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16:43:15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OHP급에서 넘어옴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현대의 미합중국 해군 함정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7408b> 잠수함 <colbgcolor=#27408b> SS 돌핀R, 가토급M/R, 발라오급M/R, 텐치급M/R, 2대 바라쿠다급R, 탱급R, 바벨급R, 고틀란드급L
SSG 그레이백급R
SSN 노틸러스R, 시울프R, 스케이트급R, 스킵잭급R, 퍼밋급R, 스터전급R, 로스앤젤레스급, 시울프급, 버지니아급, { SSN(X)}
SSGN 오하이오급*
SSBN 조지 워싱턴급R, 이튼 앨런급R, 라파예트급R, 제임스 매디슨급R, 벤자민 프랭클린급R, 오하이오급, { 컬럼비아급}
고속정(PC) 애쉬빌급R, 페가수스급R, 사이클론급R
호위함(FF) 루더로우급M/R, 존 C. 버틀러급M/R, 딜리급R, 클라우드 존스급R, 브론스타인급R, 가르시아급R, 브룩급R, 녹스급R,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R,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 컨스텔레이션급}
구축함 구축함(DD) 플레처급M/R, 알렌 M. 섬너급 FRAM-IIM/R, 기어링급 FRAM-I/IIM/R, 노퍽급R, 미쳐급R, 포레스트 셔먼급R, 스프루언스급R
방공구축함(DDG) 패러것급R, 찰스 F. 애덤스급R, 키드급R, 알레이 버크급, 줌왈트급, { DDG(X)}
순양함 순양함(CL, CA) 클리블랜드급R, 볼티모어급R, 파고급R, 오리건시티급R, 우스터급R, 디모인급R
방공순양함(CG) 보스턴급M/R, 갤버스턴급R, 프로비던스급R, 알바니급R, 리히급R, 벨크냅급R , 타이콘데로가급, CG(X)
핵추진 방공순양함(CGN) 롱비치급R, 베인브리지급M/R, 트럭스턴급M/R, 캘리포니아급R, 버지니아급R, 타격 순양함
전함
(BB)
테네시급R, 콜로라도급R, 노스캐롤라이나급R, 사우스다코타급R, 아이오와급M/R, 몬태나급
상륙정 LCU 1610, LCM, LCVP, LCAC
상륙함 LHA 타라와급R, 아메리카급
LPH 이오지마급R
LHD 와스프급
LPD 롤리급R, 오스틴/클리블랜드/트랜톤급R, 샌안토니오급
LSD 캐사 그랜드급R, 토마스턴급R, 앵커리지급R, 하퍼스 페리급, 위드비 아일랜드급
LST 뉴포트급R
LSV 제너럴 프랭크 S. 베송급 A
EPF 스피어헤드급
소해함 오스프리급R, 어빌리티급R, 어벤저급
군수지원함 미 해군의 퇴역 군수지원함급 목록R, 새크라멘토급R, 알골급R, 네오쇼급R, 시마론급R, 마르스급R, 헨리 J. 카이저급, 서플라이급, 루이스 & 클라크급, 존 루이스급, 왓슨급, 머시급, 세이프가드급, 나바호급
지휘함 사이판급M/R, 블루 릿지급
원정이동기지선
(ESB)
루이스 B. 풀러급
항공모함 재래식(CV) 에식스급M/R, 타이콘데로가급M/R, 미드웨이급M/R, 유나이티드 스테이츠급, 포레스탈급R, 키티호크급R
핵추진(CVN) 엔터프라이즈급R, 니미츠급, 제럴드 R. 포드급
잠수함모함
(AS)
풀턴급R, 에모리 S. 랜드급
구축함모함
(AD)
딕시급R, 사무엘 곰퍼스급R, 옐로우스톤급R
무인함 USV 시 헌터, { LUSV}
UUV 오르카 XLUUV, { 후긴 AUV}
대형호위함(범선) 컨스티튜션*
※ 윗첨자R: 퇴역 함정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정
※ 윗첨자L: 리스한 함정
※ 윗첨자 A: 육군운용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오하이오급은 SSGN, SSBN형 둘 다 존재한다.
*: 컨스티튜션은 문화재로 현역으로서, 당시 기준 함급은 44문 대형 호위함이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ohp_FFG-45 De Wert.jpg
파일:ohp_FFG-7 oliver hazard perry.jpg

1. 개요2. 개발 배경3. 설계
3.1. 대한민국에서의 도입 의견3.2. 현대화와 개량3.3. 앞으로의 계획과 전망
4. 운용
4.1. 사건사고
5. 제원6.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목록7. 기타 국가의 함정 목록8. 대중매체에서의 등장9. 관련 자료10. 모형화11. 둘러보기12.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battle_of_lake_erie.jpg

이리 호수(Lake Erie)[1] 전투의 올리버 해저드 페리[2] 대령. 로렌스 함의 함포가 모두 무력화되자 "Don't give up the ship(배를 포기하지 말라)"[3]는 문구를 보트에 단 채로 배를 버리는 장면이다. 그러나 그는 곧바로 옆의 나이아가라 함으로 이함하여 다시 전열을 가다듬고 작전지휘에 나서서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매튜 페리의 형이기도 하다.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이하 페리급) 호위함은 1970년대에 미 해군이 주력으로 사용한 대잠함인 녹스급 호위함의 뒤를 이어 퇴역하는 기어링급이나 플레처급 FRAM (Fleet Rehabilitation and Modernization) 개량형 구축함을 대체하기 위해 대량으로 건조된 염가형 호위함이다. 명칭은 1812년 미영전쟁의 영웅 올리버 해저드 페리 제독의 이름을 명명한 것인데, 이 사람은 1854년 일본을 강제로 개항시킨 매튜 C. 페리 제독의 형이기도 하다. 페리급은 엘모 줌왈트 제독[4] 하이로우 계획의 염가형 로우에 해당함으로 제한적인 성능을 갖췄으며 이에 대응하는 고성능 하이급으로는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이 있다. 1977년부터 1989년에 걸쳐 총 51척이 건조되었지만, 냉전이 끝나고 연안에서의 활동 위주로 변경된 현재의 작전환경에 따라 상당수의 함정이 예정된 선령을 채우지 못하고 퇴역했는데, 초도함은 30년 정도 사용됐지만 15년도 안되어 퇴역한 함선들도 있다.[5] 그러나 기본적인 설계가 뛰어나고 성능 또한 천조국 기준에서 로우지 타국 입장에선 충분히 쓸만하기에 이 함선들은 해외로 매각되거나 공여되어 훌륭한 해군의 주력함으로 쓰이고 있다. 특히 확장성이 뛰어나다는 점 덕분에 미 해군 외의 운용국가는 마개조를 진행했으며, 미 해군이 2015년을 마지막으로 모든 함정을 퇴역시킴으로써 튀르키예 호주, 스페인 등 미국의 우방국들이 운용하고 있다.

2. 개발 배경

1970년대에 들어 소련 잠수함 위협이 가속화되면서 대잠전력의 강화가 요구되었다. 이에 당시 미 해군참모총장 엘모 줌왈트 제독은 하이로우 믹스 개념을 고안하는데, 하이급은 고가, 고성능의 함선, 로우는 저가, 저성능, 보급형 함선으로 두가지 대잠 함선을 도입하기로 한다. 하이급은 스프루언스급 구축함으로 큰 선체, 뛰어난 대잠 장비, 개함 방공 능력을 갖추어 잠수함 사냥에 특화되었다. 페리급은 이에 대응하는 로우급 함선으로 GIUK 갭[6]을 뚫고 내려온 소련 해군의 잠수함으로부터 호송선단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로우급인 만큼 저렴한 건조비용을 0순위로 해서 척당 4,500만 달러 미만, 만재 배수량 3,400톤 가량에 승조원 185명 규모의 함정을 조건으로 걸고 개발을 시작했는데, 스프루언스급 구축함과 마찬가지로 대량으로 도입하는 함선이므로 새로운 위협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확장성을 중시하였다. 냉전이 지속되었다면 호주와 마찬가지로 페리급에 VLS를 장착하는 등 방공 능력을 강화시켰겠지만 냉전 완화와 이지스 시스템의 고효율성으로 인해 미국은 페리급 갑판의 여유공간의 덕을 보지 못하고 퇴역시켰다.

가격과 운용비 절감을 위해 의장 간소화와 블록 건조방식이 도입되었고 기관의 자동화와 인력 감소가 우선적으로 시도되었으며 각종 장비도 저렴한 물건을 택했다. 한편, 과거에는 함정의 건조를 경쟁입찰로 진행해서 한 업체에 모든 물량을 몰아주는 바람에 몇가지 폐해[7]가 발생했으나, 페리급은 배스 아이언 웍스(Bath Iron Works)와 토드 조선소(Todd Shipyards)에 병행해서 수주시키는 방식을 택했고, 또한 첫번째 함정을 기공하고 어느 정도의 노하우와 문제점을 파악한 후 개선해서 두번째 함정에 적용하는 등의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썼다. 또한, 페리급은 미국 기준에서 로우급이지 다른 나라에서는 상당한 가성비로 비쳐 해외에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아직도 여러 해군의 훌륭한 주력함으로 쓰이는 페리급은 마개조를 진행해 상당한 전력을 갖추었으며, 돈이 없는 나라들은 경비함으로 쓰기도 한다.

3. 설계

저렴한 가격과 성능을 동시에 요구하는 과정에서 몇가지 변동사항과 타협, 절충안 등이 오간 끝에 최종적으로 지금의 페리급에 가까워진 윤곽이 드러났다.
  • 만재배수량 4,100톤, 최고속도 28노트, 20노트 순항시 항속거리 7,800km, 단일 프로펠러 추진
  • 제한적인 함대방공 능력
  • LAMPS 조건을 충족하는 헬기 2기, 견인소나 탑재
  • 전술정보처리/데이터링크 장비

파일:SS-N-7 Starbright.jpg

SS-N-7 Starbright 잠대함 미사일

페리급의 대공전 시스템은 무엇보다도 잠수함에서 발사된 사정거리 60~70km 가량의 SS-N-7 Starbright 잠대함 미사일에 대처하는 것을 주 목표로 삼았기 때문에 항모전단이나 상륙함 전단에 위협인 SS-N-12 샌드박스 Sandbox나 SS-N-19 Shipwreck같은 대형 장거리 대함미사일을 만날 가능성은 적다고 판단했다. 또한 건조비가 크게 상승해서는 안된다는 제약이 있었지만 자함 뿐만 아니라 수송함대의 다른 함정을 보호해줄 수 있는 제한적인 함대 방공능력은 요구됐기 때문에 SM-1MR을 탑재했다. 애초 녹스급에 이은 대잠함으로 기획되었지만 녹스급이 갖고 있는 대형 소나 ASROC을 중심으로 한 전통적인 대잠무장 대신 헬리콥터를 중심으로 한 LAMPS 체계에 집중했고, 방공능력은 좀 부실할지 모르지만 정찰기의 접근을 막거나 잠수함이 한 두발씩 쏘고 튀는 걸 막는 정도는 페리급 몇 척이 뭉치는 것으로 충분히 커버가 가능했기 때문에 별 문제는 없었다.

가격을 낮추기 위해 기존과 다른 여러가지 장비와 설계를 적용하였다. 엔진은 가스터빈 2기로 1축 추진하는 독특한 방식을 사용하고 무장이나 센서 역시 Mk.26 연장발사기 대신 저렴한 Mk.13 단장발사기를 장착하거나 울산급과 동일한 계열의 WM-28 사격통제장치[8]를 채택하였다. 다만 철저한 저가형으로 건조되었다고는 하지만 완전 자동화된 대공전 시스템과 전면적인 디지털 콘솔을 이용한 CIC를 채용한 면에서는 선진적인 면모를 볼 수 있다.

대공체계인 Mk.92는 무기 통제체계인 FCS와 통합 레이더 체계인 CAS[9]로 구성되는데, CAS는 내부에 3차원 탐색 레이더와 일루미네이터 하나씩으로 구성되어있다. 주 레이더인 2차원 AN/SPS-49가 표적을 탐지하면 CAS의 탐색 레이더가 표적을 추적한다. FCS는 SM-1, ESSM[10] 미사일의 발사를 지시하며 마지막 3~5초간 CAS의 일루미네이터가 종말 유도를 담당한다.[11] 일루미네이터가 하나인 것을 감안하면 동시에 다가오는 표적을 2개 이상 요격하기는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Mk.92 CAS의 유도 채널도 2개뿐이며 동시교전능력은 2개 표적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런 과정에서 좀 특이한 설계 방식도 적용되었는데 바로 함포의 위치. 기존의 전투함은 함교 전방에 주포를 탑재하고 미사일 등은 함선의 중간, 혹은 후방에 배치하는게 보통이었다. 그런데 페리급은 오히려 미사일 발사대를 함교 전방에 배치하고, 주포는 후방 헬리콥터 격납고 위에 배치하는 특이한 형태였다. 즉 순수한 함포전만 따지면 페리급은 전방으로 포를 쏠 수 없는 불리한 구조였다. 하지만 페리급의 본 목적은 함포를 위한 포격전이 아니라 미사일 요격을 통한 호위 임무였으므로 이 자체는 큰 문제가 아니었다. 또한 타륜이 만한 조그만 크기여서 타수가 한 손으로 조타하는 게 가능했을 정도였다.

3.1. 대한민국에서의 도입 의견

2000년대 초반엔 일부 밀덕들 사이에서, 대한민국 해군도 중고 페리급을 몇 척 싸게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었다. 황천에도 혹사당하는 울산급 FF, 동해급 포항급 PCC의 부담을 보다 대형함을 투입해 줄여 주고, 대잠헬기 대다수가 탑재할 함정이 적어 육상 발진해 초계하는 비효율적인 운용을 보여주고 있어 이를 타개하기 위함, 구식 SM-1이라도 북한 해군의 간헐적인 대함 유도탄 공격은 어느 정도 커버해줄 수 있는 점 등을 이유로 꼽았었다.

정작 해군에선 진지하게 검토한 것 같지 않은데 포술을 중시하는 해군 입장에서 페리급의 이상한 함포 위치와 부족한 화력 때문에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3.2. 현대화와 개량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AS_Sydney_1702120425.jpg

호주 해군 의 FFG 03(FFG-35) 시드니, 미국의 함선과는 달리 미사일 런처 앞에 Mk.41 VLS 8셀을 설치했었다.

차후 개량사업을 통해 새로운 위협에 유연하게 대처하고자 의도됐던 페리급의 여유로운 갑판은 결국 이용되지 못하였다. 페리급은 스프루언스급의 AN/SPS-40보다 탐색 범위가 넓은 AN/SPS-49 레이더를 탑재해 SM-1을 운용하는등 광역 방공망을 갖춰, SM-2를 운용할 수 있기에 용이했다. 그러나 방공 능력을 향상을 위주로 진행된 대규모 개량 사업인 NTU의 대상이 되지 못했는데 이유는 페리급의 작은 선체와 이지스 시스템의 효율성, 냉전 종식으로 인한 군비 축소 등이다. 다만 호주 해군은 이러한 잠재성을 활용해 방공시스템에 SM-2를 통합하고 Mk.13 런처로 SM-2MR을 발사하며, 그 앞에는 Mk.41 VLS 8셀을 심어넣고 ESSM 32발을 탑재하여 운영했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USS_Elrod_%28FFG-55%29_120421-A-OO955-138.jpg

FFG-55 엘로드, 미사일 런처를 철거한 자리에 25mm 기관포를 설치하였다.

함수에는 SM-1 스탠다드와 하푼을 발사할 수 있는 Mk.13 미사일 런처를 장착하고 있지만, 미 해군에서는 더 이상 SM-1의 효용성은 없다고 판단했는지 2003년 이후 모두 철거했으며, 대신 그 자리에 25mm 기관포를 달아버렸다. 결국 이후 미 해군에서 운용중인 페리급은 방공미사일은 물론이고 대함미사일도 없는 주무장 76mm 함포에 SH-60 헬기만 2대 굴리는 원양초계함 수준의 배가 되어버렸다.

호주에서는 소나, 팰렁스, 전자전 장비 등을 최신형으로 교체, 개량하여 운영했었다. 특히 Mk.13 미사일 런처에서 발사되는 SM-1 SM-2로 대체하고 페리급 호위함 4척에 추가로 Mk.41 VLS 8셀을 달아 ESSM을 장착하며 향상된 대공, 장거리 레이더를 탑재해 상당한 대공 전력을 갖추었었다.[12] 현재 전 애들레이드급 호위함 호바트급 구축함으로 교체되었다. 튀르키예도 호주와 마찬가지로 페리급에 Mk.41 VLS 8셀을 달아 방공 능력을 증강시켰다.

3.3. 앞으로의 계획과 전망

파일:ohp_mothball.jpg

장기 보관 상태인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2017년 해군참모총장(미국해군작전사령관)은 예비역으로 있는 페리급 호위함 8척 가량을 재취역시켜 해안 경비용으로 사용할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으나, 예산문제로 불발됐다.

호주는 페리급을 호바트급으로 교체하고 있지만 열악한 상황으로 인해 제때 물량을 맞추기 어려워 페리급의 퇴역을 늦추고 있다. 스페인과 중화민국도 마찬가지로 페리급을 차기 수상함으로 대체할 계획이다. 2019년 10월 HMAS 멜버른을 퇴역시킴으로서 호주 해군에서는 전량 퇴역하였고 멜버른은 칠레로 인도되었다.

튀르키예의 경우 MILGEM 계획에 따른 차기 수상함 사업이 완료될 때까지 페리급을 지속적으로 개량하여 계속 굴릴 전망이다. 이외의 다른 운용국들의 페리급은 개량은 커녕 헬기조차 없어 그냥 경비함으로 사용할 듯 하다.

우크라이나 해군이 2척을 공여와 관련되어 협상 중에 있다.

4. 운용

파일:syria1.jpg

시리아 IS를 향해 순항 미사일을 발사하는 러시아 잠수함.

페리급 호위함은 말 그대로 함대를 호위하는 호위함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함선들이 도입되는 1970년대에 미 해군은 유사시 대서양과 태평양의 제해권을 장악할 수 있을 막강한 해군력을 보유했지만, 소련은 미 해군으로부터 북극해와 같은 소련에 인접한 해역만을 방어할 수 있을 정도로 해군에 투자하였다. 이는 유럽, 아시아 사이에 도달하기 위해 바다를 건너야 한다는 미국의 상황과 그렇지 않은 소련의 지리적 요인, 해외 무역 의존도가 높은 서구권과 그렇지 않은 동구권의 경제적 요인 등에 의한 결과인데, 대신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 유보트 잠수함을 이용해 대서양의 수송 선단을 파괴한 독일과 같은 전략을 채택하였다. 소련의 잠수함들은 어뢰보다 사거리가 긴 대함 미사일을 이용해 함대를 공격할 수 있게 설계되어 스프루언스급은 이런 잠수함을 격침시킬 목적으로 개함 방공망만을 갖춘 반면 페리급은 잠수함의 공격으로부터 함대를 방어할 목적으로 Mk.13 미사일 런처를 이용한 광역 방공망을 갖추었다.

파일:Artistic-Rendering-of-MLP-1024x765.png

미 해군 소속의 MLP(차량 상륙 플랫폼), 유사시 군수 물자를 분쟁지에 신속히 조달한다.

잠수함을 이용한 대함 미사일 공격은 동시에 발사 가능한 숫자와 적재량이 제한적인지라 페리급의 방공 능력은 수송 선단을 호위하기에 충분했으며 찰스 F. 애덤스급, 각종 순양함과 더불어 항모전단의 함대 방공 임무도 맡았다. 그러나 냉전 말기에 접어들면서 소련은 항공모함에 대응하기 위해 잠수함을 비롯해 폭격기까지 동원해 다량의 대함 미사일을 퍼붓는 전략을 채택하였고, 미국은 방공 능력에 극단적으로 특화된 수상함을 필요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등장한 것이 이지스함과 대규모 방공 능력 개량 사업인 NTU 개수다. NTU 개수는 시작 당시 페리급, 스프루언스급 등을 대상으로 이지스 시스템에 근접하는 방공 능력을 갖추게 하자는 취지였지만, 때맞춰 냉전이 종식되는 바람에 군비 감축에 맞춰 적은 함령의 수상함들도 과감히 퇴역되고 이들이 수행하던 대잠 임무를 이지스 시스템에 통합시켰다. 결국 페리급의 미사일 런처도 철거됐으며 대잠 작전 용도로 쓰이다가 차츰 퇴역하였다. 페리급, 스프루언스급의 퇴역 후 알레이 버크급에 함대 방공과 더불어 대잠, 대탄도탄 임무까지 주어지게 되었는데, 잠수함의 위협 약화와 탄도 미사일의 위협이 거세지는 상황에서 미국으로서는 특화된 대잠 수상함이 급하진 않았던 모양이다. 알레이 버크급의 대잠전 능력은 이지스 시스템에 가려져서 미약하다고 여겨지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13] 낮아진 군비 지출 또한 미 해군으로서 특화된 다양한 종류의 함선을 운용하기보다는 멀티롤을 추구하게 하였는데, 이는 F/A-18E/F,[14] F-35[15] 등에도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미군은 한 종류의 무기를 다량으로 생산함으로써 가격을 낮추는 효과를 얻으려고 한다. 미국의 해외 개입이 잦아지면서 작전환경 또한 중동의 연안으로 옮겨가 지상 공격 능력이 요구된 것도 한몫 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다목적성이 떨어지는 페리급은 일찍 퇴역하게 되었다.

스프루언스급은 개량형인 키드급, 선체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된 타이콘데로가급의 발전형을 남겼지만 함체 자체가 작던 페리급은 그렇지 못했다. 이후에는 RCS를 낮추기 위해 작은 함선에 스텔스 설계가 적용되어 형태가 크게 변했기 때문이다.

4.1. 사건사고

1976년 최신예함에 대한 많은 기대 속에서 1번함 FFG-7 올리버 해저드 페리 함이 Bath Iron Works 배스 조선소에 운집한 군중 앞에서 진수되던 중 조선대(Slip-way)에 멈춰 걸렸다. 그러자 참관하던 영화배우 존 웨인이 나서 함선을 손으로 밀어 진수시켰다. 당시 분위기는 생각보다 극적이었다고 한다. 본래 해군과 같은 선박/해양 관련 분야는 미신, 징크스와 같은 것에 민감한 편이다. 그래서 진수식부터 문제가 생기자 당시 참관인들 사이에선 '이 배 나중에 큰일나는 거 아냐?'라며 걱정을 많이 했단다. 이걸 존 웨인이 깨버린 것. 이 덕분(?)인지 초도함 페리 함은 별 탈 없이 임무를 수행하다가 무사히 퇴역했다.
Mk.13 런쳐 탓인지 Mk.75 76mm 함포는 함수가 아니라 선체의 가운데이자 함교 윗편, 굴뚝 바로 앞에 배치되었다. 이 특이한 배치 때문에 함포의 존재를 몰랐는지 2010년 4월 1일에는 소말리아 해적 5명이 FFG-47 USS 니컬러스를 공격하다가 체포되어 미국으로 끌려가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파일:1200px-USS_Stark.jpg

FFG-31 USS 스타크 함이 엑조세 대함 미사일에 피격되어 좌현으로 기울어졌다.

미 해군의 군함 중에 유일하게 대함미사일에 맞아 피격된 기록이 있다. 바로 USS 스타크 피격 사건. 1987년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라크군의 마개조 비지니스 젯[16]에게 엑조세를 얻어맞은 FFG-31 스타크가 그 주인공인데 사실 근거리에서 잠대함 미사일에 자동반응하게 만들어진 대공전투체계 때문에 일단 미사일이 날아오니까 당연히 반응해야 했지만, "이라크는 우리편"이라는 인식과 함께 방어시스템 전원이 꺼져있었다. 더 큰 문제는 CIWS 제어를 맡아야 할 장병이 CIC(전투 정보 지휘소)에 통보하지 않고 자리를 비워 전원을 켰어도 대응을 못했을 꺼라는 것이다. 그리고 더 불운한 사실은, 페리급 특유의 함포 배치 설계 때문에 CIWS인 팰렁스와 함포가 닿지 않는 사각이 생기는데 하필이면 엑조세가 명중한 곳이 이 사각지대였다. 다만 애초에 76mm 함포로 유도탄을 요격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긴 하다.

엑조세 2발을 모두 얻어맞았으나 다행히 1발이 불발이라 침몰은 면했지만 하필 영 좋지 않은 곳에 맞아서 CIC가 불능이 되어 휴대용 무전기로 간신히 구조요청을 했다. 이 사고로 37명이 사망했고 나중에 수리해서 쓰다가 1999년 퇴역했다. 당시 친미국가였던 이라크 사담 후세인은 이란의 유조선으로 오인했다고 주장했으며 사과하고 배상금을 지불했다. 정작 명중시킨 조종사는 훈장을 받고 그 외에도 이런저런 보상을 받는 등 수상한 정황이 있었으나 당시까지만 해도 우호적인 관계였고 사과하고 배상금까지 지불한데다가 일단 실수였다고 한 만큼 미국도 넘어갔다. 이 사건의 나비 효과로 인해 발생한 비극이 이란항공 655편 격추 사건인데, 스타크 피격 사건이 대놓고 방심하다가 터진 것이라면 이란항공 655편 격추 사건은 너무 긴장해서 벌어진 일이다. 알파 에러와 베타 에러.

다음 해인 1988년에는 FFG-58 USS 새뮤얼 B. 로버츠가 이란-이라크 전쟁 페르시아 만 중앙해상에서 소련제 M-08 기뢰 14기 중 하나와 접촉했다가 용골이 부러지고 기관실이 침수되었지만 운좋게 인명 피해는 없었다. 이후 두바이로 예인되어 응급수리를 마친후 미국 본토까지 다른 배에 업혀와서 13개월에 걸친 수리를 받고 복귀했다.

5. 제원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Oliver Hazard Perry-class frigate
계획 71척
건조 71척
이전급 녹스급, 브룩급
다음급 프리덤급, 인디펜던스급
컨스텔레이션급[실질적]
경하배수량 3,020톤
만재배수량 4,165 ~ 4,396톤[18]
전장 136m
138m[Long-hull]
전폭 14m
흘수선 6.7m
승조원 176명
최고속력 30노트 (약 56km/h)
항속거리 20노트 (약 37km/h) 순항시 8,300km
기관 가스터빈 제너럴 일렉트릭 LM2500-30 2기 (총 41,000SHP)
보조 터빈 350SHP급 2기
레이더 대공 AN/SPS-49
대함 AN/SPS-55
사격통제 Mk.92
소나 함수 SQS-56
예인식 SQR-19
교란체계 전자전 AN/SLQ-32(V)2
채프 Mk.36 SRBOC 발사대 ?문
디코이 AN/SLQ-25
무장 Mk.13 발사대 탑재 시 SM-1MR 대공 미사일
RGM-84 대함 미사일
총 40발[20]
Mk.13 발사대 철거 후 Mk.38 Mod.2 25mm 기관포 1문
함포 Mk.75 76mm 62구경장 슈퍼 래피드 1문
CIWS Mk.15 6연장 20mm 기관포 1문
대잠 Mk.46, Mk.50 경어뢰
Mk.32 3연장 324mm 어뢰 발사관 2문
탑재 항공기 SH-2 시스프라이트 또는 SH-60 시호크 2기[Long-hull]

6.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목록

함번 선체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상태/공여국
1 FFG-7 Short 올리버 해저드 페리 (Oliver Hazard Perry) 1975.6.12 1976.9.25 1977.12.17 1997.2.20 해체
2 FFG-8 Long[22] 매키너니 (McInerney) 1978.1.16 1978.11.4 1979.12.15 2010.8.31 파키스탄
3 FFG-9 Short 워즈워스 (Wadsworth) 1977.7.13 1978.7.29 1980.4.2 2002.6.28 폴란드
4 FFG-10 던컨 (Duncan) 1977.4.29 1978.3.1 1980.5.15 1994.12.17 튀르키예[23]
5 FFG-11 클라크 (Clark) 1978.7.17 1979.3.24 1980.5.9 2000.3.15 폴란드
6 FFG-12 조지 필립 (George Philip)[24] 1977.12.14 1978.12.16 1980.10.10 2003.3.15 해체
7 FFG-13 새뮤얼 엘리엇 모리슨 (Samuel Eliot Morison)[25] 1978.12.4 1979.7.14 1980.10.11 2002.4.10 튀르키예
8 FFG-14 사이즈 (Sides)[26] 1978.8.7 1979.5.19 1981.5.30 2003.2.28 해체
9 FFG-15 에스토신 (Estocin)[27] 1979.4.2 1979.11.3 1981.1.10 2003.4.3 튀르키역
10 FFG-16 클리프턴 스프레이그 (Clifton Sprague)[28] 1979.7.30 1980.2.16 1981.3.21 1995.6.2 튀르키예
11 FFG 01(FFG-17)[29] HMAS 애들레이드 (Adelaide) 1977.7.29 1978.6.21 1980.11.15 2008.1.19 호주[30]/
인공어초로 처분
12 FFG 02(FFG-18) HMAS 캔버라 (Canberra) 1978.3.1 1978.12.1 1981.3.21 2005.11.12 호주/
인공어초로 처분
13 FFG-19 존 A. 무어 (John A. Moore)[31] 1978.12.19 1979.10.20 1981.11.14 2000.9.1 튀르키예
14 FFG-20 앤트림 (Antrim) 1978.6.21 1979.3.27 1981.9.26 1996.5.8 튀르키예
15 FFG-21 플래틀리 (Flatley) 1979.11.11 1980.5.15 1981.6.20 1996.5.11 튀르키예
16 FFG-22 페리언 (Fahrion) 1978.12.1 1979.8.24 1982.1.16 1998.3.31 이집트
17 FFG-23 루이스 B. 풀러 (Lewis B. Puller) 1979.5.23 1980.3.15 1982.4.17 1998.9.18 이집트
18 FFG-24 잭 윌리엄스 (Jack Williams)[32] 1980.2.25 1980.8.30 1981.9.19 1996.9.13 바레인
19 FFG-25 코플랜드 (Copeland)[33] 1979.10.24 1980.7.26 1982.8.7 1996.9.18 이집트
20 FFG-26 갤러리 (Gallery) 1980.5.17 1980.12.20 1981.12.5 1996.6.14 이집트
21 FFG-27 말론 S. 티스데일 (Mahlon S. Tisdale) 1980.3.19 1981.2.7 1982.11.27 1996.9.27 터키
22 FFG-28 Long 분 (Boone) 1979.3.27 1980.1.16 1982.5.15 2012.2.23 해체
23 FFG-29 스티븐 W. 그로브 (Stephen W. Groves) 1980.9.16 1981.4.4 1982.4.17 2012.2.24 해체
24 FFG-30 Short 리드 (Reid) 1980.10.8 1981.6.27 1983.2.19 1998.9.25 튀르키예
25 FFG-31 스타크 (Stark) 1979.8.24 1980.5.30 1982.10.23 1999.5.7 해체
26 FFG-32 Long 존 L. 홀 (John L. Hall) 1981.1.5 1981.7.24 1982.6.26 2012.3.9 해체
27 FFG-33 제럿 (Jarrett) 1981.2.11 1981.10.17 1983.7.2 2011.4.21 해체
28 FFG-34 Short 오브리 피치 (Aubrey Fitch) 1981.4.10 1981.10.17 1982.10.9 1997.12.12 해체
29 FFG 03(FFG-35) Long HMAS 시드니 (Sydney) 1980.1.16 1980.9.26 1983.1.29 - 호주/해체
30 FFG-36 언더우드 (Underwood) 1981.7.30 1982.2.6 1983.1.29 2013.3.8 해체
31 FFG-37 크롬린 (Crommelin) 1980.5.30 1981.7.2 1983.6.18 2012.10.26 가상적함 격침[34]
32 FFG-38 커츠 (Curts) 1981.7.1 1982.3.6 1983.10.8 2013.1.25 가상적함 격침
33 FFG-39 도일 (Doyle) 1981.10.23 1982.5.22 1983.5.21 2011.7.29 해체
34 FFG-40 할리버튼 (Halyburton) 1980.9.26 1981.10.13 1984.1.7 2014.9.8 보관[35]
35 FFG-41 맥클러스키 (McClusky)[36] 1981.10.18 1982.9.18 1983.12.10 2015.1.9 가상적함 격침
36 FFG-42 클래크링 (Klakring) 1982.2.19 1982.9.18 1983.8.20 2013.3.22 보관
37 FFG-43 타치 (Thach) 1981.3.6 1982.12.18 1983.3.17 2013.11.1 가상적함 격침
38 FFG 04(FFG-44) HMAS 다윈 (Darwin) 1981.7.3 1982.3.26 1984.7.21 - 호주/
인공어초 대기[37]
39 FFG-45 드 워트 (De Wert)[38] 1982.6.14 1982.12.18 1983.11.19 2014.4.4 보관
40 FFG-46 렌츠 (Rentz) 1982.9.18 1983.7.16 1984.6.30 2014.5.23 가상적함 격침
41 FFG-47 니콜라스 (Nicholas)[39] 1982.9.27 1983.4.23 1984.3.10 2014.3.10 해체
42 FFG-48 밴더그리프트 (Vandegrift)[40] 1981.10.13 1982.10.15 1984.11.24 2015.2.19 보관
43 FFG-49 로버트 G. 브래들리 (Robert G. Bradley) 1982.12.28 1983.8.13 1984.6.30 2014.3.28 보관
44 FFG-50 테일러 (Taylor)[41][42] 1983.5.5 1983.11.5 1984.12.1 2015.5.8 대만
45 FFG-51 게리 (Gary) 1982.12.18 1983.11.19 1984.11.17 2015.8.5 대만
46 FFG-52 카 (Carr)[43] 1982.3.26 1983.2.26 1985.7.27 2013.3.13 보관
47 FFG-53 허즈 (Hawes) 1983.8.26 1984.2.18 1985.2.9 2010.12.10 해체대기[44]
48 FFG-54 포드 (Ford)[45] 1983.7.16 1984.6.23 1985.6.29 2013.10.31 가상적함 격침[46]
49 FFG-55 엘로드 (Elrod)[47] 1983.11.21 1984.5.12 1985.7.6 2015.1.30 보관
50 FFG-56 심슨 (Simpson) 1984.2.27 1984.8.31 1985.11.9 2015.9.29 보관
51 FFG-57 루벤 제임스 (Reuben James) 1983.11.19 1985.2.8 1986.3.22 2013.7.18 가상적함 격침
52 FFG-58 새뮤얼 B. 로버츠 (Samuel B. Roberts)[48] 1984.5.21 1984.12.8 1986.4.12 2015.5.22 해체
53 FFG-59 카우프먼 (Kauffman) 1985.4.8 1986.3.29 1987.2.28 2015.9.18 보관
54 FFG-60 로드니 M. 데이비스 (Rodney M. Davis)[49] 1985.2.8 1986.1.11 1987.5.9 2015.1.23 보관
55 FFG-61 잉그램 (Ingraham) 1987.3.30 1988.6.25 1989.8.5 2014.11.12 가상적함 격침[50]

7. 기타 국가의 함정 목록

7.1. 문서가 있는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의 파생형

7.1.1. 대만 해군 청궁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청궁급 호위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2. 스페인 해군 산타 마리아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산타 마리아급 호위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3. 튀르키예 해군 가비아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비아급 호위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1.4. 호주 해군 애들레이드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애들레이드급 호위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미국에서 공여

함번 함명 기공일 진수일 취역일 퇴역일 재취역일 무장/탑재 항공기 상태/기타
튀르키예
1 F-490 Gaziantep 1979.7.30 1980.2.16 1981.3.21 1995.6.2 1998.7.24 RIM-162 ESSM[51]
RIM-66 SM-1MR
RGM-84 하푼
Mk.32 324mm 어뢰발사관 3x2
76mm/62구경장 SR 함포 x1
Mk.15 팰렁스 CIWS x1
S-70B 시호크[52] or AB.212 ASW[53] x2
현역
2 F-491 Giresun 1978.6.21 1979.3.27 1981.9.26 1996.5.8 1998.7.24 현역
3 F-492 Gemlik 1979.11.11 1980.5.15 1981.6.20 1996.5.11 1998.7.24 현역
4 F-493 Gelibolu 1980.10.8 1981.6.27 1981.2.19 1998.9.25 1999.7.22 현역
5 F-494 Gökçeada 1980.3.19 1981.2.7 1981.11.27 1996.9.27 1999.9.27 현역
6 F-495 Gediz 1978.12.19 1979.10.20 1981.11.14 2000.9.1 2000.9.1 현역
7 F-496 Gökova 1988.12.4 1989.7.14 1990.10.11 2002.4.10 2002.4.11 현역
8 F-497 Göksu 1989.4.2 1989.11.3 1991.1.10 2003.4.3 2003.4.4 현역
이집트
1 F901 Sharm El-Sheik 1978.12.1 1979.8.24 1982.1.16 1998.3.31 1998.3.31 미 해군의 Mk.13 철거 전 사양과 동일
SH-2G 슈퍼 시스프라이트[54] x2
현역
2 F906 Toushka 1979.5.23 1980.3.15 1982.4.17 1998.9.18 1998.9.18 현역
3 F911 Alexandria[55] 1979.10.24 1980.7.26 1982.8.7 1996.9.18 1996.9.18 현역
4 F916 Taba 1980.5.17 1980.12.20 1981.12.5 1996.6.14 1996.6.14 현역
폴란드
1 272 Gen. K. Pułaski 1978.7.17 1979.3.24 1980.5.9 2000.3.15 2000.3.15 미 해군의 Mk.13 철거 전 사양과 동일
SH-2G 슈퍼 시스프라이트 x2
현역
2 273 Gen. T. Kościuszko 1977.7.13 1978.7.29 1980.4.2 2002.6.28 2002.6.28 현역
바레인
1 FFG-90 Sabha[56] 1980.2.25 1980.8.30 1981.9.19 1996.9.13 1996.9.13 미 해군의 Mk.13 철거 전 사양과 동일
Bo-105[57] x1
현역
파키스탄
1 F260 Alamgir[58] 1978.1.16 1978.11.4 1979.12.15 2010.8.31 2010.8.31 Mk.32 324mm 어뢰발사관 3x2
Mk.75 76mm/62 함포 x1
Mk.15 팰렁스 CIWS x1
탑재 항공기 없음
현역
대만
1 PFG-1111 Mingchuan(銘傳) 1983.5.5 1983.11.5 1984.12.1 2015.5.8 2017.3.9 대만 해군 쳉쿵급 사양과 동일
SH-2G 슈퍼 시스프라이트 x2
현역
2 PFG-1112 Fengjia(逢甲) 1982.12.18 1983.11.19 1984.11.17 2015.8.5 2017.3.9 현역

8. 대중매체에서의 등장

  • 톰 행크스 주연의 2012년작 영화 캡틴 필립스에 FFG-40 핼리버튼이 살짝 나온다.
  • 영화 붉은 10월에 FFG-57 루벤 제임스가 등장하여 붉은 10월함에 76mm 함포로 위협사격을 가한다. 특유의 76mm 속사포 배치가 드러나는 장면인데, 정면의 표적에 사격을 하기 위해 변침하여 우현을 드러내고 사격한다.
  • 소설 붉은 폭풍에서도 루벤 제임스가 등장하는데, 이쪽에선 이야기의 중심인물들이 타는 함선 중 하나라 많은 활약을 보인다.
  • 소설 Meg: A Novel of Deep Terror에 등장하는 심해조사선 키쿠호가 퇴역한 올리버 해저드급을 개조한 물건이라고 한다. 원래의 함명은 불명.
  • 게임 에이스 컴뱃 5 The Unsung War에서 오시아 연방측의 해군 호위함대 소속으로 페리급이 등장.
  •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 등장. 통칭 OHP로 블루포 해군의 약방의 감초이다.
  • 배틀필드 3에 나온다. 캠페인인 사냥시작 미션에서만 나온다.
  • 로블록스에 있는 게임 Dynamic ship simulator III에 등장한다. 가격이 비싸지만 고인물들이 해전할 때 자주 보이는 함선이다.

9. 관련 자료

Oliver Hazard Perry-class frigate - Wikipedia
[장훈의 네이비 웨폰파일]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호위함 - 유용원의 군사세계 - BEMIL정보 > 이미지 저장소

10. 모형화

  • 1/350
    • 아카데미과학
      대부분의 함선 모형은 미세한 난간 같은 경우 별매 에칭을 구매해야 하나 나름 인젝션 파츠로 제공 되어 있다. 다만 플라스틱을 사출 해서 그런지 난간 퀄리티가 그리 뛰어나진 않은 편. 물론 현재는 잘 뽑혀 나온 별매 에칭들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 1/700
    • AFV 클럽
      1/700 사이즈로 드래곤 사의 제품도 있으나 사실 상 현재 구하기는 불가능 한 수준이고 AFV 클럽 제품이 수월하게 구하기 쉽다. 다만 퀄리티에 비해 가격이 꽤나 센 편.

11. 둘러보기

파일:대만 국기.svg 현대의 대만 해군 함선 파일:대만 해군 깃발.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잠수함
(SS)
<colbgcolor=#fefefe,#191919> 하이신급, 하이룽급, 하이쿤급
구잠함 추장급R, 춰장급R, 칭장급R, 추지안급R
고속정
(PC)
PCA급, PCL급
미사일 고속정
(PG)
하이우급R, 룽장급, 광화 6호급
초계함
(FF)
정안급M/R, 가오안급M/R, 린안급M/R, 핑준급R, 진장급, 퉈장급
호위구축함
(DE)
중정급R 타이호급R, 타이캉급R, 타이위안급R
호위함
(FF)
신양급R, 후이양급R, 지양급M, 밍추안/펑지아M, 쳉쿵급, 캉딩급, {경호위함}
구축함 구축함
(DD)
프로젝트 T.306.5 설계안R, 린푸R, 단양급R, 뤄양급R, 펀양급R, 안양급R, 샹양급R, 차오양급R
방공 구축함
(DDG)
지룽급
상륙정 허샨급R, 허펑급R, LCI, LCVP, LCM-6
상륙함 LPD 위산급
LSD 둥하이급R, 전하이급R 중정(애쉬랜드)급R, 쑤하이급
LST 중정급R, 충호급, 충하이급
LSM 메이전급R
LSSL 리안지급R
소해함 융진급, 융양급, 융촨급
수송함 윈펑급
군수지원함 우이급, 판시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윗첨자M: 개조/개장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이집트 국기.svg 현대의 이집트 해군 군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color=#c09300><colbgcolor=#000> 잠수함 849급, S41급
고속정 601급, 609급, 633급, 라마단급, 아메드 파델급, 에자트급, 옥토버급, 사이클론급
초계함 샤밥 미스르, 알 놀급, 엘 수에즈급, 엘 파테급
호위함 자피르급R, 도미야트급, 샤름 엘세이크급, 타히야 미스르급, 알 갈라라급, 알 아지즈급
구축함 모하마드 알리 엘 케비르급R
상륙함 <colbgcolor=#000> LPH 기말 압델 나세르급
소해함 가르비아급, 기자급, 알 파루크급
군수지원함 샬라틴급R, 할라이브급, 아부 심벨급
훈련함 타릭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폴란드 해군 함수기.png 현대 폴란드 해군 함정 둘러보기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폴란드 해군 (1990~현재)
Marynarka Wojenna
<colbgcolor=#FFF> [[잠수함|'''
잠수함
''']]
<colbgcolor=#FFF> '''
SSK
'''
{오르카 사업} | 오제우(3대/1986) | 소쿠우급R(4대/2002) | 빌크급R(2대/1987)
[[미사일 고속정|'''
미사일 고속정 (FACG)
''']]
오르칸급(2대/1992) | 헬급R
원양초계함 (OPV) 가브론급
[[초계함|'''
초계함
''']]
'''
PCE
'''
카슈프(3대/1987)
'''
PCG
'''
구르니크급R
[[호위함|'''
호위함
''']]
'''
FFG
'''
{ 미에츠니크급} | 게네라우 카지미에시 푸와스키급
[[구축함|'''
구축함
''']]
'''
DDG
'''
바르샤바R(3대/1988)
'''
상륙함
'''
'''
LST
'''
루블린급 | 폴노시니급R
[[소해함|'''
소해함
''']]
'''
소해 지휘함
'''
콘트라드미라우 사웨리 체르니키급
'''
MSC
'''
가르드노급 | 맘리급 | 고프워
'''
MHC
'''
코모란 2급
'''
지원함
'''
'''
급유함 (AOR)
'''
바우티크급
[[구조함|'''
구난함 (ARS)
''']]
피아스트급 | 즈비슈코급
'''
정찰함 (AGOS)
'''
{ 델핀급} | 나비가토르급
'''
해저 조사선 (AGOR)
'''
헤벨리우시급
지원정 볼코급 (YT)
'''
무인함
'''
'''
UUV
'''
후긴 AUV
훈련함 보드니크급 | 이스크라급(2대/1982)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정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현대의 파키스탄 해군 함정 파일:파키스탄 함수기.pn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잠수함 한고르급(초대)R, 하쉬마트급, 칼리드급, { 한고르급}
잠수정 코스모스급
구축함 바브르R, 바드르급R, 타리크급R
호위함 샴시어급R, 사이프급R, 바드르급R, 알람기르, 줄피카르급, 투그릴급, { 진나급}
초계함 야르무크급, { 바부르급}, { 부얀-M급}
고속정 주라트급R, 잘랄라트급R, 아즈마트급
경비정 라르카나급R, 라샤시급R, MRTP-33/35, TM-1226급, 아르항겔급
군수지원함 모아윈급, 나스르, 과다르급, 마다드가르급
연구함 베르 마사흐급, 베르 파이마급, 베르 쿠샤급, 라 쿠샤급
소해함 문시프급
※ 윗첨자R: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바레인 국기.svg 현대의 바레인 왕립해군 군함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c81025> 고속정 알 파테흐급, 알 리파급, 알 자림급, 마크 V, 와스프-11/20/30, 알 구라이리야급
초계함 알 마나마급, 알 주바라
호위함 사바급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함선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현대의 우크라이나 해군 군함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colbgcolor=#005bbb> 항공모함 바랴그
순양함 우크라이나
호위함 오타만 빌리R, 드니프로페트롭스크급 (크리박 I급)R, 세바스토폴 (크리박 II급)R, 헤트만 사하이다크니 (크리박 III급)R, { 올리버 해저드 페리급}
원양초계함 볼로디미르 벨리키급, 그리샤급CP/R, { 헤트만 이반 마제파급}
초계함 파우크급CP, 타란툴급CP
잠수함 <colbgcolor=#005bbb> SS 자포리자CP
지휘함 슬라부티흐급CP
상륙함 LST 리브네급R, 코스티안틴 올샨스키급CP, 폴노시니급
상륙정 도네츠크급R, 스바토보급, 우이스코급
미사일 고속정 루한스크급, { P-50U}
고속정 프릴루키, 켄타우로스급, 그리쟈-M급, CB90
경비정 슬라뱐스크급, 스카도브스크, 플라밍고급, PB-40, 롤란드급, {마크 VI급}
소해함 헤니체스크R, 체르니히우급CP, 체르카시급, { 트라이파타이트급}
구난함 올렉산드르 오흐리멘코, 아무르급R
정보수집함 루하나급, 무나급
수로탐사함 루빈급CP
군수지원함 베레자급, 옐바급, 드라쿤급
USV/UUV 시 베이비, 마구라-5, 마리치카, TLK-150, 소노봇 5, SeaFox, AM-800, 야마하 웨이브러너 FX 개조형
※ 윗첨자R: 퇴역/자침/격침 함선
※ {중괄호}: 도입 예정 함선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 윗첨자C: 노획된 함선
※ 윗첨자CP: 나포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War_Ensign_of_Germany_1903-1918.svg.png
독일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정부기.svg
이탈리아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제2차
세계대전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0px-War_Ensign_of_Germany_1938-1945.svg.png
나치 독일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Civil_and_Naval_Ensign_of_France.svg.pn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682px-Naval_Ensign_of_Poland_%28normative%29.svg.png
폴란드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00px-Military_Flag_of_Finland.svg.png
핀란드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중화민국
파일:만주군기.svg
만주국
파일:19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제2세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900px-Naval_Ensign_of_the_Soviet_Union.svg.pn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해군기.svg
동독
파일:Naval_Ensign_of_Poland_(1980-1993,_normative).svg
폴란드
제3세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685050>북미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aval_Jack_of_Canada.svg.png
캐나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80px-Naval_Jack_of_Mexico.svg.png
멕시코
-
'''
중미/카리브
'''
파일:쿠바 함수기.svg
쿠바
남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Brazil.svg.png
브라질
파일:칠레해군기.pn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해군기.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해군 표준기.png
콜롬비아
서유럽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0px-Naval_Ensign_of_the_United_Kingdom.svg.png
영국
파일:프랑스 해군기.svg
프랑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Jack_of_the_Netherlands.svg.png
네덜란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Belgium.svg.png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해군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해군 함미기.png
폴란드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군함기.pn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1024px-Naval_Jack_of_Portugal.svg.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선수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해군 선수기.png
루마니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Naval_Ensign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함선|파일:크로아티아 해군기.svg
크로아티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해군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정부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해군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해군기.png
핀란드
파일:라트비아 해군기.svg
라트비아
동유럽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함선|파일:우크라이나 해군기.svg
우크라이나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대한민국
파일:해상자위대기.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해군기.svg
중국
파일:중화민국 해군기.png
대만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00px-Naval_ensign_of_North_Korea.svg.png
북한
'''
동남아시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Ensign_of_Vietnam_People%27s_Navy.png
베트남
파일:태국 해군 함선기.svg
태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Jack_of_the_Philippines.svg.png
필리핀
파일:Naval_Ensign_of_Singapore.pn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해군기.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해군기.svg
미얀마
남아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5px-Naval_Ensign_of_India.svg.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해군기.png
파키스탄
파일:Naval_Ensign_of_Sri_Lanka.png
스리랑카
서아시아 파일:Naval_Ensign_of_Israel.svg.png
이스라엘
파일:800px-Naval_Jack_of_Iran.svg.png
이란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함선|파일:800px-Naval_base_flag_of_the_Royal_Saudi_Navy.svg.png
사우디아라비아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함선|파일:아랍에미리트 해군기.png
{{{#!wiki style="margin: -0px -9px"]]
파일:640px-Flag_of_the_Royal_Bahrain_Naval_Force.svg.png
바레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오세아니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4px-Naval_Ensign_of_Australia.svg.png
호주
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Naval_Ensign_of_Egypt.svg.png
이집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Naval_Ensign_of_Algeria.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해군기.svg
모로코
파일:Naval_Ensign_of_South_Africa.svg
남아공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해상병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항공모함 | 원잠 | 전략원잠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함 | 항공모함 | 원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함 | 항공모함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전함 | 잠수함
}}}}}}}}}}}}

12. 관련 문서



[1] 이리 호수의 이름은 미군 초계함 이리급 포함에 붙여진다. [2] 함급명 올리버 해저드 페리는 올리버란 이름의 위험지용 선박(Hazard ferry)이란 뜻이 아니다! 'Oliver Hazard Perry'가 함급명의 유래가 된 사람 이름이고 해저드가 미들네임인 것. 우리에게 친숙한 뜻은 '재해' 나 '위험' 이지만, 이름에 쓰이는 경우는 고대 영어와 프랑스어로 '운과 기회' 를 의미하기도 하는 단어인 주사위 도박 'Hasard'가 변형된 전혀 별개의 것이다. [3] 이 문구는 초도함 FFG-7 올리버 해저드 페리의 모토이기도 하다. [4] 미군 구축함 줌왈트급 구축함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5] 수상함은 일반적으로 30년을 주기로 퇴역되거나 수명 연장 개량을 받는다. 페리급은 군비 감축으로 인해 예정보다 빨리 퇴역했다. [6] G(그린란드) - I(아이슬란드) - UK(영국)을 잇는 NATO의 북대서양 잠수함 저지선. [7] 경쟁에서 진 업체는 손가락만 빨다가 도산한다던지, 수주를 독식한 업체는 도중에 가격을 상승시키거나 납기를 지연시키며 드러눕는 등의 태업으로 의심될 행위들이 빈번했다. [8] 네덜란드 탈레스의 WM-28은 원래 76mm 함포 사격통제용으로 제작된 물건이지만, 미국에서 SM-1의 운용을 위해 거의 마개조에 가까운 개량작업을 거쳐 Mk.92란 명칭을 붙이고 사용했다. [9] 함교 위 구 형태의 장비. [10] 호주군의 경우 소프트웨어 개량을 통해 ESSM까지 통제한다. [11] 종말 유도를 보조하는 STIR 레이더는 페리급에는 없다. [12] 6척 중 개량되지 않은 페리급은 길이가 살짝 짧은Short로 일찍 퇴역했다. [13] 페리급과 스프루언스급을 대체하기 위해 버크급 Flight IIA가 개발되었다. [14] F/A-18E/F 슈퍼 호넷은 F-14 톰캣, A-6 인트루더, S-3 바이킹의 임무를 모두 수행할 수 있어 각양각색의 항공모함 갑판을 볼 수 없게 되었다. 다만 S-3의 대잠 능력은 현재 SH-60 시호크들이 대신 담당하고 있다. 애초에 슈퍼 호넷이 나올 때 이미 함상 대잠임무는 사실상 시호크에게로 넘어갔고, S-3는 A-10 AGM-65 매버릭 달고 적 수상함 뚝배기 깨갰다며 대함공격을 담당하고 있었으니 별 상관없을 지도. [15] F-35의 사업명은 JSF(Joint Strike Fighter), 통합 전투기 사업이란 뜻으로 미 공군, 해병대, 해군, 영국 해군 등에 도입될 전투기를 하나로 통합하였다. [16] 다쏘 팔콘 50 비지니스 젯에 미라주 F1의 레이더와 콕핏을 설치하고 엑조세 2발을 장착할 수 있게 개조를 했다 [실질적] [18] 기준은 미터톤이며, 자매함들마다 다르다. [Long-hull] [20] 두 미사일 합쳐 40발이다. 장전 속도는 발당 8초 정도라 효과적인 방어를 기대하기는 힘들다. [Long-hull] [22] 선체연장형, 그러니까 SH-60 시호크의 탑재가 가능한 함정들은 선령에 상관없이 2010년 이후까지 운용하다가 퇴역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편 미사일들이 제거된 후의 무장은 그냥 통통배나 다름없었기에, 만약 알레이 버크급 Flight I/II에 헬기 격납고가 있었다면 페리급은 모두 진작에 퇴역했으리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23] 부품용으로 공여했다. [24] (George Philip Jr. : 1912~1945) 1945년 6월 16일 플레처급 구축함 DD-591 USS Twiggs의 함장으로 복무중 오키나와 근처에서 카미카제의 공격을 받아 전사했다. 이 공격에 의한 총 사망자는 152명에 달했고 사후 해군십자훈장이 추서된다. [25] 2차세계대전 베테랑이자, 미해군 준공식 태평양 전쟁사를 집필한 것으로 유명한 제독이다. [26] (John H. Sides : 1904~1978) 미 해군의 미사일 개발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인물로 초기의 함대공 미사일과 폴라리스 SLBM을 개발하는데 있어 큰 역할을 했다. [27] (Michael J. Estocin : 1931~1967) A-4 스카이호크 조종사로 북베트남 하이퐁의 발전소 폭격임무에 출격했다가 SAM에 격추되어 사망했다. [28] (1896~1955) CV-18 USS Wasp의 함장으로 레이테 만 해전에서 큰 공을 세운 스프레이그 제독의 이름을 따왔다. [29] FFG 01~04의 4척은 미국에서 건조해서 호주가 직도입한 아들레이드 급이다. 일단 미국에서 건조하다보니 FFG-17, 18, 35, 44의 미국 함번이 지정되었다. [30] 이하 호주 국적 함선은 공여가 아니라 직도입이다. [31] (1910~1944) 잠수함 SS-208 USS Grayback의 함장으로 1944년 2월 26일 일본군의 공격으로 그의 잠수함과 운명을 같이 했다. 이 때까지 USS Grayback은 총 63,835톤의 일본군 함정을 격침시키는 전과를 올렸다. [32] (1924~1945) 이오지마 전투에서 전사한 미 해병대 의무병이다. 총에 맞고 쓰러진 전우를 돌보다가 위험한 위치에 노출되어 일본군 저격수에게 목숨을 잃었다. [33] (1910~1973) 레이테 만 해전에서 활약한 호위구축함 USS 사무엘 B. 로버츠의 함장이 였으며, 전투 공로로 해군 십자훈장을 수여했다. 여담으로 자신이 지휘했던 USS 사무엘 B. 로버츠와 함께 자신의 부하이자 승조원이 였던 폴 H. 카 또한 페리급 호위함 함명에 명명 되었다. [34] 림팩과 같은 훈련에 끌고가 격침시키곤 한다. [35] 이하 보관으로 표기한 선박은 미국이 FMS(대외군사판매)를 위해서 보관 대기시킨 것이다. [36] (Clarance. Wade McClusky Jr. : 1902~1976) 미드웨이 해전당시 엔터프라이즈 비행단장. 1942년 6월 4일 SBD 돈틀리스 급강하폭격기를 장비한 제6 정찰폭격비행대와 제6 폭격비행대로 구성된 공격대의 지휘관으로 일본군 함대를 수색하던 중 과감한 결정을 내렸고, 결국 일본 항모기동부대를 지옥으로 보내버리는데 큰 공을 세웠다. [37] 호주 해군이 사용한 애들레이드급이라 미국이 FMS용으로 보관하는 것이 아닌, 호주가 퇴역 후 보관하고 있는 것이다. 원래 가라앉혀서 인공어초로 사용할 예정이었으나 해당 지역에서 거부하여 미뤄졌고, 박물관함으로 보존하자는 구명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38] (Richard De Wert :19300~1951) 한국 전쟁 참전자로 1948년 해군 의무병으로 입대해서 인천 상륙 작전, 9.28 서울 수복, 장진호 전투, 흥남 철수작전등 미해병대가 참전한 전투 대다수에 의무병으로 참전했으며, 1951년 4월에 화천에서 벌어진 러기드 작전에서 전사하였고 사후 명예 훈장이 수여되었다. [39] (Samuel Nicholas : 1744~1790) 현재 미 해병대의 전신인 대륙 해병대(Continental Marines)의 초대 사령관이며 미국 독립전쟁에서 많은 전과를 올린 인물이다. 그러나 이 해병대는 당시 미국의 사정상 제대로 훈련을 받지 못했고, 어중이떠중이가 모인 오합지졸들이 전투를 벌여가며 짬밥을 쌓아가다 1798년이 되어서야 정식으로 창설됐다. 여담으로 최초의 모병사무소는 필라델피아의 한 술집이었고, 니컬러스 사령관은 그 선술집의 주인이었다고 전해진다. [40] (Alexander Vandegrift : 1887~1973) 과달카날 전투에 참가한 미국 해병대 제1사단장 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 장군. [41] (Jesse J. Taylor : 1925~1965) 미 해군 A-1 공격기의 조종사로 북베트남 폭격작전 도중 동료가 격추당하자, 그를 구조하기 위해 엄청난 대공포화를 무릅쓰고 구조팀을 돕다가 본인도 격추당해서 전사했다.그의 유해는 1975년에 본국으로 송환되었다. [42]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당시 올림픽 보안 지원목적으로, 튀르키예 삼순항에 계류시도중에 배가 좌초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대만 해군에서 함정을 인수할 당시, 좌초 사고의 예를 들어서 대만 내에서 말이 많았다고 한다. [43] (Paul H. Carr : 1924~1944) 레이테 만 해전 당시 USS 사무엘 B. 로버츠의 함포요원이었으며 일본 해군의 포탄이 함포에 명중해서 부상을 심하게 입어 동료 대원에 의해 밖으로 부축되어 나왔지만 다시 함포에 들어가서 포탄을 발사하여 일본군에게 피해를 입히고 부상이 악화되어 침몰 직전에 전사했다. 전투 공로로 동성 무공 훈장을 수여했으며, 1983년 진수식에 그의 미망인이 스폰서로 참석했다. [44] 2010년 퇴역해서 해체하기로 결정되었고 현재 순번 대기 상태. [45] (Patrick O. Ford : 1942~1968) 미 해군 브라운 워터 네이비 소속 소형 초계정 승조원으로 메콩강 하류에서 베트콩의 공격으로 전사했다. 보트가 RPG-2에 피격되자 본인도 부상을 입은 상태에서 동료 승조원들을 구하려다 베트콩의 총격으로 사망했고, 이 무공으로 해군십자훈장이 추서됐다. [46] 2013년에 SINKEX 표적함으로 사용하기로 결정되었고 2018년에 실사격 격침하려다가 취소해서 18년은 살아남았다가, 결국 2019년 10월 1일 Pacific Griffin 2019에서 표적함으로 격침되었다. [47] (Henry T. Elrod : 1905~1941) 미 해병 항공대의 F4F 와일드캣 조종사로 웨이크섬 방어작전에 투입됐다. 단독으로 출격해서 적기 2대를 격추시키는가 하면, 저공 폭격으로 일본군 구축함 키라사기의 후미에 잔뜩 적재되어 있던 폭뢰에 정확히 폭탄을 떨어뜨려서 큰 버섯구름과 함께 한방에 끝장내버리는 눈부신 전과를 올렸다. 며칠 후 일본군의 함포사격에 지상의 모든 항공기가 파괴됐고, 엘로드 대위는 직접 총을 들고 방어하다 인해전술로 밀려오는 일본군과의 전투에서 장렬하게 전사했다. 훗날 해리 트루먼 대통령으로부터 명예 훈장을 추서받았고, 샌디에이고의 미라마 해병 항공기지 근처에는 그의 이름을 따서 엘로드 거리 (Elrod Ave)가 생겼다. [48] (Samuel B. Roberts, Jr. : 1921~1942) 과달카날 전투에 참가한 미 해군 부사관으로, 고립된 아군 병력을 구출하는 작전에서 미끼 역할을 자청하여 전우들을 구해냈지만 자신은 중상을 입었고 기지로 돌아간 다음날 사망했다. 사후 해군 십자훈장이 추서됐으며, 레이테 만 해전에서 활약한 존 C. 버틀러급 호위구축함 DE-413과 기어링급 DD-823을 거쳐서 FFG-58에 붙여진다. [49] (1942~1967) 1967년 9월 6일 북베트남군 박격포 진지를 공격하다 전우들 사이로 떨어진 수류탄을 몸으로 덮어 전우들의 목숨을 구하고 전사했다. 훗날 명예 훈장이 추서됐다. [50] 로스앤젤레스급 공격원잠 시카고함의 하푼 잠대함 미사일, MK48 중어뢰로 격침 [51] 미국에서 인수 후 일단은 그냥 좀 쓰다가 2007년 즈음에 튀르키예 자체적으로 현대화 개량사업을 진행하면서 GENESIS (Gemi Entegre Savaş İdare Sistemi : Ship Integrated Combat Management System)라는 자국산 전투체계를 채용했는데, 이 과정에서 호주가 했던 방식을 참고하여 ESSM의 실전배치를 완료해놨다. (Mk.41 VLS 8셀 x 셀당 ESSM 4발씩) 한편 Mk.13 런처는 그대로 냅두고 SM-1도 계속 사용할 예정이다. [52] 터키가 도입한 함정들은 Short Hull이라 시호크를 운용할 수 없었지만 캐나다가 개발한 ASIST (Aircraft Ship Integrated Secure and Traverse)라는 시스템을 도입해서 해결했다. [53] UH-1의 쌍발엔진 민수용 버전을 이탈리아 아구스타에서 면허생산한 기체인데, 이걸 또 열심히 개조해서 대잠초계 파생형으로 만들었다. Mk.46 등의 경어뢰나 폭뢰, 로켓탄, 대함미사일까지 사용할 수 있고, 이탈리아, 튀르키예, 그리스, 스페인, 이란 등에서 도입해 사용했지만 현재는 상당수가 퇴역했다. [54] 과거 미 해군이 운용했던 SH-2F를 쌍발엔진으로 개량한 파생형이다. 폴란드 해군은 MU90 경어뢰를 탑재해 총 4대를 운용하고 있고 뉴질랜드 해군에서도 사용중이다. 호주는 이 헬기를 도입하려고 시험해본 결과, 아주 형편없는 물건이라 혹평하면서 도입을 백지화한 적이 있다. [55] 1996년 미국에서 인수한 직후 대통령인 무바라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나, 2011 이집트 혁명으로 무바라크가 실각함에 따라 지금의 이름으로 바뀐다. [56] 명목상으로는 '임대'해서 사용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미국이 바레인에 해군기지를 건설할 수 있게 허락하는 등 협력한 대가로 넘긴 것과 다름없다. 또한 걸프 전쟁에서 이라크에 대항한 연합군에 협력한 것에 대한 보답의 의미도 있다. [57] 대잠작전 보다는 초계용으로 운용되고 있다. [58] 미 해군에서 퇴역과 동시에 인수할 당시에는 방공함으로 개량시킬 계획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파키스탄 탈레반을 지원했던 이력과 빈 라덴 은신 등의 사건으로 인해 미 의회의 불신을 사게 되어, 계획했던 동급 함정 3척의 도입과 업그레이드가 모조리 엎어진 상황이다. 파키스탄은 이 함정을 도입하면서 무려 6천 5백만 달러나 들여 오버홀을 했지만 제대로된 개량이 이뤄지지 않았으니 의미가 없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