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4:36:07

딜라이브


파일:MBK파트너스 로고.svg 파일:MBK파트너스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3px -11px"
파일:고디바 로고.svg 파일:홈플러스 로고.svg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파일:네파 로고.svg
고디바[1] 홈플러스 딜라이브 네파
파일:BHC 로고.svg 파일:롯데카드 로고.svg 파일:모던하우스 BI.png 파일:오스템임플란트 로고.svg
BHC[2] 롯데카드 모던하우스[3] 오스템임플란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각주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아시아태평양사업부) [2] (글로벌고메이서비시스) [3] (엠에이치앤코)
}}}}}}}}}
}}}}}}}}} ||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종합유선방송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 (MSO)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파일:HCN 로고.svg 파일:CMB 로고.svg
개별종합유선방송사업자 (SO)
파일:서경방송 로고.svg 파일:푸른방송 로고.svg 파일:아름방송 로고.svg
파일:CCS충북방송 로고.svg 파일:JCN 울산중앙방송 로고.svg 파일:남인천방송 로고.svg
파일:금강방송 로고.svg 파일:KCTV광주방송 로고.svg 파일:KCTV제주방송 로고.svg
}}}}}}}}}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방송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word-break:keep-all"
지상파 공영방송
파일:KBS 로고.svg 파일:KBS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KBS 1TV 로고.svg | 파일:KBS 2TV 로고.svg ) | 파일:MBC 로고.svg | 파일:EBS 로고.svg ( 파일:EBS 1TV 로고 2023.svg | 파일:EBS 2TV 로고 2023.svg )
민영방송
파일:SBS 로고.svg | 파일:KNN 로고.svg | 파일:TBC 로고.svg | 파일:kbc 로고.svg | 파일:대전방송 로고.svg | 파일:ubc 로고.svg | 파일:JTV 로고.svg | 파일:CJB 로고.svg | 파일:G1방송 로고.svg 파일:G1방송 로고 화이트.svg | 파일:JIBS 로고.svg
파일:경인방송 로고.svg (독립) | 파일:OBS경인TV 로고.png (독립)
종합편성채널
파일:JTBC 로고.svg 파일:JTBC 로고_White.svg | 파일:MBN 로고.svg | 파일:TV CHOSUN 로고.svg | 파일:채널A 로고.svg 파일:채널A 로고 컬러 화이트.svg
보도전문채널
| 파일:연합뉴스TV 로고.svg 파일:연합뉴스TV 로고 화이트.svg
복수채널사업자
채널 사용 사업자 문서 참고
일반채널사업자
<colbgcolor=#fff,#1c1d1f> 유료방송채널/목록 문서 참고
플랫폼
IPTV
파일:KT GENIE TV.png | 파일:U+tv 로고.svg | 파일:B tv 로고.svg
위성방송
파일:KT스카이라이프 BI.svg
케이블 MSO
파일:LG헬로비전 로고.svg ( 헬로tv) |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 파일:HCN 로고.svg |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 파일:CMB 로고.svg
케이블 개별 SO
파일:아름방송 로고.svg (경기) | 파일:남인천방송 로고.svg (인천) | 파일:푸른방송 로고.svg (대구) | 파일:JCN 울산중앙방송 로고.svg (울산) | 파일:서경방송 로고.svg (경남) | 파일:CCS충북방송 로고.svg (충북) | 파일:금강방송 로고.svg (전북) | 파일:KCTV광주방송 로고.svg (광주) | 파일:KCTV제주방송 로고.svg (제주)
제도
<colbgcolor=#fff,#1c1d1f> 영상물 등급 분류 제도 ·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 시청 등급 분류 제도 · 애니메이션 의무 편성 제도 · 국산영화 의무 상영 제도 · 공동체 라디오
기관
방송통신위원회 ·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분류
방송 · 뉴스 · 드라마 · 예능 · 교양 · 영화 · 애니메이션 · 라디오 · 매체별 방송 · 인터넷 방송 · 케이블 방송 · 텔레비전 방송 · 대한민국의 방송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인터넷'''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비자 인터넷 상품
파일:B 인터넷 로고.svg 파일:KT 기가 인터넷 로고.svg 파일:LGUplus_Internet_Logo.png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파일:KT스카이라이프 BI.svg Hello 인터넷
백본망
국가 소유
파일: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로고.svg 파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로고.svg
KOREN(미래네트워크연구시험망) KREONET2(국가과학기술연구망)
통신사 소유
파일:SK텔레콤 로고.svg 파일:KT 로고.svg 파일:LG U+ 로고.svg
SK-TELECOM-NET KORNET LGTELECOM
BORANET(보라넷)
XPEED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파일:드림라인 로고.svg 파일:세종텔레콤 로고.svg
B-Net DREAMX SHINBIRO
}}}}}}}}} ||


<colbgcolor=#01b1c9><colcolor=#fff> 주식회사 딜라이브
D'LIVE
파일:딜라이브 로고.svg
정식명칭 주식회사 딜라이브
영문명칭 D'LIVE Co., Ltd
설립일 2000년 1월 25일 ([age(2000-01-25)]주년)
업종명 유선 방송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매출액 연결 4,218억 5,886만 1,762원[2020년]
별도 3,771억 2,675만 6,326원[2020년]
영업이익 연결 366억 886만 4,272원[2020년]
별도 238억 6,069만 1,261원[2020년]
순손실 연결 -905억 6,369만 9,745원[2020년]
별도 -912억 8,278만 8,201원[2020년]
자산총계 연결 9,419억 4,639만 9,721원[2020년]
별도 9,257억 4,586만 1,172원[2020년]
법인형태 외부감사법인
기업규모 중견기업
대표이사 김덕일
대표번호 1644-1100
주소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103길 9 ( 삼성동)
시장 점유율 유료방송 5.98%[9]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 | |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상세4. 지배구조5. 매각6. 전속 아나운서7. 역대 임원8. 딜라이브가 인수한 SO들9. 지역방송 목록
9.1. 과거 서비스 지역
10. 딜라이브 TV WiFi11. 넷플릭스 서비스12. 딜라이브 OTT'v (D’LIVE OTT'v)13. 논란
13.1. 파업13.2. 가입자 뻥튀기 의혹13.3. 인터넷 회선 품질 문제13.4. A/S 기사13.5. 통신 장애13.6. CJ 계열사 PP와의 분쟁13.7. 그 외
14. 공유기
14.1. Wi-Fi 5 (Giga WiFi) 공유기
14.1.1. 한양디지텍 HYC-G920
14.2. Wi-Fi 4 공유기
15. 여담16. 계열사 목록17. 노동조합18. 같이 보기
18.1. 동종업계18.2.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케이블 송출/통신업체로 종합유선방송사업자를 주 업종으로 자회사 포함 케이블 플랫폼과 연예 기획까지 하는 종합 미디어기업이다. 최대주주는 국민유선방송투자주식회사(KCI)이나 여러번의 매각실패로 실질적인 경영권은 채권단으로 넘어간 상태다. 참고로 국민유선방송투자는 MBK파트너스나 맥쿼리코리아오퍼튜니티즈사모투자전문회사(MKOF)[10]같은 사모펀드 회사들이 대주주로 있다.

사명의 의미는 케이블방송사의 이미지에서 탈피해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딜라이브(D'LIVE)는 '디지털 라이프(Digital Life)'와 '딜라이트 라이브(Delight Live)'를 뜻한다.
<colcolor=#333> 파일:C&M 로고.svg
▲과거 C&M 로고

2. 역사

1997년 조선무역(현 에이티넘파트너스)이 '한국케이블TV경동방송'을 세운 게 본사의 뿌리이며, 1998년 북부방송, 1999년 동부방송 외 9개 SO를 각각 인수했다. 2000년 조선무역 유선방송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씨앤앰커뮤니케이션으로 설립되었다. 뒤이어 자회사 서울미디어원을 세웠고, 2003년 초고속인터넷 서비스를 개시 후 2004년 C&M DMC를 개국했다. 2006년 드라맥스 설립에도 출자했다.

2007년 VOD 자회사 '홈초이스'를 세우고 씨앤앰으로 변경한 후, 업계 최초로 '시청자제작단'을 발족했다. 2008년 국민유선방송투자에 매각된 후 2011년에 지역채널 HD 송출을 개시했고, 2016년 4월 6일부터 현재 사명으로 바꾸었다.

3. 상세

종합유선방송사업자의 숨은 강자라고 봐도 좋다. 한국의 수많은 종합유선방송사업자 중에 이 회사가 강자로 간주될 수 있는 이유는 서울시내 25개구 중에서 무려 16개구를 영업구역으로 가지고 있으며 그 중 9개 구를 독점하고 있다. 이는 서울 시내에 사업권을 가지고 있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 중에서는 최다이다. 영업 구역 중에 강남구 송파구도 있는데, 이 두 지역은 독점 사업자이다. 서울 외에도 경기도 북부지역과 동부지역을 장악하고 있어 영업구역으로만 따지면 소위 알짜배기 지역의 상당수를 이 회사가 먹고 있다. 경기 서남부의 지배자가 SKB 케이블이라면 북부지역 거의 전역[11]의 지배자는 바로 여기다. 아마도 영업구역 내 인구는 종합유선방송사업자 중 최대아.

하지만 수도권 외 지역에는 영업구역이 없기 때문에 타 지역 사람들에게 생소한 사업자일 수도 있다. 울산광역시에 씨앤앰 울산 케이블TV[12]가 있었으나 2012년 7월 계열에서 분리된 후 JCN 울산중앙방송에 매각되었다.

2015년 3월에 연예기획사 iHQ의 최대주주가 되었다. 그래서 큐브엔터테인먼트의 경영권도 자연스레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2020년 2월 큐브엔터테인먼트는 분리매각 되었다. 2020년 하반기에는 iHQ 또한 분리매각을 성사시키며 연예기획사를 소유하지 않게 되었다.

채널 및 상품구성, 서비스는 나무위키에 수록된 다른 유선방송사업자와 크게 다르지 않은 수준으로 굳이 따지자면 특별히 좋지도 특별히 나쁘지도 않은 편이다.

4. 지배구조

2018년 4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민유선방송투자[13] 94.87%

5. 매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딜라이브/매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전속 아나운서

7. 역대 임원

  • 회장
    • 유세준 (2001~2003)
    • 이민주 (2003~2008)
  • 대표이사 부회장
    • 오광성 (2005~2008)
  • 대표이사 사장
    • 정윤 (2000)
    • 오광성 (2000~2005)
    • 오규석 (2006~2011)
    • 장영보 (2011~2015)
    • 전용주 (2015~2021)
    • 김덕일 (2021~ )

8. 딜라이브가 인수한 SO들

  • GS강남방송[16]
  • GS울산방송[17]
  • 중앙케이블비전 (C-VISION)
  • 서서울케이블TV
  • 남부미디넷[18]
  • 우리방송[19]
  • 한국케이블TV 북부방송, 한국케이블TV 동부방송, 한국케이블TV 노원방송, 한국케이블TV 구로방송, 한국케이블TV 마포방송, 강동케이블TV 방송국, 용산 케이블TV, 동서울케이블TV, 한국케이블TV 경기방송[20]

9. 지역방송 목록

홈페이지에서 실시간 시청이 가능하다. 다른 회사와 다르게, 지역방송 채널이 MSO 통째로(서울/ 경기 구분만 있다) 서울경기케이블TV로 뭉뚱그려서 송출된다.

9.1. 과거 서비스 지역

10. 딜라이브 TV WiFi

2015년 1월 21일 출시된 서비스로 고화질(HD) 방송 상품에 가입하면 와이파이(WiFi)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월 16,000원(부가세별도)으로 200여개 방송채널(30개 오디오 채널 포함)과 무선 인터넷을 추가 비용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딜라이브 하나 1Q Living 카드’로 결제하면 월 5,000원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 상품은 속도가 매우 느리지만 가성비가 좋다. 웹서핑 정도만 하는 정도라면 이 상품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이 상품의 원리는 셋톱박스가 방송 출력 + 케이블 모뎀의 기능을 같이 하는 것이다. 셋톱박스 뒤의 LAN 포트에서 인터넷이 제공된다.

참고로, 다른 공유기는 사용할 수 없다. 오로지 netis WF2429TB 공유기를 사용하여야 작동한다. 또한, 유선은 사용할 수 없다.[35]

최근에는 아예 셋톱박스 Wi-Fi 기능이 탑재된 상품도 나오고 있다. Wi-Fi 4까지만 지원이 가능하다.

11. 넷플릭스 서비스

2016년 5월 23일, 국내 최초 넷플릭스와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딜라이브는 2016년 6월부터 자사 OTT박스인 '딜라이브 플러스'를 통해 넷플릭스 서비스를 시작한다. 딜라이브는 “국내 유료방송업계 최초로 출시하는 OTT박스 '딜라이브 플러스'를 통해 TV로 편안하게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시리즈, 다큐멘터리, 영화를 비롯한 다양한 양질의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이라고 밝혔다. 넷플릭스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딜라이브 플러스 OTT박스를 구매하면 된다. 딜라이브가 개발 중인 프리미엄 UHD 셋톱박스에는 넷플릭스를 기본 탑재한다는 계획이다. #

12. 딜라이브 OTT'v (D’LIVE OTT'v)

딜라이브에서 개발한 OTT 셋톱박스이다. 넷플릭스, 데일리모션 등과의 협약으로 넷플릭스, 데일리모션 콘텐츠가 제공된다.

인공지능 AI 스피커 카카오 미니 C 와 연동이 가능하다. 운영체제 (OS) 는 Android OS 를 사용하며, 그에 따라 구글 페이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다. 딜라이브 OTT'v는 HD셋탑인 H3 와 UHD 셋탑인 H5 으로 나뉜다. UHD 버전에는 구글의 인공지능 서비스 구글 어시스턴트도 탑재되었다. 제조사는 휴맥스이다.

13. 논란

13.1. 파업

2014년 7월 8일부터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전면 파업에 돌입했다. 조합원 74명이 해고된 것에 항의해 노동자들이 하루 파업을 벌이자 사측이 전 조합원에 대한 직장폐쇄를 단행했기 때문이다. 사측은 ‘경영이 어렵다’며 임금 20퍼센트 삭감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노동자들은 경영에 아무런 책임이 없다고 주장했다.

대주주인 맥쿼리와 MBK파트너스가 무리한 차입으로 인수한 탓에 이자 비용만 매년 1,000억 원이다. 게다가 저들은 약속한 투자도 전혀 이행하지 않았다. 지난 4년간 단물만 빼먹은 것이다. 그러고는 한 푼이라도 더 매각 대금을 높이려고 ‘업체 변경시 고용승계 하겠다’는 지난해 합의도 어기고 조합원 74명을 해고하고, 임금 삭감을 요구하는 것이다.

지난해 씨앤앰 정규직 노동자들이 승리하자, 씨앤앰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노조를 만들고 투쟁에 나서 노동조건을 개선했다.
관련기사1, 관련기사2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케이블 방송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위한 서울지역 대책위 및 지지 모임’은 9월 26일 “지난 20일 본사를 방문해 장영보 대표이사 면담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한 직후 ㄱ부사장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만나자면 약속을 하고 찾아와야지 약속도 안 하고 찾아와 무작정 만나달라면 만나줘야 할까? 요즘 앞뒤 안 가리고 지 생각만 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고 적었고, 다음날에는 ‘아직 배가 들 고파서 하는 소리들이 많다’는 글을 게재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약속을 하지 않고 찾아간 게 아니라 미리 공문을 보냈는데도 4차례나 문전박대당했다”며 “면담 요청을 위해 방문한 노동자들을 ‘배가 덜 고픈 사람들’로 치부해버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대책위는 경영진의 사과와 ㄱ부사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케이블방송 노동자들은 “원청이 진짜 사용자”라고 주장하며 생활임금 보장 등을 요구하고 있다. 당시 협력업체 교체 과정에서 노조 조합원만 배제돼 110여명이 해고 상태에 놓였다. 이들은 지난 7월부터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입주해 있는 서울 세종로 파이낸스센터 빌딩 앞에서 노숙농성을 했다. #

하청업체 노동자 두 사람은 2014년 11월 12일 오전 9시께부터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 앞에 있는 25m 높이의 전광판 위에 올라 농성에 들어갔다. "비정규직 109명 대량해고! 씨앤앰과 대주주 MBK가 책임져라"라고 쓴 현수막을 내걸고 지난 7월 해고된 5개 외주업체 노동자 109명의 복직과 고용보장, 생존권 보장 등을 요구했다. #

12월, 해고노동자 109명에 대해 원직복직이 아닌 영업설치 외주업체를 통한 정규직 채용을 제안했으나 노조는 “교섭을 할 의지가 없어 보인다”며 비판했다. #

12월 30일, 희망연대노조가 협력업체 대표와 해고자 109명의 재고용 등 주요 쟁점에 합의했다고 밝혔다. # 다음날인 31일 장기 농성을 종료했다. #

13.2. 가입자 뻥튀기 의혹

2014년 “전체 가입자 245만 명 중 10% 가량인 28만 명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유령 가입자’인 것으로 조사됐다”며 매각을 앞두고 있는 씨앤앰이 가입자 수를 뻥튀기해 몸값을 부풀렸다고 밝혀졌다.

△아파트 단체계약과 같은 공청 가입자 수 위조 △이미 해지한 가입자를 정상 가입자로 유지하는 방법[36] 등을 통해 가입자 수를 부풀렸다. 약 2,800억 원의 가치를 부풀린 셈이다. 한 케이블 업계 관계자는 “현재 서울을 기준으로 봤을 때 케이블 가입자 1명이 늘어날 때마다 매각 가치는 100만 원 정도 올라간다”며 28만 명을 매각 가치로 환산하면 2,800억 정도라고 말했다.

가입자 수 부풀리기 의혹이 사실로 밝혀지면 매각 작업에 상당한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2016년 초, 태광그룹 계열의 티브로드 가 인수 의향을 내비쳤지만 당시 씨앤앰이 제시한 가격과 티브로드 에서 제시한 가격의 차가 1조 원 정도 벌어져 매각 작업이 공전을 거듭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한 케이블 업계 관계자는 “매각에 유리한 조건을 제시하기 위해서 가입자 수를 부풀린 의도도 있겠지만 가입자 수를 부풀리면 영업이익률 유지에 도움이 되는 연간 매출을 허위로 발생시킬 수 있고, 가입 가구 규모에 따라 지급받는 홈쇼핑 수수료의 수익 감소를 막을 수도 있는 현실적인 이유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는 딜라이브를 상대로 가입자 차별 여부에 대한 진상 조사에 착수했다. #

13.3. 인터넷 회선 품질 문제

인터넷이 주말 저녁이나 휴일만 되면 이용자 수가 늘어나서인지 저가형 인터넷 서비스는 핑이 상당히 불안정함을 보인다. 네이버에 몇 번 검색만 해도 이에 대한 비판글들이 상당히 있다. 실제로 외국 게임들을 해보면, 심지어 아시아 서버인데도 평소에 50~300ms 정도 나오는게 핑이 600ms에서 1000ms를 넘게 넘나든다. 이쯤 되면 답이 없다. 그냥 외국 게임은 못한다고 보면 된다.

핑이 불안정한 정도가 아니라 아예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가끔 있다. 고객센터 항의 전화도 제대로 안 걸리는 경우가 대다수. 전화를 통하여 임시방편으로 전산작업(전파송출 등)을 해 줄 수는 있으나, 이는 HFC 방식에서만 가능하며, 어디까지나 '임시방편'이기에 완전한 해결에는 한계가 있다. 몇 년간 타사에 비해 장비나 망에 대한 증설이 인색하였으며 DNS 서버도 2016년 4월까지 LG U+의 DNS 서버를 임대해서 사용해서 더욱 그러한 점이 심하였으나 최근 자체 DNS 서버와 주파수 확장 및 망도 증설하고 있다고 하니 약간은 기대를 해도 좋을지도 모르지만, 케이블 방송이 주인 케이블 방송사 인터넷의 특성상 구내증폭기 불량, 도시청, 구형TV, 구형셋톱, 단자불량 등으로 인한 노이즈가 올라올 요소가 무궁무진하므로 같은 HFC 기반 인터넷이라 하여도 망에 모뎀만 결속되는 통신사의 HFC 기반 인터넷 품질을 따라가긴 어려울 것이다.

신축 아파트 단지나 일부 신축 빌라, 오피스텔[37] 등에는 유사광랜 ( HFC) 망과 별도로 광케이블 FTTB 방식의 인터넷이 제공되니 이 경우 국내용 인터넷은 속도나 가격에서 경쟁력이 있다. 광랜 전용선 서비스도 통신 3사에 비해 설치비나 요금이 매우 저렴하다. 딜라이브 FTTB + 스마트 기가 조합은 통신 3사 인터넷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빠른 경우도 있기 때문에 나쁘지 않다.[38] 최근 LG U+의 광랜(FTTx) 인터넷 망을 임대해서 사용하고 있어서 가성비 좋게 사용할 수 있는 지역도 있다.

해외망에 대하여 상술하자면, 대략 저녁 8시~새벽 1시까지가 절정인데 다운로드 속도가 0.5Mbps조차 나오지 않는다. 비대칭인데도 업로드 속도가 더 빠를 지경.[39] 스트리밍이나 해외 게임은 불가능하다고 봐도 된다. 이쯤 되면 국내 전용 인트라넷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단호히 말해서 해외망 사용자는 절대로 가입해서는 안 되는 불량 ISP이다. 요새 들어서 해외망도 어느 정도 개선했는지, 속도가 향상되었지만, 여전히 느리다. 해외망은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

특히 딜라이브 (씨앤앰) TV WiFi 사용 시 인터넷 서핑 정도는 가능할 수 있으나 동영상 시청과 게임 플레이는 포기해야 한다. 딜라이브 TV WiFi 상품 가입 시 제공되는 netis 사의 공유기 (WF2429TB) 또한 보안부터 속도, 품질까지 문제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딜라이브 스마트 기가 서비스는 그래도 대칭형 인터넷이라서 나쁘지 않냐는 질문이 있는데, 국내망은 메이저 3사( KT, SK브로드밴드, LG U+)와 비슷한 속도로, 괜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해외망, 심지어 국내에 캐시서버를 두고 있는 구글, Facebook 등의 포털, SNS 등이 매우 불안정하게 실행된다. 핑도 KT, SK브로드밴드, LG U+보다 높은 편이다.

결론은 딜라이브 인터넷은 특정 시간대에 느려지며, HFC(광동축혼합망)를 통한 인터넷이 최악이므로 사용하는 것을 매우 비추천하며, FTTB 망을 사용하여 빠르더라도 해외망이 쥐약이다. 즉, 신축 아파트나 오피스텔에서 국내망을 주로 사용하는 경우 괜찮은 효율을 뽑아낼 수 있다.[40]

넷플릭스 품질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넷플릭스에서 측정한 국내 인터넷 서비스 제공사업자들의 속도 측정 결과를 보면 의외로 KT와 품질이 맞먹는다. 오히려 SK브로드밴드의 결과가 처참한데, 관련 내용은 SK브로드밴드 8.2.1 문단으로.

13.4. A/S 기사

기사 출동 시 딜라이브의 인터넷 회선 속도 문제와 TV 수신 문제가 발생하는 등 문제가 생기면 고객 탓으로 돌려버리는 경우가 상당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A/S 를 안 해주러 온다고도 한다.

160M 인터넷 서비스에 100M짜리 WF2429TB 공유기를 달아주면서 공유기 좋은거 사서 쓰라거나 LAN케이블, LAN카드, PC 성능이 기가인터넷을 지원하는걸로 바꾸라는 말만 반복한다. 100M 공유기로 160M 인터넷 서비스는 불가능하다는 단순한 사실을 아무리 얘기해도 소용없다.

공유기도 딜라이브 기본 제공 공유기를 사용하라고 한다. 안 그러면 인터넷이 안 될 수도 있다고 말을 하는데 타 공유기 연결시 인터넷 되는거 확인했다.

추가로 기사와 상담원들이 매우 불친절하다. 그러므로 A/S 요청 전화를 걸 때는 말싸움도 대비해야 한다! 책임을 회피하는 스킬을 자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자신은 권한이 없어 이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을 못해준다면서 담당자를 연결해준다고 하지만 지식이 없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재밌는 점은 새로운 상품을 가입할 땐, 상담사의 권한이 대폭 늘어난다.

A/S 기사 중에서도 친절한 사람은 존재하나, 일을 제대로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노후화된 랜선 교체 작업이라던가, 구식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다 하더라도 고객이 먼저 요청하지 않는 이상 자발적으로 교체를 해주진 않는다. 이래놓고 품질에 문제가 생기면 고객에게 떠넘긴다.

상담사나 A/S기사의 이야기를 자세히 듣다보면 전문적인 지식이 없다. 적어도 기초적인 지식을 가지고 고객에게 상품 설명을 해줘야하는데, 본인들도 자기들이 다니는 회사가 어떤 시스템으로 운영되는지를 모른다. 그래서 계약 해지를 할 때, 상당히 힘들어지는데, 상담사 측은 어떻게든 이를 막기 위해 말을 바꾸고, 담당 A/S 기사는 전화를 회피하는 태도를 취하니 중요한 문제로 딜라이브와 전화할 땐 반드시 녹취를 하자.

13.5. 통신 장애

2018년 12월 24일 오후 2시 30분경, 경전철 공사 중 딜라이브의 백본망을 절단하여 서울 구로, 용산, 마포, 서대문, 노원 등 9개 구에서 디지털 TV 와 인터넷 장애가 발생하였다. 이 사고로 인해 방송이 불안정하였고, 인터넷 속도가 저하되거나 연결이 끊겼으며, 크리스마스 이브를 맞아 휴가를 냈던 사람들이 방송과 인터넷이 안 되자 딜라이브 고객센터에 대거 항의하였다.

우회 서비스를 통하여 오후 2시 50분경, 20분 만에 복구하였다.

2024년 1월 5일 과도한 트래픽 발생으로 딜라이브 인터넷 접속에 차질이 생겼다. 오후 6시30분경 조치가 완료됐다는 메시지가 이용자들에게 발송됐다.

2024년 1월 7일 오전 8시경, 딜라이브 인터넷 회선을 사용하는 서울·경기 동북부 중 일부 지역에서 인터넷 장애가 발생했다. 아직 이유는 미상. 일부 이용자들은 상담원 연결 지연 등 불편함을 호소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딜라이브 관계자는 현재 "시스템 안정화 조치 중. 이용자들에게 안내 문자를 발송했다. 5일 발생한 장애와 이번 사안이 관련된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디도스(DDoS.분산서비스거부) 공격에 따른 것인지도 파악된 바 없다"고 말했다. # 1월 9일에도 여전히 인터넷 장애가 발생했는데 고객센터는 40분은 대기해야 겨우 연결됐으며, "복구작업이 언제 완료될지 모른다"고 응답했다.

13.6. CJ 계열사 PP와의 분쟁

2012년 상반기 당시 CJ E&M 계열 채널을 축소한다고 발표하자, CJ E&M 측에서 tvN, Mnet 등 여타 CJ E&M 계열 채널들을 전부 송출 중단한다고 통보하였지만 씨앤앰이 CJ E&M을 상대로 법정 소송을 걸었던 사실까지도 드러난 적이 있었다. 그 결과 2012년 아날로그 채널 개편 때 슈퍼액션과 투니버스를 송출 중단시켰다. 그것도 모자라 이보다 먼저 2011년, 씨앤앰 시절에 아날로그 CATV 대역에 리얼TV와의 송출권 분쟁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020년 5월부터는 CJ ENM 측에서 tvN, OCN 등등 CJ 계열 일부 채널들의 사용료를 인상하겠다 밝히며, 이를 동의하지 않을 시 채널 공급을 중단하는 이른 바 '블랙아웃' 현상이 올 것이다 라고 예고하였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중재에 나섰으며, 극적으로 협상을 타결하여 해결점을 찾아가겠다고 밝혔다.

결국 협상이 불발되어 과기정통부의 중재안을 준용했으며, 최종적으로 딜라이브 측이 CJ 계열에 사용료를 추가로 지불하는 식으로 합의되었다.

13.7. 그 외

사명이 바뀌면서 셋톱박스의 운영체계도 바뀌었는데 이로 인해 보급형 셋톱박스의 성능을 고려하지 않은 고사양 기능 남발로 보급형 셋톱박스에서는 기본TV기능 이외의 기능(메뉴버튼을 눌러서 사용해야 하는 기능들)의 사용이 다소 불편해 졌다. 딜레이 현상은 기본이요 VOD의 경우 시리즈를 연달아 재생하도록 설정후 한두편 보면 다음편 VOD대신 VOD를 시청하기 전의 TV채널이 표시되거나 메뉴가 클라우드 기반이기에 트래픽이 몰리거나 셋탑박스 내장 모뎀이 오프라인이 되면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실행이 불가능해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2019년 딜라이브 직원 2명이 사망한 것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딜라이브가 이 사실을 은폐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해지하는 과정이 꽤나 고난하다. 상담사의 책임회피스킬과 사람 신경을 긁는 상담화법으로 1차적으로 말다툼이 발생한다. 품질 문제로 인하여 위약금 없이 해지를 해야하는 경우 수 없이 최종적으로 점검을 하러 오는 AS기사가 방문하는데, 이 기사가 방문했다 하더라도 또 한 번 최종점검을 하는 AS기사가 방문해야 한다고 한다. 여기에 최종점검 AS기사가 방문을 해도 또 한 번 최종 점검을 하는 AS기사가 오고, 이후 또 최종점검을 하는 AS기사가 또 온다. 즉, 어떻게든 해지를 못하게 하기 위해 혹은 위약금을 받아내기 위해 최종점검 AS기사로 계속해서 시간을 끌며 고객들이 먼저 포기하게 만드는 수법이다. 그리고 상담사가 새로운 인터넷이나 TV를 설치했냐고 물어보는데 만약 설치를 했다고 하면, 새로 설치한 회사를 디스한다. 자신들의 상품이 훨씬 더 좋으니, 새로 설치한 것과 함께 사용을 해보라고 하는 아주 뻔뻔한 태도로 영업질을 한다. 약정이 끝난 상품을 해지할 때도 어떻게든 한 푼이라도 더 받아내기 위해서 기계 값, 기계 사용 값 등을 핑계로 금액을 청구한다고 안내하는데, 이때 논리적으로 기계 반납 및 계약서를 들먹이면 상담사가 꼬리를 내리니 참고하자.

딜라이브 상담사, A/S 기사들과 다툼이 생기는 이유는 생각보다 단순하다. 이들은 책임 회피를 하며, 말을 계속 바꾸는데 그 이유가 자신들은 권한이 없어 정확하게 결정을 못내려준다는 이유다. 하지만 상품을 가입할 땐 그 권한이 대폭 늘어나니 이 점을 참고하자.

14. 공유기

14.1. Wi-Fi 5 (Giga WiFi) 공유기

  • netis
    • K2785
    • K2787 [41], 네티스 공식으로는 mex01 모델로 추정된다.
      다만, 자체 펌웨어만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업데이트는 별도 불가능(딜라이브 제공 펌웨어만 사용해야함)

14.1.1. 한양디지텍 HYC-G920

파일:sogigawifiaphanyangdgt.png
  • 5GHz 최대속도: 867Mbps
  • 2.4GHz 최대속도: 300Mbps
  • WAN / LAN 지원속도: 10/100/1000Mbps (기가비트 지원)
  • 램(RAM): 256MB
  • 안테나 개수: 2개 (5GHz 1, 2.4GHz 1)

14.2. Wi-Fi 4 공유기

  • MAXTECH
    • MAX-C300N
  • 한양디지텍
    • HYC-G800
  • netis
    • WF2429T (WF2429TB, WF2429TW)
  • Clipcomm Inc.
    • KWS-1043N
    • KWS-1040N

15. 여담

  • 2021년 2월 현재, 강남구, 경기 동부 권역에서 딜라이브 회선 접속 후 ISP명 조회 시 DLIVE로 뜨다 갑자기 구 사명인 C&M으로 뜨기 시작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 2018년 들어서 셋톱박스의 대기전력 논란이 일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이 논란은 대부분 IPTV 셋톱박스가 아닌 케이블 방송사의 셋톱박스이다. 특히 딜라이브에서 제공하는 LG전자의 LSC-6300 기종이 대기전력이 20.1W에 달했다. 비단 딜라이브 뿐만이 아니라, 타 케이블 TV 사업자들의 셋톱박스에서도 소모하는 전력의 양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케이블 TV 셋톱박스는 '전기 먹는 하마' 라는 별명이 붙기도 하였다.
  • LG U+ 인터넷 백본망, 해외망을 임차하여 쓰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2016년 쯤까진 DNS 서버도 LG U+ 회선을 임차해서 사용한 바 있다.
  • 사업권역 내에서 인터넷이나 케이블 TV 등의 서비스로 상당히 유명하게 알려져있다.
  • 현 JTBC에 출연하는 프리랜서 기상캐스터인 김민아가 JTBC 근무 이전에 당시 C&M의 지역방송 앵커로 근무했었다. 김민아가 출연한 유튜브 웹예능 왜냐맨(2020년 2월 22일)에 근무했던 당시 스틸샷이 나온다. 링크
  • 2020년 9월 LG U+와의 동등결합 할인 상품이 출시되었으며, 동년 11월 KT와의 동등결합 할인 상품이 출시되었다.

16. 계열사 목록

  • 국민유선방송투자: 본사의 대주주.
  • 딜라이브강남케이블TV
  • 딜라이브서울경기케이블TV
  • 딜라이브경기동부케이블TV
  • 노원케이블TV
  • 딜라이브텔레웍스

17. 노동조합

  • (2010년~2021년) 민주노총 서울본부 더불어사는희망연대노동조합 딜라이브지부: 민주노총 소속.
  • (2021년~)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사회서비스노동조합 더불어사는희망연대본부 딜라이브지부: 민주노총 소속.
  • 방송통신노동조합 : 한국노총 소속. 2018년 5월 설립.

18. 같이 보기

18.1. 동종업계

18.2. 기타


[2020년] [2020년] [2020년] [2020년] [2020년] [2020년] [2020년] [2020년] [9] 2020년 6월 기준 [10] 오스트레일리아 맥쿼리은행의 계열사다. [11] 거의가 붙는 이유는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포천시가 있는 양주권이 LG헬로비전과의 경합지역이기 때문이다. 여길 제외한 고양파주권, 남양주권, 광주권은 완벽한 딜라이브의 독점하고 있다. [12] GS홈쇼핑 소유의 GS울산방송이 전신. [13] MBK파트너스 맥쿼리가 합작하여 설립한 특수목적법인, 약칭 KCI. [14] TJB 아나운서 [15] KBS강릉방송국 아나운서 [16] 강남구 권역의 SO 였으며, 유경그룹 소유의 KNC 강남케이블TV로 시작해 2005년 12월 23일 GS홈쇼핑이 1,600억에 인수하여 'GS강남방송'이 되었다. 2011년 GS홈쇼핑에서 매각을 추진하여 씨앤앰에 인수되었다. M&A가 이루어진 시점이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보니, 강남구에서는 아직까지도 KNC와 GS 시절 흔적이 많이 보인다. [17] 울산광역시 지점이었으며, 현재는 JCN 울산중앙방송에 합병된 상태. GS강남방송과 마찬가지로 2011년 3월 씨앤앰(현 딜라이브)에 인수되었으며, GS그룹의 계열사이자 GS홈쇼핑이 소유 중이었다. [18] 서초권역이며, 현재는 딜라이브 서초케이블 TV 가 현대HCN에 합병됨에 따라 현대HCN 권역이다. [19] 과거 연천군, 포천시, 동두천시, 양주시, 의정부시 권역의 개별 SO 였으나, 씨앤앰 (현 딜라이브) 에 인수되었다. [20] 이 당시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즉, 케이블 방송국을 여럿 소유하고 있는 기업이 많지 않았다. 대주주도 다 제각각이었으며, 이를 당시 한국케이블TV 경동방송국 측이 몽땅 인수하면서 하나의 큰 케이블 TV 사업자(씨앤앰)가 된 것이다. [21] 독점 사업 구역이 아닌 지역은 SK브로드밴드 케이블과 경합 지역이다. 유일하게 현대HCN과 경합지역이었던 서초구 권역은 아예 현대HCN에 통째로 매각했다. [22] 강남케이블TV(KNC) -> GS 강남방송 -> 씨앤앰 강남케이믈TV -> 씨앤앰 케이블방송 강남지점 -> 딜라이브 강남케이블방송 [23] 일부 프로그램 등에서 아직 ISP 명이 KangNam Cable TV로 뜨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 DLIVE(또는 DLIVE Gangnam Cable TV)로 통합하였으나 아직 곳곳에서 KangNam Cable TV로 뜬다. 아직 뜯어고치지 않은 부분이 있는 듯 하다. CATV 분배기 또는 HFC ONU 등에 GS강남방송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 것처럼 말이다. [24] 본사와는 다른 법인으로 존재하며, 딜라이브 본사 측에서 지분 84.97%를 소유하고 있다. [25] 한국케이블TV 구로방송/구로케이블TV -> 씨앤앰 구로케이블TV -> 씨앤앰 구로금천케이블TV -> 씨앤앰 케이블방송 구로금천지점 -> 딜라이브 구로금천케이블방송 [26] SK브로드밴드 광진성동방송과 경쟁 [27] SK브로드밴드 노원방송과 경쟁(노원유선을 소유하고 있었으나 큐릭스(현. SK브로드밴드)에 매각하여 경쟁업체가 되었다.) [28] SK브로드밴드 서대문방송과 경쟁 [29] 한국케이블TV 동부방송/씨앤앰 동부케이블TV(DCS) -> 한국케이블TV 중랑방송/씨앤앰 중랑케이블TV -> 씨앤앰 중랑케이블TV -> 씨앤앰 케이블방송 중랑지점 -> 딜라이브 중랑케이블방송 [30] SK브로드밴드 종로중구방송과 경쟁 [31] C-VISION 중앙케이블비전 -> 씨앤앰 중앙케이블TV -> 씨앤앰 케이블방송 중앙지점 -> 딜라이브 중앙케이블방송 [32] 다른 법인으로 존재하지만 본사 측에서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기에 완전 자회사 개념이다. [33] LG헬로비전 나라방송과 경쟁 [34] 과거, 우리방송이라는 개별 SO 였으나, 2007년경 딜라이브(당시 씨앤앰)가 인수했다. [35] 유선 또한 쓸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되기도 하는데, 기타 다른 공유기에 내부 설정에 등록된 netis WF2429TB 공유기의 맥 어드레스를 심어서 등록해 보고, MAC Address 인증 방식으로 인터넷을 등록시켜주는 방식이라 다른 공유기에서 지급받은 공유기의 MAC Address 를 변경 및 등록하면 동일한 IP주소를 받아오니 혹시라도 쓰고 있는 사람이 있다면 시도해보는 것도 좋을 것으로 보인다. [36] 이 방법은 해지한 가입자를 아날로그 케이블의 의무형 상품(원래 그러라고 만든 상품이 아니다!)으로 옮기고 0원으로 만든뒤 고객에게 해지했다고 사기를 치는 술법이다. [37] 빌라나 오피스텔 등에는 대다수가 단체계약으로 인터넷ㆍTV가 가입되어 있는 경우가 상당하니, 이 점 참고바람. [38] 하지만 아쉽게도 FTTB 방식으로 설치되는 가정이 매우 드물기도 하고 (2016년 이후 완공된 아파트에도 겨우 들어올까 말까한 수준이다.), FTTH 방식 인터넷을 딜라이브에선 아직 제공하지 않고 있어, 단독주택이나 구형 빌라에는 무조건 HFC 방식으로 인터넷이 들어온다고 보면 된다. [39] 딜라이브 네트워크를 통해서 비교적 가까운 일본과 중국 서버로 직접 테스트한 결과 다운로드가 0.4~0.5 업로드가 2~4 정도 나온다. 이쯤 되면 실사용이 불가능한 수준이다. [40] 어디까지나 케이블 인터넷 사업자이기에 백본 등이 잘 갖춰진 통신 3사와는 대조되는 품질이다. [41] 무선 안테나 4개가 탑재된 기가 와이파이 지원 공유기이다. netis의 안테나 4개가 탑재된 AC 지원 공유기들과 디자인이 유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