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3:03:55

코타키나발루

코타 키나발루에서 넘어옴
코타 키나발루
Kota Kinabalu
파일:코타키나발루시내.jpg
국가
[[말레이시아|]][[틀:국기|]][[틀:국기|]]
지역 사바
면적 351km²
인구 536,000명 (2019년 기준)
시장 노르딘 시만
시간대 UTC+8
코타키나발루

1. 개요2. 명칭3. 관광4. 문화5. 자연6. 교육7. 교통8. 분리주의와 독립운동

[clearfix]

1. 개요

말레이시아 사바 주의 주도이자 말레이시아 제7의 도시이며 동말레이시아의 최대도시다.

2. 명칭

이 도시 이름인 말레이어 코타 키나발루(Kota Kinabalu)에서 코타(Kota)는 도시를 의미하고 키나발루(Kinabalu)는 말레이시아 최고봉 키나발루 산을 의미한다.[1]

한국인들은 코타키 나발루라고 부르는데, 코타 키나발루라고 읽는 것이 맞다. 긴 이름 때문인지 그냥 줄여서 '코타', '케이케이(KK)' 혹은 '코타키'라고 부르는데 현지에서는 흔히 KK라고 약칭되곤 한다.

영국 식민지 시절에는 제슬턴(Jesselton)이라고 불렀는데[2] 지금은 여기에 있는 항구 이름으로 남아있다.

키나발루(Kinabalu)의 어원은 현지 원주민 언어의 하나인 카다잔두순어 단어 아키 나발루(Aki Nabalu)로 보는 설이 유력하다. 카다잔두순어의 나발루(Nabalu)는 '영혼의 안식처'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 말은 카다잔두순족들에게는 사람이 죽으면 그 영혼이 키나발루 산에 머문다는 원시 신앙에서 유래되었다.

또한 중국 왕자와 보르네오 공주에 관련된 전설에서 온 키나[3] 발루[4]를 어원으로 보기도 한다.

자세한 어원은 키나발루 산 문서 참고.

3.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타키나발루/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시사철 거의 모든 해변이 한국인은 물론 중국인(+ 홍콩인/ 마카오인) 및 대만인 동아시아 국가 관광객들이나 태국인, 싱가포르인, 호주인 등 주변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국가 관광객으로 만원이다.

특히 한국인이 유독 많아서 하루에 도착하는 한국인 단체 여행객만 1,000여명에 육박한다! 그로 인해 모 호텔 아침 뷔페엔 한국어 영어만 쓰여 있어 한국 호텔처럼 보이기도 한다(예: 커피 Coffee / 코코넛 밥 Nasi Lemak). 또한 호객꾼 등이 어설프게 한국어를 하기도 한다.

한국인과 중국인 단체 관광객 말고는 이웃나라이고 원래 말레이시아의 지방도시였던 싱가포르에서 많이 찾아오며 중국계 싱가포르인들 중에는 여기가 원래 연고지라[5] 가족, 지인 등이 있는 사람도 많아 친지 방문 목적으로도 자주 찾아온다. 그리고 호주에서도 발리와 함께 가깝고 자연을 즐길 수 있는 휴양지로 알려져 있어 호주인들도 자주 보인다.

특히 이곳엔 혼혈, 특히 말차[6]라고 불리는 화교 혈통이 섞인 사람들이 많다.

혼혈 말고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의 경우도 원체 동말레이시아에 많이 사는 편이라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도 흔히 보이고 중국어를 자주 들을 수 있으며 한자 간판도 시내에 흔하다. 특히 차이나타운으로 들어가면 흡사 중국이나 대만에 온 느낌일 정도다. 중국어로는 표준 중국어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사회의 민족 모국어라서 주로 쓰이며 방언으로는 광동어, 민남어, 객가어 등이 쓰이는데 특히 동말레이시아는 광동어 화자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주로 호텔 매니저나 레스토랑 매니저 등 서비스업에서 중국계를 흔히 볼 수 있는데 중국계는 모두 영어를 능숙하게 구사할 수 있으며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도 많아서 한국어를 능숙히 구사하는 사람들도 많다.

4. 문화

본토인 서말레이시아와는 다른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애초 서말레이시아와는 완전히 다른 나라였다. 오히려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칼리만탄 등 같은 보르네오섬을 공유하는 곳들과 비슷하다.

인구의 약 20%는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이며 토착 인종인 바자우인 카다잔두순인이 각각 15% ~ 16% 대이다. 소수민족들이 말레이인보다도 많다.

전체 인구에서 24.5%는 외국인이다.

특히 비말레이인 소수민족으로는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인구가 상당수인데 동말레이시아는 애초 중국계 인구가 굉장히 많은 곳이다. 여기 말고도 이웃한 사라왁의 쿠칭도 중국계 인구가 꽤 많다. 그 덕에 코타키나발루 시내 곳곳에 한자 간판이 보이며 중국어가 자주 들린다. 중국계 사회는 표준 중국어 영어를 공식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한다.

정치, 사회 전반에 이슬람 문화의 영향이 강한 편이지만 서말레이시아보단 약하다.

코타키나발루를 줄여서 KK라고 하고 코타키나발루 사람을 오랑 KK라고 부른다. 오랑(orang)이란 말레이어로 '사람'을 뜻한다.[7]

종교의 경우 말레이시아 내 이슬람 문화의 최동단 지역으로 이슬람 문화를 어느 정도는 접해볼 수 있다. 해안 만 근처에 블루모스크가 있다. 여행하다 보면 몇 번 지나치게 되는 경우가 대다수인데 여기서 인증샷을 찍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소수민족이 많아 타 종교도 30-40%로 상당수라 본토처럼 이슬람 일색은 아니다.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은 불교/ 기독교[8]를 믿거나 무종교이고[9] 카다잔두순과 바자우인 등 원주민은 이슬람화되지 않은 사람들의 많은 수가 가톨릭을 믿으며 일부 원주민은 아직까지도 원시종교를 신봉하기도 한다.

5. 자연

근처에 생물학자들이 가장 완벽한 생태계라고 극찬한 키나발루 산이 있다. 해발 4095.2m 대 산으로 산 정상부는 고산기후가 나타나 춥다.

열대우림으로 뒤덮인 지역인만큼 거머리, 지네, 노래기, 기타 온갖 진짜로 놀라운 크기의 생물들이 우글거린다. 여기서 발견되는 곤충은 희귀종인 경우가 많다. 보는 사람에 따라 혐오감이 들 수 있으니 주의

또한 바다악어, 말레이곰 등 인간에게 해를 가할 수 있는 동물들이 여럿 서식하기에 혼자서 밀림같은 위험한 곳은 방문하지 않는 것이 좋다.

열대우림답게 지카 바이러스 말라리아 유행 지역이다. 등산이나 산책을 할 거라면 모기 스프레이를 준비해서 가는 편이 좋다.

매년 10월에 우기로 접어든다. 이때 여행한다면 곤란해질 수 있으니 여행 계획을 잘 짜자.


선셋으로 유명하다.

6. 교육

쿠알라룸푸르 조호르바루, 페낭, 이포 같은 서말레이시아의 대도시들에 비하면 소박하긴 하지만 그래도 나름 정겹긴 하다. 취소선 드립이 있었는데 그래도 코타키나발루도 도시인지라 전원일기스러운 풍경은 기대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상술은 관광도시라서 여기가 더하다.

여타 말레이시아의 학교들과 마찬가지로 공립과 사립, 그리고 국제가 있는데 이 중 사립학교는 겨우 5개이다. 그들이 바로 스리인산(Seri Insan), 사이먼풍(西門洪), 막탑(Maktab Nasional), 충칭(崇正), 키엔콕(建國)이며 이 중 충칭은 사바 주의 대표적인 명문 학교로 소문나 있다.[10] 국제학교는 대표적으로 KIS (Kinabalu International School) 과 JIS (Jesselton Internation School) 이 있다. 두 학교의 다른 점이라면 KIS 는 외국어, 음악, 미술 선생님을 제외하면 선생님 전원이 백인이라는 점이고 수업은 항상 영어로 진행된다. JIS는 말레이시아 국적의 선생님이 많은 편이다. JIS에 A-level 과정이 없는 탓에 나이가 있는 학생들은 KIS를 택한다. 스리인산의 경우는 학생 수가 적은데도 한때는 잘 나가던 명문학교였지만 지금은 평판이 떨어졌다.[11]

록육(樂育), 올세인트(All Saints), 샨타오(善導) 등의 공립학교들이 있지만 외국인은 가기가 힘들다.

공립학교에 외국인이 가기 위해서는 적어도 부모 중 하나라도 취업비자가 있어야 한다. 물론 중학교 이상만 해당된다. 초등학교는 문제없이 갈 수 있다.[12]

유일한 공립대로 사바주립대가 있다. 학비도 싸고 본토 말레이시아의 명문대들에 판치는 인종차별 및 외국인 차별 따위는 없으니 좋겠지만 말레이어 중심이라 외국인들이 그리 선호하지 않는다.

외국인에 대해 못 살게 구는 경향이 심한 말레이시아 본토와는 달리 관광지인 이 쪽에서는 외국인 혐오 성향이 덜하다. 하지만 여기 온 한국인들이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학교들이 한국인 학생들을 사절하려는 추세이다. 키엔콕에서는 한국인 학생과 현지인 학생이 한 판 붙은 사건을 계기로 한국인 학생들 전원이 쫓겨나는 황당한 일도 있었으며 앞으로 영원히 한국인을 안 받겠다고 대놓고 선전포고를 했다. 문자 그대로 애꿏은 대부분의 조용히 사는 한인 학생들만 피해를 본 셈이다.

당연하지만 영어 배우라고 비싼 학비내고 유학간 주제에 사고나 치고 다니는 건 옳지 않은 행동이며 한인사회 전체에 먹칠하는 짓이다. 그리고 한국인들끼리 어울려 다녀봤자 영어는 늘지도 않고 땅만 코타키나발루이지 그냥 서울에 있는 것과 별반 차이도 없다. 이 꼬라지를 절대 못 봐주겠다며 질색하는 사람들이 괜히 많은 게 아니다.

7. 교통

주요 공항으로는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이 있으며 제슬턴 포인트 등으로 해서 라부안이나 브루나이까지 배를 타고 갈 수 있다.

도시 내는 걸어다니면서 대부분 구경할 수 있는 구조이기는 하다. 걷는 게 싫다면 택시 버스를 타면 되는데 택시의 경우 문서에 씌여진 대로 바가지를 조심해야 한다. 이곳에서 오래 거주한 사람들은 거의 동남아시아 우버 브랜드인 그랩이나 토착 브랜드인 고젝 등을 이용한다. 그랩 고젝은 차 기종과 태울 인원, 짐 여부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지만 택시보다는 훨씬 싼 가격이고 바가지를 씌우는 일도 좀처럼 없다.

걷는 사람의 경우 이 나라에서는 무단횡단이 불법이지만 암묵적으로 가능하므로 그냥 눈치껏 건너자. 경찰 바로 옆에서 무단횡단해도 그냥 넘기는 경우가 많다.[13]

그리고 횡단보도가 거의 없고, 있더라도 바닥에 건너는 부분을 표시하는 선이 그어져 있지 않고, 그것도 건널 사람이 눌러야만 들어오는 신호등만 덜렁 있는 게 함정이라고 했는데 영미권 국가 대부분 신호등은 이렇게 눌러야 신호가 바뀌는 시스템이다. 다른 나라들도 대개 이렇다.

동남아시아 다른 나라와 달리 거리에 자전거가 전혀 없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도 보기 힘들다. 날이 덥기도 하지만 산유국이라[14] 기름값이 싸고 자동차를 나라에서 2-3년간 무이자로 융자해 사게 해주는 덕에 다 자가용을 타고 다닌다.[15] 그래서 이쪽은 미국식 자가용 사회가 되어버렸다.

택시가 있긴 한데 많지 않고 차량 상태가 천차만별이다.

자가용이 너무 많이 풀려있어서 시외버스/ 시내버스도 드물다.[16] 이 쪽에서는 속 편하게 자가운전을 하는 편이 낫다. 미니밴이 있긴 하지만 현지인이 아니라면 운행시간표 확인이 힘들고 예약도 만만찮다. 심지어 정해진 정류장이 없어서 알아서 기사에게 부탁해야 한다.
기차는 협궤인데, 모두 물자 수송을 위한 화물전용으로 도시/광역 철도망이 되어 있지 않아서 철도 여행은 기대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오히려 본토 서말레이시아 쪽 철도가 더 인프라가 훌륭한 편이다. 관광용이나마 보르네오 증기기관차가 운용 중에 있다. 시내에서 아침에 출발해 주변 관광지에 들렀다가 다시 돌아오는 일정. 실제 열차가 승객 수송을 위해 달리던 시절 음식과 서비스를 재현해놨다. 본인이 철덕이거나 역덕이라면 체험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당연하지만 본토 쿠알라룸푸르의 커뮤터 레일부터 모노레일에 이르는 훌륭한 도시철도 시스템과는 비교가 안 된다. 사실 말레이시아의 도시철도는 쿠알라룸푸르 한 곳에만 있는데 도시권이 크게 형성된 곳이 쿠알라룸푸르 수도권 단 한 곳 뿐이기 때문이다. 말레이시아도 수도권 집중이 은근히 심한 나라라서 지방도시로 가면 대중교통이 전무하다.

8. 분리주의와 독립운동

사바 주 특성상 본토에 대한 반감이 다소 있고 1963년 가입 후부터 줄곧 분리주의 움직임이 있다.[17] 대개 이 지역 원주민인 카다잔두순이나 무룻 사이에서 비교적 크다.

말레이 반도와 같은 말레이시아지만 중국과 그 특별행정구들인 홍콩/ 마카오처럼 말레이 반도 본토에서 이곳를 포함한 동말레이시아로 올 때는 내국인과 외국인을 불문하고 입경심사를 하고 체류일을 제한한다. 내국인의 무비자 기한은 최대 90일이다.

사라왁인은 문제없이 살 수 있지만 사라왁 역시 유사한 입국심사를 한다.

이러한 문제로 이 지역에는 별도의 영주권이 있는데 사바인은 자동적으로 말레이시아 국적과 함께 영주권을 갖는다.

외국인이 단순히 관광으로 왔다면 일반적으로는 무비자 90일이다. 남한 사람의 경우는 90일이지만 북한 사람은 30일이다. 그나마 말레이시아가 북한과 단교 직전까지 가면서 요즘에는 북한인 입국을 막고 있다.

그렇지만 쿠알라룸푸르 국제공항에서 받은 무비자도 사바 주에서는 효력이 붙고, 코타키나발루 국제공항에서 받은 무비자도 본토에서 효력이 붙는다. 그러나 정작 사라왁에서는 효력이 붙지 않으니 시피탕과 같은 접경지대에서 월경하는 것은 불법이다.

그리고 이 지역에 위험을 끼치는 사람이라면 말레이시아 본토인이라도 입경금지를 먹을 수 있다. 중앙집권국가인 한국인은 좀 황당하게 듣겠지만 말레이시아는 각 왕국들이 연합한 연방국가이며 각 왕국은 문자 그대로 하나의 국가인지라 이게 가능하다. 미국의 50개 주들보다 더 자치권이 강하다. 애초 말레이시아 국왕 자체를 여러 구성 왕국의 술탄들이 돌아가며 역임하는 시스템이다.[18]


[1] 이 이름은 Kota Bharu, Kota Tinggi, Kota Kemuning 등 많은 도시 이름에도 사용된다. 무조건 코타(Kota)가 붙으면 '~시'라는 뜻이다. [2] 말레이시아 식민지에 주둔하던 영국군 장군의 이름이다. 제슬턴이라는 이름의 큰 음식점도 있다. [3] 중국을 뜻하는 치나(Cina)의 토착어식 발음이다. [4] 미망인을 뜻한다. [5] 싱가포르 1965년 독립 전까지 말레이시아의 싱가포르 주(州)여서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연고지를 대거 말레이시아에 갖고 있다. 특히 상당수가 동말레이시아가 연고지다. [6] 말레이인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사이의 혼혈인 프라나칸을 여기선 말차라고 부른다. [7] 현지어로 말레이인을 오랑 믈라유라고 하며, 소수 민족 중에도 오랑 라우트가 있다. 그리고 오랑우탄, 오랑펜덱의 오랑이 바로 이 단어다. [8] 대부분 개신교 성공회, 감리회, 장로회가 다수 교단이다. [9] 이슬람이 국교 비슷한 말레이시아는 무종교나 무신론 등의 표현을 싫어해서 자유사상가(Free Thinker)로 순화해서 일컫는다. [10] 대륙의 어느 도시하고는 관련 없다. 호키엔어로 숭정(崇正)을 발음한 것이다. 호키엔어는 다른 중국어 방언들에 비해 독음이 따로 노는 경향이 있다. [11] 알 순 없지만 재정 문제 때문이라고 한다. 싼 학비에 높은 질의 교육을 제공했는데 재정 문제가 닥치고 이사회가 바뀌면서 결국 망했다고 전해진다. 여하튼 지금은 코타키나발루 최악의 학교로 떨어진 실정. [12] 부모나 관계자가 취업비자가 없을 경우 전교 1등을 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물론 공부 잘 하는 모범생이면 아예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말레이시아 이민국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이 나라의 외국인 혐오는 아시아에서도 챔피언 수준이다. [13] 사실 한국이나 무단횡단을 빡세게 단속하지 외국은 특히 영미권의 경우 그렇지 않다. 사람 위주 도로 정책을 쓰기 때문이다. 한 예로 호주만 해도 시드니에 무단횡단하는 현지인이 꽤 많은 편이다. 영국 런던도 신사의 나라라면서 영국인들이 유유히 신호등을 무시하고(...) 길을 건너고는 한다. 이 쪽은 대신 차량의 신호위반에는 빡센 벌금을 때린다. 한국 도로정책은 차량 위주로 좀 불합리한 면이 있다. [14] 의아해 할 사람이 있겠지만 사실 말레이시아도 네임드 산유국이다. 사라왁 지역의 쿠칭은 유전 지대로 유명한 곳이다. 옆동네 브루나이도 기름 덕분에 금칠하고 산다. 쿠칭 유전은 1980년대 태생인 현재 30대 및 40대 정도 나이대면 젊은 사람이라도 인지도가 있는데 사회 교과서에 아시아 주요 유전으로서 바스라, 키르쿠크, 모술 이라크의 유전지대나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다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와 함께 지겹게 나온 곳이라 그렇다. [15] 이슬람 법에 이자를 받지 못하게 되어 있어서 이자 명목이 아닌 수수료로만 받는데 이자가 고작 0.08%에 불과하다. 이게 수쿠크라 부르는 이슬람 채권이다. [16] 말레이시아에서 시내버스가 없는 주들은 프를리스, 클란탄, 트렝가누가 있다. [17] 사실 처음에는 그리 크지 않았는데 1965년 싱가포르가 쫓겨난 뒤 본격적으로 심해졌다. 왜냐하면 사바와 사라왁이 싱가포르 때문에 말레이시아에 가입했는데 싱가포르가 탈퇴하면서 사실상 무효가 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는게 분리주의자들의 주장이지만 사실과 다르다. [18] 똑같이 연방국가인 인도의 경우도 몇몇 지역에는 아직까지 라자라는 영주가 남아서 통치하는 영주국들이 있다. UAE의 경우도 7개의 토후국들의 연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