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09:04:11

중간고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시험
,
,
,
,
,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위키를 끄고 공부할 것을 권장하는 문구를 넣지 않는 것으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위키를 끄고 공부할 것을 권장하는 문구를 넣지 않는 것으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교육·입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분류 항목
교육 현장 범위 공교육( 학교 · 학교 관련 정보) · 사교육( 학원)
교육 수준 유아교육기관( 유치원) · 초등교육기관( 초등학교) · 중등교육기관( 중학교 · 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 대학교 · 대학원) · 영재학교 · 특수교육 · 평생교육
교육 관념 전인 교육( 유토리 교육) · 학술 중심 교육 · 출세 목적 교육( 해결 방안 · 해결이 어려운 이유) · 교육철학
입시 위주 교육(중등교육 내) · 취업 위주 교육 · 통합교육 · 선행학습
교육평가 정량평가(필기) 수능 · 내신( 수행평가 · 문제점 및 비판) · 전국연합학력평가 · 학업성취도평가
고입선발고사 · 진단평가 · 경찰대학 1차 시험 · 사관학교 1차 시험
정성평가(실기) 논술 · 면접 · 입시미술 · 음악입시 · 입시체육
시험 문제 유형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상대평가( 표준화 시험) · 절대평가 · 수능 등급제 · 내신 9등급제
입시 전형 입시 · 대입 · 정시 · 수시 ( 학생부종합전형(학종) · 입학사정관제 · 학생부교과전형 · 대학별고사) · 특별전형
논쟁·의논 교육문화와 인식, 관념 교육/논쟁 ( 영어 교육/논쟁 · 학술중심교육 대 전인교육 · 대학/논쟁 · 탈학교론) · 인성교육 · 경쟁 · 한국 사회 문제 · 생활지도 · 성교육 · 학생 · 학생 인권 · 교권 · 수포자 · 대한민국 교육열 · 보상심리 · 고3병 · 시험만능주의
교육 범위 간 갈등 공교육 대 사교육(입시 위주 교육) · 교육과정/의논 ( /국어과 · /수학과 · /과학과)
평가·시험 유형 시험 · 시험/논쟁 · 정량평가 대 정성평가 · 적성검사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성적 · 상대평가 대 절대평가
대입 방식과 전형 정시 대 수시( 우수성 논쟁) · 편입학 · 유학 · 어학연수 · 반수 · 재수 · 1+3 유학 특별 전형
학벌 학벌 · 학력 · 학위 · 대학 서열화( 연공서열) · 명문대 ( SKY · 의치한약수) · 인서울 대학교 ( 사대문 안 · 인수도권 대학교) · 지잡대 ( 낙후된 지방 · 입지 약화 · 취업 · 외국 사례) · 대학 평준화
★ 현재 교육 관련 문서 간에 혼용과 중복 현상이 심합니다.
이에 편집 예정자는 아웃링크(문단 또는 앵커 리다이렉트)를 적절히 활용해 문제를 해소해주시기 바랍니다.
교육 관련 행정기관 교육부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국립국제교육원 · 국외 한국교육원 · 교육감 · 교육청 · EBS
교육 관련 단체 주요 교원단체(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교사노동조합연맹) ·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교육법 교육기본법 · 초·중등교육법( 의무교육법)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7차 · 2007 개정 · 2009 개정( /각론) · 2015 개정( /부분 개정) · 2022 개정)
교육자 양성 정책 교사 · 교수 · ( 교육대학 · 사범대학 - 교육전문대학원) · 교사 임용시험 · 교직이수과정 · 교육대학원
초중등교육기관 및 정책 자사고 · 특목고 · 영재학교 · 대안학교 · 0교시 · 야간자율학습 · 창의적 체험활동 · 보충학습 · 방과 후 학교 · 국제반 · 고교학점제 · 자유학기제 · 교육행정정보시스템(나이스) · K-에듀파인 · 학교생활기록부
고등교육기관 및 정책 등록금 · 대학원 · 전문대학원 · 과학기술원 · 평점 · 졸업정원제 · 원격대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평생교육기관 및 정책 학점은행제 · 독학학위제 · 원격대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사이버대학) · 일학습병행
기타 교육 정책 고교 평준화 정책 · 학생인권조례 · 디벗 · 무상급식 · 고교 상피제 · 교과교실제( 수준별 수업) · 문·이과 통합 · 국공립대 공동학위제 · 국가거점국립대학교 통합 · 교원능력개발평가
논란·사건사고 학사 비리( 숙명여고 사태 · 고려고 사태 · 김포외고 사태 · 문태고 사태) · 촌지 · 무상급식 전면확대 논란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사태 ·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용도서 국정화 논란 · 사회 교과서 무단수정 의혹 · 외고·국제고·자율고 폐지(논란 포함) · 대통령실 수능 출제 방침 지시 논란
교과용도서 ( 국정도서 · 검정도서 · 인정도서) · 대학 교재 · 문제집 · 학습지 · 개론서 · 수험서 · 전과
학문, 연구 교육학 · 교육심리학 · 교수법 · 교육공학 · 교육사회학 · 교육평가
학습 방법 주입식 교육 · 자기주도학습 · 자습 · 온라인 교육 · 인터넷 강의 · 입시3대포탈 · 홈스쿨링 · 독서실 · 스터디카페 · 열람실 · 도서관 · 과외
세계 평가 지표 OECD 교육지표
둘러보기: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영미권의 교육 관련 문서 }}}}}}}}}



1. 개요2. 상세3. 관련 문서

1. 개요

, Midterm exam(ination)

말 그대로 학기 중간에 치르는 시험. 1차 정기고사, 1차 지필고사, 1차고사라 부르기도 한다.

2. 상세

초등학교 1학년 ~ 초등학교 6학년은 전교생 모두 현재는 폐지 상태이고[1], 중학교 2~3학년[2], 고등학교, 대학교의 경우 일부를 제외하면 매년 두 번씩 겪는 것. 고등학교 중간고사는 상대평가로 이루어진다. 다만, 고3 2학기 중간고사는 재수하거나 정시로 가지 않는 이상 수시에 반영되지 않으므로 없는 셈 치는 학생이 많다.[3]

위에 쓴 것처럼 학기 중간에 치르며, 보통은 1학기는 4월 말~5월 초에 치며, 2학기는 9월 말~10월 초중반에 친다.[4] 사실 교사들도 연휴 직후에 시험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학생을 괴롭히기 위한 꼬장부리기가 아니라는 의미다.[5]

또한, 기말고사와 함께 학기 성적을 좌우하는 중요한 시험이다. 그러나 기말고사에 비해 중요도는 떨어진다.

그 이유로 몇 가지를 들자면.
  1. 수업 일수가 적은 과목의 경우에는 기말고사만 보는 경우가 있어 중간고사가 기말고사보다 과목 수가 적은 경우가 많다.[6] 단 중3 2학기는 오히려 예체능이나 제2외국어, 기술가정, 역사 같은 과목이 중간고사 때 미리 본다.[7]
  2. 중간고사가 기말고사보다 시험범위가 적은 경우가 많다.[8]

대부분의 학생들은 중간고사를 날려먹을 경우 주로 기말고사를 잘 봐서 성적을 만회하겠다고 결심한다. 사실 중간을 너무 망치면 기말 100점 맞아도 소용없다. 하지만 종종 중간고사 범위를 공부해야 기말고사 문제를 풀 수 있다든가, 중간고사 범위가 기말고사에도 들어가는 악랄한 경우가 발생한다.[9] 이렇게 되면 중간고사 공부를 하지 않은 학생들은 멘탈이 깨지며 기말고사까지 망치게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중간고사든 기말고사든 꾸준히 공부해야 성적이 잘 나온다는 것을 명심하자.

2017년부터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일부 지역에서 자유학년제를 시작했고 2020년부터는 모든 학교에서 중학교 1학년 자유학년제로 기말고사와 함께 폐지되었다. 기사 그러나 경북과 세종교육청에서는 자유학년제로 인해 학생들의 학력이 저하되자 2021년부터 다시 자유학기제로 전환하도록 했다.

울산 초등학교 1~4학년 중간 · 기말고사 폐지

중ㆍ고등학교에서는 중간고사 보는 날에는 중식을 먹고 바로 귀가[10][시키며, 보충수업, 야간자율학습 역시 실시하지 않는다.[11] 보통 중학교는 2~3일, 고등학교는 3~5일간 실시한다.

대학의 경우 대부분, 시험 문제를 다 풀면 시험 종료시간까지 기다릴 필요 없이 제출만 하고 바로 나가면 된다.[12] 당일 과목을 모두 치르면 그냥 귀가하면 된다. 초중고 때 시험처럼 시험 시간과 양에 대한 대체적인 룰이 없고, 그냥 교수 재량이라는 게 특징.[13] 문과 시험의 경우 몇 시간씩 주고 아는 만큼 쓰고 가라고 하기도 하고(시험 범위도 진짜로 '배운 데서 안 배운 데까지'에다 문제 유형도 논술형), 토목과 시험의 경우 좀 특이한 경우지만 무박 3일 72시간 동안 시험을 치르는 학과도 있었다. 사례. 학과 및 전공마다 좀 다르겠지만 대체로 객관식 시험이 드물고 이름이랑 학번, 학과 적는 칸 말고는 아무것도 없는 백색 종이에 문제 적고 답 적고 원맨쇼를 해나가야 한다.[14] 중ㆍ고등학생 5~6년 동안 OMR 컴퓨터용 사인펜에 익숙해져 있었던 신입생들의 멘탈을 터트리는 주범.[15][16] 또한 중간고사 시간표가 따로 정해지는 중ㆍ고등학교와는 다르게 해당 수업시간에 시험을 본다. 대학은 수강신청에 따른 학생별 시간표가 다 달라서 시간표 중복 문제가 날 수 있기 때문.[17] 그리고 한 학기가 15주이므로 대게 8주차에 치르지만, 휴강이나 기타 사정으로 1~2주 미뤄서 치는 경우도 있다.

중간고사가 없고 레포트나 퀴즈로 대체하는 강의도 존재한다.[18] 중간고사가 없는 과목은 휴강을 하거나 중간고사 기간에도 정상 수업한다. 예체능의 경우 과제로 중간고사를 대체하기도 한다.[19]

대학원은 전공에 따라 다르지만 중간고사가 없는 경우도 굉장히 많다. 대학원 특성상 교수의 재량권이 많고 학점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기 때문.[20] 중간고사는 물론 기말고사도 없는 과목도 꽤 많다. 중간고사가 없는 경우 중간고사 기간에 그냥 강의를 진행하기도 하며, 일부 과목의 경우 그냥 휴강을 하기도 한다. 기말 텀페이퍼가 있는 과목이라면 이 기간에 기말 텀페이퍼에 대한 연구 계획서( 프로포절)를 작성한다. 대신 대학원생에게는 매 시간마다 논문이라는 시험보다 더욱 악랄한 과제가 기다리고 있다.

중간고사를 보지 않는다면 오히려 좋아하는 학생들도 많지만 대신 기말고사 범위가 더 넓어진다. 아니면 수행평가, 과제 비중이 높아지든지. 각각 장단점이 있는 셈.

대학생들에게는 기말고사보다 더 미움받는 경우가 많다. 혹서기와 혹한기 직전에 실시하는 기말고사와 달리 1년 중 가장 날씨가 좋은 4월, 10월을 시험 준비하느라 날려먹어야 하는 것도 서러울 뿐더러 그 기말고사는 필요성이 널리 인정되지만(만약 중간고사만 보고 시험이 끝이라면 그 수업의 후반기는 파행이나 다름없을 것이다) 중간고사는 실시하지 않더라도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지는 않기 때문에 덜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21] 그리고 특히 전공과목은 중간을 너무 망치면 아무리 기말을 100점 맞아도 B조차 받기 어렵기 때문이기도 하다.
2020년의 경우에는 코로나19 확산 사태로 기존과 다르게 진행된 부분들이 있었다. 1학기 중간고사는 이례적으로 6월 중순에 치뤄졌으며, 고등학교는 학년을 구분해서 오전에 등교해서 시험보는 학년과 오후에 등교해서 시험보는 학년으로 나눠서[22] 시험을 치르는 경우도 있었고, 고3의 경우에는 아예 2학기 때 중간고사 조차도 진행되지 않았던 학교들도 있었다.

3. 관련 문서



[1] 2000년대 중반 무렵부터 일부 학교 한정으로 초등학교는 기말고사만 치렀으며 2015년부터 대부분 초등학교에서 지필고사가 폐지되더니 2019년부터는 전국 초등학교에 있는 지필고사가 모두 폐지되었지만 일부 사립 초등학교는 중간고사와 모든 지필고사를 시행한다. 그러나 초등학교 성적은 중학교 진학에 영향이 없어서 성적에 신경쓸 필요가 없었고 석차도 없었다. 중학교는 2015년 이후에 거의 대부분 자유학기제를 시범 시행하다가 2016년부터 전면 도입되었고, 한때는 자유학년제를 실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자유학년제는 학부모들 사이에서 평가가 매우 안 좋았고, 학교에서도 학생 지도를 어렵게 하는 제도라고 혹평하는 등의 이유로 자유학년제는 오래 가지 못하게 돠었다. [2] 2023년부터는 자유학기제 자유학년제를 학교장이 선택하게 되었다. 또한 2025년부터는 자유학기제로 환원되면서 중학교 1학년 중 한 학기는 중간고사를 보게 된다. [3] 다만 모든 학교가 매년 두번씩 겪는 기말고사와는 달리 중간고사는 학교에 따라서 보지 않기도 한다. 중간고사를 보지 않는 학교는 주로 중학교 2-1학기나 3-2학기, 고등학교 3-2학기에 보지 않는다. 과거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1학년때 기말만 치르기도 했다. [4] 따라서 추석 연휴 직후에 중간고사가 시작하거나 개천절이 시험 기간에 끼거나 전후인 경우가 많아서 놀지 못하게 한다. 다만, 연휴 직후 시험이 잘 안쳐지는 경우가 많은 걸 학교도 알기 때문에 내신이 중요한 고등학교는 연휴 1주 후에 치거나 연휴 전날에 중간고사를 마치는 경우가 많다. [5] 시험문제 관리 등으로 인해 매우 불안한 연휴를 보내게 되기 때문이다. [6] 주로 예체능 과목이 해당되나 2010년대 중후반 이후로는 수행 100%로 갈음하는 경우가 많다. 기술가정이나 제2외국어, 도덕은 중간고사에 보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다. 반면 국어·수학·영어는 고등학교 진로 선택과목을 제외하고는 중간고사도 항상 보는 편. 이 경우에도 영어와 수학은 무조건 다른 날에 보며, 어떤 학교는 국영수 3과목을 모두 다른 날에 본다. [7] 물론 일부 학교는 중3 2학기를 기말고사로만 보기도 한다. [8] 기말고사는 전 범위를 볼 수는 있더라도 중간고사는 그 이전까지 배운 내용들만 시험범위에 넣을 수 있다. [9] 전자의 경우는 미분적분학, 물리학 등의 과목이 주로 해당되고, 후자의 경우 학생들의 시험 점수가 높은 편이라 기말을 조금 부담되게 하려는 의도가 있다. [10] 급식을 아예 실시하지 않고 바로 귀가시키는 학교도 많으며, 마지막날의 경우에는 아예 급식을 미실시하는 학교가 대부분이다. [11] 하지만 일부 학교는 지필고사 기간에도 야간자율학습을 실시한다. 다만 이런 경우는 야간자율학습을 학생선택제로 운영하는 학교가 대부분이다. [12] 단, 감독관이나 응시 과목(특히 교양수학)에 따라 시험 시작 후 일정 시간 지나야 퇴실 가능한 경우도 있다. [13] 따라서 중간고사를 통해 교수님의 문제 스타일을 파악하는 경우가 많다. [14] OX퀴즈가 포함되기도 한다. [15] 다만 교양, 교직과목 등 일부는 객관식이 들어가기도 한다. 이때는 담당 교수 재량에 따라 OMR이 쓰일 수 있다. [16] 코로나가 심했던 시기는 한 학기 이상 오픈북 시험을 보기도 하였다. 그것도 줌으로. [17] 참고로 타 과목과 시험시간표가 중복되어 시험을 볼 수 없다면 교수에게 양해를 구하고, 별도로 시간을 내어 추가시험을 볼 수 있다. 추가시험을 본 경우 보통 성적이 B+를 넘을 수 없도록 하고 있지만, 위 사유로 인한 추가시험은 당사자에게 책임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어 예외이다. [18] 따라서 중간고사 기간이 기말고사보다 훨씬 널널한 경우가 많다. [19] 대체로 기말고사도 마찬가지다. [20] 대학원의 성적평가는 100% 절대평가라서 그냥 교수 마음대로 성적을 부여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논문과 연구에 매진하라는 의미에서 하라는 것만 다 해도 최소 B- 이상은 준다. [21] 중고등학생들은 대학생들보다 날씨를 덜 신경쓰는 편이고 학교 및 학원에서 보내는 시간이 대학생들보다 훨씬 긴 대신 스스로의 의지로 공부하는 시간은 대학생보다 짧기 때문에 시험기간과 그렇지 않은 기간의 스케줄 편차가 비교적 적어서 이런 경향이 덜하다. [22] 드물게 앞반과 뒷반으로 나누어서 본 학교도 있었다.

분류