게 만든 본관이라는 해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대가야가 위세를 떨치던 고령 지역의 토호이기에 가야 왕족 혹은 귀족의 후예라는 설도 있으나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다.

경상북도 고령군을 본관으로 삼는 성씨 집단이지만, 특이하게도 고령군을 제외하고 경상북도 내에는 고령 신씨가 적다. 오히려 충청북도 청주와 전라남도 고흥, 경기도 안성에 많이 사는 편이다.

광덕고등학교, 광덕중학교가 속해 있는 만대학원의 설립자[1]이기도 하다.

2. 분파

시조 신성용의 7세손에서 3파로 갈라진 뒤 그 아래 세부종파가 더 갈라졌다.
  • 암헌공파(巖軒公派) - 신장
    • 서윤공파(庶尹公派) - 신맹주
    • 순창공파(淳昌公派) - 신중주
    • 문충공파(文忠公派) - 신숙주
      • 봉례공(奉禮公) - 신주
      • 북백공(北伯公) - 신면
      • 황해백(黃海伯) - 신찬
      • 고천군(高川君) - 신정
      • 소안공(昭安公) - 신준
        • 직장공파(直長公派) - 신활
      • 강원백(江原伯) - 신부
      • 영성군(靈城君) - 신형
      • 호군공(護軍公) - 신필
    • 안동공파(安東公派) - 신송주
    • 귀래정공파(歸來亭公派) - 신말주
  • 정은공파(靜隱公派) - 신평
    • 정재공파(靖齎公派) - 신맹정
    • 죽재공파(竹齋公派) - 신중정
    • 성오재공파(省悟齋公派) - 신숙정
  • 감찰공파(監察公派) - 신제
    • 사성공파(司成公派) - 신자교
    • 부사공파(府使公派) - 신자강
    • 사정공파(司正公派) - 신자동
    • 사직공파(司直公派) - 신자정
  • 시중공파(侍中公派) - 신인기

3. 항렬표

  • 19세손 ◯권(權)
  • 20세손 ◯록(祿)
  • 21세손 ◯모(模)
  • 22세손 ◯구(求)
  • 23세손 ◯휴(休)
  • 24세손 ◯우(雨)
  • 25세손 ◯식(植)
  • 26세손 ◯호(浩)
  • 27세손 ◯수(秀)
  • 28세손 희(熙)◯[2]
  • 29세손 ◯규(圭)
  • 30세손 종(鍾)◯
  • 31세손 ◯영(永)
  • 32세손 상(相)◯
  • 33세손 ◯섭(燮)
  • 34세손 재(在)◯
  • 35세손 ◯용(鎔)
  • 36세손 태(泰)◯
  • 37세손 ◯근(根)

4. 집성촌

4.1. 강원·경기·충청

  • 강원도 홍천군 서면 반곡리
  • 경기도 가평군 하면 상판리
  •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 경기도 평택시 청북읍 고잔리
  •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전수리
  • 경기도 화성시
  • 경기도 과천시
  • 충청남도 서산시
  • 충청남도 천안시
  • 충청북도 옥천군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인차리[3]·청용리·행정리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낭성면 관정리[4]·귀래리[5]·추정리·호정리[6]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기암리·운교리·운암리·운용리·용곡리[7]·종암리

4.2. 전라·경상

  • 전라북도 남원시 산곡동
  •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낙동리
  • 전라북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 전라남도 고흥군 고흥읍 고소리·옥하리[8]
  •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노일리·석봉리
  • 전라남도 고흥군 남양면 망주리
  •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금마리·화산리
  • 전라남도 고흥군 도덕면 가야리·용동리
  • 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마륜리
  •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대전리
  •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대촌리
  •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송산리
  • 전라남도 곡성군 오산면 봉동리
  •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창녕리
  • 전라남도 여수시 해산동
  •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적금리
  • 전라남도 장성군 북이면 백암리[9]
  • 경상북도 고령군 운수면 운산리[10]
  • 경상북도 의성군 단밀면 용곡리
  • 경상남도 진주시 집현면 대암리
  • 전라남도 곡성군 옥과면 합강리

4.3. 북한

  • 황해도 평산군
  • 함경북도 청진시

5. 인물

이름 생몰년도 비고
18세손 이전
신덕린(德隣) 1330 ~ 1402 5세, 여말선초의 문신
신포시(包翅) 1361 ~ 1432 6세, 여말선초의 문신
신장(檣) 1382 ~ 1433 7세, 조선초기의 문신
신숙주(叔舟) 1417 ~ 1475 8세, 조선전기의 문신, 고령부원군, 시호 문충(文忠)
신정(瀞) 1442 ~ 1482 고천군파조 9세, 조선전기의 문신, 고천군
신준(浚) 1444 ~ 1509 소안공파조 9세, 조선전기의 문신, 고양부원군, 시호 소안(昭安)
신부(溥) 1446 ~ 1501 강원백파조 9세, 조선전기의 문신
신종호(從濩) 1456 ~ 1497 봉례공파 10세, 조선전기의 문신
신용개(用漑) 1463 ~ 1519 북백공파 10세, 조선전기의 문신, 시호 문경(文景)
신영홍(永洪) 1469 ~ ? 고천군파 10세, 조선전기의 문신
신영철(永澈) 1471 ~ 1522 고천군파 10세, 조선전기의 문신
신광윤(光潤) 1468 ~ 1554 영성군파 10세, 조선전기의 문신
신광한(光漢) 1484 ~ 1555 영성군파 10세, 조선전기의 문신, 영성부원군, 시호 문간(文簡)
신공제(公濟) 1469 ~ 1536 귀래정공파 10세, 조선전기의 문신, 시호 정민(貞敏)
신항(沆) 1477 ~ 1507 봉례공파 11세, 조선성종의 부마, 고원위, 시호 문효(文孝)
신중엄(仲淹) 1522 ~ 1604 영성군파 12세, 조선중기의 문신
신식(湜) 1551 ~ 1623 영성군파 13세, 조선중기의 문신
신용(涌) 1560 ~ 1631 영성군파 13세, 조선중기의 문신
신여량(汝樑) 1564 ~ 1606 감찰공파 14세, 조선중기의 무신
신익상(翼相) 1634 ~ 1697 북백공파 16세, 조선후기의 문신, 시호 정간(貞簡)
신경제(慶濟) 1644 ~ 1726 영성군파 16세, 조선후기의 문신
신필청(必淸) 1647 ~ 1710 영성군파 16세, 조선후기의 문신
신천영(天永) 1690 ~ 1728 영성군파 18세, 조선후기 이인좌의 난에 가담
신경준(景濬) 1712 ~ 1781 귀래정공파 18세, 조선후기의 실학자
19세손(權)
신윤복(潤福) 1758 ~ ? 귀래정공파 화가. 아명 가권(可權)
20세손(祿)
21세손(模)
신좌모(佐模) 1799 ~ 1877 고천군파 조선후기의 문신
신재모(宰模) 1885 ~ 1958 정은공파 독립운동가
신성모(性模) 1891 ~ 1960 정은공파 국방부장관
22세손(求)
신철구(轍求) 1804 ~ 1871 영성군파 조선후기의 문신
신헌구(獻求) 1823 ~ 1902 귀래정공파 조선후기의 문신
23세손(休)
신각휴(珏休) 1896 ~ 1976 소안공파 정치인
신철휴(喆休) 1898 ~ 1980 귀래정공파 독립운동가
24세손(雨)
신흥우(興雨) 1884 ~ 1959 영성군파 정치인
신정우(正雨) 1979 ~ 영성군파 소방공무원
신인우(仁雨) 1914 ~ 1993 귀래정공파 정치인
신길우(吉雨) 1924 ~ 2003 정은공파 독립운동가
신관우(灌雨) 1926 ~ 2009 소안공파 정치인
신말업(末業) 1934 ~ 2011 정은공파 군인, 족보명 말우(末雨)
신열우(悅雨) 1961 ~ 호군공파 소방청장
신동근(東根) 1961 ~ 영성군파 정치인, 족보명 동우(東雨)
25세손(植)
신규식(圭植) 1879 ~ 1922 소안공파 독립운동가
신규식(奎植) 1907 ~ 2003 귀래정공파 정치인
신범식(範植) 1923 ~ 1992 영성군파 정치인
신형식(泂植) 1926 ~ 1991 시중공파 건설부장관
신중식(仲植) 1940 ~ 시중공파 정치인
신충식(忠植) 1942 ~ 정은공파 배우
신문식(文植) 1955 ~ 감찰공파 정치인
신금식(金植) 1958 ~ 감찰공파 정치인
신윤식(允植) 1959 ~ 감찰공파 음악인
신경식(勁植) 1964 ~ 시중공파 법조인
신장식(莊植) 1971 ~ 영성군파 정치인
신충식(忠植) 1974 ~ 봉례공파 정치인
신진식(珍植) 1975 ~ 감찰공파 체육인
신경식(慶植) 1994 ~ 정은공파 인터넷 방송인
26세손(浩)
신승호(乘浩) 1987 ~ 직장공파 마술사, 정치인
신채호(采浩) 1880 ~ 1936 고천군파 독립운동가
신정호(正浩) 1915 ~ 2003 소안공파 정치인
신경호(慶浩) 1952 ~ 순창공파 교육인
신계륜(溪輪) 1954 ~ 귀래정공파 정치인, 족보명 계호(溪浩)
신명호(明浩) 1983 ~ 소안공파 체육인
신현호(賢浩) 1987 ~ 고천군파 음악인
신승호(昇浩) 1995 ~ 시중공파 배우
신은호(銀浩) 1954 ~ 감찰공파 정치인
27세손(秀)
신태희(泰姬) 1936 ~ 강원백파 정무 제2장관실 차관
신수정(秀貞) 1942 ~ 영성군파 음악인
신각수(珏秀) 1955 ~ 소안공파 외교통상부 차관
28세손(熙)
신희승(熙承) 1989 ~ 감찰공파 프로게이머
신희범(熙汎) 1996 ~ 감찰공파 프로게이머


[1] 고령종단의 종재(가문의 재산)으로 설립 [2] 27세손까지의 항렬규칙은 木과 水가 반복되는 것이었는데 28세손부터 오행순환에 따라 정해진다. [3] 독립유공자 신건식· 신규식· 신순호· 신영호· 신창희· 신형호· 신홍식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4] 독립유공자 신백우와 친일반민족행위자 신흥우가 이 마을 출신이다. [5] 독립유공자 신성휴· 신채호· 신학구가 이 마을 출신이다. [6] 독립유공자 신형식· 신흥구가 이 마을 출신이다. [7] 독립유공자 신경구가 이 마을 출신이다. [8] 신중식· 신형식 전 정치인 형제가 이 마을 출신이다. [9] 독립유공자 신경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 [10] 독립유공자 신길우와 탤런트 신충식이 이 마을 출신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