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00:00

LG헬로비전

CJ 헬로비전에서 넘어옴
파일:LG헬로비전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상품
Hello 인터넷 Hello tv Hello Fone
알뜰폰
파일:헬로모바일 로고.svg
LG U+ · LG HelloVision }}}
}}}}}}

LG헬로비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LG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계열사
<colbgcolor=#6b6b6b,#a50034> 지주회사 LG
전자 LG전자 ( LG마그나 이파워트레인) | LG디스플레이 | LG이노텍
화학 LG화학 ( 팜한농 | 씨텍) | LG에너지솔루션 ( 얼티엄 셀즈 | HLI그린파워 | 넥스트스타 에너지 | L-H Battery Company) | LG생활건강 ( 코카-콜라 음료 · 해태htb)
통신·서비스 LG U+ ( 미디어로그) | LG헬로비전 | LG CNS | LG경영개발원 ( LG경영연구원 LG인화원 | LG AI연구원) | HSAD | LG스포츠 ( LG 트윈스 | 창원 LG 세이커스) | S&I코퍼레이션 | D&O ( 곤지암리조트 | 곤지암골프클럽 · LG생활연수원)
CSR
공익재단 LG연암문화재단 ( LG아트센터 서울 | LG상남도서관 | LG사이언스랜드) | LG복지재단 ( LG 의인상) | LG상록재단 ( 화담숲)
학교법인 LG연암학원 ( 연암대학교 | 연암공과대학교)
언론 LG상남언론재단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방송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지상파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KBS 1TV 로고.svg | 파일:KBS 2TV 로고.svg ) | 파일:MBC 로고.svg | 파일:EBS 로고.svg ( 파일:EBS 1TV 로고 2023.svg | 파일:EBS 2TV 로고 2023.svg )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KNN 로고.svg | 파일:TBC 로고.svg | 파일:kbc 로고.svg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일:ubc 로고.svg | 파일:JTV 로고.svg | 파일:CJB 로고.svg | 파일:G1방송 로고.svg 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JIBS 로고.svg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독립) | 파일:OBS경인TV 로고.png (독립)
종합편성채널
파일:JTBC 로고.svg 파일:JTBC 로고_White.svg | 파일:MBN 로고.svg | 파일:TV CHOSUN 로고.svg | 파일:채널A 로고.svg 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보도전문채널
|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 파일:연합뉴스TV 로고 화이트.svg
복수채널사업자
채널 사용 사업자 문서 참고
일반채널사업자
<colbgcolor=#fff,#1c1d1f> 유료방송채널/목록 문서 참고
플랫폼
IPTV
파일:KT GENIE TV.png | 파일:U+tv 로고.svg | 파일:B tv 로고.svg
위성방송
파일:KT스카이라이프 BI.svg
케이블 MSO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 ( 헬로tv) |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 파일:HCN 로고.svg |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 파일:CMB 로고.svg
케이블 개별 SO
파일:아름방송 로고.svg (경기) | 파일:남인천방송 로고.svg (인천) | 파일:푸른방송 로고.svg (대구) | 파일:JCN 울산중앙방송 로고.svg (울산) | 파일:서경방송 로고.svg (경남) | 파일:CCS충북방송 로고.svg (충북) | 파일:금강방송 로고.svg (전북) | 파일:KCTV광주방송 로고.svg (광주) | 파일:KCTV제주방송 로고.svg (제주)
제도
<colbgcolor=#fff,#1c1d1f> 영상물 등급 분류 제도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시청 등급 분류 제도 · 애니메이션 의무 편성 제도 · 국산영화 의무 상영 제도 · 공동체 라디오
기관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분류
방송 · 뉴스 · 드라마 · 예능 · 교양 · 영화 · 애니메이션 · 라디오 · 매체별 방송 · 인터넷 방송 · 케이블 방송 · 텔레비전 방송 · 대한민국의 방송 }}}}}}}}}


종합유선방송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 (MSO)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파일:HCN 로고.svg 파일:CMB 로고.svg
개별종합유선방송사업자 (SO)
파일:서경방송 로고.svg 파일:푸른방송 로고.svg 파일:아름방송 로고.svg
파일:CCS충북방송 로고.svg 파일:JCN 울산중앙방송 로고.svg 파일:남인천방송 로고.svg
파일:금강방송 로고.svg 파일:KCTV광주방송 로고.svg 파일:KCTV제주방송 로고.svg
}}}}}}}}} ||
<colcolor=#ffffff> LG헬로비전
LG HelloVision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
<colbgcolor=#6b6b6b> 기업명 정식: 주식회사 엘지헬로비전
영문: LG HelloVision Corp.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1995년 3월 31일 ([age(1995-03-31)]주년)
업종명 유선 방송업
사업 지역 서울 양천구 外 88개 시·군·구
제품 8VSB 유선방송, 디지털 HD·UHD TV,
인터넷, 인터넷전화,
알뜰폰(MVNO), 전자제품 렌탈
대표이사 송구영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56길 19 ( 상암동)
모기업 LG U+
기업 규모 대기업
상장 유무 상장 기업
상장 시장 코스피시장 ( 2012년~ )
종목 코드 037560
시장 점유율 유료 방송 12.28% 2위[1]2019년 12월 기준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LG헬로비전 지역방송 홈페이지

1. 개요2. 역사3. 지배 구조4. 역대 임원5. 전속 아나운서6. 지역 기자7. 상품 목록8. 서비스 지역9. PP 사업10. 계열사 및 자회사
10.1. CJ헬로비전에 매각된 SO
11. 여담
11.1. 셋톱박스 대기전력 논란11.2. CJ헬로비전이 노렸던 SO11.3. 결합 혜택11.4. 재난방송 송출 현황11.5. 셋톱박스 미가입 채널 삭제 오류 문제

[clearfix]

1. 개요

"일상을 편리하게, 지역을 가치있게"
LG(구 CJ) 계열 종합유선방송 서비스 업체로 동종 업계 1위이며, 전체 유료 방송 시장의 약 13%를 점유 중인 대형 MSO[2]라고 칭한다. 케이블TV(헬로TV) 외에도 알뜰폰( 헬로모바일)과 렌탈 사업을 하고 있다. 2020년 LG유플러스에 인수되면서 현재 LG U+의 자회사이다.

본사는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에 있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G헬로비전/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지배 구조

2024년 6월 30일 기준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LG U+
58.61%

4. 역대 임원

  • 대표이사 사장
    • 김낙성 (1995~1998)
    • 이기주 (1998~1999)
    • 이명구 (1999~2000)
    • 조재구 (2000~2003)
    • 김해동 (2003)
  • 대표이사 부사장
    • 이관훈 (2004~2008/2010)
    • 변동식 (2008~2010/2010~2013/2016~2019)
    • 김진석 (2013~2017)
    • 송구영 (2019~)
  • 대표이사 전무
    • 정맹규 (2000)
  • 대표이사 상무
    • 이관훈 (2003~2004)
  • 대표이사
    • 홍승신 (2004~2005)

5. 전속 아나운서

6. 지역 기자

  • 홍아영(대구)
  • 서희동, 이하영(경북)
  • 이나라(전북)
  • 이다혜(강원)

7. 상품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LG헬로비전/상품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서비스 지역

LG헬로비전의 아날로그TV, 디지털TV, 인터넷(ISP)서비스의 관할 권역은 아래와 같다.[4]

소규모 케이블 방송사 인수 및 합병 이후, 각 지역별로 LG헬로비전 운영총괄 산하의 지역별 영업본부 단위로 운영 및 관리되고 있다.

뉴스 제작은 중부권(수도권/강원/충남)과 남부권(부산/경남/대구경북/전남/전북)으로 나눠서 뉴스를 제작하고 있다. 중부권 뉴스는 상암동 본사 스튜디오에서, 남부권 뉴스는 부산 중앙방송 본사 스튜디오에서 해당 권역의 뉴스를 녹화해서 방송한다.

9. PP 사업

LG U+에 인수된 이후 KT 계열의 skyTV처럼 모회사 차원에서 채널 사용 사업자로 진출했다. 진출 후 초반에는 미디어로그에서 해당 사업을 맡았다.
폐국된 채널
  • 파일:더키즈 로고.png - 더 키즈(theKIDS) - 2021년 10월 1일 개국, 2024년 7월 1일 폐국[35]

소규모 배급사가 대형 멀티플렉스 체인의 상영관을 잡지 못해 난항인 것 처럼 신규 유료방송채널 또한 당장 전송업체(SO)에서 송출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2010년대 이후 대부분의 신규 채널들은 사실상 폐국된 채널 대역을 물려받아 개국하고 있는데, 일부 채널은 신규 채널임에도 U+tv와 LG헬로비전의 힘을 입어 완전 신규 채널로 개국하였다. 특히 2020년 12월에는 채널 추가가 지지부진하던 전국의 LG헬로비전의 8VSB형 상품에도 어떻게든 대역폭을 구겨넣어 추가 송출되고 있다. 이후 B tv에 2021년 2월과 4월에 각각 송출이 시작되었다.

2021년 8월에는 디즈니+ 한국 진출과 맞물려 국내에서 채널 운영을 철수하는 디즈니코리아 자회사 디즈니채널코리아(유)로부터 디즈니채널을 인수하였다.[36] # 전환 준비과정을 거쳐 동년도 10월 1일자로 더 키즈 채널로 재개국하게 되는데, 채널 운영 사업 진출 후 처음으로 신규 진출이 아닌 인수-재개국 형태로 런칭한 사례가 되었다.

2024년 1월 LG헬로비전이 미디어로그로부터 PP 사업을 넘겨받았다. #

2024년 5월에 더 키즈 채널의 운영권을 캐리TV에 매각했고, 동년 7월 1일에 더 키즈 채널과 캐리TV 채널이 통합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0. 계열사 및 자회사

  • LG U+: 모기업 및 인수 운영법인
  • CV파트너스: LG헬로비전(구 CJ헬로비전)을 담당하는 고객상담 업체[37] CJ텔레닉스의 헬로비전사업부가 분사하여 CJ헬로비전의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분사 전 LG그룹 계열 용역업체[38]가 흡수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LG U+ 인수 후 약 1년간 CJ텔레닉스를 통해 위탁 운영 후 현재는 분사되었다.

10.1. CJ헬로비전에 매각된 SO

  • 드림씨티방송: 유진그룹 계열의 케이블TV 사업자였으며, 2006년 당시 CJ케이블넷에 매각하였다.
  • 하나방송: 전술한 마산방송과 동일, 2020년 9월 1일자로 완전히 합병되었다.
  • 기타 인수된 지역 케이블 SO 사업자: 모두방송, 북인천방송, 한국케이블TV 나라방송, YBN 영서방송, GBN 강원방송, 전북방송, 한국케이블TV 호남방송, 온미디어 소유의 영동방송, 동구수성방송, 전남동부방송(현 아라방송)[39]

11. 여담

11.1. 셋톱박스 대기전력 논란

2018년 9월, CJ헬로(구 CJ헬로비전)과 딜라이브(구 씨앤엠) 등의 케이블 SO 방송사들의 일부 셋톱박스가 대기전력을 많이 잡아먹는다는 논란이 일었다. 특히 당시 CJ헬로비전의 자산이었던 hello tv 일부 셋톱박스, 삼성전자가 제조한 GX-CJ680CL[40]은 대기 소비전력이 무려 24.2W에 달해, 에너지 소비 관련 논란이 매우 증대됐다.

이는 삼성전자에서 제조한 셋톱박스 삼성전자의 설계 미스로 추정된다.

11.2. CJ헬로비전이 노렸던 SO

CJ헬로비전이 당시 추진했던 광역화 방침에 의거 소규모 지역 SO들( JCN 울산중앙방송, 서경방송 등)을 인수한다는 카더라가 있었으나, LG U+에 인수된 현재로서는 자체 소규모 SO 인수가 불가능해졌다. 다만, 예외 사항은 존재하다. 자세한 사항은 하단 내용 참조.

2018년 8월 23일, CJ헬로가 딜라이브를 인수할 방침이라는 뉴스가 보도됐다. 기사 하지만, 인수제안금액이 상당해 CJ헬로 당국에선 꽤나 망설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딜라이브는 연예 기획사를 계열사로 보유하고 있었으며,[41] 특히나 전국 최대의 인구 밀집 지역인 수도권에 사업권역을 대거 점유하고 있으니 M&A가 성사될 경우, CJ헬로비전과는 별개로 CJ그룹 산하 계열사가 상당히 확장될 것으로 예측되었다.[42]

실제로 딜라이브의 인수 성사 시, SK브로드밴드 LG U+를 제치고 국내 유선방송 업계 2위의 지위로 등극하게 될 전망이다.

2019년 2월, LG U+가 CJ헬로(구 CJ헬로비전)를 인수할 예정이라고 공식 표명했다. 2019년 11월 공정거래위원회를 통하여 CJ HELLO 인수 승인. CJ헬로비전(CJ HELLO) 자체가 LG U+로 매각되기 때문에, 별개의 케이블 TV 사업자를 인수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2010년 당시 데이콤 및 파워콤 합병 이후 통합 LG텔레콤의 명칭을 변경한 적이 있는 LG그룹 통신 대주주인 LG U+가 또다른 케이블 TV 사업자를 인수할 방법은 존재한다.[43]

11.3. 결합 혜택

집전화(헬로폰) + 인터넷(헬로넷) + TV(헬로tv)를 결합 이용하면 엄청난 요금 할인 혜택을 적용받을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케이블TV 특성상 IPTV 운영 주자인 U+tv보다 지원되는 채널이 더 많다. 일부 케이블 PP의 방송국들은 'IPTV 방송금지' 정책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는데, 만일 LG유플러스와 전면 합병되어 U+tv로 인수된다면 기존 헬로tv 가입 시청자들에게도 채널이 신규 서비스될 예정인지 혹은 신규 채널이 전무할지도 우려되는 실정.

다만, 2019년 12월 20일 LG U+가 대거 채널을 개편하면서 사실상 CJ헬로 인수 준비 마무리 체제에 돌입했다는 절차. 그 외의 채널들은 서비스 중에 해당하더라도 별다른 영향이 존재하지 않는 채널 혹은 케이블TV에만 송출하는 채널 위주로만 남게 되었다.
U+tv에는 존재하지 않고 LG헬로비전에만 존재하는 채널
홈초이스 CH. ever LIFE U
ONT 스마일TV ETN
Trace Sports ONN 닥터TV RTV 시민방송
토마토클래식 유로무비스
※ 일부 지역의 경우 대동소이 할 수 있음

11.4. 재난방송 송출 현황

CJ헬로비전(현 LG헬로비전)의 경우 ‘지역밀착형 재난방송’의 일환으로 2019 행정안전대상 최우수상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이달의 좋은 프로그램상’을 수상했다. #

CJ헬로비전 윤경민 지역채널본부 보도 담당은 미디어오늘과 진행한 당시 인터뷰에서 '재난방송을 적극적으로 하는 이유는 다른 방송사들보다 비교적 자유로워 유연하게 편성할 수 있다'며 “지역 단위 방송이기에 국지적인 재난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2017년 2019년 당시 2회 연속 강원도를 덮쳤던 산불대란 역시 지상파 방송사보다 더욱 신속하게 재난방송 체제로 전환 후 해당 재난방송을 송신했는데, 강원도 전역이 CJ 방송권역이라 방송 진행이 더욱 용이했다. 당시 걸핏하면 모 지역 방송의 어느 기자는 "강원도민들은 재난 터지면 KBS보다 지역 채널을 먼저 시청한다"고 발언했을 정도.[44]

2020년 2월 이후 코로나19가 초창기 대구, 경북 일대을 시작으로 범국가적으로 유행되면서 타 방송사와 동일하게 재난방송을 실시간 방송했다. 동년 3월 3일부터 아예 대구, 경북 지역 케이블SO 지역 채널 정규 방송을 실시간 뉴스 프로그램 중심으로 개편하고 기타 프로그램을 최대한 간소화한 후 임시적으로 재난방송 정보채널로 전환하여 지역 SO별 자체 뉴스 및 코로나19 관련 생활 정보 등에 한하여 24시간 연속 종일 방송되기도 했다.

11.5. 셋톱박스 미가입 채널 삭제 오류 문제

2013년경 확인된 문제로 당시 헬로비전 셋톱박스 공통된 문제점으로 특히 이코노미 상품 사용중 가입이 되지 않아 시청 불가한 채널을 일괄 삭제 하는 기능(미가입 채널 삭제)이 시청 가능한 채널도 선택이 되는 등 제대로된 기능을 하지 못해 당시 CJ헬로비전에 항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코노미 상품의 경우 시청가능한 채널이 많지 않아 모든 채널 중 100여 개 이상 채널이 볼 수 없는(미가입) 채널이다.

셋톱박스 메뉴상에 가입이 안 되어 시청 불가한 채널을 일괄로 선택되지 않게 삭제하는 기능이 있었지만 실제로 기능을 사용해 보면 미가입된 채널이 정상적으로 선택되기도 하지만 시청 가능한 채널이 선택되기도 하고 미가입된 모든채널이 다 선택이 되지 않는 등 셋톱박스 프로그램상의 문제가 많았다. 적용시 일부 시청 가능 채널도 선택 불가 상태로 잠겨 버리고 미가입된 채널이 풀려져 채널 가입 안내가 나오는 경우 등 문제가 많았다. 한 가입자는 2013년도 부터 의무 약정 3년간 시청하면서 수차례 해결을 요구하였지만 해결되지 않고 또한 위약금 면제 해지도 되지 않는다는 조건이어서 3년 약정이 끝나자마자 바로 해지하였다고 한다.

참고로 셋톱박스 등 임대 장비에서 기능 오류 등이 발생하여도 TV 시청 불가 등 TV 신호 품질 불량 등의 문제가 아닌 경우 아무리 셋톱 박스에서 기능 오류가 나타나도 위약금 면제 해지 사유가 안된다. 약정 만료 때까지 기다리거나 방송사에서 오류를 수정해 주기를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


[1] U+tv 포함 순위, 합계 점유율 24.91% [2] LG헬로비전과 같이 케이블 방송 회선을 제공하는 업체를 SO(Service Operator)라고 하는데, LG헬로비전(당시 CJ헬로비전)을 비롯한 5개 업체는 인수 합병을 통해 산하에 수많은 지역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를 갖추고 있어 SO를 중북으로 갖춘 의미로 MSO(Multiple Service Operator)라고 부른다. [3] 연합뉴스TV 뉴스캐스터로도 병행중이다. [4] 단, 헬로렌탈은 서비스 권역 구분없이 전국으로 한다. 다만 인터넷전화 가입은 권역 내에서 해야 한다. [5] LG헬로비전의 전국을 대표하는 플래그십 SO이다. 지역방송 자체제작 프로그램의 전국송출의 영향 탓에 LG헬로비전의 서비스 지역 시청자들이 양천구를 한번도 가보지 않았음에도 서울의 모 자치구의 하나로 인지도가 상당하다. [6] 드림씨티은평방송. [7] 드림씨티방송. [8] 딜라이브 우리케이블TV와 경합지역이며 아예 망이 존재하지 않아 서비스 불가능한 지역도 존재하다. [9] 남부 뉴스를 제작하는 스튜디오가 있다. [10] 당시 온미디어 계열 SO였다. [11] CMB 대구방송과 경합 지역이다. 신서혁신도시 등 신설 주거지구 중심으로 망 자체가 없는 곳도 존재한다. 우연의 일치인지는 확실하지 못한 실정이나 CMB와 방송권역이 정확히 일치한다. 사옥은 수성구 황금네거리 동편에 있다. [12] 대구 남구와 중구 권역을 담당하는 SK브로드밴드(구 티브로드)의 SO 이름도 대구방송이다. 혼동에 유의할 것. [13] GBN 강원방송 인수를 끝으로 강원특별자치도 전역이 독점 체제에 접어들었다. 아래 순서는 LG헬로비전(당시 CJ케이블넷~CJ헬로비전)이 소규모 SO를 인수한 순서대로 기재되어있다. [14] 존속 당시 온미디어 계열 SO였다. [RO] 중계유선방송 (RO) 지역. [RO] 중계유선방송 (RO) 지역. [17] 본래 YBN 영서방송으로 CCS( CCS충북방송의 CCS가 맞으며, 코스닥 상장사이다.) 계열사였다. [18] CJ 인수 이전 당시 GBN 강원방송. [19] 충남방송 한정 과거에 티빙 및 뷰잉 등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실시간 방송 시청이 가능했으나 현재는 해당 시청 절차가 사라졌다. [20] 당시 홍성, 서산, 예산, 태안권역을 담당했던 한국케이블TV 모두방송이라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도 존재했었으나 2006년 한국케이블TV 충남방송에 인수. [21] 구 YCN 영남방송 [22] 안동MBC 방송 송출권역 지역 중 현대 HCN 새로넷방송 관할 지역 중 상주시를 제외한 전 지역을 독점하였다. [23] 구 SBC 신라케이블방송 [24] 경주시는 포항MBC 방송권역 중 유일한 현대HCN 경북방송 및 포항방송 서비스 지역에 해당되지 않았으며, 경주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들인 영천시, 경산시, 청도군은 대구MBC 방송 가청권역이다. [25] 포항방송과 경북방송이 동 시기인 2010년 당시 신라방송으로 통합, 이후 2011년에 현대HCN 신라방송으로 매각하였다. 현대HCN경북방송과 MSO 상호경쟁을 수행해야 하는 재정적 부담감을 완화하고자 할 방침이였다. [26] 양산케이블넷 인수 직후 HD의무송신 이전까지는 부산방송을 송출했으며 HD의무화 이후로는 KNN을 제외하면 경남방송을 송출하고 있었다. 이후 전파망이 세분화 되면서 양산한정으로 부산지역 지상파 방송이 송출중이다( KBS부산/ 부산MBC) [27] 경남방송 및 마산방송 사무실은 CJ헬로비전 경남본부 사옥을 공동으로 사용 중이긴 하나,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인가받은 별개의 독립 SO단위로 구분되어 있다. [28] 2016년 12월 6일자로 하나방송을 총 225억원에 인수했고 2020년 9월 1일자로 마산방송과 완전히 통합을 하였다. [29] 구 JBC 전북방송 [30] CJ그룹에 인수하여 2013년 명칭 변경 2015년 당시 CJ헬로비전으로 합병되었지만, 전북방송의 LG그룹 계열사 진입은 2021년 9월 20일자로 시행. [31] 구 DBS 전남동부방송 [32] 존재 당시 온미디어 계열 SO사였다. [33] 구 HBC 호남방송 [34] 12월 1일과 3일에 걸쳐 LG헬로비전의 8VSB상품에 우선적으로 송출이 시작되었다. 공지 이후 디지털케이블 상품에는 2021년 1~2월 사이에 추가된 것으로 추정. [35] 캐리TV와 통합 [36] 디즈니채널을 제외한 다른 채널은 인수하지 않았다. [37] 고객센터 상담원들이 소속된 회사 [38] LG U+는 씨에스원파트너, 씨에스리더, 아인텔레서비스 등 3개 고객상담 업체를 보유하고 있다. [39] 이 당시에는 대부분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가 일개 종합유선방송사업자들을 관리하였으며, 당시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즉, 케이블 방송국을 여럿 소유하고 있는 기업이 많지 않았다. 대주주도 다 제각각이었으며, 이를 당시에 양천넷(CJ케이블넷) 당국이 일괄 인수하면서 현재와 같은 단일 케이블TV 사업자(CJ헬로비전)가 된 것이다. [40] 상술하는 UHD RED 모델이다. [41] iHQ와 그 산하 연예 기획사인 큐브엔터테인먼트를 보유하고 있었다. [42] 인수를 성사시킬 경우에는 산하 계열사업자인 iHQ 큐브엔터테인먼트 CJ ENM 산하 계열 법인으로 이적시켜 연예 기획 사업 부문에서도 다소 진척이 나타날 것으로 보였다. [43] 예외는 있다. LG U+가 독과점 우려로 인해 LG유플러스 당국이 직권으로 발주하여 타 종합유선방송사업자를 인수에 난항을 겪는 경우, CJ헬로비전의 LG유플러스 인수로 대체될 가능성은 존재한다. 실제 2019년 당시 KT의 자회사인 KT스카이라이프가 전술한 사유로 딜라이브 인수를 검토한 바 있으며, 이후 2021년에는 현대HCN의 KT스카이라이프 인수가 최종적으로 성사되었다. [44] 이에 대하여 시청자들에게 격렬한 비난을 받았던 KBS는 이후부터 아예 재난방송 매뉴얼을 대거 개편하여 기존보다 더욱 신속한 재난방송에 주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